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2787A - Communicating method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xternal device - Google Patents

Communicating method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xterna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2787A
KR20000032787A KR1019980049371A KR19980049371A KR20000032787A KR 20000032787 A KR20000032787 A KR 20000032787A KR 1019980049371 A KR1019980049371 A KR 1019980049371A KR 19980049371 A KR19980049371 A KR 19980049371A KR 20000032787 A KR20000032787 A KR 20000032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terminal
external device
received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93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성오
윤영배
Original Assignee
정태기
주식회사 신세기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기, 주식회사 신세기통신 filed Critical 정태기
Priority to KR1019980049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2787A/en
Publication of KR20000032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2787A/en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communicating method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xternal device is provided to embody various additional service using an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by transmitting information generated in an external device to a specific region through a terminal and inquiring a message received in the terminal, bases station information and a call state information in the external device. CONSTITUTION: An external device identifies that a terminal is connected through an RS-232serial port(S2). The external device outputs a message for identifying a connection state of a terminal, and the terminal receives the message(S3). It is judged as to whether a response signal from the terminal is received within a time set by the message outputted from the external device is received(S4). It is judged as to whether the external and the terminal are connected using a communication protocol capable of a message transmission and a message receipt when the response signal from the terminal is received within a time set by the message outputted from the external device is received(S5). It is judged as to whether a message received in the external message is existed when the external and the terminal are connected using the communication protocol capable of the message transmission and the message receipt(S6). The message received from the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message received in the external message is existed(S7).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부장치간의 통신방법Communication method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xternal dev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부장치간의 통신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대일 통신중에 하나인 비동기 HDLC(High level Data Link Control) 방식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단말기와 컴퓨터, 노트북 등을 포함하는 외부장치를 RS-232 직렬 포트를 통해 직렬 통신 연결함으로서 외부장치에서 만들어진 정보를 단말기를 통해 특정지역으로 전송하거나 단말기가 수신한 메세지를 외부장치에서 조회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부장치간의 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n external device including a terminal, a computer, a laptop, and the like using an asynchronous high level data link control (HDLC) protocol, which is one of one-to-on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that connects the device to a specific area by connecting the device through the RS-232 serial port to a specific area through the terminal, or to receive messages received by the terminal from the external device. It is about.

즉, 본 발명은 이동 전화망을 이용하여 간단히 정보를 받을 수 있도록 한 외부장치와 단말기간의 통신방안 및 구성에 관한 것으로, 정보를 이동통신 망을 이용하여 송신 및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장치에서 단말기에 호를 발신 또는 종료 그리고 호수신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부장치간의 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scheme and configuration between an external device and a terminal that can be simply received using a mobile phone network,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that enables a call origination or termination and a lake scene.

일반적으로 상호간의 개인 통신을 위해 현재 여러가지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나 그 중에서도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단말기"라 함)는 이동성과 휴대성의 강점이 있어 가장 보편적이고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점점 사회가 다양화 및 국제화 되면서 사람들의 활동영역이 넓어져 정보통신에 대한 욕구가 점차적으로 증대되고 있으며,이에따라 이동통신에서의 서비스가 단순 음성 통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보통신을 요구하고 있다.In general, various devices are currently used for personal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mong th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erminals") are the most common and used because of their mobility and portability. In addition, as the society becomes more diversified and internationalized, people's activities become wider and the desire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Accordingly, the services in mobile communication require not only voice communication but also various information communication.

이에 유선망에서는 모뎀을 통한 통신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고 있으며, 아날로그 이동통신망에서도 오디오 톤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고 있다. 그리고 셀룰라 및 개인휴대통신(PCS)의 CDMA 디지털 망에서는 문자서비스 및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고 정보를 주고 받고 있다.In the wired network, a variety of information is provided through communication through a modem, and an analo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es data tones for data communication. In the CDMA digital network of cellular and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PCS), text service and data communication are used and information is exchanged.

그러나 이와같이 일반적으로 정보서비스의 경우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단말기와 단말기간 또는 단말기와 서버간의 일정량 이하의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으나 현재 단말기에서 정보 전송을 할 경우 단말기 키 패드만을 이용하여 편집 후 전송을 함으로서 전송에 따른 정보의 다양성이 제약되며, 정보 수신의 경우 제한된 단말기 화면에서만 확인이 가능하여 수신된 정보 확인에 따른 제약이 있었다.In general, however, in the case of an information servic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an transmit and receive less than a certain amount of information between a terminal and a terminal or between a terminal and a server. The variety of information due to the transmission is limited, and in the case of receiving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heck only on a limited terminal screen, and thus there is a limita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information.

이에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 단말기에서 정보송신 및 수신에 따른 제약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단말기와 컴퓨터, PDA, 노트북 및 특수기능 장치등과 통신을 함으로서 편집된 데이터를 단말기를 통하여 목적지로 전송하고, 외부장치를 통해 단말기가 수신한 데이터 중 필요한 데이터를 조회 후 처리할 수 있어 다양한 부가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와 외부장치간의 통신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limitations of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such a conventional terminal, and edited data by communicating with a terminal, a computer, a PDA, a notebook computer, and a special function device to provide various services. To provide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that can transmit various data to the destination through the terminal and to process the necessary data among the data received by the terminal through an external device to implement a variety of additional functions. There is this.

더욱 자세하게는 외부장치에서 만들어진 정보를 단말기를 통해 특정지역으로 전송하고, 단말기가 수신한 메세지 및 기지국 정보, 그리고 호 상태정보등을 외부장장치에서 조회하는 양방향 통신을 구현함으로서 음성 통신 뿐만 아니라 정보통신을 이용한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부장치간의 통신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More specifically, by implementing the two-way communication that transmits the information made in the external device to a specific region through the terminal, and inquires the message, base station information, and call status information received by the terminal from the external device, not only voice communication but also information communica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to implement various additional services.

한편, 이와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단말기와 외부장치간의 연결이 되어 단말기의 상태 확인을 위한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a)와; 이 (a)단계에서 단말기의 상태 확인을 위한 메세지 전송이 완료되면 단말기와 외부장치가 설정된 응답시간내에 통신 연결이 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b)와; 이 (b)단계에서 설정된 응답시간내에 통신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어 단말기와 외부장치간에 메세지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c)와; 이 (c)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메세지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로 판단되어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메세지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d)와; 이 (d)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메세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수신된 메세지를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e)와; 상기 (d)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수신된 메세지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단말기로 송신할 메세지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f)와; 이 (f)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송신할 메세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단말기를 통해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g)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ion between a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and transmitting a message for checking the status of the terminal; (B)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have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in a set response time when the message transmission for checking the status of the terminal is completed in the step (a); (C) determining whether a communication is possibl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because it is determined that communication is connected within the response time set in the step (b); (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terminal as it is determined that the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possibl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c); (E) determining that there is a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terminal as a result of the step (d)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message to an external device; (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message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as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received message as a result of the step (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step (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message to be trans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접속가능한 외부 장치들과의 통신 접속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1 is a view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e with external devices connectable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위한 외부장치의 블럭도.3 is a block diagram of an external device for communica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부장치간의 통신 프로토클.4 is a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부장치간의 통신 데이터 구성도.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communication data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 메세지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essage transmission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 메세지 전송을 위한 외부장치의 통신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of an external device for message transmission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부장치간 통신을 이용한 문자전송 데이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xt transmission data structure using communication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1 : RF 처리부 12 : 중간주파수처리부11: RF processor 12: intermediate frequency processor

13 : 디지털신호처리부 14 : 음성신호처리부13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14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15 : 전자스위치 16 : 벨15 electronic switch 16 bell

17 : 마이크 18 : 스피커17: microphone 18: speaker

19 : 중앙처리장치 20 : 메모리19: central processing unit 20: memory

21 : 전자입출력 포트 22 : 표시부21: electronic input and output port 22: display unit

23 : 키 입력부 24 : 외부장치 접속부23: key input unit 24: external device connection unit

100 : 단말기 110 : 인터페이스100: terminal 110: interface

120 : 전원공급장치 130 : 주변장치120: power supply device 130: peripheral device

140 : 마이컴 200 : 외부장치140: microcomputer 200: external device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부장치간의 통신접속에 따른 실시예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말기(100)와 노트북(400)간이 RS-232 직렬 포트를 통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말기(100)가 RS-232를 통해 외부장치(200)에 접속되고 이 외부장치(200)는 GPS수신기(300)가 접속됨으로서 위치 추적을 위해 GPS수신기(300)로부터 수신한 위치를 단말기(100)를 통해 특정한 곳으로 위치등의 정보를 전송하거나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의해 지령을 받을 수 있으며, 그리고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말기(100)가 RS-232를 통해 외부장치(200)에 접속되고 이 외부장치(200)가 계량기(500)에 접속됨으로서, 이 계량기(500)는 교량측정기, 공장등의 검침장치,택시의 미터기, 자동차의 검침기,가정의 가스검침기 및 수도검침기등으로 활용 가능하여 이 계량기(500)에서 정보를 받아 단말기(100)를 통해 관제센타로 정보를 송출할 수 있으며 또한 관제센터에서 송출된 지령을 단말기(10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a) of FIG. 1, the terminal 100 and the notebook 400 can bidirectionally communicate through an RS-232 serial port. 1, th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200 through RS-232, and the external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GPS receiver 300 for position tracking. The position received from the GPS receiver 300 may transmit information such as a position to a specific place through the terminal 100 or receive a command by the data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0, and in FIG. 1C. As shown, th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200 through RS-232 and the external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meter 500, so that the meter 500 reads a meter, a bridge, a factory, or the like. Device, taxi meter, automobile meter, household gas meter and water meter It can be utilized to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meter 500 can send information to the control center through the terminal 100 and can also receive the command sent from the control center through the terminal 100.

즉, 상기 단말기(100)와 외부장치(200)가 접속되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함으로 외부장치(200)에 연결된 임의의 장치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는 외부장치(200), RS-232 및 단말기(100)를 통해 송출되고, 또한 단말기(100)를 통해 수신된 외부 데이터는 RS-232를 통해 외부장치(200)에 수신된다. 그러므로 GPS수신기(300)나 계량기(500)는 외부장치(20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나 제어신호에 의해 현재의 동작이 제어되거나 동작이 업그레이 된다.That is, since th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enabl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the data output from any device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200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200, the RS-232 and the terminal 100. The external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terminal 100 and received through the terminal 100 is received by the external device 200 through RS-232. Therefore, the GPS receiver 300 or the meter 500 is controlled by the current operation or upgraded by data or control signals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200.

다음에는 이와같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와 외부장치간의 통신 접속을 따른 정보 송수신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단말기(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Next,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terminal 100 for implementing an information transmission / reception operation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a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말기(100)는 외부장치(200)와 RS-232를 통해 접속하는 외부장치접속부(24)와, 이 외부장치 접속부(24)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전자입출력 포트(21)와, 이 전자입출력포트(21)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된 데이터를 신호처리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를 중앙처리장치(19)와, 이 중앙처리장치(19)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정보 및 제어정보등을 저장하는 메모리(20)와, 안테나(30)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포함하는 휴대전화용 주파수를 고주파 증폭하는 RF처리부(11)와, 이 RF처리부(11)를 통해 고주파 증폭된 주파수를 중간 주파수로 증폭하는 중간주파수 처리부(12)와, 이 중간주파수 처리부(12)에서 수신된 신호가 호등의 휴대전화기 및 시스템간 제어정보일 경우 이를 신호 처리하여 중앙처리 장치(12)에 전송하는 디지털신호처리부(13)와, 상기 중간주파수 처리부(12)에서 수신된 신호가 호등의 휴대전화기 및 시스템간 제어정보 아닌 음성정보일 경우 음성 신호처리하여 전자스위치(15)를 통해 스피커(18)로 출력하는 음성신호처리부(14)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the terminal 100 includes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unit 24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200 through RS-232, and an electronic device for inputting / outputting signals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unit 24.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9)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9)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such as signal transmission or transmission of data by the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 output port (21) and the electronic input / output port (21). Memory 20 for storing the received data information, control information, etc.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19), and the RF processing unit 11 for high-frequency amplification of the frequency for the mobile phone including the information received via the antenna 30 And an intermediate frequency processing unit 12 for amplifying the high frequency amplified frequency through the RF processing unit 11 to an intermediate frequency, and the signal received by the intermediate frequency processing unit 12 is control information between a mobile phone and a system such as a lamp. If it's signal processing I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13 and the intermediate frequency processor 12 transmitted to the processing device 12 is voice information rather than control information between a mobile phone and a system such as an electric light, the electronic switch 15 It consists of a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14 for outputting to the speaker 18 through the ().

그리고 전자스위치(15)는 중앙제어장치(19)의 제어신호에 따라 벨(16),마이크(17) 및 스피커(18)등의 신호를 스위칭한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19)에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문자 및 그림으로 전달하기 위한 표시장치(22)가 연결되어 있다.The electronic switch 15 switches signals of the bell 16, the microphone 17, the speaker 18,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entral controller 19. In addi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9 is connected to a display device 22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user in text and picture.

한편, 상기 단말기(100)와 통신 접속되는 외부장치(200)의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말기(100)의 외부장치접속부(24)와 RS-232를 통해 직렬 접속된 인터페이스(110)와, 이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 및 내부의 데이터를 수신 및 전송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140)과, 이 마이컴(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신된 메세지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GPS나 계측기등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수집하는 주변장치(23)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unit 24 of the terminal 100 as shown in Figure 3 through the RS-232 serial interface 110 And a microcomputer 140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according to the reception and transmission of the signal and internal data input through the interface 110, and displays the received messag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140 or GPS. It consists of a peripheral device 23 for collecting to transmit the data output from the measuring instrument.

그리고 상기 외부장치(200)에는 전원공급장치(120)가 내장되어 있어 마이컴(140) 및 주변장치(130)에 구동전원을 공급함은 물론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xternal device 200 may have a built-in power supply device 120 to supply driving power to the microcomputer 140 and the peripheral device 130 as well as to supply power to the terminal 100.

한편,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단말기와 외부장치간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 동작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perations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외부장치(200)를 RS-232 직렬통신 접속됨으로 외부장치(200)는 단말기(100)를 통해 정보를 수신하거나 전송하기 위한 초기상태로 셋팅된다.First,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are connected to RS-232 serial communication, the external device 200 is set to an initial state for receiving or transmitting information through the terminal 100.

즉, 이와같은 하드웨어적으로 단말기(100)와 외부장치(200)가 접속되면 그에 따른 신호는 마이컴(140)에 의해 감지된다. 그러면 이 마이컴(140)은 확인 메세지 데이터를 출력하게 되고 이 확인 메세지 데이터는 인터페이스(110), RS-232, 외부장치접속부(24) 및 전자입출력포드(21)를 통해 단말기(100)의 중앙처리장치(19)로 입력된다. 이때 이 중앙처리장치(19)는 소정된 시간내에 입력된 확인 메세지 데이터에 응답하여 해당하는 응답신호를 재차 외부장치(200)의 마이컴(14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이 마이컴(140)은 현재 입력된 응답신호에 의해 통신 연결상태임을 설정하고 계속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에 의해 단말기(100)가 통화권 이탈 상태인지 유휴상태인지 또는 통화 상태인지를 판단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are connected by such hardware, the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is detected by the microcomputer 140. The microcomputer 140 then outputs confirmation message data, which is centrally processed by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interface 110, RS-232,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unit 24, and the electronic input / output pod 21. Input to device 19. At this time, the CPU 19 transmits the corresponding response signal to the microcomputer 140 of the external device 200 in response to the confirmation message data input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Then, the microcomputer 140 establish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state according to a response signal currently input, and continuously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100 is out of a call range, an idle state, or a call state based 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terminal 100. do.

이때, 단말기(100)가 메세지 송수신 가능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마이컴(100)은 현재 단말기(100)를 통해 수신되는 메세지가 있으면 이를 외부장치(200)로 전송하고, 또한 외부장치(200)에서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있으면 이를 신호처리하여 단말기(100)를 통해 송신한다.In this case, when the terminal 100 determines that the message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e microcomputer 100 transmits a message currently received through the terminal 100 to the external device 200, and also from the external device 200. If there is data to be signaled and transmitted through the terminal 100.

여기서 이와같은 단말기(100)와 외부장치(200)간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물리계층(L-1), 릴레이계층(L-2), 트랜스포트 계층(L-3) 및 응용계층(L-4)로 이루어지고, 물리계층(L-1)은 단말기(100)와 외부장치(200)간의 물리적 연결 계층을 의미하며, 직렬 통신인 RS-232 통신을 한다.Here, the protocol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is as shown in Figure 4 physical layer (L-1), relay layer (L-2), transport layer (L-3) And an application layer (L-4), the physical layer (L-1) means a physical connection layer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and performs serial communication RS-232 communication.

릴레이 계층(L-2)은 단말기(100)와 외부장치(200)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계층으로 이 계층에서는 물리계층(L-1)에서 온 데이터를 받아 처음과 끝을 확인하고 데이터의 오류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이 물리계층(L-1)에서 확인한 결과 오류가 없을 경우 트랜스포트 계층(L-3)로 보낸다. 이때 트랜스포트 계층(L-3)에서 메세지를 받을 경우 CRC 코드를 만들고, 메세지의 처음과 끝을 의미하는 플래그를 만들어 물리계층(L-1)으로 보낸다.The relay layer (L-2) is a layer that transmits data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In this layer, data from the physical layer (L-1) is received to check the beginning and the end, and data errors occur. Check whether or not. At this time, if there is no error as a result of checking in this physical layer (L-1), it is sent to the transport layer (L-3). In this case, when receiving a message from the transport layer (L-3), a CRC code is created, and a flag indicating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message is sent to the physical layer (L-1).

트랜스포트 계층(L-3)은 명령어 부분과 데이터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 명령어는 단말기(100)와 외부장치(200)간의 동작을 정의한다. 또한 트랜스포트 계층(L-3)은 릴레이 계층(L-2)에서 받은 메세지를 명령어와 데이터 부분으로 나누고, 응용계층(L-4)으로 보낸다. 이때 응용계층(L-4)에서 메세지를 받은 경우 명령어와 데이터를 구성하여 릴레이 계층(L-3)으로 보낸다.The transport layer (L-3) is composed of an instruction part and a data part. This command defines the operation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In addition, the transport layer (L-3) divides the message received from the relay layer (L-2) into instructions and data parts, and sends it to the application layer (L-4). In this case, when a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application layer (L-4), a command and data are configured and sent to the relay layer (L-3).

응용계층(L-4)은 외부장치(200)의 응용계층(L-4)은 트랜스포트 계층(L-3)에서 온 데이터를 이용하여 응용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외부장치(200)에서 발생한 응용서비스와 관련하여 응용계층(L-4)에서 데이터를 구성하여 트랜스포트 계층(L-3)으로 보낸다. 그러면 단말기(100)의 응용계층(L-4)은 트랜스포머계층(L-3)에서 온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의 에어 프로토콜(Air Protocol)로 재 구성되며, 이동통신 망을 이용하여 통신을 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트랜스포트 계층(L-3)에서 요구하는 명령어에 따라 이동통신의 에어 프로토콜을 데이터 형식으로 제구성하여 트랜스포트계층(L-3)으로 보낸다.The application layer L-4 provides an application service using data from the transport layer L-3 of the application layer L-4 of the external device 200. That is, in connection with the application service generated in the external device 200, data is configured at the application layer L-4 and sent to the transport layer L-3. Then, the application layer L-4 of the terminal 100 is reconfigured as an air protocol of mobile communication using data from the transformer layer L-3, and communicate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In addition, the terminal 100 reconfigures the air protoco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in a data format according to a command required by the transport layer L-3 and sends it to the transport layer L-3.

여기서 상기 단말기(100)와 외부장치(200)간의 통신을 위한 데이터 구성을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처음 데이터를 보내기 위한 시작플래그, 전송 데이터인 데이터 패킷, 에러정정을 위한 CRC(Cyclic Redundancy Codes) 및 종료 플래그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패킷은 명령어와 테이터로 구성되고, 이 명령어에 따라 정보전송/조회,호 발신/수신/종료,호상태, 정보전송 상태 및 기지국정보등을 단말기로부터 받을 수 있다.Here, referring to the data configura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as shown in FIG. 5, a start flag for first sending data, a data packet as transmission data, and cyclic redundancy codes for error correction are shown. ) And the end flag. The data packet is composed of a command and data, and according to the command, the terminal may receive information transmission / inquiry, call origination / reception / end, call state, information transmission state, and base station information.

이와같은 단말기와 외부장치간의 프로토콜 및 통신데이터 구성에 따른 통신 방법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제어방법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장치와 단말기가 정보를 수신하거나 자신의 단말기에 해당하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초기상태(S21)는 하드웨어 연결단계(S22)로 진행한다. 그러면 이 하드웨어 연결단계(S22)에서는 외부장치에서는 단말기가 RS-232 직렬 포트를 통해 하드웨어적으로 연결을 확인하고 통신 초기화단계(S23)로 진행한다. 이에 이 통신 초기화단계(S23)에서는 외부장치에서 연결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데이터를 출력함에 따라 설정된 시간내에 이 초기화 데이터를 수신하고 메세지수신 판단단계(S24)로 진행한다. 따라서 이 메세지수신 판단단계(S24)에서 판단한 결과 외부장치로부터 요구 메세지 수신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토콜 판단단계(S25)로 진행한다. 이에 이 프로토콜 판단단계(S25)에서 판단한 결과 외부장치와 통신 접속된 통신 프로토콜이 옳은지를 판단하고 전송요구 메세지판단단계(S26)로 진행한다.Control metho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otocol and communication data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as shown in Figure 6 to receive information or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as shown in FIG. Initial state (S21) for proceeds to the hardware connection step (S22). Then, in this hardware connection step (S22), the external device checks the hardware connection through the RS-232 serial port in the external device and proceeds to the communication initialization step (S23). In this communication initialization step (S23), as the external device outputs data for checking the connection state, the initialization data is received within the set time and the message reception determination step (S24) proceeds. Therefore, if it is determined in the message reception determination step S24 that the reques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the procedure goes to the protocol determination step S25.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protocol determination step (S25),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mmunication protocol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is correct, and the flow proceeds to the transmission request message determination step (S26).

그러므로 이 전송요구 메세지 판단단계(S26)에서 판단한 결과 외부장치로의 문자 메세지전송 요구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문자메세지 전송단계(S27)로 진행하여 해당하는 문자메세지를 외부장치로 전송하고 응답메세지 전송단계(S28)로 진행하여 외부장치로 응답메세지를 전송하고 통신 초기화단계(S23)로 복귀하여 루프를 반복 수행한다.Therefore, if it is determined in the transmission request message determination step (S26)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text message transmission request to the external device, the process proceeds to the text message transmission step (S27)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text message to the external device and sends a response message. In step S28, a respons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and the process returns to the communication initialization step S23 to repeat the loop.

그리고 상기 이 프로토콜 판단단계(S25)에서 판단한 결과 외부장치와 통신 접속된 통신 프로토콜이 상이한 것으로 판단되면 넥 메세지전송단계(S29)로 진행하여 수신된 프로토콜에 대한 부정음답 메세지를 외부장치로 전송하고 통신 초기화단계(S23)로 복귀하여 루프를 반복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이 전송요구 메세지 판단단계(S26)에서 판단한 결과 외부장치로의 문자 메세지전송 요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응답메세지 전송단계(S28)로 진행한다.If it is determined in the protocol determination step (S25) that the communication protocol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is determined to be different, the procedure proceeds to the neck message transmission step (S29), and transmits a negative tone response message for the received protocol to the external device. The loop returns to the initialization step S23. If it is determined in the transmission request message determination step (S26) that there is no text message transmission request to the external device, the process proceeds to the response message transmission step (S28).

한편, 이와같은 단말기와 외부장치간의 프로토콜 및 통신데이터 구성에 따른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otocol and communication data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통신 방법에서 외부장치에서의 통신을 위한 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장치와 단말기가 정보를 수신하거나 자신의 단말기에 해당하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초기상태(S1)는 하드웨어 연결단계(S2)로 진행한다. 그러면 이 하드웨어 연결단계(S2)에서는 외부장치에서는 단말기가 RS-232 직렬 포트를 통해 하드웨어적으로 연결을 확인하고 통신 초기화단계(S3)로 진행한다. 이에 이 통신 초기화단계(S3)에서는 먼저 외부장치가 단말기의 연결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메세지를 출력함에 따라 이 메세지를 단말기에서 수신하고 통신연결 판단단계(S4)로 진행한다. 따라서 이 통신연결 판단단계(S4)에서 판단한 결과 외부장치에서 출력된 메세지에 의해 설정된 시간내에 단말기로부터의 응답신호가 수신됨으로 판단되면 메세지 통신가능 판단단계(S5)로 진행한다.In the communication method, a method for communication in an external device is shown in FIG. 7. The initial state (S1) for the external device and the terminal to receive information 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ts own terminal is a hardware connection step (S2). Proceed to). Then, in this hardware connection step (S2), the external device checks the hardware connection through the RS-232 serial port in the external device and proceeds to the communication initialization step (S3). Therefore, in this communication initialization step (S3), as the external device first outputs a message for check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terminal, the terminal receives the message and proceeds 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determination step (S4). Therefore, when it is determined i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determination step (S4) that the response signal from the terminal is received within the time set by the message output from the external device, the process proceeds to the message communication determination step (S5).

한편, 상기 이 통신연결 판단단계(S4)에서 판단한 결과 단말기에서 설정된 시간내에 응답신호가 외부장치로 수신되지 않음으로 판단되면 전송횟수 카운트 판단단계(S10)로 진행한다. 그러므로 이 전송횟수 카운트 판단단계(S10)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의 전송횟수가 설정된 횟수이하로 판단되면 확인메세지 전송단계(S3)로 진행하여 루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전송횟수 카운트 판단단계(S10)에서 판단한 결과 현재의 전송횟수가 설정된 횟수를 초과함으로 판단되면 통신두절 알림단계(S11)로 진행하여 단말기와 외부장치간에 통신이 두절됨을 알린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determination step (S4) that the response signal is not received by the external device within the set time in the terminal proceeds to the transmission count count determination step (S10). Therefore, if it is determined in the transmission count count determining step (S10) that the current transmission count is determin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number of times, the process proceeds to the confirmation message transmission step (S3) and repeats the loop. 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in the transmission count count determining step (S10) that the current transmission count exceeds the set number of times, it proceeds to the communication disconnection notification step (S11) to inform tha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is lost.

그리고 상기 메세지 통신가능 판단단계(S5)에서 판단한 결과 외부장치와 단말기가 메세지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한 통신 프로토콜로 통신 연결됨으로 판단되면 수신메세지 판단단계(S6)로 진행한다. 그러면 이 수신메세지 판단단계(S6)에서 판단한 결과 단말기에서 수신한 메세지를 출력함에 따라 외부장치에서 수신되는 메세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 1메세지 전송단계(S7)로 진행한다. 그러므로 이 제 1메세지전송단계(S7)에서는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메세지를 외부장치로 전송하고 본 루프를 종료한다.If it is determined in the message communication possible determination step (S5) that the external device and the terminal are determined to be connected by a communication protocol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ssages, the procedure proceeds to the reception message determination step (S6). Then, when it is determined in the reception message determination step (S6) that the message received by the terminal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message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the process proceeds to the first message transmission step (S7). Therefore, in the first message transmission step S7, the message received from the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and the main loop ends.

그리고 상기 이 수신메세지 판단단계(S6)에서 판단한 결과 외부로부터 단말기로 수신된 메세지를 없어 외부장치로 송신될 메세지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송신메세지 판단단계(S8)로 진행한다. 따라서 이 송신메세지 판단단계(S8)에서 판단한 결과 외부장치에서 단말기를 통해 송신할 메세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 2메세지 전송단계(S9)로 진행한다. 이에 이 제 2메세지 전송단계(S9)에서는 외부장치에서 단말기를 통해 메세지를 전송하고 본 루프를 종료한다.When it is determined in the received message determining step (S6) that there is no message received from the outside to the terminal and there is no message to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the flow proceeds to the sending message determining step (S8). Therefore, if it is determined in the transmission message determining step (S8) that there is a message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terminal from the external device proceeds to the second message transmission step (S9). In the second message transmission step (S9), the external device transmits a message through the terminal and terminates the present loop.

여기서 상기 제 1메세지전송단계(S7) 및 제 2메세지전송단계(S9)에서의 데이터 전송방법을 첨부된 도 8의 문자 전송 데이터 구조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in the first message transmission step S7 and the second message transmission step S9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text transmission data structure of FIG. 8.

즉, 제 1메세지 전송단계(S7)인 단말기(100)에서 수신한 메세지를 외부장치(200)로 전송할 경우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같이 순서적으로 명령어, 새로수신 메세지 또는 읽은 메세지 종류와 메세지 특성인 텔리서비스를 설정한다. 그리고 보낸곳의 번호를 설정 후 단말기(100)로 보낸다. 이에따라 단말기(100)는 수신된 데이터에 응답으로 명령어, 남은 메세지, 텔리서비스 식별자, 메세지 카테고리, 메세지 식별자를 설정하고 최종적으로 메세지를 외부장치(200)로 보내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message received by the terminal 100 in the first message transmission step S7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200, the command, newly received message or read message is sequentially displayed as shown in FIG. Sets the teleservice, the type and message characteristics. And after setting the number of the sender sends to the terminal (100). Accordingly, the terminal 100 sets a command, a remaining message, a teleservice identifier, a message category, and a message identifier in response to the received data, and finally sends a message to the external device 200.

그리고 상기 제 2메세지 전송단계(S9)인 외부장치(200)에서 단말기(100)를 통해 특정 수신처로 정보를 전송할 경우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장치(200)가 순서적으로 명령어 설정, 텔리서비스, 메세지 카테고리 및 메세지 식별자를 설정하고 최종적으로 수신처로의 송출 정보인 메세지를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이 단말기(100)는 최종적인 메세지인 정보를 송출하고 그에따른 송출 성공 또는 실패의 결과를 명령어, 응답코드 및 오류원인 코드순으로 외부장치(200)로 전송함으로서 정보전송은 완료된다.When the external device 200 in the second message transmission step S9 transmits information to a specific destination through the terminal 100, the external device 200 is sequentially displayed as shown in FIG. The command setting, the teleservice, the message category and the message identifier are set, and finally, the message, which is the transmission information to the destination,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0. Then, the terminal 100 transmits the information, which is the final message, and transmits the result of the transmission success or failure to the external device 200 in the order of the command, the response code, and the code of the error cause.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와 외부장치가 물리계층, 릴레이계층, 트랜스포트 계층 및 응용계층으로 이루어진 비동기 HDLC방식의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 접속됨으로서 외부장치에서 만들어진 정보를 단말기를 통해 특정지역으로 전송하고, 단말기가 수신한 메세지 및 기지국 정보, 그리고 호 상태정보등을 외부장장치에서 조회하는 양방향 통신을 구현함으로서 음성 통신 뿐만 아니라 정보통신을 이용한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are connected by the asynchronous HDLC protocol protocol consisting of a physical layer, a relay layer, a transport layer, and an application layer, thereby transmitting information made in the external device to a specific region through the terminal. In addition, by implementing two-way communication in which the terminal receives the message,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and the call state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various additional services using not only voice communication but also information communication.

Claims (3)

단말기와 외부장치간이 RS-232로 접속되면 외부장치에서 단말기의 접속상태 확인을 위한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a)와;(A) transmitting a message for check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terminal from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are connected by RS-232; 이 (a)단계에서 외부장치에서 접속상태 확인을 위한 메세지 전송이 완료되면 외부장치에서 단말기가 설정된 응답시간내에 통신 연결이 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b)와,In step (a),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message for checking the connection status from the external device is completed,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within the set response time by the external device; 이 (b)단계에서 단말기가 설정된 응답시간내에 통신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어 단말기와 외부장치간에 메세지 송수신이 가능한 프로토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c)와,(C)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is in a protocol stat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because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is in communication within the set response time in step (b); 이 (c)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메세지 송수신이 가능한 프로토콜 상태로 판단된 경우 외부장치에서 단말기가 수신된 메세지가 있거나 외부장치에서 단말기를 통해 송신할 메세지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d)와;(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message received by the terminal from the external device or a message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terminal from the external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otocol state allows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s a result of the step (c); 이 (d)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단말기로 수신된 메세지가 있거나 외부장치에서 송신할 메세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단말기로 수신된 메세지를 외부장치로 전송하거나 단말기를 통해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와 외부장치간의 통신방법.(E) transmitting the message received to the terminal to the external device or transmitting the message through the terminal as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message received by the terminal or that there is a message to be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devic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단말기가 수신한 메세지를 외부장치로 전송할 경우, 먼저 외부장치에서 명령어, 새로수신 메세지 또는 읽은 메세지 종류와 메세지 특성인 텔리서비스 및 보낸곳의 번호를 설정 하여 단말기로 송신함에 따라 상기 단말기는 수신된 데이터에 응답으로 명령어, 남은 메세지, 텔리서비스 식별자, 메세지 카테고리, 메세지 식별자를 설정하고 최종적으로 메세지를 외부장치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와 외부장치간의 통신방법.According to claim 1, In the case of transmitting the message received by the terminal to the external device in step (e), first set the command, the newly received message or the teleservice and the sender number which is the message type and message characteristics from the external device In response to the received data, the terminal sets a command, a remaining message, a teleservice identifier, a message category, and a message identifier in response to the received data, and finally sends a message to the external device. Wa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외부장치에서 단말기를 통해 특정 수신처로 정보를 전송할 경우, 먼저 외부장치가 순서적으로 명령어 설정, 텔리서비스, 메세지 카테고리 및 메세지 식별자를 설정하고 최종적으로 수신처로의 송출 정보인 메세지를 단말기로 전송하면 이 단말기는 최종적인 메세지인 정보를 송출하고 그에따른 송출 성공 또는 실패의 결과를 명령어, 응답코드 및 오류원인 코드순으로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와 외부장치간의 통신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step (e), when the external device transmits information to a specific destination through a terminal, the external device first sets a command setting, a teleservice, a message category, a message identifier, and finally a destination. When a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e terminal sends the final message and transmits the result of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message to the external device in order of command, response code, and error cod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erminal and external device.
KR1019980049371A 1998-11-18 1998-11-18 Communicating method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xternal device KR2000003278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9371A KR20000032787A (en) 1998-11-18 1998-11-18 Communicating method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xtern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9371A KR20000032787A (en) 1998-11-18 1998-11-18 Communicating method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xternal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2787A true KR20000032787A (en) 2000-06-15

Family

ID=19558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9371A KR20000032787A (en) 1998-11-18 1998-11-18 Communicating method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xternal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2787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309A (en) * 2002-03-26 2003-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SMS telephone having an external editer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KR100434064B1 (en) * 2001-12-13 2004-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Synchronization apparatus for personal infomation management system between from information terminals and synchronization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064B1 (en) * 2001-12-13 2004-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Synchronization apparatus for personal infomation management system between from information terminals and synchronization method thereof
KR20030077309A (en) * 2002-03-26 2003-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SMS telephone having an external editer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2251B1 (e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notifica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state of each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WO1995023485A1 (en) Multi-mode communications system
US20030027583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having a position information detection func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notifying method
KR100790120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alling
KR20000032787A (en) Communicating method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xternal device
JP4403349B2 (en) Telephone subscriber management apparatus, telephone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incoming call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JP2002171280A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6477383B1 (e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notifica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state of each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KR100605904B1 (en) Method for embodying telecommunication network in home by use of the bluetooth
KR100393603B1 (en) Method for informing redial numbers of wireless headset
KR100356046B1 (en)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bilaterla wireless communication
KR100386292B1 (en) Communication method for smartphone equipped wireless lan card
KR20040035525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Text Message into Voice Message
JP3097787B2 (en) Wireless telephone device control system
JP3501030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JPH10313481A (en) Portable radio system
KR10050273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between base and radio receiving set in cordless phone
KR20000013794A (en) Short message service identifying method in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100440664B1 (en) Wire-communication system using wireless-terminal and method for the same
JP5293569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01268642A (en) Incoming call notification style updating method, setting information notifying method, and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0129617B1 (en) Power control in mobile telephone
JPH09154175A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JP3120790B2 (en) PHS communication mode matching system and PHS communication mode matching method
KR20020090798A (en) Wireless-telephone system having a text message confirm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