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1359A -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프 구현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프 구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1359A
KR20000031359A KR1019980047363A KR19980047363A KR20000031359A KR 20000031359 A KR20000031359 A KR 20000031359A KR 1019980047363 A KR1019980047363 A KR 1019980047363A KR 19980047363 A KR19980047363 A KR 19980047363A KR 20000031359 A KR20000031359 A KR 20000031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slotted mode
handoff
data servic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7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6459B1 (ko
Inventor
김용준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47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459B1/ko
Publication of KR20000031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1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4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Abstract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프 구현방법은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슬로티드 모드를 셋팅하여 하드 핸드오프를 구현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국으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시 이동국의 셀 여건에 따른 측정을 보고받아 네트워크에서 핸드오프 여부를 결정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구현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에 따라 결정된 무선 베이러 서비스 결합 형태(bearer service combination type)에 포함된 베어러 서비스 프로파일 형태(Bearer Service Profile type)에 따른 슬로티드 모드 파라메터(slotted mode parameter)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슬로티드 모드 파라메터(slotted mode parameter)에 따른 인터프리퀀시 핸드오버를 위한 측정값을 보고하도록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에 따라 이동국 자신의 셀 여건에 따른 핸드오프의 측정값을 검출하여 네트워크로 보고하는 단계와, 상기 보고된 핸드오프 측정값을 검색하여 하드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인터프리퀀시 핸드오버 커맨드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그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프 구현방법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프 구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hand-off)는 가입자가 통화중에 동일 시스템안에서 현재의 셀로부터 인접 셀로 이동시 통화로를 자동절체하여 통화의 연속성을 보장해주는 것이다.
상기 핸드오프(hand-off)로는 소프트/소프터 핸드오프 및 하드 핸드오프가 있다.
상기 소프트/소프터 핸드오프는 이동국이 이전 기지국/섹터와 통화단절없이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는 새로운 기지국/섹터와 통화를 개시하고, 하드 핸드오프는 상이한 주파수를 갖거나 상이한 프레임 옵셋을 갖는 기지국 사이 및 소프트 핸드오프가 가능하지 않는 기지국 사이를 이동국이 움직일 때 통화가 단절없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프 구현방법에 있어서는 서비스 특성에 따라 하드 핸드오프를 실현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슬로티드 모드를 셋팅하여 하드 핸드오프를 구현하도록 한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프 구현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슬로티드 모드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2a 및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프 구현방법에 의한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프 구현방법의 특징은, 이동국으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시 이동국의 셀 여건에 따른 측정을 보고받아 네트워크에서 핸드오프 여부를 결정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구현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에 따라 결정된 무선 베이러 서비스 결합 형태(bearer service combination type)에 포함된 베어러 서비스 프로파일 형태(Bearer Service Profile type)에 따른 슬로티드 모드 파라메터(slotted mode parameter)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슬로티드 모드 파라메터(slotted mode parameter)에 따른 인터프리퀀시 핸드오버를 위한 측정값을 보고하도록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에 따라 이동국 자신의 셀 여건에 따른 핸드오프의 측정값을 검출하여 네트워크로 보고하는 단계와, 상기 보고된 핸드오프 측정값을 검색하여 하드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인터프리퀀시 핸드오버 커맨드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프 구현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슬로티드 모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a 및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프 구현방법에 의한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프 구현방법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동국에게 하드 핸드오프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듀얼 리시버(dual receiver)를 사용하여 측정(Measurement)하는 방법과 다운링크(Downlink)의 무선 프레임중에 일부분을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측정용으로 사용하는 슬로티드 모드(slotted mode)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슬로티드 모드방법(slotted mode)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프레임 사이에 유휴 구간(idle period)을 두어서 하드 핸드오프를 위한 측정 구간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즉 슬로티드 모드방법(slotted mode)은 현재 설정되어 있는 서비스가 손실(loss)에 민감하지 않을 경우 코드 펑쳐링(code puncturing)방법과 로어 컴프레션(lower compression)기법을 사용한다.
아울러 상기 현재 설정되어 있는 서비스가 손실(loss)에 민감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와 써킷 데이터 서비스일 경우 하이어 컴프레션(higher compression)기법을 사용한다.
상기 슬로티드 모드방법(slotted mode) 제어 절차에 대하여 도 2a 및 도 2b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저가 이동국의 상위레이어(UL)를 통해 서비스를 요청하면 이동국의 RRC는 상기 서비스의 베어러 서비스 결합 형태(bearer service combination)를 결정하여 네트워크와 협상을 수행하기 위하여 콜 셋업(call setup)을 요청한다(11).
그러면 네트워크의 RRC는 상기 요청된 베어러 서비스 결합 형태(bearer service combination)와 자신이 제공할 수 있는 베어러 서비스 결합 형태(bearer service combination)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한다(11').
즉 네트워크에서는 상기 비교결과 자신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라면 이를 제공한다.
이어 네트워크의 RRC는 상기 이동국으로 소프트/하드 핸드오프를 위한 측정을 주기적으로 요청한다.
그러면 이동국의 RRC는 상기 네트워크의 RRC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맥 서브레이어(MAC) 및 레이어1(L1)을 제어하여 자신의 주변 셀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측정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네트워크의 RRC로 보고한다(12).
이후 네트워크에서는 상기 베어러 서비스 결합 형태(bearer service combination)에 따른 무선 액세스 베어러(Radio Access bearer)의 전용 채널을 할당한다(13).
이후 네트워크의 RRC는 하드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결정된 현재의 베어러 서비스 결합 형태(bearer service combination)에 포함된 베어러 서비스 프로파일 형태(Bearer Service Profile type)에 따른 슬로티드 모드 파라메터(slotted mode parameter)를 선택한다(14).
상기 베어러 서비스 결합 형태(bearer service combination)로는 코드 펑쳐링(Code Puncturing)기법으로 처리되는 음성만의 서비스(Speech Only Service)와, 포워드 에러 커렉션(Forward Error Correction;이하 FEC라 약칭함) 레이트로 변환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Packet Data Service)와 써킷 데이터 서비스(Circuit Data Service)와, FEC 레이트로 변환되는 음성 및 패킷 데이터 동시 서비스(Simultaneous Speech and Packet Data Service)와 음성 및 써킷 데이터 동시 서비스(Simultaneous Speech and Circuit Data Service)와, FEC 레이트로 변환되는 패킷 데이터 및 써킷 데이터 동시 서비스(Simultaneous Packet Data Service and Circuit Data Service)와, FEC 레이트로 변환되는 음성, 패킷 및 써킷 데이터 동시 서비스(Simultaneous Speech, Packet and Circuit Data Service)가 있다.
상기 슬로티드 모드 파라메터(slotted mode parameter)로는 측정 주파수(Frequency of Measurement)와, 슬로티드 프레임의 발생횟수(The number of occurrences of slotted frames)와, 상기 파라메터들의 압축(Compression related parameters)과, 슬로티드 모드의 형태(Type of slotted mode:프레임의 시작, 중간, 끝)와, 슬로티드 모드(Slotted Mode)의 주기(Periodic or On demand)가 있다.
이어 네트워크의 RRC는 상기 선택된 슬로티드 모드 파라메터(Slotted Mode Parameters)에 따른 인터프리퀀시 핸드 오버를 위한 측정값을 보고하도록 리퀘스트(Measurement Report Request for inter Freq handover)를 전송한다(15).
그러면 이동국의 RRC는 상기 전송된 슬로티드 모드 파라메터(Slotted Mode Parameters)에 따라 TFCS(Transport Format Combination Set) 형태로 맥 서브레어어(MAC)를 제어한다(16).
아울러 이동국의 RRC는 상기 전송된 슬로티드 모드 파라메터(Slotted Mode Parameters)에 따라 하드 핸드오프에 따른 측정값을 검출하도록 레이어 1(L1)으로 요청한다(17).
이에 따라 레이어 1은 상기 RRC에서 요청에 따라 상기 슬로티드 모드 파라메터(Slotted Mode Parameters)로 하드웨어를 셋팅한 후 슬로티드 모드(Slotted Mode)로 동작할 경우 이동국 자신의 셀 여건에 따른 핸드오프의 측정값을 측정하여 상기 RRC에게 보고한다(18).
그러면 RRC는 상기 레이어 1(L1)에서 측정된 값을 네트워크의 RRC로 보고한다(19).
이에 따라 네트워크의 RRC는 상기 이동국내 RRC에서 보고된 측정값을 검색하여 하드 핸드오버의 유무를 결정한다(20).
상기 결정결과 하드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이라면 네트워크의 RRC는 인터프리퀀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커맨드(Inter freq handover Command)를 전송한다(21).
그러면 이동국의 RRC는 상기 네트워크의 RRC에서 전송된 커맨드에 따라 하드 핸드오프를 수행하도록 맥 서브레이어(MAC) 및 레이어1(L1)을 제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프 구현방법은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슬로티드 모드를 셋팅하여 하드 핸드오프를 구현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하드 핸드오프를 위한 슬로티드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이동국으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시 이동국의 셀 여건에 따른 측정을 보고받아 네트워크에서 핸드오프 여부를 결정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구현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에 따라 결정된 무선 베이러 서비스 결합 형태(bearer service combination type)에 포함된 베어러 서비스 프로파일 형태(Bearer Service Profile type)에 따른 슬로티드 모드 파라메터(slotted mode parameter)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슬로티드 모드 파라메터(slotted mode parameter)에 따른 인터프리퀀시 핸드오버를 위한 측정값을 보고하도록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에 따라 이동국 자신의 셀 여건에 따른 핸드오프의 측정값을 검출하여 네트워크로 보고하는 단계와;
    상기 보고된 핸드오프 측정값을 검색하여 하드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인터프리퀀시 핸드오버 커맨드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프 구현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러 서비스 결합 형태(bearer service combination)는
    코드 펑쳐링(Code Puncturing)기법으로 처리되는 음성만의 서비스(Speech Only Service)와, 포워드 에러 커렉션(Forward Error Correction;이하 FEC라 약칭함) 레이트로 변환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Packet Data Service)와 써킷 데이터 서비스(Circuit Data Service)와, FEC 레이트로 변환되는 음성 및 패킷 데이터 동시 서비스(Simultaneous Speech and Packet Data Service)와 음성 및 써킷 데이터 동시 서비스(Simultaneous Speech and Circuit Data Service)와, FEC 레이트로 변환되는 패킷 데이터 및 써킷 데이터 동시 서비스(Simultaneous Packet Data Service and Circuit Data Service)와, FEC 레이트로 변환되는 음성, 패킷 및 써킷 데이터 동시 서비스(Simultaneous Speech, Packet and Circuit Data Service)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프 구현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로티드 모드 파라메터(slotted mode parameter)는
    측정 주파수(Frequency of Measurement)와, 슬로티드 프레임의 발생횟수(The number of occurrences of slotted frames)와, 상기 파라메터들의 압축(Compression related parameters)과, 슬로티드 모드의 형태(Type of slotted mode:프레임의 시작, 중간, 끝)와, 슬로티드 모드(Slotted Mode)의 주기(Periodic or On demand)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프 구현방법.
KR1019980047363A 1998-11-05 1998-11-05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프 구현방법 KR100556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363A KR100556459B1 (ko) 1998-11-05 1998-11-05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프 구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363A KR100556459B1 (ko) 1998-11-05 1998-11-05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프 구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359A true KR20000031359A (ko) 2000-06-05
KR100556459B1 KR100556459B1 (ko) 2006-05-25

Family

ID=19557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7363A KR100556459B1 (ko) 1998-11-05 1998-11-05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프 구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64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5382B1 (ko) * 2000-10-24 2005-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Cdma 통신 시스템의 핸드오프 방법
WO2010005180A3 (en) * 2008-06-16 2010-03-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handover in radio access networks
KR20180066369A (ko) 2016-12-08 2018-06-19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현실과 사이버 세상을 연계한 IoT 기반 O2O 도망자 추적 게임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306A (ko) * 1996-08-09 1998-05-25 김광호 하드 핸드오프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100232543B1 (ko) * 1996-10-14 1999-12-01 김영환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드 핸드오프 방법
KR100208944B1 (ko) * 1997-01-22 1999-07-15 윤종용 주파수가 다른 기지국 사이의 소프트-핸드오프를 위한 단말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5382B1 (ko) * 2000-10-24 2005-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Cdma 통신 시스템의 핸드오프 방법
WO2010005180A3 (en) * 2008-06-16 2010-03-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handover in radio access networks
US9723534B2 (en) 2008-06-16 2017-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handover in radio access networks
US9730131B2 (en) 2008-06-16 2017-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handover in radio access networks
US9730132B2 (en) 2008-06-16 2017-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handover in radio access networks
KR20180066369A (ko) 2016-12-08 2018-06-19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현실과 사이버 세상을 연계한 IoT 기반 O2O 도망자 추적 게임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6459B1 (ko) 200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8634B2 (en) TDD system based cell handoff method and user equipment
CA2534976C (en) Passive probing for handover in a local area network
US7839827B2 (en) Method for determining handoff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system supporting the same
KR100560982B1 (ko) 통신 시스템 사이에서 이동국에 의한 하드 핸드오프를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
RU2337487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существления быстрой эстафетной передачи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с широкополосным беспроводным доступом
US760312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a handoff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hard handoff
KR200296458Y1 (ko) 핸드오버를 시작할지를 결정하는 원격 네트워크 제어기
US920435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over between a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 and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90291686A1 (en) Autonomous connectivity between a mobile station and multiple network elements for minimizing service discontinuities during handove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90290555A1 (en) Autonomous anonymous association between a mobile station and multiple network eleme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770838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과 그를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US20050186962A1 (en) Mobile station and base station
KR19990078387A (ko) 무선통신시스템의주파수간핸드오프방법및장치
US201000292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KR20060136277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결정 방법
WO2007128226A1 (fr) Procédé et équipement utilisateur pour mesurer la cellule adjacente
TWI356644B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determination of i
US7065363B1 (en) Routing in a network
EP2091284B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a handoff in a wirelss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hard handoff
KR100556459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프 구현방법
KR101012007B1 (ko)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인접 기지국 신호를스캐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00003011A (ko) 셀룰러 시스템에서 공통 주파수를 이용한 하드 핸드오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