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7793A - Method of ordering events for re-executing distribution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of ordering events for re-executing distribu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7793A
KR20000037793A KR1019980052557A KR19980052557A KR20000037793A KR 20000037793 A KR20000037793 A KR 20000037793A KR 1019980052557 A KR1019980052557 A KR 1019980052557A KR 19980052557 A KR19980052557 A KR 19980052557A KR 20000037793 A KR20000037793 A KR 20000037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events
distributed system
order
exec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25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15399B1 (en
Inventor
이은정
박창순
이단형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80052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5399B1/en
Publication of KR20000037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77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399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8Concurrent instruction execution, e.g. pipeline or look ahead
    • G06F9/3836Instruction issuing, e.g. dynamic instruction scheduling or out of order instruction execu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2Event management; Broadcasting; Multicasting; Notif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of ordering events for re-executing a distribution system is provided to reduce a data capacity requested for re-execution, and to minimize a delay time, by obtaining a minimum events order set which should be ordered. CONSTITUTION: A method of ordering events for re-executing a distribution system comprises the steps of: generating an event diagram displayed a relation of the events, which is generated from a performing procedure of the system, by recording the performance by use of a monitoring server and a center monitor; extracting an event order for ensuring proper re-execution, by analysing the generated diagram; and repeating a same re-execution, while controlling keeping the event order.

Description

분산 시스템의 재시행을 위한 이벤트 순서화 방법 (The event ordering method for replaying distributed systems)The event ordering method for replaying distributed systems

본 발명은 분산 시스템의 올바른 재시행을 보장하기 위한 이벤트 순서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결정적 분산 프로그램의 원천 수행을 이벤트 순서의 제어를 통해 동일한 수행을 반복하도록 보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vent sequencing method for ensuring correct retry of a distributed system.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ensuring that a source performance of a non-deterministic distributed program is repeated through the control of an event sequence.

일반적으로, 분산시스템은 수행과정이 통신과 프로세스들의 병렬성으로 인해 비결정적인 특성을 가진다.In general, distributed systems are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ir performance is indeterminate due to the parallelism of communications and processes.

이러한 비결정적인 특성은 시스템의 디버깅 및 테스트를 어렵게 하는 가장 큰 원인이다. 비결정적인 수행은 수행할 때마다 다른 수행경로와 수행결과를 보여 오류의 상황을 재연하여 그 원인을 파악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런 시스템을 디버깅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비결정적인 수행을 제어하여 동일한 수행을 반복하게끔 제어하는 방법이 재시행이다.This non-deterministic nature is the biggest reason that makes debugging and testing a system difficult. This is because nondeterministic performance cannot show the cause of error by reproducing the situation of error by showing different performance paths and results. One way to debug such a system is to rerun non-deterministic executions so that the same executions are repeated.

올바른 재시행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분산시스템의 수행과정에서 발생한 모든 이벤트들의 순서를 동일하게 반복하도록 보장하여야 한다.To ensure correct retry,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all events that occur during the execution of the distributed system are repeated in the same order.

종래의 분산시스템의 재시행 방법은 이와 같이 모든 이벤트들의 순서를 그대로 재시행하도록 보장하였는데, 이는 이벤트들의 숫자가 너무 많아서 제어를 위한 추가의 지연 및 제어의 추가 부담이 지나치게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모든 이벤트들의 순서를 지켜야 할 필요는 없으며 분산 시스템에서 핵심적인 의존관계는 전체 이벤트 개수의 5-10%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The retrying method of the conventional distributed system assures that the sequence of all events is retried as it is, which has a problem that the number of events is too large and the additional delay for the control and the additional burden of the control are too large. In practice,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o keep all events in order, and the key dependency in a distributed system is only 5-10% of the total number of events.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분산 시스템의 원천수행을 분석하여 반드시 필요한 이벤트들의 순서만을 추출해 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때, 상기 이벤트들의 집합은 비결정적 분산 시스템의 수행을 올바르게 재시행 하기 위한 최소한의 이벤트 순서 집합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relates to a method for extracting only the sequence of necessary events by analyzing the source performance of the distributed system. At this time, the set of events is the minimum set of event sequences for correctly retrying the performance of the non-deterministic distributed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산 처리 진단/교정 장치의 대략적인 구성도이고,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tributed processing diagnosis / calibration apparatu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산디버깅 기능의 동시 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2 is a signal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imultaneously starting a distributed debugg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 클라이언트(중앙 모니터)100: client (central monitor)

110-1 ~ 110-N : 제 1 내지 제 N 호스트 컴퓨터110-1 to 110-N: First to Nth host computers

120-1 ~ 120-N : 제 1 내지 제 N 모니터링 서버120-1 to 120-N: 1st to Nth monitoring server

130-1 ~ 13--N : 제 1 내지 제 N 분산 프로세스130-1 to 13-N: 1st to Nth distributed processes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비결정적인 수행을 하는 분산 시스템의 이벤트 순서화 방법에 있어서, 분산 시스템의 수행을 모니터링 서버 및 중앙 모니터를 이용하여 기록함으로써, 분산 시스템의 수행 과정에서 발생한 이벤트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이벤트 다이어그램을 생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생성된 이벤트 다이어그램을 분석하여, 분산 시스템의 수행 과정의 올바른 재시행을 보장하기 위한 이벤트 순서를 추출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순서가 정하여진 이벤트의 순서를 지키도록 제어하면서, 동일한 재시행을 반복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시스템의 이벤트 순서화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n the event sequencing method of the distributed system to perform a non-deterministic performance, by recording the performance of the distributed system using a monitoring server and a central monitor,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distributed system Generating an event diagram indicativ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vents that have occurred; A second step of analyzing the event diagram generated in the first step and extracting an event sequence for ensuring correct retry of the performance of the distributed system; And a third step of repeating the same retry while controlling to keep the order of the events ordered in the second step, wherein the event sequencing method of the distributed system is provided.

또한, 비결정적인 수행을 하는 분산 시스템의 이벤트 순서화 방법을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분산 시스템의 수행을 모니터링 서버 및 중앙 모니터를 이용하여 기록함으로써, 분산 시스템의 수행 과정에서 발생한 이벤트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이벤트 다이어그램을 생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생성된 이벤트 다이어그램을 분석하여, 비결정적 수신 이벤트들 간의 순서를 정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순서를 정한 수신 이벤트에 대응하는 송신 이벤트들의 순서를 정하여 올바른 재시행을 보장하기 위한 이벤트 순서를 추출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에서 정하여진 송신 이벤트 순서를 지키도록 제어하면서, 동일한 재시행을 반복하는 제 4 단계를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In addition,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 program capable of executing an event sequencing method of a distributed system that performs non-deterministic performance, the performance of the distributed system is recorded by using a monitoring server and a central monitor. A first step of generating an event diagram indicating a relationship between events occurring in an execution process; A second step of analyzing the event diagram generated in the first step to order the non-deterministic received events; A third step of extracting an event sequence for guaranteeing correct retry by ordering transmission events corresponding to reception events ordered in the second step;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capable of executing the fourth step of repeating the same retry while controlling to keep the transmission event sequence determined in the third step.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In the follow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분산시스템 및 이벤트 모니터링 장치의 대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시스템의 이벤트 다이어그램의 예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tributed system and an event monitoring apparatus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ample of an event diagram of a distribute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산시스템 및 이벤트 모니터링 장치는 중앙모니터인 클라이언트(100) 및 N 개의 호스트 컴퓨터(110-1 ~ 110-N)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호스트 컴퓨터는 각각 모니터링 서버(120) 및 프로세스(130)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illustrated in FIG. 1, a distributed system and an event monitoring apparatu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figured as a central monitor client 100 and N host computers 110-1 to 110 -N. The host computer is composed of a monitoring server 120 and a process 130, respectively.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분산 시스템(130-1에서 130-N까지 N개의 프로세스로 이루어짐)이 원천 수행을 하게 되면, 그 결과를 각 모니터링 서버(120)가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이벤트의 종류와 송신자, 수신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중앙 모니터(100)에게 알려준다.First, when the distributed system (consisting of N processes from 130-1 to 130-N) performs the source, each monitoring server 120 displays the information of the event type, sender, and receiver whenever an event occurs. The analysis is informed to the central monitor 100.

상기 모니터링 서버(120)는 분산 시스템의 프로세스를 감시하면서 수행 과정의 발생 이벤트들을 모두 분석하는데, 이 모니터링 서버는 별도의 프로세스일 수도 있고 분산 시스템의 프로세스를 약간 바꾸어서 이러한 기능을 처리할 수 있는 코드 부분을 추가한 것일 수도 있다. 이렇게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모아진 이벤트의 정보들을 분석하여 중앙 모니터(100)는 도 2와 같은 이벤트 다이어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The monitoring server 120 analyzes all occurrence events of the execution process while monitoring the process of the distributed system. The monitoring server 120 may be a separate process or a portion of code that may change the process of the distributed system to handle such a function. It may be added. By analyzing the information of the events collected from the monitoring server in this way, the central monitor 100 may generate an event diagram as shown in FIG.

상기 도 2의 이벤트 다이어그램은 분산 시스템에서 수행 과정에서 발생한 이벤트들의 관계를 보여주는 정보로서 중앙모니터가 그래프의 형태로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구조이다. 이 이벤트 다이어그램은 분산 시스템의 이벤트 의존 관계를 분석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는데 이 데이터 구조를 이용하면 아래에서 수신 및 송신 이벤트들의 선후 관계를 추출할 수 있다.The event diagram of FIG. 2 is a data structure stored in the form of a graph by the central monitor as information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events generated in a distributed system. This event diagram has all the information to analyze the event dependencies of a distributed system. This data structure can be used to extract the propriety of incoming and outgoing events below.

위의 과정에서 얻어진 도 2와 같은 이벤트 다이어그램에서 먼저 수신 이벤트들의 순서를 추출하여야 한다. 수신 이벤트의 순서는 통신 지연과 다른 프로세스의 수행 속도 등의 비결정적인 요소로 인해 수행할 때 수신 큐에 들어오는 순서가 바뀔 수 있다.In the event diagram as shown in FIG. 2 obtained in the above process, the order of received events must first be extracted. The order of receive events may change the order in which they are received in the receive queue when performed due to non-deterministic factors such as communication delays and the speed of execution of other processes.

즉, 일단 한 이벤트가 수신되면 그에 따라 프로세스가 내부 논리를 수행하고 필요한 이벤트를 송신하거나 입출력을 수행하는 등의 작업을 계속하여 결정적인 수행을 하게 되지만, 어느 이벤트가 먼저 도착하는가에 따라 수행의 순서가 달라지는 것은 분산 시스템의 비결정적 특성으로 인해 어쩔 수 없는 점이다. 그러므로 한 원천 수행을 결정적으로 재시행하기 위해서는 수신 이벤트의 순서가 지켜지도록 하는 것이 필요충분조건이다.In other words, once an event is received, the process continues to perform deterministic tasks such as performing internal logic, sending necessary events, and performing I / O, etc. However, the order of execution depends on which event arrives first. What changes is inevitable due to the non-deterministic nature of distributed systems. Therefore, it is necessary and sufficient to ensure that the order of received events is observed in order to re-determinate one source execution.

도 2에서 수신 이벤트 순서는 프로세스 200에서 이벤트 21, 23과 25, 26의 순서, 프로세스 300에서 32, 34의 순서이다. 이상의 순서가 지켜지면 개별 프로세스의 수행이 결정적이므로 이벤트 다이어그램은 도2와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밖에 없다.In FIG. 2, the received event sequence is the sequence of events 21, 23, 25, and 26 in process 200, and the sequence of 32 and 34 in process 300. If the above order is followed, the execution of individual processes is crucial, and thus the event diagram may have the same shape as in FIG. 2.

다음으로 이들 수신 이벤트들에 대응하는 송신 이벤트들의 순서를 정한다. 수신 이벤트의 순서는 앞에서 언급했듯이 통신 지연과 프로세스들의 수행 속도 등의 요소로 인해 그 순서를 보장하기가 불가능하다.Next, the transmission events corresponding to these reception events are ordered. As mentioned above, the order of reception events cannot be guaranteed due to factors such as communication delay and execution speed of processes.

그러나, 분산 시스템의 가장 기본적인 가정으로서 수신 이벤트는 해당 송신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에 일어날 수는 없다. 그러므로, 수신 이벤트 A, B의 순서를 지키기 위해서는 송신 이벤트 A가 일어난 후, 수신 이벤트 A가 일어나고, 이어서 송신 이벤트 B가 발생되도록 제어하면 된다.However, as the most basic assumption of a distributed system, a receive event cannot occur before the corresponding transmit event occurs. Therefore, in order to keep the order of the reception events A and B, the reception event A may occur after the transmission event A has occurred, and then control may be performed so that the transmission event B is subsequently generated.

그러므로, (A, B)의 순서가 재시행을 위해 강제되어야 하는 순서 관계이다. 이러한 순서 관계가 본 발명에서 핵심적인 최소한의 순서 관계 집합이 된다. 도 2에서 이러한 순서관계의 집합은 (12, 24), (21, 13), (23, 33), (25, 15), (32, 27)의 다섯 개다. 그러나, 이 중에서 (12, 24)와 (32, 27)은 이미 이벤트 다이어그램 상에서 의존 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추가의 순서 관계가 될 필요는 없다. 결국 이 예에서 강제로 제어되어야 하는 이벤트의 순서 집합은 3개이다.Therefore, the order of (A, B) is the order relationship that must be forced for retry. This order relationship becomes the minimum set of order relationships that are essential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2, there are five sets of the order relations (12, 24), (21, 13), (23, 33), (25, 15), and (32, 27). However, of these, (12, 24) and (32, 27) do not need to be further ordered because they already have dependencies on the event diagram. After all, in this example, there are three sequence sets of events that must be forcibly controlled.

다음으로 위와 같이 얻어진 순서관계를 재시행에서 강제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수신 이벤트 A가 발생한 후, 추가의 이벤트를 하나 발생시켜 C라는 송신 이벤트를 두고, 이 C의 수신 이벤트 C를 송신 이벤트 B의 직전에 둠으로써, 송신 이벤트 B가 절대로 A의 수신 이전에는 발생할 수 없게 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송수신 이벤트의 순서가 원천 수행시와 같도록 보장함으로써 재시행이 동일한 결과를 내는 올바른 것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Next, in order to enforce the sequence relationship obtained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reception event A occurs, an additional event is generated to generate a transmission event called C, and the reception event C of C is immediately before the transmission event B. So that the transmission event B can never occur before the reception of A. In this way, by ensuring that the order of the transmit and receive events is the same as when performing the sourc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retry to be the correct one with the same result.

본 발명은 분산시스템의 재시행을 위해 순서화 해야 할 최소의 이벤트 순서 집합을 구함으로써, 재시행에 필요한 데이터 양을 줄이고 지연 시간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amount of data required for retrying and minimizing the delay time by obtaining a minimum set of event sequences to be ordered for retrying a distributed system.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is obvious that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

비결정적인 수행을 하는 분산 시스템의 이벤트 순서화 방법에 있어서,In the event sequencing method of a distributed system that performs nondeterministic execution, 분산 시스템의 수행을 모니터링 서버 및 중앙 모니터를 이용하여 기록함으로써, 분산 시스템의 수행 과정에서 발생한 이벤트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이벤트 다이어그램을 생성하는 제 1 단계와;A first step of generating an event diagram representing a relationship between events occurring in the execution of the distributed system by recording the performance of the distributed system using the monitoring server and the central monitor; 상기 제 1 단계에서 생성된 이벤트 다이어그램을 분석하여, 분산 시스템의 수행 과정의 올바른 재시행을 보장하기 위한 이벤트 순서를 추출하는 제 2 단계; 및A second step of analyzing the event diagram generated in the first step and extracting an event sequence for ensuring correct retry of the performance of the distributed system; And 상기 제 2 단계에서 순서가 정하여진 이벤트의 순서를 지키도록 제어하면서, 동일한 재시행을 반복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시스템의 이벤트 순서화 방법.And a third step of repeating the same retry while controlling to keep the order of the events ordered in the second step.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 단계는,The second step, 상기 제 1 단계에서 생성한 이벤트 다이어그램을 분석하여 수신 이벤트의 순서를 정하는 제 4 단계와;A fourth step of analyzing the event diagram generated in the first step to order the received events; 상기 제 4 단계에서 정한 수신 이벤트에 대응하는 송신 이벤트의 순서를 정하여 올바른 재시행을 보장하기 위한 이벤트 순서를 추출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시스템의 이벤트 순서화 방법.And a fifth step of extracting an event sequence for guaranteeing correct retry by determining a sequence of transmission events corresponding to the reception event determined in the fourth step. 비결정적인 수행을 하는 분산 시스템의 이벤트 순서화 방법을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capable of executing an event sequencing method of a distributed system that performs nondeterministic performance, 분산 시스템의 수행을 모니터링 서버 및 중앙 모니터를 이용하여 기록함으로써, 분산 시스템의 수행 과정에서 발생한 이벤트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이벤트 다이어그램을 생성하는 제 1 단계와;A first step of generating an event diagram representing a relationship between events occurring in the execution of the distributed system by recording the performance of the distributed system using the monitoring server and the central monitor; 상기 제 1 단계에서 생성된 이벤트 다이어그램을 분석하여, 비결정적 수신 이벤트들 간의 순서를 정하는 제 2 단계와;A second step of analyzing the event diagram generated in the first step to order the non-deterministic received events; 상기 제 2 단계에서 순서를 정한 수신 이벤트에 대응하는 송신 이벤트들의 순서를 정하여 올바른 재시행을 보장하기 위한 이벤트 순서를 추출하는 제 3 단계; 및A third step of extracting an event sequence for guaranteeing correct retry by ordering transmission events corresponding to reception events ordered in the second step; And 상기 제 3 단계에서 정하여진 송신 이벤트 순서를 지키도록 제어하면서, 동일한 재시행을 반복하는 제 4 단계를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capable of executing the fourth step of repeating the same retry while controlling to keep the transmission event sequence determined in the third step.
KR1019980052557A 1998-12-02 1998-12-02 The event ordering method for replaying distributed systems KR1003153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557A KR100315399B1 (en) 1998-12-02 1998-12-02 The event ordering method for replaying distributed syste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557A KR100315399B1 (en) 1998-12-02 1998-12-02 The event ordering method for replaying distributed 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793A true KR20000037793A (en) 2000-07-05
KR100315399B1 KR100315399B1 (en) 2002-02-19

Family

ID=19560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2557A KR100315399B1 (en) 1998-12-02 1998-12-02 The event ordering method for replaying distributed system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5399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5399B1 (en) 2002-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1053B2 (en) Call stack sampling using a virtual machine
CN1959653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bugging computer program
US8056060B2 (en) Software testing method and system
JP2806981B2 (en) Computer performance measurement device
JP4654707B2 (en) Bottleneck detection system, measurement target server, bottleneck detection method and program
US20040003327A1 (en) Method and system to implement a system event log for system manageability
US10528456B2 (en) Determining idle testing periods
US7490269B2 (en) Noise accommodation in hardware and software testing
US20080276129A1 (en) Software tracing
US20200097579A1 (en) Detecting anomalous transactions in computer log files
CN112395177A (en) Interactive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equipment of service data and storage medium
US6675315B1 (en) Diagnosing crashes in distributed computing systems
CN111290942A (en) Pressure testing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9081605B2 (en) Conflicting sub-process identific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US7072813B2 (en) Mechanism to synchronize probes during simulation of system-level designs
Abrams A tool to aid in model development and validation
KR20000037793A (en) Method of ordering events for re-executing distribution system
US7257516B2 (e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eliminating thread skew in multithreaded performance benchmarks
JP2009181495A (en) Job processing system and job management method
EP4004739B1 (en) Multi-source trace processing in computing systems
US20130173777A1 (en) Mining Execution Pattern For System Performance Diagnostics
CN113342650A (en) Chaos engineering method and device for distributed system
JP2715904B2 (en) Computer system performance evaluation device
Simser et al. Supervision of real-time software systems using optimistic path prediction and rollbacks
JP2009181494A (en) Job processing system and job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