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1650A - 배열형 도파로 격자를 역방향으로 이용한 파장 분할 다중화된광신호의 신호세기 검출 장치 및그 방법 - Google Patents

배열형 도파로 격자를 역방향으로 이용한 파장 분할 다중화된광신호의 신호세기 검출 장치 및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1650A
KR20000031650A KR1019980047794A KR19980047794A KR20000031650A KR 20000031650 A KR20000031650 A KR 20000031650A KR 1019980047794 A KR1019980047794 A KR 1019980047794A KR 19980047794 A KR19980047794 A KR 19980047794A KR 20000031650 A KR20000031650 A KR 20000031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ptical
signal strength
optical signal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7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9737B1 (ko
Inventor
윤병호
서완석
이종현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80047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9737B1/ko
Publication of KR20000031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1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9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97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5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 H04B10/07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using a supervisory or additional sign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007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forming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multiplexer, demultiplexer
    • G02B6/12009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forming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multiplexer, demultiplexer comprising arrayed waveguide grating [AWG] devices, i.e. with a phased array of waveguides
    • G02B6/12019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forming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multiplexer, demultiplexer comprising arrayed waveguide grating [AWG] devices, i.e. with a phased array of waveguides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interconnection to or from the AWG devices, e.g. integration or coupling with lasers or photodi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2006/12133Functions
    • G02B2006/12164Multiplexing; Demultiplexing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다중화된 광신호의 신호세기 검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배열형 도파로 격자(AWG)를 역방향으로 이용하여 광신호의 세기를 검출하는 신호세기 검출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임의 파장의 광신호를 다중화하고, 감시 신호를 역다중화하기 위한 다중화/역다중화 수단; 다중화된 광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 수단; 증폭된 광신호의 일부분을 분기하여 다중화/역다중화 수단으로 감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 분기 수단; 임의 파장의 광신호를 다중화/역다중화 수단으로 전달하고, 역다중화된 감시 신호를 분기하기 위한 제2 분기 수단; 분기된 감시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검출하기 위한 광검출 수단; 및 검출된 전기 신호를 처리하여 각 채널별로 신호세기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 처리 수단을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파장 분할 다중 광전송장치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배열형 도파로 격자를 역방향으로 이용한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의 신호세기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파장 분할 다중 광전송장치에서 각 채널의 신호세기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세기 검출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장 분할 다중 광전송장치(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System)에서 배열형 도파로 격자(AWG : arrayed-waveguide grating)의 양방향 전송 특성을 이용하여 광신호 채널의 신호세기를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신호세기 검출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파장 분할 다중 광전송장치에서는 각기 다른 파장을 갖는 여러 채널이 광다중화되어 전송되므로, 역다중화(파장 분리)를 하지 않고서는 각 채널의 신호세기를 검출할 수 없다. 도 1 은 이러한 종래의 역다중화 방식을 이용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광역다중화기(14)에서 각 채널로 파장 분리하여 광검출기(15)로 광전 변환하고, 이를 신호처리하여 각 채널의 신호세기를 검출하는 방식의 일예시도이다.
그 구성과 동작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여러 파장 채널이 광다중화기(11)에서 다중화된 광신호는 광역다중화기(14)에서 각 채널로 분리되고, 분리된 신호를 토대로 채널의 신호세기를 검출한다. 이에 따라 광역다중화기(14) 및 각 역다중화 출력에 필요한 광검출기(15, D1 내지 Dn) 등 많은 광소자가 필요하게 되고, 광역다중화기(14)의 사용에 따른 추가 광전력 손실이 있게 되는 불리함이 있었다. "M. Koga" 등이 미국에서 특허등록을 받은 US5,617,234호(Multiwavelength simutaneous monitoring circuit employing arrayed-waveguide grating)가 이러한 방식의 일예로 볼 수 있다.
도 2 는 종래의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가변 광학 필터(24)로 스캐닝하고 이를 광검출기(27)로 광전 변환한 후에, 파형 계수기(25)를 사용하여 채널의 신호세기를 검출하는 방식의 일예시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C. Konishi" 등이 "OFC '97"에 발표한 논문 "파장 분할 다중망을 위한 동적 이득 제어된 에르븀 첨가 광증폭 중계기(Dynamic gain controlled erbium doped fiber amplifier repeater for WDM network)"는, 파장 분리 과정을 거치지 않고, 가변 광학 필터(24)를 이용하여 각 채널의 신호세기를 검출하는 방식의 일예이다. 이는 상기 US5,617,234호에 비해 광역다중화기(14)가 사용되지 않았으나, AOTF(Acousto Optic Tunable Filter) 등 고가의 가변 광학 필터(24)가 필요하고, 가변 광학 필터(24)의 스캐닝으로 인하여 검출 속도가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가변 광학 필터의 제어기(26) 및 파형 계수기(25) 등의 비교적 복잡한 신호 처리 기능이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특성을 살펴보면, 도 1 에 도시된 방법은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광역다중화기(14)를 통해 분리하고 이를 처리해야 하므로, 고가의 광역다중화기(AWG : Arrayed Waveguide Grating 등)(14) 및 많은 수의 광검출기(15)가 소요되고, 이에 따른 부수적인 광전력의 손실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 에 도시된 방식은 광역다중화기(14)의 사용은 피했으나 비교적 고가인 가변 광학 필터(AOTF)(24)의 사용이 불가피하다. 또한, 상기 가변 광학 필터(24)의 제어를 위해 비교적 복잡한 제어 회로(26)가 필요하다. 이 방식은 가변 광학 필터(AOTF) 등 전 파장 채널 대역 가변에 필요한 스캐닝 속도 때문에 검출 속도가 느릴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광신호의 세기를 검출할 때 배열형 도파로 격자(AWG)를 역방향으로 이용하여 별도의 감시 신호용 광역다중화기가 필요없는 신호세기 검출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감시용 광역다중화기를 이용하여 각 채널로 파장 분리한 다음에 광검출기로 광전 변환하고, 이를 신호처리하여 각 채널의 신호세기를 검출하는 장치의 구성예시도.
도 2 는 종래의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를 가변 광학 필터로 스캐닝하고, 이를 광검출기로 광전 변환하여 각 채널의 신호세기를 검출하는 장치의 구성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배열형 도파로 격자(AWG)를 역방향으로 이용한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의 신호세기 검출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배열형 도파로 격자(AWG)를 역방향으로 이용한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의 신호세기 검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5 는 배열형 도파로 격자에 입력되는 신호세기에 따라 검출되는 신호세기의 특성을 나타낸 특성도.
도 6 은 비트 에러율(BER : Bit Error Rate) 곡선의 특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광분기부 32 : 배열형 도파로 격자(AWG)
33 : 광증폭기 34 : 광커플러
35 : 광검출기 36 : 신호처리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에서 각각의 채널별로 신호세기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세기 검출 장치에 있어서, 임의 파장의 순방향 광신호를 다중화하고, 역방향의 감시 신호를 역다중화하기 위한 다중화/역다중화 수단; 상기 다중화/역다중화 수단에서 다중화된 광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 수단; 상기 증폭 수단에서 증폭된 광신호의 일부분을 분기하여 상기 다중화/역다중화 수단으로 역방향의 감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 분기 수단;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임의 파장의 광신호를 상기 다중화/역다중화 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다중화/역다중화 수단에서 역다중화된, 상기 입력 광신호의 파장과 다른 파장의 감시 신호를 분기하기 위한 제2 분기 수단; 상기 제2 분기 수단에서 분기된 감시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검출하기 위한 광검출 수단; 및 상기 광검출 수단에서 검출된 전기 신호를 처리하여 각 채널별로 신호세기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 처리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에서 각각의 채널별로 신호세기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세기 검출장치에 적용되는 신호세기 검출 방법에 있어서, 임의 파장의 다수의 광신호를 수신하여 다중화한 후에, 다중화된 광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 1 단계; 상기 증폭된 출력 광신호의 일부분을 감시 신호로 사용하기 위하여 분기하여 역다중화하는 제 2 단계; 상기 입력 광신호의 파장과 다른 파장을 가지는, 상기 역다중화된 감시신호를 분기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분기된 감시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검출한 후에 검출된 전기 신호를 처리하여 각 채널별로 신호세기를 검출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신호세기 검출 장치에, 임의 파장의 다수의 광신호를 수신하여 다중화한 후에, 다중화된 광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기능; 상기 증폭된 출력 광신호의 일부분을 감시 신호로 사용하기 위하여 분기하여 역다중화하는 기능; 상기 입력 광신호의 파장과 다른 파장을 가지는, 상기 역다중화된 감시신호를 분기하는 기능; 및 상기 분기된 감시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검출한 후에 검출된 전기 신호를 처리하여 각 채널별로 신호세기를 검출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배열형 도파로 격자(AWG)를 역방향으로 이용한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의 신호세기 검출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광다중화기(배열형 도파로 격자)를 역방향으로 이용하여 따로 감시 신호용 역다중화기를 두지 않고서도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의 채널별 신호세기를 검출하는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특징은 파장 분할 다중 광전송장치의 광다중화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배열형 도파로 격자(AWG)가 방향성을 가지지 않는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보통의 파장 분할 다중 광전송장치들이 광다중화기로 배열형 도파로 격자를 사용하여 여러 파장의 광신호를 다중화하고, 광증폭을 거쳐 전송하게 된다. 이때, 전송되는 광신호, 즉 다중화된 광신호를 각각의 채널별로 조사하기 위해서는 다시 역다중화하여야 한다. 즉, 전송되는 신호의 품질을 측정하기 위해서 광역다중화기를 한번 더 사용하여야 개별 채널별로 감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불편함을 없애기 위하여 광다중화기로 사용된 배열형 도파로 격자를 감시 신호의 역다중화기로 동시에 사용하면서도 전송되어지는 원래의 광신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방식을 사용한다. 광다중화기로 출력단이 2개 이상인 배열형 도파로 격자를 이용할 때, 광다중화되어 증폭된 신호의 일부분을 광커플러를 사용하여 광다중화기의 다른 출력단자로 입력시키면 광다중화기의 입력단들에서는 원래의 신호와 다른 파장의 신호, 즉 다른 채널의 신호가 나오게 된다. 광다중화기의 입력단에 미리 광커플러를 연결하여 놓으면 입력 광신호는 다중화되어 전송되고, 되돌아온 광신호는 역다중화되어 다른 파장의 광신호로 분기된 후에, 광검출기에서 검출되어 각각의 채널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는데 이용된다.
다음으로,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호세기 검출 장치의 일예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에서 각각의 채널별로 신호세기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세기 검출장치는, 임의 파장의 순방향 광신호를 다중화하고, 역방향의 감시 신호를 역다중화하기 위한 배열형 도파로 격자(AWG)(32), 상기 배열형 도파로 격자(32)에서 다중화된 광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광증폭기(33), 상기 광증폭기(33)에서 증폭된 출력 광신호의 일부분을 분기하여 상기 배열형 도파로 격자(32)로 역방향의 감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광커플러(34),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임의 파장의 광신호를 상기 배열형 도파로 격자(32)로 전달하고, 상기 배열형 도파로 격자(32)에서 역다중화된, 상기 입력 광신호의 파장과 다른 파장의 감시 신호를 분기하기 위한 다수의 광커플러(31), 상기 다수의 광커플러(31)에서 분기된 감시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검출하기 위한 다수의 광검출기(35) 및 상기 다수의 광검출기(35)에서 검출된 전기 신호를 처리하여 각 채널별로 신호세기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처리기(36)를 구비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정보 검출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광다중화기로 배열형 도파로 격자(AWG)(32)를 사용하고 있다. 이 배열형 도파로 격자(AWG)(32)는 그 특성상 다중화 및 역다중화가 구분되지 않고 모두 사용할 수 있다. N개 채널의 광다중화/역다중화기로는 N x M(N,M은 자연수)의 배열형 도파로 격자(AWG)(32)를 사용한다. 여기서, M은 1과 N사이의 자연수이다.
도 3 에서 파장 1번부터 파장 n번까지의 입력 광신호는 각각 입력 광커플러(31)로 입력된다. 이들 입력 광커플러(31)의 타측 단자는 배열형 도파로 격자(광다중화기)(32)의 입력단과 연결되어 있다. 배열형 도파로 격자(광다중화기)(32)에서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는 배열형 도파로 격자(광다중화기)(32)의 한 출력단에서 광증폭기(33)로 출력된다. 광증폭기(33)에서 출력되는 광신호가 일반적인 파장 분할 다중 광전송장치의 출력 신호이다.
이때, 출력되는 광신호의 감시를 위해 출력 광커플러(34)를 사용하여 출력 광신호의 일부분을 분리한다. 분리된 다중화된 광신호는 배열형 도파로 격자(32)의 여러 출력단중 다중화된 광신호의 출력단이 아닌 다른 출력단으로 역방향으로 입력된다.
이렇게 입력된 감시 신호는 배열형 도파로 격자(역다중화기)(32)에서 역다중화되어 입력 광커플러(31)를 통해 다시 나오게 되는데, 배열형 도파로 격자(32)의 특성으로 인해 그 파장이 원래 입력된 광신호와는 다른 파장의 감시 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배열형 도파로 격자(32)의 출력단의 개수와 감시 신호를 입력하게 되는 출력단의 위치에 따라 입력되는 원 광신호 파장과 감시 신호 파장의 관계가 정해진다. 배열형 도파로 격자(32)의 신호 출력단에 바로 인접한 출력단으로 감시 신호를 입력하게 되면, 입력 광커플러(31)로는 파장이 하나 건너서 나온다. 입력 광커플러(31)부터 배열형 도파로 격자(32) 내부까지의 광경로에서는 서로 다른 파장의 원 광신호와 감시 신호가 동시에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서로 다른 파장 사이의 신호 간섭 영향이 거의 없다는 점에 착안하여 하나의 배열형 도파로 격자(32)를 순방향과 역방향으로 이용하여 다중화기와 역다중화기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점을 이용하였다. 전체 광전송장치 측면에서의 높은 출력을 위하여 출력 광커플러(34)에서 분기되는 감시 신호는 아주 작게 하므로 동시에 같은 광경로를 이용하는 신호들에 있어서 감시 신호는 그 광세기가 상대적으로 아주 작게 된다. 그리고, 입력 광커플러(31)를 사용함에 있어서도 분기되는 정도가 작은 부분을 감시 신호를 위해 이용한다.
한편, 입력 광커플러(31) 대신에 서큘레이터를 사용하여 감시 신호의 손실을 줄일 수도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분기 처리된 감시 신호는 각각의 광검출기(35)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된 후에, 신호처리기(36)에서 신호세기를 측정하는데 이용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배열형 도파로 격자(AWG)를 역방향으로 이용한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의 신호세기 검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임의 파장의 다수의 광신호를 수신하여(41) 수신한 광신호들을 다중화한 후에(42), 다중화된 광신호를 출력하기에 적절한 크기로 증폭하여 출력한다(43).
상기 증폭된 출력 광신호의 일부분을 감시 신호로 사용하기 위하여 분기하여(44) 분기된 감시 신호를 역다중화한 후에(45), 역다중화된, 상기 입력 광신호의 파장과 다른 파장의 감시 신호를 다시 분기한다(46).
상기 분기된 감시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검출한 후에(47) 검출된 전기 신호를 처리하여 각 채널별로 신호세기를 검출한다(48).
도 5 는 배열형 도파로 격자에 입력되는 신호세기에 따라 검출되는 신호세기의 특성을 나타낸 특성도이다.
상기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세기 검출 장치를 구성하여, 입력되는 광신호의 세기와 검출된 감시 광신호의 세기를 실험하여 본 결과를 도 5 에 나타내었다. 사용한 광커플러(31,34)는 모두 5%가 분기되는 광커플러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광전송장치에서 허용되는 광세기 손실을 감안해서 분기량을 달리하는 광커플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신호의 광세기가 -17 dBm 이하이면 감시 신호의 광세기가 인접 채널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배열형 도파로 격자(32)(AWG)에 입력되는 신호의 광세기보다 실제 감시 신호에서 검출되는 광세기의 양이 중요하다. 이것은 실험 조건에서 광증폭기(33)의 출력 광세기에 영향을 받는 사항이다. 광전송장치에 사용할 광증폭기(33)의 이득이 충분하거나, 출력 광커플러(34)를 통해 분기되는 신호의 비를 증가시키면, 감시 신호의 절대 광세기가 증가하므로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6 은 비트 에러율(BER : Bit Error Rate) 곡선의 특성도로서, 도 3 의 구성에서 배열형 도파로 격자의 입력 부분의 광커플러가 없고, 광다중화기에 역방향으로 신호를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입력 신호를 2.5Gbps로 변조하여 광수신기로 측정한 광수신기의 수신감도 변화에 따른 비트 에러율(BER) 곡선과, 본 발명에 따른 신호세기 검출 장치를 실험하여 얻은 비트 에러율(BER) 곡선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즉,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호세기 검출 장치로 실험을 하여 얻은 결과를 살펴보면,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방식에 의해 진행하는 원래 신호의 특성이 나빠지지 않는다는 것을 비트 에러율(BER) 측정을 통해 알 수 있다.
실험은 배열형 도파로 격자(32)의 입력단에 입력 광커플러(31)를 설치하지 않고, 즉 배열형 도파로 격자(AWG)(32)를 양방향으로 이용하지 않고 측정한 비트 에러율(BER) 결과를 도 6 의 곡선(61, uncoupling)에 나타내었다. 측정은 2.5Gbps 광수신기의 수신감도를 광감쇄기를 이용해 조절하면서 비트 에러율(BER) 10-4부터 비트 에러율(BER) 10-11까지를 측정하였다. 그런 후에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형 도파로 격자(32)를 양방향으로 이용하여 감시 신호의 광세기 측정을 위해 입력 광커플러(31)를 설치한 후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 것이 도 6 의 곡선(coupling)이다. 도 6 의 두 곡선을 비교하여 보면, 비트 에러율(BER) 특성에 있어서는 그 차이가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의 감시 장치로서의 기본 역할 뿐만아니라, 최종 출력단의 광세기를 감시하여 검출한다는 점에서 파장 분할 다중 광전송장치나 광전달망의 노드에서의 채널간 광세기 등화기에 사용되는 기본 감시 장치로도 사용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파장 분할 다중 광전송장치 등의 다중화기로 사용되는 배열형 도파로 격자(AWG)의 양방향 전송 특성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파장이 양방향으로 전송되도록 하므로써, 원래 광신호의 다중화기가 감시 신호의 역다중화기로 동시에 이용되도록 하여, 고비용의 역다중화 광소자의 사용을 배제하여 경제적인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의 감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단점인 각 파장 채널로 역다중화하여 분리할 때 따로 역다중화기를 사용하여야 하는 점과 가변 광학 필터 사용에 따른 검출 속도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고속으로 채널별 신호세기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에서 각각의 채널별로 신호세기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세기 검출 장치에 있어서,
    임의 파장의 순방향 광신호를 다중화하고, 역방향의 감시 신호를 역다중화하기 위한 다중화/역다중화 수단;
    상기 다중화/역다중화 수단에서 다중화된 광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 수단;
    상기 증폭 수단에서 증폭된 광신호의 일부분을 분기하여 상기 다중화/역다중화 수단으로 역방향의 감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 분기 수단;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임의 파장의 광신호를 상기 다중화/역다중화 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다중화/역다중화 수단에서 역다중화된, 상기 입력 광신호의 파장과 다른 파장의 감시 신호를 분기하기 위한 제2 분기 수단;
    상기 제2 분기 수단에서 분기된 감시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검출하기 위한 광검출 수단; 및
    상기 광검출 수단에서 검출된 전기 신호를 처리하여 각 채널별로 신호세기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 처리 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신호세기 검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역다중화 수단은,
    배열형 도파로 격자(AWG)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신호세기 검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형 도파로 격자(AWG)는,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광신호의 채널 개수보다 많은 입력단의 개수(N)를 가지고, 2개 이상의 출력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세기 검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분기 수단은,
    광커플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세기 검출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기 수단은,
    광서큘레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세기 검출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기 수단은,
    상기 증폭 수단에서 증폭된 광신호의 일부분을 분기하여 상기 다중화/역다중화 수단의 여러 출력단중 다중화된 광신호의 출력단이 아닌 다른 출력단으로 역방향의 감시 신호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세기 검출 장치.
  7. 파장 분할 다중화된 광신호에서 각각의 채널별로 신호세기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세기 검출장치에 적용되는 신호세기 검출 방법에 있어서,
    임의 파장의 다수의 광신호를 수신하여 다중화한 후에, 다중화된 광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 1 단계;
    상기 증폭된 출력 광신호의 일부분을 감시 신호로 사용하기 위하여 분기하여 역다중화하는 제 2 단계;
    상기 입력 광신호의 파장과 다른 파장을 가지는, 상기 역다중화된 감시신호를 분기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분기된 감시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검출한 후에 검출된 전기 신호를 처리하여 각 채널별로 신호세기를 검출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신호세기 검출 방법.
  8.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신호세기 검출 장치에,
    임의 파장의 다수의 광신호를 수신하여 다중화한 후에, 다중화된 광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기능;
    상기 증폭된 출력 광신호의 일부분을 감시 신호로 사용하기 위하여 분기하여 역다중화하는 기능;
    상기 입력 광신호의 파장과 다른 파장을 가지는, 상기 역다중화된 감시신호를 분기하는 기능; 및
    상기 분기된 감시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검출한 후에 검출된 전기 신호를 처리하여 각 채널별로 신호세기를 검출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9980047794A 1998-11-09 1998-11-09 배열형도파로격자를역방향으로이용한파장분할다중화된광신호의신호세기검출장치및그방법 KR100319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794A KR100319737B1 (ko) 1998-11-09 1998-11-09 배열형도파로격자를역방향으로이용한파장분할다중화된광신호의신호세기검출장치및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794A KR100319737B1 (ko) 1998-11-09 1998-11-09 배열형도파로격자를역방향으로이용한파장분할다중화된광신호의신호세기검출장치및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650A true KR20000031650A (ko) 2000-06-05
KR100319737B1 KR100319737B1 (ko) 2002-02-19

Family

ID=19557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7794A KR100319737B1 (ko) 1998-11-09 1998-11-09 배열형도파로격자를역방향으로이용한파장분할다중화된광신호의신호세기검출장치및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97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226B1 (ko) * 2000-11-25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파장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의 광 다중화부/역다중화부의상태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WO2012133977A1 (ko) * 2011-03-28 2012-10-04 (주)포인테크 집적 파장분할 다중화 노드 모듈
WO2012133978A1 (ko) * 2011-03-28 2012-10-04 (주)포인테크 파장분할 다중 광통신용 파장 모니터 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226B1 (ko) * 2000-11-25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파장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의 광 다중화부/역다중화부의상태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WO2012133977A1 (ko) * 2011-03-28 2012-10-04 (주)포인테크 집적 파장분할 다중화 노드 모듈
WO2012133978A1 (ko) * 2011-03-28 2012-10-04 (주)포인테크 파장분할 다중 광통신용 파장 모니터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9737B1 (ko) 2002-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1157A (en) Optical wavelength multiplexing and demultiplexing device and 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using the same
US6404525B1 (en) Optical add-drop multiplexer
JP2748908B2 (ja) 光伝送路特性測定方法とその装置および光波長多重伝送方法とその装置
US6535309B1 (en) Optical multiplexing/demultiplexing apparatus and optical multiplexing/demultiplexing method
US6011623A (en) Fault detection system for an amplified optical transmission system
US5680247A (en) Optical amplification monitoring apparatus
US6239889B1 (en) Optical signal power detection with signature bit pattern in WDM systems
KR100501541B1 (ko) 광신호대잡음비 감시장치
US6055082A (e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CA2325580C (en) Wdm transmission repeater, wdm transmission system and wdm transmission method
US10567081B2 (en) Transmission system and transmission method
JP4089093B2 (ja) 波長多重信号数監視装置
US6144487A (en) Optical amplifying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at least one of optical individual signals
KR100319744B1 (ko) 파장선택형광검출기를이용한파장분할다중화된광신호의채널정보검출장치및그방법
JP2012015675A (ja) Wdm信号光の監視装置
KR100319737B1 (ko) 배열형도파로격자를역방향으로이용한파장분할다중화된광신호의신호세기검출장치및그방법
WO1998049794A3 (en) Low loss, optical add/drop wdm node
US6570686B1 (en) Reference wavelength providing device for performance monitor in WDM optical transmission system
JPH11340920A (ja) 線形光中継器
KR102018481B1 (ko) Rf 오버레이 광신호 전송 장치
EP0959577B1 (en) Optical signal repeating and amplifying device and optical level adjusting device
JP3408378B2 (ja) 光中継増幅装置
KR100376597B1 (ko) 광파장 분할 시스템에서 시분할 톤 주파수 변조방식을이용한 광채널 모니터 시스템
KR100475351B1 (ko) 광신호 감지 및 가변 감쇠기능을 갖는 장치 및 이를사용한 wdm 모듈
KR100439226B1 (ko) 파장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의 광 다중화부/역다중화부의상태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