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9175A - 다중 모드 동작의 전원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모드 동작의 전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9175A
KR20000029175A KR1019990045268A KR19990045268A KR20000029175A KR 20000029175 A KR20000029175 A KR 20000029175A KR 1019990045268 A KR1019990045268 A KR 1019990045268A KR 19990045268 A KR19990045268 A KR 19990045268A KR 20000029175 A KR20000029175 A KR 20000029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load circuit
voltage
mode
supply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5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0007B1 (ko
Inventor
나스가우탐(엔엠엔)
Original Assignee
크리트먼 어윈 엠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트먼 어윈 엠,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크리트먼 어윈 엠
Publication of KR20000029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9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0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02M3/3352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with galvanic isolation between input and output of both the power stage and the feedback loo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25Arrangements for modifying reference values, feedback values or error values in the control loop of a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83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 H02M1/009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having two or more independently controlled outpu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Abstract

영상 기기는 데이터 포착 모드(DAM) 모듈을 구비한다. DAM 모듈은 TV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한다. 변압기의 제1 권선으로부터 얻어진 대기 전원 전압은 오직 사용자가 설정한 계획된 시간동안 DAM 모듈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인가된다. 변압기의 제2 권선으로부터 발생된 B+ 전원 전압은 실행 모드동안 편향 회로를 활성화시킨다. B+ 전압은 음의 피드백 경로에서 전압 조정기에 인가된다. DAM 모듈이 활성화될 때, 편향 회로는 턴 오프 된다. 활성화된 DAM 모듈은 변압기의 제1 권선으로부터 전류 소모를 크게 증가시킨다. 스위치는 B+ 전압의 피드백 경로 내에 연결된다. 스위치는 DAM 동작시 조정기에 피드백 되는 B+ 전압 부분의 감쇄를 일으킨다. 그러므로, 대기 전원 전압이 DAM 동작동안 감소하려는 경향은 보상된다.

Description

다중 모드 동작의 전원 장치{POWER SUPPLY WITH MULTIPLE MODE OPERATION}
본 발명은 영상 표시 기기의 전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TV 수상기에 제공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고, 대기 모드와 파워 온, 실행 또는 일반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일반 모드에서, TV 수상기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처리하고 이들 신호를 표시하도록 동작한다.
일반적으로, 편향 회로는 전원 전압인 B+의 소스로부터 활성화 된다. B+ 전원 전압은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의 조정기에서 조정되고 변압기의 제1 권선에서 발생된 전압으로부터 생성된다. B+ 전압 부분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음의 피드백 경로를 통하여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조정기의 제어 입력으로 피드백 된다.
대기 모드에서, 편향단은 디스에이블 되고 제1 권선으로부터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다. 변압기의 제2 권선에서 발생된 전압으로부터 생성된 대기 전원 전압이 대기 동작 모드시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원격 제어 회로를 활성화 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대기 전원 전압의 조정은 B+ 전원 전압을 감지함으로써 피드백 경로에서 간접적으로 얻어진다. 변압기의 제1 및 제2 권선이 자기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또한 B+ 전압의 조정은 결국 대기 전원 전압의 조정이 되고 여기에서는 크로스 조정(cross-regulation)이라고 칭한다.
본 발명의 사상을 구체화하는 TV 수상기는 예컨대 데이터 포착 모드(DAM) 모듈을 포함한다. DAM 모듈은 TV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 정보는 수직 귀선 소거 간격동안 선택된 방송국 상으로 전송된다. DAM 모듈은 대기 전원 전압으로부터 얻어진 전원 전압으로부터 활성화된다. 이 얻어진 전원 전압은 오직 사용자가 설정한 계획된 시간동안 전환되고,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대기 동작의 정지(rest)시에는 턴 오프 된다. DAM 모듈이 활성화 될 때에 편향 회로가 디스에이블 된다. 그러나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상기단이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DAM 모듈은 전류 소모의 큰 증가를 변압기의 제2 권선으로부터 일으킨다. 제1 및 제2 권선 사이의 자기적인 결합은 이상적인 변압기에서처럼 타이트하게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디스에이블 되어 있는 편향 회로에서 기인하는 제1 권선의 감소된 로딩과 활성화되어 있는 DAM 모듈에서 기인하는 제2 권선의 증가된 로딩은 불리하게도 전술한 크로스 조정을 손상시키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실행 모드 동안에 그 레벨에 관련되어 DAM 동작동안 대기 전원 전압이 감소된다. DAM 모듈이 활성화 될 때에 로딩 변화에 대한 보상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을 실행함에 있어서, 스위치가 B+ 전압의 조정 피드백 경로 내에 연결된다. 스위치는 대기 동작 동안에 턴 온 된다. 스위치는 대기 동작시에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의 제어 입력에 피드백 되는 전압 B+ 부분의 감쇄를 일으킨다. 따라서, 펄스폭 변조기는 바람직하게도 대기 전원 전압을 증가시켜서 대기 전원 전압이 감소하려는 경향에 대해 보상한다.
도 1은 발명의 특성을 구체화하는 TV 수상기의 전원 장치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변압기
10 : 전원 장치
24 : 원격 제어 수신기/마이크로프로세서
25 : 수평 발진기 및 구동기
26 : 수평 편향 회로
28 : 플라이백 변압기
31 : 펄스폭 변조기(PWM)
41 : 전압 조정기
42 : 데이터 포착 모드 모듈
47 : 브리지 정류기
발명의 특성을 구체화하는 영상 표시 전원 장치는 제1 로드 회로가 활성화될 때에 제1 로드 회로에 인가된 제1 전원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출력단을 구비한다. 제1 로드 회로에 인가된 제1 온/오프 제어 신호의 신호원은 온/오프 제어 신호에 따라서 제1 로드 회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시키는 데 이용된다. 제1 로드 회로가 활성화 될 때와 비활성화 될 때에 나타나는 로딩 차이는 제1 전원 전압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제1 온/오프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피드백 스위칭 네트워크는 제1 로드 회로가 활성화 될 때와 비활성화 될 때에 제1 전원 전압으로부터 피드백 신호를 발생시킨다. 피드백 신호는 제1 전원 전압을 음의 피드백 방식으로 조정하기 위해 전압 조정기에 인가된다. 피드백 신호 및 제1 전원 전압은 제1 로드단이 활성화 될 때에 그들 사이에 제1 비율을 가지며, 제1 로드단이 비활성화 될 때에는 상이한 제2 비율을 갖는다.
도 1은 전원 장치(10)를 포함하는 TV 수상기 회로부를 도시한다. 전원 장치(10)는 조정되지 않은 전압 UV를 생성하는 브리지 정류기(47)에 연결된다. UV 전압은 변압기(5)의 제1 권선(4b)에 인가된다. 권선(4b)은 스위칭 트랜지스터(QC)의 콜렉터에 연결된다. 종래의 펄스폭 변조기(31)는 권선(4b)에서 종래의 방식으로 전류 펄스를 발생시키기 위해 트랜지스터(QC)의 베이스에 연결된다. 펄스폭 변조기(31)는 UV 전압에 연결되는 시동 저항(11)을 통하여 처음으로 활성화된다. 펄스폭 변조기(31)는 시동 간격 후에 다이오드(12)를 통하여 변압기(5)의 제2 권선(4a)에서 발생된 전압으로부터 종래 방식으로 활성화된다. 조정된 출력 전원 전압(B+)은 변압기(5)의 권선(8)에서 정류기(13)에 의해 발생된 전압으로부터 생성된다. 유사하게, 조정된 출력 전원 전압(V1)은 변압기(5)의 권선(6)에서 정류기(14)에 의해 발생된 전압으로부터 생성된다.
수평 편향 회로(26)는 스위칭 트랜지스터(26a)에 연결된 수평 편향 권선(LY)을 구비한다. 트랜지스터(26a)는 플라이백 변압기(28)의 제1 권선(29)에 연결된다. B+ 전압는 트랜지스터(26a)에서 떨어져 있는 권선(29)의 단자에 발생된다. 회로(26)는 고압 권선(30)에서 수평 플라이백 펄스를 생성시킨다. 따라서, 울터 전압(U)이 발생된다. 저압 권선(15)은 전원 전압(V3)을 발생시키는 정류기(16)에 연결된다. V3 전압은 예컨대 도시하지 않은 수직 편향 회로를 활성화시키도록 인가될 수 있다.
V1 전압은 원격 제어 수신기/마이크로프로세서(24)를 활성화하도록 인가된다. 원격 제어 수신기/마이크로프로세서(24)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것과 같이 실행 모드동안 온 상태를 가지며, 대기 모드 동안에는 오프 상태를 갖는 신호(DEF-ON/OFF)를 생성한다. 온 상태가 생성될 때, 수평 발진기 및 구동기(25)는 실행 모드시의 동작을 위한 수평 편향 회로(26)에 인가되는 수평선 펄스를 생성한다. 결국, 권선(8)을 포함하는 전류 경로에 흐르는 전원 전류(i29)가 생성된다. 오프 상태가 생성될 때, 수평 발진기 및 구동기(25)는 대기 모드시에 수평선 펄스를 생성하게 하고 수평 편향 회로(26)는 디스에이블 된다. 결국, 전원 전류(i29)는 크게 감소한다. 따라서, V3 전압이 실행 동작 모드 동안에 발생되고, 대기 모드 동안에는 턴 오프 된다.
B+ 전압의 조정은 본 발명의 특성을 구체화하는 피드백 스위칭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B+ 전압 부분을 형성하는 VFB 전압을 펄스폭 변조기(31)의 제어 입력에 인가함으로써 얻어진다. V1 전압의 조정은 변압기(5)의 권선(6, 8)의 자기적인 결합 때문에 크로스 조정이라 칭하는 B+ 전압의 조정으로부터 간접적으로 얻어진다.
데이터 포착 모드(DAM) 모듈(42)은 TV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 정보는 수직 귀선 소거 간격동안 선택된 방송국 상으로 전송된다. 모듈(42)은 전압 조정기(41)에서 생성되고 대기 전원 전압(V1)으로부터 얻어진 전원 전압(V2)으로부터 활성화된다. 조정기(41)는 예컨대 도시하지 않은 스위칭 직렬 통과 조정기(series pass regulator)를 구비한다.
원격 제어 수신기/마이크로프로세서(24)는 DAM 모듈(42)의 동작이 요구될 때에 온 상태를 가지며 DAM 모듈(42)의 동작이 요구되지 않을 때에 오프 상태를 갖는 온/오프 제어 신호(DAM-ON/OFF)를 생성한다. 온/오프 제어 신호(DAM-ON/OFF)는 조정기(41)에 인가된다. V2 전압이 사용자에 의해 계획된 것과 같이 오직 계획된 시간 동안에 온/오프 제어 신호(DAM-ON/OFF)의 온 상태에 따라 턴 온 된다. 다른 시간에는 V2 전압이 턴 오프 된다. 그러므로, 바람직하게도 DAM 모듈(42)이 입력되는 정보를 처리할 필요가 없을 때에 전력 과소비가 방지된다.
DAM 모듈(42)이 활성화될 때에 편향 회로(26)가 디스에이블 된다. 반면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신기단(도시하지 않음)이 활성화된다. 실행 모드동안, 전원 전류(i29)는 결과적으로 변압기(5)의 권선(8)에 관하여 상당한 로드가 된다. 반대로, DAM 모듈(42)이 활성화 될 때에 실행 동작 모드를 벗어나면 권선(8)은 로드되지 않는다.
활성화된 DAM 모듈(42)은 변압기(5)의 권선(6)으로부터 전원 전류(i6)의 레벨을 매우 크게 한다. 이상 변압기에서와 같이 권선(6)과 권선(8) 사이의 자기저인 결합은 단단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디스에이블 되어 있는 편향 회로(26)에서 비롯된 권선(8)에서의 감소된 로딩은 불리하게도 활성화되어 있는 DAM 모듈(42)에서 비롯된 권선(6)에서의 증가된 로딩과 함께 DAM 동작 동안에 전원 전압(V1)의 감소를 일으키는 경향이 있다. 변압기(5)에서의 불완전한 자기적 결합 때문에 전원 전압(V1)의 감소가 일어난다. 대기 및 실행 모드 동안에 DAM 동작 동안 그 레벨에 관하여 V1 전압의 감소가 V1 전압과 B+ 전압 사이의 비율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일어난다. 만약 보상되지 않는다면, V1 전압의 감소 경향은 불리하게도 조정기(41)의 전압(V2)을 조정기(41)에서 적당한 조정을 유지하기에는 불충분한, 매우 낮은 레벨이 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을 실행함에 있어서, 트랜지스터 스위치(43)는 피드백 스위칭 네트워크(300)에 포함된다. 피드백 스위칭 네트워크(300)는 B+ 전압이 인가되는 저항(45)과 접합 단자(47)에 연결된 저항(46)에 의해 형성된 저항성 분압기를 구비한다. 변조기(31)에 인가된 피드백 전압(VFB)이 단자(47)에서 발생된다. 단자(47)는 주지의 방식으로 핫 그라운드/콜드 그라운드(hot-ground/cold-ground) 절연을 제공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은 광 결합기를 통하여 변조기(31)에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 트랜지스터(43)는 저항(48)을 통하여 접합 단자(47)에 연결된다. 저항(48) 및 트랜지스터(43)에 의해 형성된 직렬 배열은 스위치 트랜지스터(43)가 턴 온 될 때, DAM 동작시에 VFB 전압의 감쇄를 일으킨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도 음의 피드백 루프는 보상을 제공하기 위해 전원 전압(V1)을 실행 모드 동안에 발생된 레벨과 근사한 레벨까지 증가시킨다. 대기 동작 모드를 벗어나서 스위치 트랜지스터(43)가 각각의 130V 및 16V의 공칭 전압 레벨에서 B+ 전압 및 V1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해 턴 오프 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도 VFB 전압과 B+ 전압 사이의 비율은 스위치 트랜지스터(43)의 상태에 따라서 변화한다. 바람직하게도, 피드백 스위칭 네트워크(300)는 실행 모드 및 대기 모드시에 B+ 전압을 변조기(31)에 공급한다. 그럼으로써, 저항(45)을 포함하는 공통 피드백 경로가 각 동작 모드에서 형성된다. 따라서, 피드백 경로가 단순해진다.
트랜지스터(43)는 편향 회로(26)가 활성화될 때, 오직 실행 모드에서 발생되는 전원 전압(V3)에 의해 제어된다. 전원 전압(V3)은 트랜지스터 스위치(52)를 턴 온 하기 위해 커패시터(51)와 함께 필터(55)를 형성하는 저항(50)을 통하여 트랜지스터 스위치(52)의 베이스 전극에 인가된다. 트랜지스터(52)가 턴 온 될 때, 트랜지스터(52) 콜렉터 전압은 0이다. 따라서, 트랜지스터(52)의 0 볼트 콜렉터 전압은 다이오드(53)를 통하여 트랜지스터(43)의 베이스 전극에 공급되어 트랜지스터(43)를 비전도되게 한다.
다른 한편, 대기 모드 및 DAM 동작동안 편향 회로(26)가 디스에이블 될 때, 트랜지스터(52)는 비전도된다. 트랜지스터(52)의 콜렉터 전압은 V1 전압이 인가되는 풀업 저항(54)을 통하여 풀업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52)의 콜렉터 전압은 트랜지스터(43)를 턴 온 하기에 충분히 크다. DAM 동작동안, B+ 전압 및 V1 전압은 각각 140V 및 17.5V의 전압 레벨이다. 트랜지스터(43) 및 이와 관련된 회로가 이용되지 않고, V1 전압이 크게 하강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43)는 바람직하게도 일반 동작 범위 내에서 전압 조정기(41)를 동작시키기에 충분한 레벨까지 V1 전압을 증가시킨다.
V3 전압에 의해 트랜지스터(52)를 제어하는 대안으로서, 원격 제어 수신기/마이크로프로세서(24)는 점선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V3 전압 대신에 저항(50)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24a)를 생성한다. 신호(24a)는 DAM 동작 동안에 온 상태이고, 실행 동작 모드를 포함해서 DAM 동작을 벗어나서는 OFF 상태이다. 이러한 대안의 트랜지스터(52)의 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이 V3 전압이 트랜지스터(52)를 제어하도록 이용될 때의 동작과 유사하다.
DAM 모듈(42)은 예컨대 영상 테이프 레코더(도시하지 않음)와 같은 다른 영상 기기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트랜지스터 스위치(43)와 유사한 트랜지스터 스위치가 대응되는 전원 장치의 스위칭 피드백(300)과 유사한 피드백 스위칭 네트워크에 포함될 수 있다.

Claims (18)

  1. 제1 로드 회로에 접속되어, 실행 동작 모드시에 상기 제1 로드 회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고, 대기 동작 모드시에는 상기 제1 로드 회로를 활성화 상태로부터 디스에이블시키는 제1 온/오프 제어 신호의 신호원과;
    제2 로드 회로에 접속되어, 적어도 상기 대기 동작 모드의 제1 부분동안 상기 제2 로드 회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고, 적어도 상기 대기 동작 모드의 제2 부분동안에는 상기 제2 로드 회로를 활성화 상태로부터 디스에이블시키는 제2 온/오프 제어 신호의 신호원과;
    전원 전압을 발생시켜서 상기 제1 로드 회로 및 상기 제2 로드 회로를 활성화시키는 전원 공급단과;
    상기 전원 전압중 1개의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1개의 전원 전압을 음의 피드백 방식으로 조정하기 위해 상기 전원 공급단의 입력에 인가되는 피드백 신호를 발생시키는 피드백 스위칭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피드백 신호는 상기 대기 동작 모드 및 실행 동작 모드동안 상기 1개의 전원 전압으로부터 발생되며, 상기 실행 모드동안 상기 제1 로드 회로가 활성화될 때에 피드백 신호와 상기 1개의 전원 전압 사이에 선택적으로 제1 비율을 가지고, 상기 대기 동작 모드의 상기 제1 부분동안 상기 제2 로드 회로가 활성화될 때에는 상기 제1 비율과 상이한 제2 비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기 전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스위칭 네트워크는 상기 제1 온/오프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비율차를 생성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인 영상 기기 전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단은 제1 권선을 구비하여 이 제1 권선에서 발생한 전압으로부터 제1 전원 전압을 발생시켜서 편향 회로를 활성화시키며 제2 권선을 구비하여 이 제2 권선에서 발생한 전압으로부터 제2 전원 전압을 발생시켜서 상기 제2 로드 회로를 활성화시키는 변압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온/오프 제어 신호의 신호원은 상기 편향 회로에 연결되어, 상기 대기 및 실행 동작 모드시 상기 변압기에서 생성된 전류의 차이가 상기 실행 동작 모드에서의 상기 제1 및 제2 전원 전압에 비례하여 상기 대기 동작 모드시의 상기 제1 및 제2 전원 전압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편향 회로를 상기 대기 동작 모드시의 활성화 상태로부터 디스에이블시키는 것인 영상 기기 전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 전압은 상기 변압기를 통하여 크로스 조정된 것인 영상 기기 전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드 회로는 데이터 포착 모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인 영상 기기 전원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회로는 상기 제1 온/오프 제어 신호에 따라서 결정되는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피드백 스위칭 네트워크는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비율을 변화시키는 것인 영상 기기 전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드 회로는 편향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로드 회로는 데이터 포착 모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인 영상 기기 전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치가 상기 1개의 전원 전압과 전압 조정기 사이의 피드백 신호 경로에 연결된 것인 영상 기기 전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신호 경로는 분압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분압기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상기 분압기의 임피던스들 사이의 비율을 변화시키는 것인 영상 기기 전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단은 펄스폭 변조기를 포함하는 것인 영상 기기 전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비율 차이는 상기 1개의 전원 전압 크기의 변화를 보상하는 것인 영상 기기 전원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신호는 상기 제1 로드 회로가 활성화될 때와 상기 제1 로드 회로가 활성화 상태로부터 디스에이블될 때에 발생되는 것인 영상 기기 전원 장치.
  13. 제1 로드 회로에 접속되어, 실행 동작 모드시에 상기 제1 로드 회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고, 대기 동작 모드시에는 상기 제1 로드 회로를 활성화 상태로부터 디스에이블시키는 제1 온/오프 제어 신호의 신호원과;
    제2 로드 회로에 접속되어, 적어도 상기 대기 동작 모드의 제1 부분동안 상기 제2 로드 회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고, 적어도 상기 대기 동작 모드의 제2 부분 동안에는 상기 제2 로드 회로를 활성화 상태로부터 디스에이블시키는 제2 온/오프 제어 신호의 신호원과;
    제1 권선을 구비하여 이 제1 권선에서 생성된 전압으로부터 제1 전원 전압을 발생시켜서 상기 제1 로드 회로를 활성화시키고, 제2 권선을 구비하여 이 제2 권선에서 생성된 전압으로부터 제2 전원 전압을 발생시켜서 상기 제2 로드 회로를 활성화시키는 변압기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단과;
    상기 변압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원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전원 전압이 크로스 조정되도록 상기 제1 전원 전압을 음의 피드백 방식으로 조정하는 전압 조정기와;
    상기 제1 전원 전압을 상기 전압 조정기에 인가시켜서 그 제1 전원 전압에 따라 상기 전압 조정기를 제어하는 분압기와;
    스위치 제어 신호의 신호원과;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에 응답하고 상기 분압기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분압기의 임피던스들 사이의 비율을 변화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기 전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드 회로가 활성화될 때의 대기 동작 모드시와 상기 제1 로드 회로가 활성화될 때의 실행 동작 모드시에 상기 변압기에서 생성된 전류의 차이는 상기 제2 전원 전압을 변화시키고, 상기 스위치의 동작은 상기 제2 전원 전압의 변화를 보상하는 것인 영상 기기 전원 장치.
  15. 제1 로드 회로에 접속되어, 실행 동작 모드시에 상기 제1 로드 회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고, 대기 동작 모드시에는 상기 제1 로드 회로를 활성화 상태로부터 디스에이블시키는 제1 온/오프 제어 신호의 신호원과;
    제2 로드 회로에 접속되어, 적어도 상기 대기 동작 모드의 제1 부분동안 상기 제2 로드 회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고, 적어도 상기 대기 동작 모드의 제2 부분 동안에는 상기 제2 로드 회로를 활성화 상태로부터 디스에이블시키는 제2 온/오프 제어 신호의 신호원과;
    상기 대기 동작 모드 및 상기 실행 동작 모드동안 전원 전압을 발생시켜서 상기 제1 및 제2 로드 회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실행 모드동안 상기 제1 로드 회로가 활성화될 때에는 제1 모드에서 선택적으로 동작하며, 상기 대기 동작 모드의 상기 제1 부분동안 상기 제2 로드 회로가 활성화될 때에는 제2 모드에서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전원 공급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기 전원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드 회로는 상기 1개의 전원 전압에 의해 활성화되는 편향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로드 회로는 다른 1개의 상기 전원 전압에 의해 활성화되는 데이터 포착 모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인 영상 기기 전원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단에서 발생된 전원 전압이 인가되어 활성화됨으로써 상기 대기 동작 모드의 전체에 걸쳐 활성화되는 제3 로드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영상 기기 전원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단은 상기 편향 회로를 활성화시키는 상기 1개의 전원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 전압을 음의 피드백 방식으로 조정하기 위해 상기 전원 공급단의 입력에 인가되는 피드백 신호를 발생시키는 피드백 스위칭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신호는 상기 편향 회로가 활성화되어 그 활성화 상태로부터 디스에이블 될 때에 상기 1개의 전원 전압으로부터 발생되며, 상기 편향 회로가 활성화될 때에 상기 피드백 신호와 상기 1개의 전원 전압 사이에 제1 비율을 갖고, 상기 편향 회로가 활성화 상태로부터 디스에이블 될 때에는 제2 비율을 갖는 것인 영상 기기 전원 장치.
KR1019990045268A 1998-10-19 1999-10-19 다중 모드 동작의 전원 장치 KR1007300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482498P 1998-10-19 1998-10-19
US60/104,824 1998-10-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175A true KR20000029175A (ko) 2000-05-25
KR100730007B1 KR100730007B1 (ko) 2007-06-20

Family

ID=22302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268A KR100730007B1 (ko) 1998-10-19 1999-10-19 다중 모드 동작의 전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996285B1 (ko)
JP (1) JP4620821B2 (ko)
KR (1) KR100730007B1 (ko)
CN (1) CN1149829C (ko)
DE (1) DE69940144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966B1 (ko) * 2000-06-02 2008-03-25 톰슨 라이센싱 슈퍼캡을 구비한 종속 조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08767B (zh) * 2016-08-19 2018-08-21 天津市百利电气有限公司 一种低压控制器动态稳定的电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7844A (en) * 1990-04-30 1991-05-21 Rca Licensing Corporation Disabling arrangement for a circuit operating at a deflection rate
US5049805A (en) * 1990-05-25 1991-09-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oltage sensitive switch
US5453921A (en) * 1993-03-31 1995-09-26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Feedback limited duty cycle switched mode power supply
US5812383A (en) * 1997-07-31 1998-09-22 Philips Electronics North North America Corporation Low power stand-by for switched-mode power supply circuit with burst mode oper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966B1 (ko) * 2000-06-02 2008-03-25 톰슨 라이센싱 슈퍼캡을 구비한 종속 조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40144D1 (de) 2009-02-05
EP0996285A2 (en) 2000-04-26
EP0996285B1 (en) 2008-12-24
EP0996285A3 (en) 2003-08-27
KR100730007B1 (ko) 2007-06-20
JP2000188728A (ja) 2000-07-04
CN1149829C (zh) 2004-05-12
CN1263414A (zh) 2000-08-16
JP4620821B2 (ja) 201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7279A (en) circuit for saving power consumption in standby state
JP3392913B2 (ja) 電源装置
KR100281529B1 (ko)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 디바이스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급 제어 회로
EP0477891B1 (en) Power supply apparatus for television receiver set and television receiver set including the same
KR0163762B1 (ko) 스위치 모드 전원 장치
US4975592A (en) Current supply arrangement having a stand-by mode featuring low power consumption
JP2006280184A (ja) 映像電気機器の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0247393B1 (ko) Pfc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장치
US5686767A (en) Apportioning minimal standby power
US4651214A (en) Remote controlled television receiver power supply
US4466051A (en) Regulated power supply incorporating a power transformer having a tightly coupled supplemental power transfer winding
US5017844A (en) Disabling arrangement for a circuit operating at a deflection rate
KR0169317B1 (ko) 액티브 턴 오프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KR920002841B1 (ko) 텔레비젼 수상기용 스위칭모드 파워 서플라이
CA1280204C (en) Regulating power supply for video display apparatus
US6157549A (en) Power supply with multiple mode operation
GB2343823A (en) Power saving circuit for computer monitor has separate power supply and control for CRT heater
KR100730007B1 (ko) 다중 모드 동작의 전원 장치
US4318036A (en) Pulse width modulator for a television receiver
US6246554B1 (en) Surge protector for a video display apparatus
US4656573A (en) Power supply having on-off control
MXPA99009600A (en) Supply of energy with mutual mode operation
KR970004252A (ko) 스위칭형 전원 장치
JPH04311173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用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KR19990019101U (ko) 모니터의 b+ 전압 안정화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