KR20000038641A - 발전소의 고열 감지용 근접 스위치 점검 장치 - Google Patents

발전소의 고열 감지용 근접 스위치 점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8641A
KR20000038641A KR1019980053706A KR19980053706A KR20000038641A KR 20000038641 A KR20000038641 A KR 20000038641A KR 1019980053706 A KR1019980053706 A KR 1019980053706A KR 19980053706 A KR19980053706 A KR 19980053706A KR 20000038641 A KR20000038641 A KR 20000038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power
unit
power plant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1774B1 (ko
Inventor
장덕준
Original Assignee
김형국
한전기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국, 한전기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형국
Priority to KR1019980053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1774B1/ko
Publication of KR20000038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1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17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20Cathode-ray oscilloscop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H02H5/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abnormal temperature
    • H02H5/047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abnormal temperature using a temperature responsive switc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소의 고열 감지용 근접 센서를 점검함에 있어서, 근접 센서를 분리하여 장착하는 센서 장착부와, 센서 장착부 주위에 설치되어 발전소 설비의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로 주위 온도를 가열시키도록 온도 제어기, 히터 및 팬을 갖춘 환경 변화부로 이루어지고 별도의 하우징 공간에 외기와 차단 되도록 설치된 히트 유니트와;
환경 변화부에 온도 환경 변화량을 제어하는 환경 변화 제어부와, 센서 장착부의 장착 센서 출력을 분석하여 계측 기기에 인가하는 신호 분석부와, 신호 분석부를 구동토록 교류 전원을 변환시켜 직류 전원으로 인가하는 제어 전원 조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히트 유니트와는 인터페이스 케이블로 연결되는 전원 제어 유니트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스위치 점검 장치이며;
발전소에서 고온 발생 부위에 설치하여 고온 상태를 측정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내도록 별도의 하우징에 고온환경을 부여하고 측정하므로 측정의 오차가 없고, 환경 변화의 조건을 인가할 수 있도록 환경 변화 제어부를 두어 원하는 조건에서의 센서 상태 변화를 편리하게 인식 할 수 있어, 발전소의 고온을 측정하는 센서의 신뢰성을 제공하므로 발전소의 고온이상 인식 에러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발전소의 고열 감지용 근접 스위치 점검 장치
본 발명은 발전소의 고열 감지용 근접 스위치 점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센서 장착부 주위에 설치되어 발전소 설비의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로 주위 온도를 가열시키도록 별도의 하우징 공간에 외기와 찬단 가능하게 설치된 히트 유니트와, 환경 변화부에 온도 환경 변화량을 제어하고 센서 출력을 분석하여 계측 기기에 인가하며 교류 전원을 변환시켜 직류 전원으로 인가하는 제어 전원 조절부로 이루어진 발전소 고열 감지용 근접 스위치 점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접 스위치는 검출물체가 접근하는 것을 비접촉으로 검출하여 설비위치, 아날로그 수치(회전수) 등에 응용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종류에는 고주파 발진형, 자기형, 및 정전 용량형으로 대별된다. 고주파 발진형 센서의 일 예로는 도 1 과 같이 선단의 고주파 코일(1)로 부터 고주파 자계를 발생시키고, 고주파 자계를 검출 물체(2)에 접근시키면 금속 중에 유도자계가 흘러 열 손실이 발생하고 발진이 감쇄 또는 정지한다. 이러한 유도자계는 검출 코일(3)에 유도되어 검출 회로(4)를 거쳐 개폐 소자(5)에 인가된다.
한편 정전 용량형 센서는 도 2 와 같이 검출부(6)에 유도 전극(7)이 있고, 검출 물체(2)가 접근하였을 때 검출부(6)의 유도 전극(7)과 대지간의 정전 용량이 크게 변화하며, 그 변화량을 검출 회로(4)에서 검출하여 개폐소자(5)를 구동시킨다.
상기 고주파 발진형 센서의 검출회로(4)는 도 3 및 도 4 와 같이 검출코일(3)을 통하여 고주파 성분이 유도 검출되고, 검출된 자계신호에 근거하여 발진회로(4-1)가 발진을 도 4a 와 같이 진행하고, 검파회로(4-2)를 거치면서 도 4b 와 같이 반파 정류되고, 슈미트 회로(4-3)에는 도 4c 상태로 입력되어 도 4d 상태로 출력한다. 이어 출력회로(4-4)에서는 상기 슈미트 회로(4-3)와는 역상으로 출력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경우 발진회로(4-1)의 일 구간(t1)에서는 출력회로(4-4)의 출력이 로 레벨인바, 이는 검출 물체(2)가 센서 근방에 없어 고주파 유도 자계의 손실이 없으므로 출력이 일상적인 출력을 이루는데 반하여, 다른 구간(t2)에서는 출력회로(4-4)의 출력이 하이 레벨인바, 이는 검출 물체(2)가 전방에 있어 고주파 유도 자계의 손실이 생기므로 출력이 하이레벨을 이룬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근접센서는 산업상 여러 분야에 사용되나, 화력발전소 등에 사용하는 경우 가스터빈 가열 가스와 스팀 터빈 고온 증기밸브에 설치되어 고온부에 노출, 특히 열적 특성 변화 요인을 갖고 있어 열적 변화에 민감한 반도체 회로 취약점이 있는 근접 스위치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를 해소코자 하는 것으로, 근접 센서에 온도 변화 환경을 제공하여 근접 센서를 발전소 분야에서 사용할 때의 수명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센서를 장착하여 온도 변화를 인위적으로 제공하는 히트 유니트와, 상기 히트 유니트에 온도 제어 환경을 제공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는 전원 제어 유니트로 구성한다.
도 1 은 종래의 고주파 발진형 센서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2 는 종래의 정전 용량형 센서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3 은 종래의 고주파 발진형 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a 는 도 3 의 발진회로의 일 예를 나타낸 파형도,
도 4b 는 도 3 의 검파회로의 일 예를 나타낸 파형도,
도 4c 는 도 3 의 검파회로의 일 출력 예를 나타낸 파형도,
도 4d 는 도 3 의 슈미트회로의 일 출력 예를 나타낸 파형도,
도 4e 는 도 3 의 출력회로의 일 예를 나타낸 파형도,
도 5 는 본 발명의 블록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의 장비별로 구획한 상태의 블록도,
도 7 은 본 발명의 온도 제어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센서 장착부 11;근접 센서
21;온도 제어기 22;히터
23;팬 20;환경변화부
30;히트 유니트 31;하우징
32;인터페이스 케이블 40;환경 변화 제어부
50;신호 분석부 51;계측 기기
60;제어 전원 조절부 70;전원 제어 유니트
즉, 본 발명은 근접 센서를 장착하는 센서 장착부와, 센서 장착부 주위에 설치되어 발전소 설비의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로 주위 온도를 가열시키도록 온도 제어기, 히터 및 팬을 갖춘 환경 변화부로 이루어지고 별도의 하우징 공간에 외기와 차단 되도록 설치한 히트 유니트와;
환경 변화부에 온도 환경 변화량을 제어하는 환경 변화 제어부와, 센서 장착부의 장착 센서 출력을 분석하여 계측 기기에 인가하는 신호 분석부와, 신호 분석부를 구동토록 교류 전원을 변환시켜 직류 전원으로 인가하는 제어 전원 조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히트 유니트와는 인터페이스 케이블로 연결되는 전원 제어 유니트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스위치 점검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환경 변화부는 가열 히터와, 가열 히터를 바람이 통과하여 가열 풍을 제공토록 하는 팬과, 온도 제어기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블록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설치 상태를 장비별로 구획하여 나타낸 블록도로, 근접 센서(11)를 장착하는 센서 장착부(10)와, 센서 장착부(10) 주위에 설치되어 발전소 설비의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로 주위 온도를 가열시키도록 이후에 설명하는 온도 제어기(21), 히터(22) 및 팬(23)을 갖춘 환경 변화부(20)로 이루어져 별도의 하우징(31)에 설치된 히트 유니트(30)와;
환경 변화부(20)에 온도 환경 변화량을 제어하는 환경 변화 제어부(40)와, 센서 장착부(10)의 장착 근접 센서(11) 출력을 분석하여 계측 기기에 인가하는 신호 분석부(50)와, 신호 분석부(50)를 구동토록 교류 전원을 변환시켜 직류 전원으로 인가하는 제어 전원 조절부(60)로 이루어지고, 상기 히트 유니트(30)와는 인터페이스 케이블(32)로 연결되는 전원 제어 유니트(70)로 구성한다.
도 7 은 환경 변화부(20)와 환경 변화 제어부(40)를 포함하는 온도 제어회로도로, 환경 변화부(20)는 교류 전원을 히터(22)와, 팬(23) 및 온도 제어기(21)가 인가 받도록 구성한다. 상기 온도 제어회로도에서 환경 변화부(20)를 제외한 부분은 환경 변화 제어부(40)를 이루고, 이들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이룬다. 상기 히터(22) 및 팬(23)의 주변에는 온도에 의하여 반응하는 바이메탈(49-1, 49-2)이 설치되고, 바이메탈(49-1, 49-2)은 온도가 낮을 때는 접점(M15, M22)을 온 시켜 히터(22) 및 팬(23)에 전원을 인가토록 구성한다. 환경 변화 제어부(40)는 수동 및 자동을 선택하는 선택 스위치(41)와, 선택 스위치(41)가 선택될 때 온 오프를 선택하는 온 오프 스위치(42)와, 상기 선택 스위치(41)와 온 오프 스위치(42)가 온 될 때 구동하는 제 1 마그네트(M1)와, 히터(22)의 가열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기(21)와, 온도 제어기(21)의 제어 동작에 연동하여 접점(M1)이 온 될 때 구동하는 제 2 마그네트(M2)와, 상기 제 1 마그네트(M1)가 초기 구동시 접점(M11, M13, M14, M15)이 온 되어(a 접점) 제 2 마그네트(M2), 램프(HTR RUN), 제 1 마그네트(M1), 히터(22)를 차례로 구동시키는 구성과, 접점(M12)이 작동시 오프 되어(b 접점) 램프(HTR STOP)를 오프시키도록한 구성과, 제 2 마그네트(M2)가 구동시 접점(M21, M22)이 온 되어 램프(FAN RUN), 및 팬(23)을 구동시키는 구성과, 바이메탈(49-1, 49-2)에 연동하여 접점(49-11,49-21)중 적어도 하나의 접점이 온 될 때 점등하는 램프(FAULT)와, 바이메탈(49-1, 49-2)에 연동 하여 두 개의 접점(49-12, 49-22)이 동시에 온 될 때 온도 제어기(21)가 구동되도록 하는 구성을 이룬다.상기 온도 제어기(21)는 설정 온도에 따라서 접점(CH, C1)이 선택 개폐되는 일반적인 릴레이를 사용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센서 장착부(10)에 시험할 근접 센서(11)를 설치하고 하우징(31)(일반적인 형상을 예측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함)을 닫는다. 그리고 전원을 인가한다. 이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도 7 에서와 같이 우선 선택 스위치(41)를 조작하여 수동(M) 또는 자동(A)작동을 선택한다. 수동(M)을 선택하면 온 오프 스위치(21)를 온 시켜 교류 전원이 제 1 마그네트(M1)에 인가되도록 한다. 제 1 마그네트(M1)가 구동되면 접점(a 접점)을 이루는 접점(M11, M13, M14, M15)이 온 되어 제 2 마그네트(M2), 램프(HTR RUN), 제 1 마그네트(M1), 히터(22)가 차례로 구동된다. 그리고 제 2 마그네트(M2)가 구동되면 접점(M21)(M22)이 온 되어 램프(FAN RUN), 팬(23)도 이어 구동된다. 이 상태에서 온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온도 제어기(21)를 조절하면 히터(22)를 구동하는 접점(M11)이 오프 되어도 팬(23)을 구동시켜 냉각 기능을 수행토록 접점(CH)을 온 시킨다. 또한 선택 스위치(41)가 자동(A)을 선택한 경우에는 접점(C1)을 온 시키거나 오프 시켜 제 1 마그네트(M1)의 구동을 제어토록 함으로써 이와 연동되는 히터(22)의 발열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환경 변화부(20)와 환경 변화 제어부(40)의 유기적 직동에 의하여 온도를 발전소의 근접센서 측정위치의 온도와 동일하게 환경을 맞춘 다음, 도 6 에 보인 센서 장착부(10)에 장착한 근접 센서(11)의 출력을 신호 분석부(50)에 인가한다. 신호 분석부(5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 출력시키는 제어 전원 조절부(60)를 통하여 제어 직류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며, 신호 분석부(50)는 또한 전류계, 전압계, 정상치의 데이터를 저장한 메모리, 그리고 센서의 출력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그리고 이들 데이터를 분석하는 마이컴과, 마이컴의 출력을 디스플레이 시키는 디스플레이 등의 구성을 사용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 신호 분석부(50)에는 오실로스코프 등의 파형 계측 기기(51)를 사용하여 정확한 가시적인 파형의 이상 유무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근접센서(11)는 센서 장착부(10)에 설치하고 히터(22) 및 팬(23)을 하우징(31)에서 작동토록 하되, 발전소의 고온 환경을 본 발명의 환경 변화부(20) 구성과 환경 변화 제어부(40) 구성을 통하여 구현 가능하게 만들어주고, 이 때의 근접 센서(11)의 출력은 신호 분석부(50)에서 분석 가능토록 하므로, 근접센서(11)를 발전소의 가열부에 설치하지 않고도 근접센서(11)가 정상 작동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근접센서(11)가 파손될 경우 발생하는 갑작스런 과열 등에 의한 발전소의 설비 이상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발전소의 가열온도를 측정하는 근접센서를 분리시켜 센서 장착부에 안치시키고, 환경 변화부에서 실제 발전소에 설치시의 기상 환경을 이루도록 온도 제어기와 히터 및 팬을 설치하여 가열시키고, 가열 조건을 제공함에 있어서는 전원 제어 유니트의 환경 변화 제어부를 사용하여 각 마그네트와 이에 연동 하는 릴레이 접점 회로를 사용하여 설정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 조건을 유지토록 하고, 이 상태에서 근접 센서의 출력은 오실로스코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신호 분석부를 통하여 정상 여부를 확인토록 한다.

Claims (2)

  1. 발전소의 고열 감지용 근접 센서를 점검함에 있어서, 근접 센서를 분리하여 장착하는 센서 장착부와, 센서 장착부 주위에 설치되어 발전소 설비의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로 주위 온도를 가열시키도록 온도 제어기, 히터 및 팬을 갖춘 환경 변화부로 이루어지고 별도의 하우징 공간에 외기와 차단 되도록 설치된 히트 유니트와;
    환경 변화부에 온도 환경 변화량을 제어하는 환경 변화 제어부와, 센서 장착부의 장착 센서 출력을 분석하여 계측 기기에 인가하는 신호 분석부와, 신호 분석부를 구동토록 교류 전원을 변환시켜 직류 전원으로 인가하는 제어 전원 조절부로 이루어진 전원 제어 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히트 유니트와 전원 제어 유니트는 인터페이스 케이블로 연결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의 고열 감지용 근접 스위치 점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변화 제어부는 상기 히터(22) 및 팬(23)의 주변에서 온도에 의하여 반응하고 온도가 낮을 때는 접점(M15, M22)을 온 시켜 히터(22) 및 팬(23)에 전원을 인가토록 하는 바이메탈(49-1, 49-2)과, 온도 제어의 수동 및 자동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 스위치(41)와, 선택 스위치(41)가 선택될 때 온 오프를 선택토록 하는 온 오프 스위치(42)와, 상기 선택 스위치(41)와 온 오프 스위치(42)가 온 될 때 구동하는 제 1 마그네트(M1)와, 히터(22)의 가열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기(21)와, 온도 제어기(21)의 제어 동작에 연동하여 접점(M1)이 온 될 때 구동하는 제 2 마그네트(M2)와, 상기 제 1 마그네트(M1)가 초기 구동시 접점(M11, M13, M14, M15)이 온 되어(a 접점) 제 2 마그네트(M2), 램프(HTR RUN), 제 1 마그네트(M1), 및 히터(22)를 차례로 구동시키는 구성과, 접점(M12)이 작동시 오프 되어(b 접점) 램프(HTR STOP)를 오프시키도록한 구성과, 제 2 마그네트(M2)가 구동시 접점(M21, M22)이 온 되어 램프(FAN RUN), 및 팬(23)을 구동시키는 구성과, 바이메탈(49-1, 49-2)에 연동 하여 접점(49-11,49-21)중 적어도 하나의 접점이 온 될 때 점등하는 램프(FAULT)와, 바이메탈(49-1, 49-2)에 연동 하여 두 개의 접점(49-12, 49-22)이 동시에 온 될 때 온도 제어기(21)가 구동되도록 하는 구성을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의 고열 감지용 근접 스위치 점검 장치.
KR1019980053706A 1998-12-08 1998-12-08 발전소의고열감지용근접스위치점검장치 KR100311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706A KR100311774B1 (ko) 1998-12-08 1998-12-08 발전소의고열감지용근접스위치점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706A KR100311774B1 (ko) 1998-12-08 1998-12-08 발전소의고열감지용근접스위치점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641A true KR20000038641A (ko) 2000-07-05
KR100311774B1 KR100311774B1 (ko) 2001-12-17

Family

ID=19561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706A KR100311774B1 (ko) 1998-12-08 1998-12-08 발전소의고열감지용근접스위치점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17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6070A (zh) * 2019-10-22 2020-01-24 中石油江苏液化天然气有限公司 一种卸料臂接近开关故障报警电路及卸料臂
CN111208419A (zh) * 2020-02-07 2020-05-29 神华国能集团有限公司 一种应用于接近开关的检验电路、装置和系统
KR20200078788A (ko) * 2018-12-21 2020-07-02 재단법인경북테크노파크 국부 챔버기반 인덕티브 센서 평가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15900A (zh) * 2014-08-25 2014-12-17 苏州合欣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热水壶温控开关测试仪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8788A (ko) * 2018-12-21 2020-07-02 재단법인경북테크노파크 국부 챔버기반 인덕티브 센서 평가시스템
CN110726070A (zh) * 2019-10-22 2020-01-24 中石油江苏液化天然气有限公司 一种卸料臂接近开关故障报警电路及卸料臂
CN110726070B (zh) * 2019-10-22 2021-03-12 中石油江苏液化天然气有限公司 一种卸料臂接近开关故障报警电路及卸料臂
CN111208419A (zh) * 2020-02-07 2020-05-29 神华国能集团有限公司 一种应用于接近开关的检验电路、装置和系统
CN111208419B (zh) * 2020-02-07 2022-05-31 神华国能集团有限公司 一种应用于接近开关的检验电路、装置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1774B1 (ko) 2001-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69362C (en) Improved cooling system for power transformer
CN205690454U (zh) 一种偏锅检测装置及电磁炉
AU2005203766A1 (en) Electronic gas cooktop control with simmer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30020001A (ko) 휴대용 변압기시험기
JP2008537637A (ja) Icソケットにおける温度検知および予測
US5029188A (en) Apparatus for monitoring operation cycles of an electrically actuated device
KR100311774B1 (ko) 발전소의고열감지용근접스위치점검장치
CN108760090A (zh) 模拟环境温度测试装置
US20130135111A1 (en) Self-calibrating current switch with display
CN213986656U (zh) 一种隔离器自动调试机
KR101066956B1 (ko) 차동식 열감지기의 점검장치
CN208520921U (zh) 温升试验绕组阻值自动检测装置
US20050167423A1 (en) Function-supervising device
KR20070097942A (ko) 전기식 및 전자식 겸용 전압전류검출장치
KR100343195B1 (ko) 가변 부하 시험장치
US5434555A (en) Thermal dispersion switch with self test circuit
JP4125649B2 (ja) 流量計の電池電圧検出方法
US5923246A (en) Code reading device
Turbitt et al. Experiences in maintaining a stable variometer temperature in a small enclosure
US11371751B2 (en) Gas valve control system for a water heater
JP2006250549A (ja) 絶縁抵抗計
KR960034956A (ko) 냉장고 성능시험장치
KR200183819Y1 (ko) 유도가열조리기의 뚜껑개폐손잡이 동작감지장치
JPH02298723A (ja) 燃焼安全装置
KR100302234B1 (ko) 마그네틱비접촉근접센서어레이를이용한위치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