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8204A - 비동기식 전송 모드 기반의 통신장치에 있어서 atm 셀 주소번역 및 라우팅 헤더 삽입 장치 - Google Patents

비동기식 전송 모드 기반의 통신장치에 있어서 atm 셀 주소번역 및 라우팅 헤더 삽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8204A
KR20000028204A KR1019980046364A KR19980046364A KR20000028204A KR 20000028204 A KR20000028204 A KR 20000028204A KR 1019980046364 A KR1019980046364 A KR 1019980046364A KR 19980046364 A KR19980046364 A KR 19980046364A KR 20000028204 A KR20000028204 A KR 20000028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atm
data
uni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6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4000B1 (ko
Inventor
이승훈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80046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4000B1/ko
Publication of KR20000028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8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0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5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38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 H04L2012/5646Cell characteristics, e.g. loss, delay, jitter, sequence integrity
    • H04L2012/5652Cell construction, e.g. including header, packetisation, depacketisation, assembly, re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85Addressing iss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동기식 전송 모드 기반의 통신장치에 있어서 ATM 셀 주소번역 및 라우팅 헤더 삽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송신부와 수신부로 이루어지는데, 수신부는 주소 생성부, 데이터 저장부, 헤더 변환부, HEC 변환부, 및 전송 관리부로 이루어진다.
이 때, 주소 생성부는 입력되는 ATM 셀의 가상 경로 식별자(VPI)를 이용하여 소정의 주소를 만들고, 데이터 저장부는 해당 ATM 셀에 대한 주소번역 및 라우팅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로서 주소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주소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출력하며, 헤더 변환부는 입력된 ATM 셀의 GFC 정보와 VPI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의 데이터의 그것과 바꾸고, 이 데이터에 있는 셀 라우팅 헤더를 붙여 출력하며, 소정의 셀 활성화 비트를 출력한다.
또한, HEC 변환부는 활성화 비트를 검사하여 해당 ATM 셀이 유효 셀인 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헤더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대해 헤더 오류 검사(HEC) 바이트를 계산하여 헤더 오류 검사 구간에 삽입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전송 관리부는 활성화 비트를 검사하여 해당 ATM 셀이 유효셀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소정의 FIFO 부에서 데이터를 받을 공간이 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한 후, FIFO 부로 셀을 보낸다는 신호를 전송한다.

Description

비동기식 전송 모드 기반의 통신장치에 있어서 ATM 셀 주소번역 및 라우팅 헤더 삽입 장치(A unit of translating Address and adding routing headers of Asynchronous Transfer Mode cells in ATM base communication systems )
본 발명은 비동기 전송 모드 셀(Asynchronous Transfer Mode Cell: 이하, ATM 셀이라 한다.)에 대한 주소번역 및 라우팅 헤더 삽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지관리보수(OAM: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용 셀을 생성/감시하는 소정 유지관리보수 기능부와 ATM 셀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소정 선입력-선출력부(FIFO 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ATM 기반의 통신장치에 있어서, 유지관리보수 기능부로부터 출력되는 ATM 셀에 대하여 주소번역과 라우팅 헤더를 추가한 후 전송하거나, 선입력-선출력부에서 ATM 셀을 받아 유지관리보수 기능부로 보내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즉 ATM 기반의 통신장치에 있어서 ATM 셀 주소번역 및 라우팅 헤더 삽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ATM 기반의 통신장치의 한 예인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Fiber Loop Carrier-Curb System: 이하, FLC-C 시스템이라 한다.)의 구성도로서, 홈-쇼핑, 게임, 영화 등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들(130)은 ATM 교환기(100)와 FLC-C 시스템(200)을 통해서, 광가입자들(140)과 서로 연결된다.
FLC-C 시스템(200)은 FTTC(Fiber To The Curb) 방식의 서비스 전송 플랫폼으로서, 그 구성요소는 크게 호스트 디지털 터미널(HDT:Host Digital Terminal,210)과 광 종단장치(ONU:Optical Network Unit,220)로 나뉘어지는데, 가입자들(140)에게 전화 및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호스트 디지털 터미널(210:HDT)에서 광 종단장치(220:ONU) 까지는 광선로(230)를 통해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고, 광 종단장치(220:ONU)에서 각각의 가입자들(140)까지는 기존의 전화선(150)을 이용하여 표준의 전화서비스와 디지털 서비스를 전달한다.
이 때, 호스트 디지털 터미널(210:HDT)은 전화국에 설치되어 DS1(E) 신호와 광대역 교환망측에서 전달되는 ATM 기반의 광대역 신호를 접속하여, 동기식 디지털 계위로 통합-다중화한 후, 대국 장치인 광 종단장치(220:ONU)로 광전송하는 기능 및 그 역기능을 수행하며, 광 종단장치(220:ONU)는 아파트 단지와 같은 주거 밀집 지역의 분배소에 설치되어 호스트 디지털 터미널(210:HDT)에서 수신한 광신호로부터 각 가입자 신호를 서비스에 따라 분리하여,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기능과 그 역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FLC-C 시스템(200)은 공중전화망(110: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으로부터 DS1, DS1E 신호를 접속하고, ATM 교환기(100)로부터 디지털 영상서비스를 접속하는데, 디지털 영상 서비스 신호 접속은 ATM을 기반으로 한 동기식 수송모듈 신호(STM-1:Synchronous Transport Module-1)에 의해 이루어지고, 광 종단장치(220:ONU)로의 라우팅을 위하여, ATM 셀은 해당 STM-4에 재배치 및 다중화되어 광 종단장치(220:ONU)에 전송된다.
그리고, 요소 관리 시스템(EMS:Element Management System,120)은 운용자 터미널로서, 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방식에 따라 고장, 과금, 구성, 성능 및 보안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한편, 호스트 디지털 터미널(210:HDT)은 ATM 교환기(100)로부터 STM-1 신호를 수신하여, STM-1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오버헤드를 처리하고, ATM 셀을 추출하여 해당 광 송수신장치(OTRU:Optical Transmit-Receive Unit,212)로 보내는 동작 및 그 역동작을 수행하는 ATM 송수신장치(211:ATRU), ATM 셀의 전송통로인 셀 버스(213), 호스트 디지털 터미널(210:HDT)과 광 종단장치(220:ONU) 사이의 접속을 담당하는 복수개의 광 송수신장치(212:OTRU) 등으로 구성된다.
도 2는 ATM 송수신장치(211:ATRU)의 구성도로서, ATM 송수신장치(211:ATRU)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광 접속부(310)는 ATM 교환기(100)로부터 155.52Mbps(Mega bits per second)의 전송률로 입력되는 STM-1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바꾸거나, STM-1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바꾸어 ATM 교환기(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신호처리부(320)는 수신되는 신호에서 데이터를 재생하여 STM-1 신호를 수신하며, STM-1 신호에 포함되는 각 오버헤드를 처리하는데, ATM 셀 단위로 데이터를 처리한다.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는 유지관리보수용 셀(OAM 셀)을 생성하거나 검사하여 유지, 관리, 및 보수 기능을 수행하는데, 생성된 유지관리보수용 셀을 사용자 셀의 흐름 속에 삽입하여 송신하거나, 수신된 ATM 셀 중에서 유지관리보수용 셀을 찾아 검사한다.
셀 라우터부(340)는 셀 버스(213)로의 라우팅 동작을 수행하며, 선입력-선출력부(350:FIFO)는 유지관리보수용 셀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메모리 장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ATM 송수신장치(211:ATRU)의 송수신 동작을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ATM 송수신장치(211:ATRU)의 수신동작을 설명한다.
하나의 ATM 송수신장치(211:ATRU)는 광 접속부(310)를 이용하여, ATM 교환기(100)로부터 광 전송로(131)를 통해 전송되는 STM-1 광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STM-1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서 신호처리부(320)로 보낸다.
신호처리부(320)는 광 접속부(310)로부터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입력된 STM-1 신호에서 재생기 구간 오버헤드, 다중화기 구간 오버헤드 및 경로 오버헤드를 검색하여 통신상태를 검사하고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하며, STM-1 신호로부터 ATM 셀들을 추출하여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로 전송한다.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에서는 신호처리부(320)로부터 전송되어 온 ATM 셀들에 대하여, 경보표시신호(AIS:Alarm Indication Signal) 처리, 원격고장표시(RDI:Remote Defect Indication) 처리, 연속성 검사(CC:Continuity Check) 처리 등의 동작을 수행하고, ATM 셀들과 유지관리보수용 셀들을 셀 라우터부(340)로 보낸다. 이 때, 송신되는 셀들은 셀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하여 선입력-선출력부(350:FIFO)를 통해 셀 라우터부(340)로 전송된다.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로부터 전송되어 온 ATM 셀과 유지관리보수용 셀을 받은 셀 라우터부(340)에서는 이 셀들을 셀 버스(213)로 출력하여, 해당 광 송수신장치(212:OTRU)로 송신한다.
이제 ATM 송수신장치(211:ATRU)의 송신동작을 설명한다.
호스트 디지털 터미널(210:HDT)에 포함되어 있는 광 송수신장치(212:OTRU)로부터, 셀 버스(213)를 통해 전송되는 ATM 셀들과 유지관리보수용 셀들이 셀 라우터부(340)를 통해 수신되고,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로 보내진다. 이 때, 송신되는 셀들은 셀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하여 선입력-선출력부(350:FIFO)를 통해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로 보내지게 된다.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에서는 셀 라우터부(340)를 통해 전송되어 온 ATM 셀들에 대하여, 경보표시신호(AIS) 처리, 원격고장표시(RDI) 처리, 연속성 검사(CC) 처리 등을 위한 유지관리보수용 셀을 생성하여 해당 신호처리부(320)로 송신한다.
신호처리부(320)는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로부터 들어온 ATM 셀들과 유지관리보수용 셀들에 각 오버헤드를 삽입하여, STM-1 프레임을 형성하고 광 접속부(310)로 전송한다.
광 접속부(310)는 신호처리부(320)로부터 받은 전기적 디지털 신호인 STM-1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광선로(131)를 통해 ATM 교환기(100)로 송신한다.
이 때, ATM 송수신장치(211:ATRU)의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에서 나온 ATM 셀들에는 셀 라우터부(340)로 연결되기 전에, 자신이 전송될 목적장치를 표시하는 셀 라우팅 헤더(Cell Routing Header)가 추가되어야 한다. 즉,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와 선입력-선출력부(350:FIFO) 사이에 위치하여,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에서 출력되는 ATM 셀의 주소를 변환하고 셀 라우팅 헤더를 삽입하여 출력하거나, 선입력-선출력부(350:FIFO)에서 출력되는 ATM 셀들을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로 전해주는 장치(400)가 필요로 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로부터 출력되는 ATM 셀의 가상 경로 식별자(VPI)에 따라 해당 셀 라우팅 헤더를 붙이고, 일반 흐름 제어(GFC) 정보와 가상 경로 식별자(VPI) 정보를 갱신한 후, 헤더 오류 검사(HEC) 정보를 변경하여 선입력-선출력부(350:FIFO)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송신시에는 선입력-선출력부(350:FIFO)로부터 ATM 셀을 받아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로 보내는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400)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ATM 기반의 통신장치에 있어서 ATM 셀 주소번역 및 라우팅 헤더 삽입 장치는 상기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에서 출력되는 ATM 셀의 가상 경로 식별자(VPI)를 이용하여 소정의 주소(어드레스)를 만들어 출력하는 주소 생성부; 해당 ATM 셀에 대한 소정의 주소정보 및 셀 라우팅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주소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주소(어드레스)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에서 출력되는 ATM 셀의 일반 흐름 제어(GFC) 정보와 가상 경로 식별자(VPI)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서 출력하는 데이터의 그것과 바꾸고, 상기 데이터에 있는 셀 라우팅 헤더를 붙여 출력하며, 소정의 셀 활성화 비트를 출력하는 헤더 변환부; 상기 셀 활성화 비트를 검사하여 해당 ATM 셀이 유효셀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헤더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대해 헤더 오류 검사(HEC) 바이트를 계산하여 헤더 오류 검사 구간에 삽입하는 HEC 변환부; 및 상기 셀 활성화 비트를 검사하여 해당 ATM 셀이 유효셀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선입력-선출력부(350:FIFO)에서 데이터를 받을 공간이 있음을 알리는 소정 신호(RACA)를 수신한 후, 상기 선입력-선출력부(350:FIFO)로 셀을 보낸다는 신호(RAWRENB)를 전송하는 전송 관리부로 이루어지는 수신부; 및 상기 선입력-선출력부(350:FIFO)로부터 소정 ATM 셀을 수신하여 상기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로 보내는 기능을 수행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송신부는 상기 선입력-선출력부(350:FIFO)로부터 현재 보내고자 하는 셀이 있다는 것을 알리는 신호(TACA)를 수신하면, 상기 선입력-선출력부(350:FIFO)에게 셀을 받겠다는 응답 신호(TARDENB)를 보낸 후, 상기 선입력-선출력부(350:FIFO)로부터 해당 ATM 셀의 시작을 나타내는 소정의 동기신호(TASOC)를 받고, 이를 이용하여 이 입력 셀 데이터(TADAT)를 수신하는 수신동작과, 상기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로 전송할 셀이 있다는 것을 알리는 신호(TPWRENB)를 보내고, 상기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로부터 셀을 받을 공간이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TPCA)를 응답 받은 후, 해당 출력 셀 데이터의 시작을 나타내는 소정의 동기신호(TPSOC)와 함께 상기 출력 셀 데이터(TPDAT)를 전송하는 송신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하여 보다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FLC-C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ATM 송수신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연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부의 블록도,
도 5는 헤더 변환부의 동작에 대한 개요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30: 유지관리보수 기능부 350: 선입력-선출력부
410: 송신부 420: 수신부
421: 주소 생성부 422: 데이터 저장부
423: 헤더 변환부 424: HEC 변환부
425: 전송 관리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TM 셀 주소번역 및 라우팅 헤더 삽입 장치(400)의 연결도로서,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와 ATM 셀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인 선입력-선출력부(350:FIFO)의 사이에 위치하며, 송신부(410)와 수신부(420)로 이루어진다.
이 때, 수신부(420)는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로부터 출력되는 ATM 셀의 가상 경로 식별자(VPI)에 따라 해당 셀 라우팅 헤더를 붙이고, 일반 흐름 제어(GFC) 정보와 가상 경로 식별자(VPI) 정보를 갱신한 후, 헤더 오류 검사(HEC) 정보를 변경하여 선입력-선출력부(350:FIFO)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송신부(410)는 선입력-선출력부(350:FIFO)로부터 ATM 셀을 받아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로 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ATM 셀 주소번역 및 라우팅 헤더 삽입 장치의 수신부(420) 블록도로서, 주소 생성부(421), 데이터 저장부(422), 헤더 변환부(423), HEC 변환부(424), 및 전송 관리부(425)로 이루어진다.
주소 생성부(421)는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에서 보낼 셀이 있다는 것을 알리는 신호(RPCA)를 수신하면, 이제부터 셀을 받아들인다는 신호(RPRDENB)를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로 보내준다.
그러면,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에서는 자신이 보낼 셀의 시작을 나타내는 동기신호를 보내주는데, 한 실시예로서는 전송할 셀의 첫 비트에 동기 되어 활성화(Active)되는 신호(RPSOC)를 동기 신호로 보낼 수 있다. 주소 생성부(421)는 이 동기 신호(RPSOC)를 이용하여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에서 출력되는 ATM 셀 데이터(RPDAT)를 입력받는다.
주소 생성부(421)는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에서 출력되는 ATM 셀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ATM 셀의 헤더부의 가상 경로 식별자(VPI)로부터 데이터 저장부(422)의 해당 주소(TADD)를 만들어 출력한다.
이 때 만들어지는 주소(TADD)는 가상 경로 식별자(VPI)의 값에 3을 곱하여 만들어지는데, 3을 곱하는 것은 하나의 가상 경로 식별자에 대하여 데이터 저장부(422)가 가지고 있는 데이터가 3 바이트 단위의 데이터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만들어진 주소(TADD)는 데이터 저장부(422)로 보내진다.
데이터 저장부(422)는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구성요소로서, 주소 생성부(421)로부터 출력되는 주소(TADD)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헤더 변환부(423)로 출력한다. 이 때, 데이터 저장부(422)는 이중 포트 램(DPRAM)을 사용하여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데이터 저장부(422)에 저장되는 데이터(번역 데이터) 형식의 한 실시예는 다음의 표 1에 보인 바와 같이 3 바이트 단위의 데이터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VPI
A X X X GFC
B P C R R R R R
위의 표 1에서 보는바와 같이, 데이터 저장부(422)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1 바이트의 가상 경로 식별자(VPI) 정보, 1 비트의 해당 연결(Connection)의 활성화(Active) 유무를 나타내는 비트(A), 4 비트의 일반 흐름 제어 정보(GFC), 1 바이트의 셀 라우팅 헤더 정보, 및 3 비트의 무용 비트(X)로 이루어진다.
이 때, 1 바이트의 셀 라우팅 정보는 1 비트의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점대점(Point To Point) 구분자, 1 비트의 포트 구분자(P), 5 비트의 라우팅 목적지 어드레스 정보(R), 라우팅 목적지 어드레스 정보에 대한 1 비트의 홀수 패리티 검사(C:Odd Parity Check) 비트로 이루어진다.
즉,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에서 보내는 셀 하나의 가상 경로 식별자(VPI)에는 3 바이트의 데이터가 대응되는데, 이것이 주소 생성부(421)에서 수신된 ATM 셀의 가상 경로 식별자(VPI) 값을 3배하여 주소를 얻는 이유이다.
헤더 변환부(423)는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에서 출력되는 ATM 셀의 일반 흐름 제어(GFC) 정보와 가상 경로 식별자(VPI)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422)의 데이터의 흐름 제어(GFC) 정보와 가상 경로 식별자(VPI) 정보와 바꾸고, 셀 라우팅 헤더를 추가한 후, HEC 변환부(424)로 보낸다.
도 5는 헤더 변환부(423)의 동작에 대한 개요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헤더 변환부(423)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헤더 변환부(423)는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로부터 ATM 셀(RPDAT)과 데이터 저장부(422)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이 때, 이 데이터는 위에서 보인 표 1과 같은 구조의 데이터이다.
그리고,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로부터 수신된 53 바이트의 ATM 셀에 데이터 저장부(422)로부터 받은 데이터의 셀 라우팅 헤더(514)를 붙이고, 수신된 ATM 셀의 일반 흐름 제어 정보(515)와 가상 경로 식별자 정보(516)를 데이터 저장부(422)로부터 받은 데이터의 일반 흐름 제어 정보(513)와 가상 경로 식별자 정보(511)로 바꾼다.
그러면, 53 바이트의 ATM 셀에 셀 라우팅 헤더(514)가 붙었으므로, 54 바이트의 데이터가 만들어지게 되는데, 이 데이터(RPOUT)를 HEC 변환부(424)로 출력하며, 이와 동시에 소정의 활성화 비트(A)를 별도의 신호선을 통해 출력한다.
HEC 변환부(424)는 헤더 변환부(423)에서 출력하는 활성화 비트(A)를 검사하여 유효셀 여부를 확인하고, 헤더 변환부(423)에서 온 데이터에 대하여 헤더 오류 검사(HEC) 바이트를 계산하여 해당 ATM 셀의 HEC 구간에 삽입한다.
그리고, 출력 셀의 첫 비트에 동기 되어 활성화됨으로서, 데이터의 출력이 시작되는 것을 알리는 소정의 동기신호(RASOC)를 출력함과 동시에, 셀 라우팅 헤더가 첨가된 데이터(RADAT)를 출력한다.
전송 관리부(425)는 헤더 변환부(423)에서 출력하는 활성화 비트(A)를 검사하여 유효 셀 여부를 확인하고, 선입력-선출력부(350:FIFO)로부터 데이터를 받을 공간이 있음을 알리는 신호(RACA)를 수신한 후, 선입력-선출력부(350:FIFO)로 이제 셀을 보낸다는 신호(RAWRENB)를 보내준다.
한편, 외부에서 공급되는 소정의 기준 클럭 신호(REFCLK)는 수신부(42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클럭신호를 의미하며, 리셋신호(RESET)는 주소 생성부(421), 데이터 저장부(422), HEC 변환부(424), 및 전송 관리부(425)를 리셋 시키기 위한 외부 신호이다.
그리고, 송신부(410)는 선입력-선출력부(350:FIFO)로부터 ATM 셀을 수신하여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로 보내는 기능을 담당한다.
구체적으로는, 선입력-선출력부(350:FIFO)로부터 현재 보내고자 하는 셀이 있다는 신호(TACA)를 수신하면, 선입력-선출력부(350:FIFO)에게 셀을 받겠다는 신호(TARDENB)를 보낸다. 그리고 선입력-선출력부(350:FIFO)로부터 셀의 첫 비트에 동기 되어 활성화됨으로서 입력 셀의 시작을 나타내는 동기신호(TASOC)를 수신한 후, 이를 이용하여 ATM 셀 데이터(TADAT)를 수신한다.
또한, 송신부(410)는 선입력-선출력부(350:FIFO)로부터 ATM 셀을 수신하면,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로 전송할 셀이 있다는 신호(TPWRENB)를 보내고,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로부터 셀을 받을 공간이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TPCA)를 응답 받는다. 그리고, 셀의 첫 비트에 동기 되어 활성화됨으로서, 셀의 시작을 나타내는 동기신호(TPSOC)와 ATM 셀 데이터(TPDAT)를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로 보낸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사용하면 ATM 기반의 통신장치에 사용되어 소정의 유지관리보수용 셀을 생성/감시하는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와 ATM 셀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선입력-선출력부(350:FIFO) 사이에 위치하여, 해당 ATM 셀에 대한 주소번역 및 셀 라우팅 헤더 삽입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ATM 기반의 통신장치 제작을 용이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소정의 유지보수관리(OAM)용 비동기 전송모드 셀(ATM 셀)을 생성/감시하는 소정의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와 ATM 셀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소정의 선입력-선출력부(350:FIFO)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동기식 전송 모드(ATM) 기반의 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에서 출력되는 ATM 셀의 가상 경로 식별자(VPI)를 이용하여 소정의 주소(어드레스)를 만들어 출력하는 주소 생성부;
    해당 ATM 셀에 대한 소정의 주소정보 및 셀 라우팅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주소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주소(어드레스)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에서 출력되는 ATM 셀의 일반 흐름 제어(GFC) 정보와 가상 경로 식별자(VPI)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서 출력하는 데이터의 그것과 바꾸고, 상기 데이터에 있는 셀 라우팅 헤더를 붙여 출력하며, 소정의 셀 활성화 비트를 출력하는 헤더 변환부;
    상기 셀 활성화 비트를 검사하여 해당 ATM 셀이 유효셀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헤더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대해 헤더 오류 검사(HEC) 바이트를 계산하여 헤더 오류 검사 구간에 삽입하는 HEC 변환부; 및
    상기 셀 활성화 비트를 검사하여 해당 ATM 셀이 유효셀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선입력-선출력부(350:FIFO)에서 데이터를 받을 공간이 있음을 알리는 소정 신호(RACA)를 수신한 후, 상기 선입력-선출력부(350:FIFO)로 셀을 보낸다는 신호(RAWRENB)를 전송하는 전송 관리부로 이루어지는 수신부; 및
    상기 선입력-선출력부(350:FIFO)로부터 소정 ATM 셀을 수신하여 상기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로 보내는 기능을 수행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 모드 기반의 통신장치에 있어서 ATM 셀 주소번역 및 라우팅 헤더 삽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선입력-선출력부(350:FIFO)로부터 현재 보내고자 하는 셀이 있다는 것을 알리는 신호(TACA)를 수신하면, 상기 선입력-선출력부(350:FIFO)에게 셀을 받겠다는 응답 신호(TARDENB)를 보낸 후, 상기 선입력-선출력부(350:FIFO)로부터 해당 ATM 셀의 시작을 나타내는 소정의 동기신호(TASOC)를 받고, 이를 이용하여 이 입력 셀 데이터(TADAT)를 수신하는 수신동작과,
    상기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로 전송할 셀이 있다는 것을 알리는 신호(TPWRENB)를 보내고, 상기 유지관리보수 기능부(330)로부터 셀을 받을 공간이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TPCA)를 응답 받은 후, 해당 출력 셀 데이터의 시작을 나타내는 소정의 동기신호(TPSOC)와 함께 상기 출력 셀 데이터(TPDAT)를 전송하는 송신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 모드 기반의 통신장치에 있어서 ATM 셀 주소번역 및 라우팅 헤더 삽입 장치.
KR1019980046364A 1998-10-30 1998-10-30 비동기식 전송 모드 기반의 통신장치에 있어서 atm 셀 주소번역 및 라우팅 헤더 삽입 장치 KR100284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6364A KR100284000B1 (ko) 1998-10-30 1998-10-30 비동기식 전송 모드 기반의 통신장치에 있어서 atm 셀 주소번역 및 라우팅 헤더 삽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6364A KR100284000B1 (ko) 1998-10-30 1998-10-30 비동기식 전송 모드 기반의 통신장치에 있어서 atm 셀 주소번역 및 라우팅 헤더 삽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8204A true KR20000028204A (ko) 2000-05-25
KR100284000B1 KR100284000B1 (ko) 2001-03-02

Family

ID=19556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6364A KR100284000B1 (ko) 1998-10-30 1998-10-30 비동기식 전송 모드 기반의 통신장치에 있어서 atm 셀 주소번역 및 라우팅 헤더 삽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400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4000B1 (ko) 200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7439B1 (en) Architecture for a SONET line unit including optical transceiver, cross-connect and synchronization subsystem
US7277637B2 (en) Fiber to the home broadband home unit
EP0983709B1 (en) Operations and maintenance data flows over a point-to-multipoint broadband access network
US7012917B2 (en) Service unit for a hub having multiple star interconnect configurations
EP0782367A2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synchronous narrow-band signals into a sonet virtual tributary group for combining with B-ISDN signals
US6671271B1 (en) Sonet synchronous payload envelope pointer control system
KR100284000B1 (ko) 비동기식 전송 모드 기반의 통신장치에 있어서 atm 셀 주소번역 및 라우팅 헤더 삽입 장치
US7088704B1 (en) Transporting voice telephony and data via a single ATM transport link
Cisco Network Interface (Trunk) Cards
Cisco Network Interface (Trunk Cards)
Cisco Network Interface (Trunk) Cards
Cisco Network Interface (Trunk) Cards
Cisco Network Interface (trunk) Cards
Cisco Network Interface (Trunk) Cards
Cisco Network Interface (Trunk) Cards
Cisco Network Interface (Trunk) Cards
Cisco Network Interface (Trunk) Cards
Cisco Network Interface (Trunk) Cards
Cisco Network Interface (Trunk Cards)
KR100289581B1 (ko)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의 광 종단장치에 있어서 영상 가입자 유니트의 경보표시신호 셀 발생장치
KR100473608B1 (ko) 위성망과 지상망의 연동을 위한 망 연동 장치
KR100258701B1 (ko) 수요밀집형 광 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atm 송수신 장치
KR100252511B1 (ko) 수요밀집형 광 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클럭 제공 및 광 송수신 유니트 제어방법
KR100362174B1 (ko) 전주형 광가입자망 유닛용 수동형 광가입자망 정합 및비동기 전송 모드 기반 가입자 서비스 다중화 장치
KR20000034424A (ko)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호스트 디지털 터미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