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3746A - 냉장고의 냉기분배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냉기분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3746A
KR20000033746A KR1019980050744A KR19980050744A KR20000033746A KR 20000033746 A KR20000033746 A KR 20000033746A KR 1019980050744 A KR1019980050744 A KR 1019980050744A KR 19980050744 A KR19980050744 A KR 19980050744A KR 20000033746 A KR20000033746 A KR 20000033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cool air
passage
supply
refrigerat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9236B1 (ko
Inventor
황귀난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50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9236B1/ko
Priority to US09/447,815 priority patent/US6318099B1/en
Publication of KR20000033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2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 F25D2317/065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through the mull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F25D2317/0671Inlet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F25D2317/0672Outlet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4Refrigerators with a horizontal mull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실의 후방에서 생성된 냉기를 냉장실 및 냉동실로 안내하기 위한 냉기분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생성된 냉기는 그릴팬(30)의 일측부분에 가로방향으로 성형된 냉기통로(40)로 안내된다. 냉기통로(40)에는 냉동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토출공(34,42)이 성형되어 있고, 그 하단부는 냉장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장실덕트와 연결된다. 상기 냉기통로(40)에는, 냉장실로 냉기의 공급여부를 단속하는 조절판(38a)이 설치되어, 상기 조절판(38a)의 조작에 의하여 냉장실로의 냉기의 공급여부가 제어된다. 그리고 조절판(38a)은, 냉기토출공(42)과 거의 수평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서, 조절판(38a)이 닫힌 상태에서 냉기통로(40)를 따라 공급되는 냉기가 더 이상 하방으로 처지지 않고 바로 냉동실로 안내된다. 따라서 냉동실 및 냉장실로의 냉기의 분해의 정확성이 향상되고, 냉기의 정체부가 발생하지 않는 것에 의하여 부분적인 결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냉기분배구조
본 발명은 냉장고의 냉기분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냉동실 및 냉장실로 분배하기 위한 구조로, 냉동실의 저장 공간을 확대하고 순환하는 냉기의 유로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냉기의 분배구조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서 종래의 냉장고의 냉기의 순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에서 식품을 보관하는 공간은 냉동실(2)과 냉장실(4)로 구분된다. 그리고 냉동실(2) 후방에 마련된 열교환챔버(6)에 설치되어 있는 증발기(7)과의 열교환에 의하여 생성된 냉기는 송풍팬(8)에 의하여 일부는 냉동실(2)로 그리고 다른 일부는 냉장실(4)로 공급된다.
도 2를 같이 참조하여 살펴보면, 냉동실(2)로의 냉기의 공급은, 쉬라우드(11)의 송풍구(11a)와 그릴팬(12)의 냉기토출구(12a)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냉장실(4)로의 냉기의 공급은 상기 쉬라우드(11)와 그릴팬(12)의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냉장실 냉기통로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그릴팬(12)의 하단부에는 냉동실(2)을 순환한 냉기가 다시 증발기 측으로 귀환하기 위한 냉기흡입구(12b)가 형성되어 있다.
송풍팬(8)의 동작에 의하여 일부의 공기는 쉬라우드(11)의 송풍구(11a)와 그릴팬(12) 냉기토출구(12a)를 통하여 냉동실(2)로 공급된다. 냉동실로 공급된 냉기는 내부를 순환한 다음 그릴팬(12)의 하단부에 성형된 냉기흡입구(12b)를 통하여 유입되어 다시 증발기(7)가 설치되어 있는 열교환챔버(6)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쉬라우드(11)와 그릴팬(12)의 사이에서 리브(13)에 의하여 안내되는 냉기는, 냉장실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냉장실덕트(4a)를 통하여 냉장실(4)로 공급되어 그 내부를 순환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덕트(4a)의 상부에는 냉장실(4)로의 냉기의 공급여부를 조절하는 댐퍼(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댐퍼가 닫히게 되면, 상기 쉬라우드(11)와 그릴팬(12) 사이에서 댐퍼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는 냉기가 정체된다. 그리고 냉장실(4) 내부를 순환한 공기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베리어(5)를 통하는 냉장실귀환덕트를 통하여 다시 열교환챔버(6)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냉기순환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단점이 지적된다.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냉장실(4)로 냉기를 공급하는 중간 부분에 냉기가 정체하는 부분이 발생하게 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냉장실(4)로 공급하는 냉기의 공급경로의 일부분에서 냉기가 정체되는 것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즉 냉기가 부분적으로 정체되기 때문에, 냉장실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생성된 냉기는 냉장실 및 냉동실로, 그 크기에 따라 일정한 양으로 분배되어야 하나,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냉기의 정체로 인하여 정확한 분배비를 결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냉동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부분의 하부에 냉기가 정체되는 부분이 발생하기 때문에, 냉기의 유동에 있어서도 문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쉬라우드(11)와 그릴팬(12) 사이를 통하여 냉장실(4)로 냉기를 공급하는 경우, 냉장실(4)로 냉기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댐퍼가 상기 쉬라우드(11) 및 그릴팬(12)의 하단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냉장실(4)로 가는 냉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댐퍼를 닫는 경우, 쉬라우드(11)와 그릴팬(12)의 사이 공간과, 댐퍼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에는 냉기가 정체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냉기의 역전현상에 따른 유도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냉장실(4)로의 냉기공급을 유도하기 위하여, 쉬라우드(11)와 그릴팬(12) 사이에는 항상 일정한 공간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공간은 실질적으로 냉동실(2)의 공간을 점유하는 것이기 때문에, 냉동실(2)의 식품 보관공간을 좁게하는 단점을 발생시킨다. 실제로 상기 쉬라우드(11)와 그릴팬(12)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은 불필요한 만큼 넓게 형성되어 있어서, 냉장고 내부의 공간사용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구조는 쉬라우드(11)와 그릴팬(12) 등과 같은 구조로 인하여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해지는 점도 있다.
또한 상기 그릴팬(12)의 냉동실흡입구(12b)와 쉬라우드(11)의 냉기흡입공(11b)를 거쳐 열교환챔버(6)로 귀환하는 공기는, 상기 그릴팬(12) 및 쉬라우드(11), 및 그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의하여 유로 저항을 받게 되어 원활한 공기의 순환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냉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체적인 냉기공급경로가 굴곡을 가지는 복잡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점에 기인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냉동실의 공간 사용효율이 저하되고, 냉기의 흐름 경로 상에 유로 저항이 발생하는 등과 같은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냉동실 및 냉장실로 공급되는 냉기량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냉장고의 냉기분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동실 및 냉장실로의 냉기공급 경로 상태에서 유로저하을 최소화하여, 공기의 유동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기분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기의 분배를 위한 구조를 단순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원가 절감 및 조립성이 우수한 냉기의 분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동실의 사용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냉기의 분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냉기분배부분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기분배부분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전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절판의 동작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절판의 고정구조를 보인 것으로,
(a)는 단면도 (b)는 냉기통로의 측면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2 ..... 냉동실 24 ..... 냉장실
30 ..... 그릴팬 32 ..... 커버
34 ..... 냉기토출공 36 ..... 냉동실흡입구
38a ..... 조절판 40 ..... 냉기통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냉기분배장치는, 그릴팬의 내측에서 직하방으로 형성되는 냉장실 공급유로와; 상기 냉장실 공급유로상에 장착되어, 냉장실로 공급되는 냉기를 단속하는 냉기조절장치; 그리고 상기 냉기공급 조절장치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냉동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동실 냉기토출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냉기조절장치가 냉기토출공과 인접하게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에 냉기가 정체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냉기의 정확한 분배 및 공급이 가능하게 되고, 냉기의 정체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냉기공급이 원활하게 된다.
상기 냉기통로에 대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면의 일부분이 돌출 성형된 그릴팬과, 상기 그릴팬의 후방에 설치되는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냉기의 공급을 위한 송풍팬에서의 에어플로가 유입되는 송풍공이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조절장치는, 상기 냉기통로를 개폐하는 조절판과, 상기 조절판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다. 제어수단에 대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절판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핸들로 구성되고, 상기 조작핸들은 내측을 향하는 설정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설정돌기는 냉기통로의 측면면에 성형된 다수개의 설정홈과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조절판의 설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그릴팬(30)의 세로 방향의 중심부분의 일부분을,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볼록하게 형성하여, 생성된 냉기가 공급되는 냉기통로(40)를 형성하고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냉기통로(40)는, 그릴팬(30)의 중심의 일부를 단차를 가지고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즉, 평면상에서 보아 ㄷ형상의 돌출부분을 가지도록 성형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냉기통로(40)는, 냉동실(22)은 물론 냉장실(24)(도 4 참조)로도 같이 냉기를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냉기통로(40)의 이면에 커버(32)를 부착하는 것에 의하여 완전한 통로로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32)의 상단부에는 송풍팬(45)을 통하여 냉기가 공급되는 송풍공(33)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그릴팬(30)과 커버(32)에 의하여 형성되는 냉기통로(40)는, 냉동실 및 냉장실로 동시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통로이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그릴팬(30)의 상단부에는 냉장실로 냉기를 토출하기 위한 상부토출공(34)과 그 하부에 중간토출공(42)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상부토출공(34)과 중간토출공(42)는 전부 냉동실로 냉기를 토출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냉기통로(40)의 하단부(43)는, 냉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한 냉장실덕트(26)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냉기통로(40)는 냉동실(22) 부분에 성형된 상부 및 중간토출공(34,42)을 통하여 냉동실로 냉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하단부(43)를 통하여 냉장실덕트(26)와 연결되는 것에 의하여 냉장실(24)로도 냉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실(24)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장실 냉기공급경로를 직선화하는 것에 의하여 유로저항을 최소화시키고, 따라서 냉기의 공급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통로(40)의 내부에는, 하단부(43)을 통하여 냉장실로 공급되는 냉기를 제어하기 위한 조절장치(38)가 설치된다. 조절장치(38)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판(38a)과 상기 조절판(38a)를 조작하는 조작핸들(38b)로 구성된다. 상기 조절판(38a)은 냉기통로(40)를 개폐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조작핸들(38b)는 조절판(38a)를 조작하기 위한 부분이다.
도 5에는 상기 조절판(38a)에 의하여 냉장실(24)로 공급되는 냉기를 단속하는 동작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절판(38a)이 냉기통로(40)를 가로 막으면 냉장실(24)로 공급되는 냉기가 차단되고, 상기 조절판(38a)기 냉기통로(40)를 열면 냉장실(24)로 냉기가 공급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절판(38a)을 조작하는 조작핸들(38b)의 내측에는 설정돌기(38c)가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냉기통로(40)의 측면(41)에는 상기 설정돌기(38c)가 삽입되어, 조절판(38a)을 소정의 설정위치로 유지시킬 수 있는 복수개의 설정홈(41a)가 원호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즉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41)에는 원호상으로 배열된 설정홈(41a)과, 상기 조작핸들(38b)와 조절판(38a)를 연결하는 축부분이 관통되는 축공(41b)가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핸들(38b)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조절판(38a)의 위치를 선택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설정돌기(38c)를, 냉기통로(40)의 측면(41)에 성형되어 있는 설정홈(41a)에 끼우는 것에 의하여, 조절판(38a)가 설정된 위치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조절판(38a)의 위치를 변경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작핸들(38b)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설정돌기(38c)를 다른 설정홈(41a)에 삽입하도록 조작하는 것으로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핸들(38b)를 이용하여 조절판(38a)를 조절하는 경우, 상기 설정돌기(38c)가 설정홈(41a)에 끼워지기 위해서는 상기 조절판(38a)가 항상 도면상에서 좌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측면(41)의 내측과 조절판(38a) 사이에는 탄성스프링(S)이 개재되어 있다.
그리고 다시 도 5의 (a)에 도시한 상태를 참조하여, 조절판(38a)에 의한 동작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기 조절판(38a)이 냉기통로(40)를 가로막는 상태에서, 상기 조절판(38a)은 하부냉기토출공(42)과 거의 수평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조절판(38a)에 의하여 냉장실(24)로 공급되는 냉기가 차단되는 경우, 공급되는 냉기는 중간토출공(42)을 통하여 냉동실(24)로 전부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 때 상기 조절판(38a)과 중간토출공(42) 사이에는 냉기가 정체되는 공간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조절판(38a)이 닫힌 상태에서 냉기의 흐름이 정체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고 바로 냉동실(22)로 냉기의 흐름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구성은, 냉장실(24)로 냉기의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냉기의 흐름 경로 중에 정체되는 부분의 발생을 방지하여, 냉기유로의 유로저항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잇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냉기의 정체에 의하여 발생하는 유로저항을 완전하게 해결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이러한 유로저항에 의하여 발생하는 냉기의 유동소음에 관한 문제점도 완전하게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냉장실(24)로 냉기를 공급하는 경로에서 설치되는 상기 조절장치(38)를 하부의 냉기토출공(42)와 인접하게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냉기공급경로상에 냉기가 정체되는 부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냉기를 냉동실 및 냉장실로 정확하게 분배하여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의한 구조를 따른 냉기의 분배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는 송풍팬(45)에 의하여 냉기통로(40)으로 공급된다. 상기 냉기통로(40)는 그릴팬(30)의 중간부분에서만 상하부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따라서 상기 냉기통로(40)를 제외한 부분은 냉동실(22)의 일부로 이용될 수 있어서 실질적으로 냉동실(22)의 사용공간 효율을 높이고 있다.
상기 냉기통로(40)로 공급된 냉기는, 먼저 상부토출공(34)를 통하여 직접 냉동실(24)로 공급된다. 그리고 하방으로 내려오는 냉기는 중간토출공(34)를 통해서도 냉동실(22)로 토출될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조절판(38a)이 도 5의 (b)와 같이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냉기통로(40)의 하단부(43)를 통하여 냉장실(24)의 냉장실덕트(26)로 냉기가 공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냉동실(22)과 냉장실(24)로 동시에 냉기가 공급되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냉장실(24)로의 냉기의 공급이 불필요하게 되면, 상기 조절판(38a)을, 도 5의 (a)에 도시한 상태로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냉장실(24)로 공급되는 냉기를 차단한다. 이렇게 냉장실(24)로 공급되는 냉기가 차단되면, 상기 조절판(38a)에 의하여 냉기가 중간토출공(42) 측으로 유도되어 냉동실(22)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조절판(38a)은 중간토출공(42)와 수평인 위치, 더욱 정확하게는 중간토출공(42)의 하단부와 동일한 수평위치로 조절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중간토출공(42)의 하부는 완전히 막힌 상태로 되어, 냉기가 정체할 수 있는 공간이 전혀 형성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냉기의 경로상에 냉기의 정체로 인한 유로저항이 전혀 생성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한 소음의 문제가 방지된다.
또한 상기 조절판(38a)이 막힌 상태에서, 냉장고의 압축기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도, 냉기통로(40)를 통하여 냉기가 냉장실(24)을 향하는 하방으로 처지는 일이 없게 된다. 따라서 냉장실(24)로 공급되는 냉기의 통로를 따라 냉기가 자유낙하하면서 처지는 것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되어, 냉기의 처짐에 의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이러한 문제점이란, 냉동실의 온도와 처지는 냉기의 온도차로 인하여 냉장실로 공급하는 냉기의 통로중에 발생하는 이슬맺힘 현상 및 이로 인한 결빙현상 등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냉동실(22)로 공급된 냉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릴팬(30)의 하단부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냉동실흡입구(36)을 통하여 직접 증발기(54)가 설치되어 있는 열교환챔버(52)로 귀환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냉동실흡입구(36)를 통하여 귀환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단순히 그릴팬(30)의 하면에 성형된 한쌍의 냉동실흡입구(36)를 통하면 되는 것으로 종래에 비하여 귀환유로도 간단하게 구성됨과 동시에 유로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냉장실(24)로 공급된 냉기는, 도 4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실(24)의 내부를 순환한 후, 베리어(56)의 하단부에 마련된 냉장실귀환덕트(58)를 통하여 열교환챔버(52)로 귀환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릴팬(30)의 중앙부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냉기통로(40)를 이용하여, 동시에 냉동실(22) 및 냉장실(24)로 냉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냉동실(22)로 냉기를 토출하는 냉기토출공과 인접한 상태로 조절장치(38)를 설치하고 있다. 즉 냉동실(22)로 냉기를 토출하는 중간토출공(42)와, 냉장실(24)로 냉기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조절판(38a)가 거의 수평위치에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공급되는 냉기가 정체되는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냉기의 정체에 의한 문제점을 완전하게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냉장실로 냉기를 분배하기 위한 냉기통로(40)가 차지하는 면적이 종래의 것에 비하여 작아지게 됨과 동시에, 냉기를 냉장실로 공급하는 유로를 직선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그릴팬(3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냉동실흡입구(36)를 통하여 냉동실을 순환한 공기가 바로 증발기(54) 측으로 귀환하는 것에 가능하게 되어, 귀환유로에 있어서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잇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다른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냉기통로(40)에 설치되어 냉장실(24)로 공급되는 냉기를 단속하는 상기 조절판(38a)을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절판(38a)을 냉장실(24)의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렇게 상기 조절판(38a)를 냉장실(24)의 온도에 따라 자동조작되도록 구성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냉장실로 냉기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일반적인 댐퍼와 동일하게 동작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냉기통로(40)에 냉장실(24)로 냉기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댐퍼를 설치하되, 상기 댐퍼 내부의 배플(baffle)이 상기 조절판(38a)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댐퍼의 배플은, 중간토출공(42)와 수평상태로 설치하여, 그 하단부에 냉기가 정체하는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함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상기 조절판(38a)을, 기존의 댐퍼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렇게 구성하는 경우에는 압축기의 미동작시 냉기가 냉기통로(40)를 따라 처지면서, 냉기통로 내부에 발생하는 듀잉현상 및 결빙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냉동실(22) 및 냉장실(24)을 순환한 공기가 다시 증발기(54) 측으로 귀환하는 귀환유로의 경우에도 다른 변형예가 많을 수 있음은 물론이고, 예를 들면 냉동실귀환유로를 베리어(56)의 내부를 경유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을 얻을 수 있다.
먼저 상기 냉기통로(40) 내부의 구성에 있어서, 조절판(38a)와 중간토출구(42)를 수평상태로 위치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냉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경로 상에서 냉기가 정체되는 공간이 없어지게 된다. 즉, 조절판(38a)에 의하여 냉장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통로가 차단되면, 조절판(38a) 상부의 냉기통로가 직접 냉동실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냉장실로 안내하는 통로중에서 조절판(38a)이 닫힌 경우에 발생하는 냉기의 정체공간이 없어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냉동실로만 냉기를 공급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유로저항을 제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로 인한 냉기의 유동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냉동실(22)로만 냉기를 공급하는 경우, 조절판(38a)에 의하여 직접 냉동실(22)로 냉기가 안내되기 때문에 냉동실로 향하는 냉기의 공급이 더욱 원활해지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그릴팬(30)의 중간부분에서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냉기통로(40)에 대한 구성에 의하면, 냉장실로 냉기를 안내하는 종래의 것에 비하여 현저하게 구성이 간단해짐과 동시에, 보다 작은 공간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종래의 쉬라우드와 같은 복잡한 형상의 사출부재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생산원가의 절감은 물론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의한 생산성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그릴팬(30)의 중간부분 만을 통하여 냉기를 안내하는 냉기통로(40)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냉동실의 사용 공간이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냉동실 내부의 공간 사용효율을 극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사용의 편리함을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냉동실(22)을 순환한 냉기가 증발기(54) 측으로 귀환하는 과정에 있어서, 종래에는 쉬라우드 및 그릴팬을 각각 통하여 귀환하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단순히 그릴팬(30)의 하단부에 성형된 냉동실흡입구(36) 만을 통과하면 증발기(54)와 접촉하기 때문에, 냉동실의 냉기순환이 더욱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그릴팬의 내측에서 직하방으로 형성되는 냉장실 공급유로와;
    상기 냉장실 공급유로상에 장착되어, 냉장실로 공급되는 냉기를 단속하는 냉기조절장치; 그리고
    상기 냉기공급 조절장치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냉동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동실 냉기토출공을 구비하는 냉장고의 냉기분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통로는, 전면의 일부분이 돌출 성형된 그릴팬과, 상기 그릴팬의 후방에 설치되는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냉기의 공급을 위한 송풍팬에서의 에어플로가 유입되는 송풍공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분배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조절장치는, 상기 냉기통로를 개폐하는 조절판과, 상기 조절판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분배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조절판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핸들로 구성되고,
    상기 조작핸들은 내측을 향하는 설정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설정돌기는 냉기통로의 측면면에 성형된 다수개의 설정홈과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조절판의 설정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분배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조절장치는, 상기 냉기통로를 개폐하는 배플을 구비하는 댐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분배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냉기토출공과 수평인 위치에 설치되어, 조절판이 닫힌 상태에서 냉기통로를 따라 공급되는 냉기는 하방으로 처지지 않고 직접 냉동실로 안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분배구조.
KR1019980050744A 1998-11-25 1998-11-25 냉장고의냉기분배구조 KR100299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744A KR100299236B1 (ko) 1998-11-25 1998-11-25 냉장고의냉기분배구조
US09/447,815 US6318099B1 (en) 1998-11-25 1999-11-24 Cooling air distributing structure for refrigerat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744A KR100299236B1 (ko) 1998-11-25 1998-11-25 냉장고의냉기분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746A true KR20000033746A (ko) 2000-06-15
KR100299236B1 KR100299236B1 (ko) 2001-11-22

Family

ID=19559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744A KR100299236B1 (ko) 1998-11-25 1998-11-25 냉장고의냉기분배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318099B1 (ko)
KR (1) KR1002992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231B1 (ko) * 2005-09-01 2012-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냉기공급구조
KR20160041278A (ko) 2014-10-07 2016-04-18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냉기 덕트용 덕트 커버 및 냉기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5169B2 (en) * 2001-01-05 2003-12-02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 airflow distribution assembly
US6722144B2 (en) 2001-10-03 2004-04-20 General Electric Company Cylindrical airflow damper
KR100573816B1 (ko) 2003-12-19 2006-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 냉장고용 댐퍼 및 댐퍼 제어방법
US7350374B1 (en) 2007-02-20 2008-04-01 Marlen Tashlitsky Consumer refrigerator
US8966929B2 (en) 2007-07-20 2015-03-03 General Electric Company Cooled air recirculation in a refrigerator
TR200707494A2 (tr) * 2007-11-01 2009-06-22 Bsh Ev Aletleri̇ San.Ve Ti̇c. A.Ş. Buzdolabı
KR101570348B1 (ko) * 2008-11-19 2015-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텀프리져타입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N101839600B (zh) * 2009-03-20 2013-07-03 海尔集团公司 防止回风风道堵塞的制冷装置
US20110252817A1 (en) * 2010-04-20 2011-10-20 Sub-Zero, Inc. Air flow system for appliances
WO2012062845A2 (en) 2010-11-11 2012-05-18 Arcelik Anonim Sirketi A refrigerator the air circulation of which is controlled
CN104296458B (zh) * 2014-09-19 2017-01-25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冰箱及其风道板
US10001316B2 (en) * 2014-09-25 2018-06-19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Freezer air tower and damper
US11692756B2 (en) 2019-12-09 2023-07-0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5119A (en) * 1968-02-16 1969-07-15 Gen Motors Corp Plural compartment high humidity domestic refrigerator
US4704874A (en) * 1986-09-09 1987-11-10 General Electric Company Household refrigerator air flow system
JPH0672732B2 (ja) * 1987-03-11 1994-09-14 株式会社東芝 フアンク−ル式冷蔵庫
US5201888A (en) * 1991-11-14 1993-04-13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refrigerator/freezer combinations
US5487277A (en) * 1994-11-18 1996-01-30 General Electric Company Independent compartment temperature control in a household refrigerator using interlinked thermostats
CN1126924C (zh) * 1996-08-27 2003-11-05 Lg电子株式会社 在冰箱中供给冷气的装置和方法
DE19914261B4 (de) * 1998-03-31 2005-02-17 Lg Electronics Inc. Verfahren zum Verhindern der Entstehung von Eis auf einer Drosseleinrichtung in einem Umluft-Kühlschrank mit Gefrierraum und Kühlraum
US5996361A (en) * 1998-04-27 1999-12-07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231B1 (ko) * 2005-09-01 2012-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냉기공급구조
KR20160041278A (ko) 2014-10-07 2016-04-18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냉기 덕트용 덕트 커버 및 냉기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9236B1 (ko) 2001-11-22
US6318099B1 (en) 2001-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9236B1 (ko) 냉장고의냉기분배구조
KR920004982Y1 (ko) 냉장고의 냉동실 냉기 공급장치
KR20080079109A (ko) 냉장고
KR20110098413A (ko) 냉장고
KR100549075B1 (ko) 냉장고
KR102463792B1 (ko) 냉장고
KR20080089105A (ko) 냉장고
KR20110089575A (ko) 냉장고
EP4008981B1 (en) Refrigerator
KR100398497B1 (ko) 병립형 냉장고
KR101149231B1 (ko) 냉장고용 냉기공급구조
KR20170132632A (ko) 덕트 어셈블리
KR100218390B1 (ko) 오픈 쇼케이스의 냉기 순환 구조
KR101694663B1 (ko) 냉장고
KR200293347Y1 (ko) 냉장고
KR101203993B1 (ko) 냉장고
KR0164766B1 (ko) 에어커튼구조를 갖는 냉장고
KR200207423Y1 (ko) 냉장고
KR0160419B1 (ko) 냉장고의 냉기덕트
KR20010047665A (ko) 입체 냉각방식 냉장고
KR100506604B1 (ko) 냉장고
KR200328421Y1 (ko) 냉동실 냉기공급용 루버
KR200165703Y1 (ko) 냉장고의 선반 덕트 구조
KR100366514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
KR20230016934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