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4354A - 인터넷 전화용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인터넷 전화용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4354A
KR20000024354A KR1020000006085A KR20000006085A KR20000024354A KR 20000024354 A KR20000024354 A KR 20000024354A KR 1020000006085 A KR1020000006085 A KR 1020000006085A KR 20000006085 A KR20000006085 A KR 20000006085A KR 20000024354 A KR20000024354 A KR 20000024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internet
signal
telephon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6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추식
Original Assignee
인추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추식 filed Critical 인추식
Priority to KR1020000006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4354A/ko
Publication of KR20000024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435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82Line monitoring circuits for call progress or status discri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전화용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손쉽게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연결하여 일반 전화기와 같은 방법으로 통화를 하도록 하기 위하여, 통화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와 통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가 장착된 핸드셋,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다이얼링 장치, 핸드셋을 드는 동작을 감지하는 후크 감지장치, 후크 신호와 다이얼링 신호를 컴퓨터로 인가해주는 인터페이스부, 마이크와 스피커 경로를 전환해주는 전환장치, 그리고, 후크 신호를 받아 서비스 사이트로 연결해주고 다이얼링 신호를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 사이트로 전달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터넷 전화용 단말 장치{Terminal for Internet Phone}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음성전화 서비스를 위한 인터넷 전화용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을 통하여 컴퓨터와 컴퓨터간, 혹은 컴퓨터와 일반 전화간의 음성통화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마이크, 스피커, 다이얼링 장치, 인터페이스 장치, 그리고 마이크/스피커 전환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장치는 컴퓨터와 컴퓨터에 장착되어있는 사운드카드, 마이크, 스피커,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전화를 걸기 위해서 웹 브라우저 등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한 후 마우스나 키보드 등의 장치를 사용하여 다이얼링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퍼스널컴퓨터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로 하여금 번거로움을 느끼게 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인터넷을 사용한 음성전화 서비스를 사용할 때 사용자로 하여금 기존의 일반 전화를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전화용 단말 장치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전화용 단말 장치에 의하면, 음성신호를 입출력하는 마이크(6)와 스피커(4)가 장착된 핸드셋, 이 핸드셋을 들었을 때 이를 감지하는 후크 감지기(12)와, 다이얼링을 하도록 구성된 다이얼링 장치(2)와, 음성신호와 후크감지 신호 및 다이얼링 신호를 퍼스널컴퓨터와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16)와 음성신호의 입출력 경로를 전환해주는 마이크/스피커 전환장치(14) 및 상기 신호들을 사용하여 인터넷 전화 서비스 사이트에 자동으로 접속하고 전화번호를 송신하는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전화용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기 위해 핸드셋을 들어서 후크신호가 발생되어 인가되면 퍼스널컴퓨터상의 웹브라우저 등의 인터넷 전화 서비스 연결 프로그램이 기동되어 서비스에 접속이 되고 단말장치상의 다이얼링 장치를 통해 입력된 전화번호가 서비스 사이트에 전송되어 통화가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전화용 단말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말장치의 동작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전화용 단말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로서,
동 도면에서 첨부부호 2는 통화를 연결할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다이얼링 장치이다.
첨부부호 4는 핸드셋에 부착된 마이크를 나타낸다.
첨부부호 6은 핸드셋에 부착된 스피커를 나타낸다.
첨부부호 8은 컴퓨터에 사용되고 있는 일반 마이크를 나타낸다.
첨부부호 10은 컴퓨터에 사용되고 있는 일반 스피커를 나타낸다.
첨부부호 12는 사용자가 인터넷 전화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하여 송수화기를 드는 행동을 감지하는 후크 감지장치로, 사용자가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하여 핸드셋을 들어올리거나, 서비스 사용을 마치고 전화를 끊기 위해 핸드셋을 내려놓는 동작을 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후크 온, 후크 오프 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첨부부호 14는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사용할 때 사용되는 핸드셋의 마이크(6), 스피커(4)와 기존의 컴퓨터용 마이크(10), 스피커(8)간의 전환을 해주는 전환장치를 나타낸다.
첨부부호 16은 상기 후크 감지장치(12)로부터 발생되는 후크 신호와 다이얼링장치(2)로부터 발생되는 다이얼링신호를 컴퓨터에 전달해주는 인터페이스부를 나타낸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인터넷 전화 서비스용 단말장치의 동작 순서도가 도시된다.
먼저 단계 S102에서 사용자가 인터넷 전화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핸드셋을 들면 후크 감지장치(12)에서 후크 온 신호가 발생되어, 단계 S104에서 이 후크 온 신호가 인터페이스부(16)를 통하여 컴퓨터로 전송된다. 이와 함께 단계 S106에서 컴퓨터의 마이크와 스피커 입출력 경로를 전환장치(14)를 이용하여 PC마이크(10)와 PC스피커(8)에서 핸드셋 마이크(6)와 핸드셋 스피커(4)로 전환한다.
단계 S108에서 사용자는 다이얼링 장치(2)를 사용하여 전화를 걸고자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이를 단계 S110에서 인터페이스부(16)를 통하여 컴퓨터로 전송한다.
단계 S112에서는 사용자가 통화를 종료하기 위하여 핸드셋을 내려놓으면 후크 감지장치(12)에서 후크 오프 신호가 발생되어, 단계 S114에서 이 후크 온 신호가 인터페이스부(16)를 통하여 컴퓨터로 전송된다. 이와 함께 단계 S116에서 컴퓨터의 마이크와 스피커 입출력 경로를 전환장치(14)를 이용하여 핸드셋 마이크(6)와 핸드셋 스피커(4)에서 PC마이크(10)와 PC스피커(8)로 전환한다.
도 3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인터넷 전화 서비스용 단말장치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순서도가 도시된다.
먼저 컴퓨터에서 기동되어 메모리상에서 상주하며 단계 S202에서 사용자가 인터넷 전화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핸드셋을 들었을 때 발생되는 후크 온신호를 대기한다. 단계 S204에서는 후크 온 신호가 인가되었을 때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웹브라우저 등의 프로그램이 기동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기동되어있지 않을 경우 단계 S206에서 웹브라우저 등의 프로그램을 기동시킨다. 단계 S208에서는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자동 접속한다. 단계 S210에서는 단말장치에서 송신되어오는 전화번호의 인가를 대기한 후 단계 S212에서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로 전화번호를 전송하고, 전화 통화가 이루어진다. 통화가 이루어지면서 단계 S214에서는 통화를 종료하는 후크 오프 신호를 대기하다가, 후크 오프 신호가 인가되면 서비스를 종료하고, 단계 S216에서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위한 웹브라우저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터넷을 사용한 음성전화 서비스를 사용할 때 사용자로 하여금 기존의 일반 전화를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컴퓨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는 물론 컴퓨터 사용에 익숙한 사용자도 간편하게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된다.

Claims (1)

  1. 인터넷을 통한 음성전화 서비스를 위한 인터넷 전화용 단말 장치에 있어서, 후크 상태에 따른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후크 감지 장치(12);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다이얼링 장치(2); 후크 신호에 따라 음성신호의 입출력 경로를 전환해주는 전환장치(14); 후크 신호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전화번호를 컴퓨터에 인가해주는 인터페이스부(16);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16)로부터 인가되어지는 후크 온 신호에 따라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웹브라우저 등의 프로그램을 자동 기동하고(S202~S206),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자동접속을 수행하고(S208), 인가되어진 전화번호를 서비스 사이트로 전송하며(S210~S212), 후크 오프 신호에 따라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웹브라우저 등의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종료하는(S214~S216) 기능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전화용 단말 장치.
KR1020000006085A 2000-02-09 2000-02-09 인터넷 전화용 단말 장치 KR200000243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6085A KR20000024354A (ko) 2000-02-09 2000-02-09 인터넷 전화용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6085A KR20000024354A (ko) 2000-02-09 2000-02-09 인터넷 전화용 단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4354A true KR20000024354A (ko) 2000-05-06

Family

ID=19645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6085A KR20000024354A (ko) 2000-02-09 2000-02-09 인터넷 전화용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43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5123A (ko) * 2000-02-26 2001-09-07 황재엽 인터넷폰서비스를 간편하게 이용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저장한 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5123A (ko) * 2000-02-26 2001-09-07 황재엽 인터넷폰서비스를 간편하게 이용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저장한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23251A1 (en) Remote internet telephony device
US6377663B1 (en) Call management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for a local telephone circuit
KR100368114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화 시스템
WO2003015388A1 (en) Multi-modal directories for telephonic applications
KR20050028992A (ko) 원격지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 모드 변경 방법
KR20000024354A (ko) 인터넷 전화용 단말 장치
KR20000006841A (ko) 에이디에스엘 망을 이용한 인터넷 전화 연결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49605A (ko) 일반전화기를 사용하여 인터넷 웹 전화가 가능한 장치 및그 운영 방법
KR200181419Y1 (ko) 에이디에스엘망을이용한인터넷전화연결장치
JP4397507B2 (ja) インターネット電話用アダプタ
KR200210768Y1 (ko) 컴퓨터와 연결되는 전화기
KR100427859B1 (ko) 네트웍용 전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터넷폰 서비스 방법
USRE39612E1 (en) Communicating apparatus
KR200209073Y1 (ko) 인터넷 도메인 접속용 키를 구비한 전화기
KR20010079143A (ko) 통신 장치의 발신자별 색채 변환부의 색채 변환 방법.
KR200169422Y1 (ko) 무선 컴퓨터 통신장치
KR100255324B1 (ko) 전화기의 음성 호출 방법
KR20010084183A (ko)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포트를 이용한 컴퓨터 부가장치 및그 이용방법
KR20010075862A (ko) 인터넷 전화장치
KR200274680Y1 (ko) 인터넷폰 어답터 기능이 구비된 전화 받침대
KR19980057914U (ko) 인터넷 통화기능 전화기
KR20010110606A (ko) 개인용 컴퓨터를 경유하지 않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
KR200210676Y1 (ko) 자동 음성 절체 박스를 갖는 인터넷 마우스 폰
KR200199122Y1 (ko) 인터넷 전화 접속장치
KR100356462B1 (ko)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통해 음성통화가 가능한복합전화기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