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0862A - Apparatus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talk to the connected cellular phone by wireles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talk to the connected cellular phone by wirele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0862A
KR20000030862A KR1020000014610A KR20000014610A KR20000030862A KR 20000030862 A KR20000030862 A KR 20000030862A KR 1020000014610 A KR1020000014610 A KR 1020000014610A KR 20000014610 A KR20000014610 A KR 20000014610A KR 20000030862 A KR20000030862 A KR 20000030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all
signal
transceiver
mobile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46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용식
Original Assignee
최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식 filed Critical 최용식
Priority to KR1020000014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0862A/en
Publication of KR20000030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0862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device is provided to solve the movement of user or the control of a radius of action when wire transmitter and receiver are used generally, to improve a radius of use connected with cellular phone, and to let user move freely. CONSTITUTION: The wireless transmitter and receiver connected with cellular phone comprises 1)a frist wireless transmitter and receiver which uses the fixed frequency distinguished fROM cellular phone, transmitts and distinguished fROM cellular phone, transmitts and receives call signal,2) a second wireless transceiver which outputs the call signal locale fROM a first wireless device to the sound, and changes the sound input fROM outside to fixed frequency.

Description

이동전화기와 무선으로 연결 사용되는 무선 송/수화장치{Apparatus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talk to the connected cellular phone by wireless}Apparatus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talk to the connected cellular phone by wireless}

본 발명은, 이동전화기와 무선으로 연결 사용되는 무선 송/수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전화기(Cellular Phone)와 무선으로 연결 접속되어, 호 착신시 통화 호를 원격으로 개설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통화 호 개설 이후 무선으로 통화음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전화기와 무선으로 연결 사용되는 무선 송/수화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apparatus used in wireless connection with a mobile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wirelessly connect and connect with a cellular phone so that a call can be remotely established when a call is receiv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apparatus used in wireless connection with a mobile phon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all sound wirelessly after a call establishment.

일반적으로 전화기는, 통화자간에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를 음성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가장 보편화된 통신수단으로서, 유선전화기와 이동전화기(Cellular Phone)로 구분되는 데, 상기 유선전화기는 다시 코드(Cord)전화기와 코드리스(Cordless)전화기로 구분된다. 상기 코드리스 전화기는 유선전화기의 본체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휴대장치 즉, 무선송수화기가 별도로 구비된 전화기를 말하는 것으로, 상기 휴대장치는 반드시 유선전화기의 본체와 통신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그 사용범위 즉 통화범위가 극히 제한되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telephone is the most common communication mean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to be communicated between callers by voice, and is divided into a landline telephone and a cellular phone. The landline telephone is again a cord telephone. And cordless telephones. The cordless telephone refers to a portable device capable of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main body of a landline telephone, that is, a phone provided with a wireless handset separately. The portable device must communicate with the main body of a landline telephone for its use range, that is, a call. The range is extremely limited and used.

반면, 상기 이동전화기는 유선전화기의 본체와 상관없이 직접 이동전화망과 접속, 통신함으로써, 광범위한 통화범위를 갖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고품질의 통화서비스 및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동전화기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e telephone has a wide range of communication by directly connect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telephone network irrespective of the main body of the wired telephone, and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high quality call service and various additional services can be provided. As a result, the use of mobile phones is increasing rapidly.

한편, 이와 같은 이동전화기는, 유선으로 연결 접속되어 호 착신시, 통화 호를 원격으로 개설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통화 호 개설 이후 소형 스피커가 내장된 이어폰과, 소형 마이크를 통해 유선으로 통화음을 송수신할 수 있는 유선 송/수화장치가 연결 사용될 수 있는 데, 상기 유선 송/수화장치에 대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such a mobile phone is connected by a wired line, so that when a call is received, the call can be opened remotely, and after the call is established, earphones with a built-in speaker and a small microphone can be used to make a phone call. A wired transmitter / receiver capable of transmitting / receiving may be used in connection. The wired transmitter / receiver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 1은 일반적인 이동전화기와 유선으로 연결 사용되는 유선 송/수화장치의 접속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동전화기(100)의 일측부에 구비된 외부 접속단자(미도시)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 사용되는 유선 송/수화장치(200)는, 통상적으로 '핸즈프리(Hands Free)'라고 지칭되고 있으며, 현재 보편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데, 상기 유선 송/수화장치(200)는, 이동전화기(100)와의 연결 접속을 위한 잭(Jack) 형태의 접속부(21); 소형 스피커가 내장된 이어폰(24); 그리고 소형 마이크(23) 및 훅 온/오프 버튼(22)이 포함 구성된다.First, 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a wired transmission / receiving device used in connection with a general mobile phone by wire, and connected by wire through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not shown)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obile phone 100. The wired handset / handset 200 used is commonly referred to as 'Hands Free', and is now widely used and widely used. The wired handset 100 is a mobile telephone 100. A connection portion 21 in the form of a jack for connection to the connection; Earphone 24 having a small speaker; And a small microphone 23 and the hook on / off button 22 is configured to include.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유선 송/수화장치(200)를 자신의 이동전화기에 연결 접속하여, 보다 편리하게 이동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데, 예를 들어 유선 송/수화장치(200)를 이동전화기에 연결 접속시킨 상태에, 호 착신을 알리는 착신음이 울리거나 또는 착신정보가 이동전화기의 표시창에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유선 송/수화장치(200)에 구비된 훅 온/오프 버튼(22)을 한번 클릭함으로써, 통화 호를 개설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통화 호가 개설된 이후에는 상기 유선 송/수화장치(200)에 구비된 이어폰(24)과 소형 마이크(23)를 사용하여 상대방과 편리하게 통화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connect and connect the wired handset 200 which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o his mobile phone, and thus can use the mobile phone more conveniently. For example, the wired handset 200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when the incoming call ringing to notify the incoming call, or when the incoming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mobile phone, the user is hook on / off button provided in the wired handset / handset 200 By clicking once on (22), a call can be established, and after the call is established, the earphone 24 and the small microphone 23 provided in the wired / handset 200 are used. You can talk to the other party conveniently.

그러나, 상기와 같이 유선 송/수화장치는, 이동전화기와 유선으로 연결 접속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그 연결 사용범위가 유선의 길이에 따라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유선 연결에 따른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그 행동범위가 제약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wired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is used by being connected to a mobile telephone by wire, the use range of the connection is limited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wir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range of behavior was limit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이동전화기와 무선으로 연결 접속되어, 호 착신시 통화 호를 원격으로 개설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통화 호 개설 이후 무선으로 통화음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전화기와의 연결 사용범위를 크게 개선시키고, 또한 사용자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이동전화기와 무선으로 연결 사용되는 무선 송/수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and connected wirelessly, so that the call can be remotely established when the call is received, and the call sound wirelessly after the call is open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iving device which is used in a wireless connection with a mobile phone so as to greatly improve the range of use of the connection with the mobile phone and to allow the user to move freely.

도 1은 일반적인 유선 송/수화장치와 이동전화기의 접속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1 illustrates a connection state between a general wired telephone receiver and a mobile telephon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화장치와 이동전화기의 접속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2 is a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a wireless handset and a han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화장치와 이동전화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3 and 4 illustrate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handset and the han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34,47 : 주파수 변환부 2,33,48 : 변/복조부1,34,47: Frequency converter 2,33,48: Modulator / demodulator

3 : 프로토콜 처리부 4 : 보코더(Vocoder)3: Protocol processing unit 4: Vocoder

5 : 엔코더(Encoder) 6 : 연결 접속부5: Encoder 6: Connection Connection

7,24,42 : 스피커 8,23,46 : 마이크7,24,42: Speaker 8,23,46: Microphone

9 : 표시부(LCD) 10 : 마이컴(Micom)9: LCD 10: Micom

11 : 메모리(Memory) 12 : 키 패드(Key Pad)11: Memory 12: Key Pad

21,32 : 접속부 22,43 : 훅 온/오프 버튼21,32 connection part 22,43 hook on / off button

31,41 : 안테나 44 : 이어 링(Ear Ring)31,41: Antenna 44: Ear Ring

45 : 마이크 리더(Leader) 49 : 클럭 발생부45: microphone reader 49: clock generat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기와 무선으로 연결 사용되는 무선 송/수화장치는, 이동전화기의 일측부에 구비된 외부 접속단자와 삽입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전화기의 주파수 대역과 구별되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호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제1 무선 송수신기; 및 상기 제1 무선 송수신기로부터 전송되는 호 신호를 소리음으로 출력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소리음을 소정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무선 송수신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제2 무선 송수신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ireless handset / receiving apparatus used in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state of being connected to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obile telephone, and the frequency of the mobile telephone. A first radio transceiv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all signal us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distinct from the band; And a second wireless transceiver for outputting a cal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as a sound and converting a sound input from the outside into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to communicate wirelessly with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It feature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기와 무선으로 연결 사용되는 무선 송/수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wireless handset / handset used to wirelessly connect to a mobile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기와 무선으로 연결 사용되는 무선 송/수화장치에 대한 무선 접속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무선 송/수화장치는 이동전화기(100)의 일측부에 구비된 외부 접속단자(미도시)와 삽입 접속되는 제1 무선 송수신기(300)와, 사용자의 신체 일부, 예를 들어 사용자의 귀에 접촉 사용되는 제2 무선 송수신기(400)를 한 쌍으로 하여 구성되는 데, 상기 제2 무선 송수신기(4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무선 송수신기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소형 안테나(41)와, 이어폰 형태의 소형 스피커(42) 및 훅 온/오프 버튼(43)이, 사용자의 귀에 걸려질 수 있도록 한 이어 링(Ear Ring)(44)과 함께 하나의 유니트(Unit) 형태로 근접 배치되며, 또한 사용자의 소리음을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소형 마이크(46)는, 유연성을 갖는 소정 길이의 마이크 리더(Mic Leader)의 종단부에 배치되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First, FIG. 2 illustrates a wireless connection state of a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used in a wireless connection with a mobile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obile telephone 100.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300 is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not shown) and the second part of the user's body, for example,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400 used in contact with the user's ear, As shown in FIG. 2,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400 includes a small antenna 41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a small speaker 42 in earphone form, and a hook on / off button. 43 is arranged in close proximity in a unit form together with an ear ring 44 to be hooked to a user's ear, and a compact microphone for converting a user's sound into an electrical voice signal. 46 is a predetermined flexibility It may be designed in a structure that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length of the microphone leader (Mic Leader).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제2 무선 송수신기(400)를 자신의 귀에 걸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데, 상기 제1, 제2 무선 송수신기 및 이동전화기의 내부 회로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ccordingly,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400 having the above structure by hanging on his or her ear. The internal circuit configu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wireless transceivers and the mobile telephone are described in detail. The explanation is as follows.

먼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화장치가 무선으로 연결 사용되는 일반적인 이동전화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이동전화기(100)는, 이동전화 기지국(BTS: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tation)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또는 이동전화기에서 생성된 신호를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송수신하는 주파수 변환부(1); 상기 송신되는 주파수 신호를 변조하거나 또는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를 복조하는 변/복조부(2); 상기 변/복조되는 신호로부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를 해독 및 부가하는 프로토콜 처리부(3);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3)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디코딩하는 보코더(Vocoder: Voice Decoder)(4); 음성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엔코딩하는 엔코더(Encoder)(5);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3)에서 해독된 데이터에 따라, 호 응답 및 호 처리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10); 상기 마이컴의 동작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1); 상기 마이컴의 호 응답에 상응하여, 호 응답 상태 및 호 착신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9); 상기 디코딩된 음성신호를 소리음으로 출력하는 스피커(7);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소리음을 전기적 음성신호로 신호처리는 마이크(8); 호 착신시 통화 호를 개설시키기 위한 훅 온/오프 버튼이 포함된 키 패드(12); 및 도 2를 참조로 전술한 바 있는 무선 송/수화장치의 제1 무선 송수신기(300)가 연결 접속되는 연결 접속부(6)가 포함 구성되는 데, 상기 연결 접속부(6)에는, 상기 보코더(4)에 의해 디코딩된 음성신호를 연결 접속된 무선 송/수화장치의 이어 폰(EP)으로 출력하기 위한 이어폰 출력단자와, 상기 무선 송/수화장치의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엔코더(5)로 입력시키기 위한 마이크 입력단자, 그리고 상기 무선 송/수화장치의 훅 온/오프 버튼에 의해 발생되는 클럭신호(CLK)를, 상기 마이컴(10)으로 입력시키기 위한 클럭 입력단자가 구비된다.First, FIG. 3 illustrate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general mobile phone in which a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and used wirelessly. The mobile phone 100 may include a base station transceiver station (BTS). A frequency converter (1)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signal generated by the mobile phone or a signal converted into a frequency signal; A modulator / demodulator (2) for modulating the transmitted frequency signal or demodulating the received frequency signal; A protocol processor (3) for decrypting and adding data for communication from the modulated / demodulated signal; A vocoder (Vocoder) 4 for decoding the voice data output from the protocol processor 3 into a voice signal; An encoder 5 for encoding a voice signal into voice data; A microcomputer 10 for controlling a call response and a call process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data decoded by the protocol processor 3; A memory 11 for storing data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icrocomputer; A display unit 9 for displaying a call response state and call recep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ll response of the microcomputer; A speaker (7) for outputting the decoded voice signal as sound; Signal processing is performed by the microphone 8, the sound is input from the outside into an electrical voice signal; A keypad 12 including a hook on / off button for opening a call when a call is received; And a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6 to which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300 of 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is connected. Th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6 includes the vocoder 4. And an earphone output terminal for outputting the audio signal decoded by the < RTI ID = 0.0 > A microphone input terminal for inputting to the encoder 5, and a clock input terminal for inputting the clock signal CLK generated by the hook on / off button of the radio transceiver, to the microcomputer 10. do.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화장치인 제1 무선 송수신기와 제2 무선 송수신기에 대한 내부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1 무선 송수신기(300)는, 제2 무선 송수신기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소형 안테나(31);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이동전화기에서의 주파수 신호와는 구별된 소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34); 상기 송신되는 주파수 신호를 변조하거나 또는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를 복조하는 변/복조부(33); 및 상기 이동전화기에 구비된 연결 접속부(6)에 삽입 접속되는 잭 형태의 접속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상기 제2 무선 송수신기(400)는, 제1 무선 송수신기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소형 안테나(41);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제1 무선 송수신기에서의 주파수 신호와 대응되는 소정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47); 상기 송신되는 주파수 신호를 변조하거나 또는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를 복조하는 변/복조부(48); 및 상기 복조된 음성신호를 소리음로 출력하는 이어 폰 형태의 스피커(42);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소리음을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46); 및 상기 이동전화기에 호 착신시, 통화 호를 개설시키기 위한 훅 온/오프 버튼(43); 그리고 상기 훅 온/오프 버튼의 입력여부에 따라, 훅 온/오프에 해당하는 클럭신호를 발생시키는 클럭 발생부(4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전화기(100) 및 제1, 제2 무선 송수신기(300,400)간에 이루어지는 동작설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Meanwhile, FIG. 4 illustrate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first wireless transceiver and a second wireless transceiver, which ar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300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a second wireless transceiver. A small antenna 31 for making; A frequency converter (34) for converting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into a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distinct from the frequency signal of the mobile telephone; A modulator / demodulator (33) for modulating the transmitted frequency signal or demodulating the received frequency signal; And a jack-shaped connecting portion 32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onnecting portion 6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while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400 is a small size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An antenna 41; A frequency converter 47 for converting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into a frequency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signal from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A modulator / demodulator 48 for modulating the transmitted frequency signal or demodulating the received frequency signal; And an earphone-shaped speaker 42 for outputting the demodulated voice signal as sound. A microphone 46 for converting sound input from the outside into an electrical voice signal; And a hook on / off button 43 for opening a call when the call is received on the mobile telephone. And a clock generator 49 for generating a clock signal corresponding to the hook on / off, depending on whether the hook on / off button is input. The mobile telephone 100 and the second component a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peration descriptions mad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wireless transceivers 300 and 4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사용자는 상기 제2 무선 송수신기(400)에 구비된 이어 링(44)을 자신의 귀에 걸어, 상기 제2 무선 송수신기에 구비된 이어폰 형태의 스피커(42)가 자신의 귀에 접촉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제1 무선 송수신기(300)의 접속부(32)를 자신이 사용하는 이동전화기(100)의 일측부에 구비된 연결 접속부(6)에 삽입 접속시킨 후, 상기 제1 무선 송수신기(300)가 삽입 접속된 이동전화기(100)를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이동전화기에 호 착신시, 통화 호를 원격으로 개설시키거나, 또는 통화 호 개설 이후 무선으로 통화음을 송수신할 수 있게 되는 데, 우선 상기와 같이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이동전화기(100)에 호가 착신되어 착신음이 울리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2 무선 송수신기(400)에 구비된 훅 온/오프 버튼(43)을 한번 클릭하게 된다.First, the user hangs the ear ring 44 provided on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400 to his or her ear so that the speaker 42 of the earphone type provided on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is in contact with his or her ear. After connecting the connection portion 32 of the first radio transceiver 300 to the connection connection portion 6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bile phone 100 used by the first radio transceiver 300, the first radio transceiver 300 is inserted While the connected mobile phone 100 is fix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mobile phone, when a cal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phone, a call can be opened remotely, or after the call is established, the call sound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irelessly. First, when a call is received by a call to the mobile phone 100 which is fix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as described above, the user hears the hook on / off button 43 provided in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400 once. click Done.

이에 따라, 상기 제2 무선 송수신기(400)의 클럭 발생부(49)에서는, 통화 호를 개설하기 위한 훅 오프에 해당하는 클럭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 데, 상기 클럭신호는, 변/복조부(48) 및 주파수 변환부(47)에 의해 소정 주파수 대역(TX)의 주파수 신호로 변조 및 변환된 후, 상기 제1 무선 송수신기(300)로 무선 전송된다.Accordingly, the clock generator 49 of the second radio transceiver 400 generates a clock signal corresponding to a hook-off for establishing a call. The clock signal is a modulator / demodulator 48. And the frequency converter 47 modulates and converts the frequency signal into a frequency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TX, and then wirelessly transmits the frequency signal to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300.

한편, 상기와 같이 무선 전송되는 신호는, 상기 제1 무선 송수신기의 주파수 변환부(34) 및 변/복조부(33)에 의해 변환 및 복조된 후, 접속부(32)를 통해 이동전화기(100)의 마이컴(10)으로 입력되므로, 상기 마이컴(10)에서는 이동전화기의 프로토콜 처리부(3)를 제어하여, 통화 호를 개설시키게 된다. 즉, 이동전화기에 통화 호를 개설시켜, 통화 호 개설 이후 이동전화망을 통해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 데이터가, 보코더(4)에 의해 음성신호로 디코딩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디코딩된 음성신호가 연결 접속부(6)의 이어폰 출력단자(EP)를 통해 제1 무선 송수신기로 출력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signal transmitted wirelessly is converted and demodulated by the frequency converter 34 and the modulator / demodulator 33 of the first radio transceiver, and then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100 through the connection unit 32. Since the microcomputer 10 is input to the microcomputer 10, the microcomputer 10 controls the protocol processing unit 3 of the mobile phone to establish a call. That is, a call is established in the mobile phone so that the voice data of the other party received through the mobile phone network after the call is established is decoded into a voice signal by the vocoder 4, and the decoded voice signal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onnection unit ( Through the earphone output terminal (EP) of 6) to be output to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이에 따라, 상기 제1 무선 송수신기의 변/복조부(33) 및 주파수 변환부(34)에서는, 상기 연결 접속부(6)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RX)로 변조 하여, 제2 무선 송수신기(400)로 송신하게 되고, 상기 제2 송수신기의 주파수 변환부(47) 및 변/복조부(48)에서는 이를 주파수 변환 및 복조하여, 이어폰 형태의 스피커(42)로 출력하게 된다.Accordingly, in the modulator / demodulator 33 and the frequency converter 34 of the first radio transceiver, as described above, the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connection connection unit 6 receives a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 RX) modulates the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400. The frequency converter 47 and the modulator / demodulator 48 of the second transceiver perform frequency conversion and demodulation, thereby recognizing an earphone-shaped speaker ( 42).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귀에 걸려있는 제2 무선 송수신기의 스피커(42)를 통해 상대방의 소리음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user can listen to the sound of the other party through the speaker 42 of the second radio transceiver hanging on his or her ear.

한편, 상기 제2 무선 송수신기에 구비된 마이크(4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소리음은, 상기 마이크(46)에 의해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된 후, 상기 변/복조부(48) 및 주파수 변환부(47)에 의해 소정 주파수 대역(TX)의 신호로 변조 및 변환되어, 제1 무선 송수신기(300)로 무선 전송된다.On the other hand, the sound of the user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46 provided in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voice signal by the microphone 46, the modulator / demodulator 48 and the frequency converter By 47, the signal is modulated and converted into a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TX, and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first radio transceiver 300.

이에 따라, 상기 제1 무선 송수신기의 변/복조부(33) 및 주파수 변환부(34)에서는, 상기 무선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주파수 변환 및 보조한 후, 상기 접속부(32)를 통해 이동전화기의 엔코더(5)로 출력하게 되므로, 상기 엔코더에 의해 엔코딩된 음성 데이터가 이동전화망을 통해 전송되어 상대방이 이를 청취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modulator / demodulator 33 and the frequency converter 34 of the first radio transceiver receive the radio transmitted signal, convert the frequency, and assist the radio signal. Since it is output to the encoder 5, the voice data encoded by the encoder is transmitted through the mobile telephone network so that the other party can listen to it.

이후, 통화를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무선 송수신기에 구비된 훅 온/오프 버튼을 한번 더 클릭하여, 개설된 통화 호를 원격으로 차단 종료시킬 수 있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call is to be terminated, the hook-on / off button provided in the second radio transceiver may be clicked once more to remotely terminate the established call.

상기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귀에 걸려 있는 제2 무선 송수신기의 훅 온/오프 버튼을 이용하여, 소정 거리 떨어져 있는 이동전화기에 통화 호를 원격으로 개설 또는 차단 종료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제1 무선 송수신기와의 제2 무선 송수신기간의 무선 통신을 통해 상대방과 자유롭게 통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remotely open or block a call by using a hook on / off button of a second wireless transceiver that is held in his or her ear, and the first wireless It is possible to talk freely with the other party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during the second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period with the transceiver.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improve and change various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appended claims below. , Replacement or addition would be possible.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기와 무선으로 연결 사용되는 무선 송/수화장치는, 이동전화기와 무선으로 연결 접속되어, 호 착신시 통화 호를 원격으로 개설시키거나 또는 통화 호를 원격으로 차단 종료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통화 호 개설 이후 상대방과 무선으로 통화음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적인 유선 송/수화장치의 연결 사용시 발생되는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그 행동범위의 제약 등을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이동전화기와의 연결 사용범위를 크게 개선시키고, 또한 사용자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apparatus used in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and connected wirelessly with the mobile telephone to open a call remotely when a call is received or remotely make a call. It is possible to terminate the blocking, and also to send and receive a call sound wirelessly with the other party after the call is established, thereby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user or the limitation of the range of action that occurs when using a typical wired / handset device. As well as being able to solve,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greatly improves the use range of the connection with the mobile phone, and also allows the user to move freely.

Claims (6)

이동전화기의 일측부에 구비된 외부 접속단자와 삽입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전화기의 주파수 대역과 구별되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호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제1 무선 송수신기; 및A first radio transceiv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all signal us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distinguished from a frequency band of the mobile telephone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obile telephone; And 상기 제1 무선 송수신기로부터 전송되는 호 신호를 소리음으로 출력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소리음을 소정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무선 송수신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제2 무선 송수신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기와 무선으로 연결 사용되는 무선 송/수화장치.And a second radio transceiver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radio transceiver by outputting a cal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radio transceiver as a sound and converting a sound input from the outside into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Wireless handset used for wireless connection with mobile phone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무선 송수신기는,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상기 이동전화기의 일측부에 구비된 외부 접속단자와 삽입 접속되는 접속부;A connection part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obile telephone; 상기 호 신호를 변조 또는 복조하는 변/복조부;A modulator / demodulator for modulating or demodulating the call signal; 상기 변/복조되는 신호를 소정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 및A frequency converter converting the modulated / demodulated signal into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And 상기 제2 무선 송수신기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기와 무선으로 연결 사용되는 무선 송/수화장치.And a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connected to the mobile tele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wireless transceiv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무선 송수신기는,The second radio transceiver, 상기 제1 무선 송수신기로부터 전송되는 호 신호를 소리음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A speaker for outputting a cal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as sound;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된 소리음을 전기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마이크;A microphone converting and outputting the sound sound input from the outside into an electric signal; 상기 스피커 또는 마이크로부터 입/출력되는 신호를 변조 또는 복조하는 변/복조부;A modulator / demodulator for modulating or demodulating a signal input / output from the speaker or the microphone; 상기 변/복조되는 신호를 소정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 및A frequency converter converting the modulated / demodulated signal into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And 상기 제1 무선 송수신기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기와 무선으로 연결 사용되는 무선 송/수화장치.Wireless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s used in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le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2 무선 송수신기는,The second radio transceiver, 상기 이동전화기에 호가 착신되는 경우, 통화 호를 개설시키기 위한 훅 온/오프 버튼; 및A hook on / off button for opening a call when the call is received on the mobile telephone; And 상기 훅 온/오프 버튼에 상응하는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는 클럭 발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기와 무선으로 연결 사용되는 무선 송/수화장치.And a clock generator for generating a clock signal corresponding to the hook on / off button. 이동전화기의 일측부에 구비된 외부 연결단자에 삽입 접속되는 제1 무선송수신기; 및A first wireless transmitter and receiver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obile telephone; And 상기 제1 무선 송수신기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와 이어폰 형태의 소형 스피커가, 사용자의 귀에 걸려질 수 있도록 한 이어 링과 함께 하나의 유니트 형태로 근접 배치되고, 사용자의 소리음을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소형 마이크가 유연성을 갖는 소정 길이의 마이크 리더의 종단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 제2 무선 송수신기가 한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기와 무선으로 연결 사용되는 무선 송/수화장치.A small speaker in the form of an antenna and an earphone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wireless transceiver is disposed in close proximity in a unit form with an ear ring to be hooked to a user's ear, and converts a user's sound into an electrical voice signal. And a second wireless transceiv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small microphone is arranged in a terminal portion of a microphone read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which is flexible.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유니트에는, 훅 온/오프 버튼이 함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기와 무선으로 연결 사용되는 무선 송/수화장치.And a hook on / off button is disposed in the unit.
KR1020000014610A 2000-03-22 2000-03-22 Apparatus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talk to the connected cellular phone by wireless KR2000003086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4610A KR20000030862A (en) 2000-03-22 2000-03-22 Apparatus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talk to the connected cellular phone by wirel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4610A KR20000030862A (en) 2000-03-22 2000-03-22 Apparatus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talk to the connected cellular phone by wirele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0862A true KR20000030862A (en) 2000-06-05

Family

ID=1965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4610A KR20000030862A (en) 2000-03-22 2000-03-22 Apparatus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talk to the connected cellular phone by wirele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086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06923B1 (en) Wireless hands-free system with silent user signaling
KR20020046772A (en) Bluetooth access point for the interface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US7251498B2 (en) Radio headset system
KR100415557B1 (en)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KR200198069Y1 (en) An wireless network system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a data and voice
KR20000030862A (en) Apparatus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talk to the connected cellular phone by wireless
KR200293071Y1 (en) Hand phone case for moving character
KR20030035169A (en) Interlocking video phone with wireless phone
KR100820549B1 (en) Apparatus using blue tooth for calling
KR100266275B1 (en) Hand free kit for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KR200202242Y1 (en) Radio Transmission and Receiv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Phone
KR20010027960A (en) Wireless Hands Free Kit For Cell ular Phone
KR200244227Y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wireless headset
JP3104614B2 (en) Simple repeater with PHS
JPS63187847A (en) Cordless telephone set
KR200218557Y1 (en) wireless hands free system for mobile phone
KR200221549Y1 (en) The receiving converter of mobilephone
KR100323283B1 (en) Apparatus for receiving mobile phone call
KR200197344Y1 (en) A telephone for performed phonetic communication of wireless terminal
JP2006180008A (en) Telephone s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01097492A1 (en) Crad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295057Y1 (en) Telephone conversation apparatus using a bluetooth
KR20010036594A (en) Wireless porterble-telephone system of handsfree type for outside signal
KR100877845B1 (en) Wireless terminal in connect with headset or earset using ip phone
KR200372538Y1 (en) Telephone Having PT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