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2510A - Teat, in particular of the comforter type - Google Patents

Teat, in particular of the comforter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2510A
KR20000022510A KR1019980710955A KR19980710955A KR20000022510A KR 20000022510 A KR20000022510 A KR 20000022510A KR 1019980710955 A KR1019980710955 A KR 1019980710955A KR 19980710955 A KR19980710955 A KR 19980710955A KR 20000022510 A KR20000022510 A KR 20000022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 plate
nipple
droplet
imitation
inf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9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73989B1 (en
Inventor
테르지 에스. 페더슨
본 오가아드
Original Assignee
테르지 에스. 페더슨
본 오가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르지 에스. 페더슨, 본 오가아드 filed Critical 테르지 에스. 페더슨
Priority to KR10-1998-0710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3989B1/en
Publication of KR20000022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5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989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7/107Details; Accessories therefor having specific orthodontic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001Baby-comfor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35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7Teats having orthodontic properties, e.g. for promoting correct teeth develo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device is provided for the treat of the comforter type, which can fill up the sucking desire and can straightly situate a tongue while the child bites the teat. CONSTITUTION: A pacifier of the dummy type comprises a bubble body (18) on which the child sucks, and a stop disc (16) against which the child's lips (22, 24) rest supportingly in the pacifier's position of use. The bubble body (18) and the stop disc (16) are interconnected through an intermediate transition and connecting portion (20) accommodating possible front teeth (26, 28)/gums. The bubble body (18) is given an asymmetrical shape in respect of its connection point on the transition and connecting portion (20), comprising at least one elongate leg (18a) sloping downwardly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s the free end thereof, forming an impact and support face for the adjacent portion of the tongue (34). The stop disc (16) comprises an upper and a lower portion (16a, 16b) somewhat dis placed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axial direction of the pacifier, forming suitable stop and support faces for the child's lips (22, 24).

Description

유아용 모조 젖꼭지Baby imitation nipples

고무 젖꼭지형의 모조 젖꼭지에서, 유아가 물고 있는 젖꼭지와 같은 방울형상체의 자유형상부는 유아의 입술들에 대해 놓일 수 있도록 된 외부 대향부재를 형성하면서 유아가 전체 모조 젖꼭지를 입안에 넣어 이를 삼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디스크와 같은 정지판을 갖추고 있는데, 이 외부의 정지판은 일반적으로 손잡이나 이와 유사한 것을 구비하고 있다.In a pacifier-shaped dummy nipple, the free-form upper part of a drop-like body, such as the nipple being bited by the infant, forms an outer facing member that can be placed against the lips of the infant while the infant inserts the entire dummy nipple into the mouth and swallows it. It is equipped with a stop plate, such as a disc, which is intended to be prevented. The outside stop plate is generally equipped with a handle or the like.

독일 특허 제 3840178 호와 미국 특허 제 5133740 호에는 일반적인 특성과 작동방식을 나타내는 고무 젖꼭지형의 모조 젖꼭지를 게재하는 바, 젖꼭지를 모방한 방울형상체인 모조 젖꼭지 수단은 이들 각각의 모조 젖꼭지와 관련하여 합체되지 않은 영역에서 정지판 쪽으로 자유로이 돌출한 2개의 방울형상부로부터 가늘어지는 U 또는 V형상의 공동(空洞)부를 나타내는 부분적으로 합체된 2개의 방울형상부로 적당히 설계되고 형성되어 있어서, 혀끝은 상기 공동부내로 들어가게 된다. 이중으로 굽어진 방울형상체는 외부의 정지판에 직각으로 연장되어 곧게 뻗은 관부나 굵은 부분으로 이어진다.German Patent No. 3840178 and U.S. Patent No. 5133740 disclose pacifier nipples having general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wherein a dummy nipple means that mimics a nipple is incorporated in conjunction with each of the dummy nipples. It is suitably designed and formed of two partially coalesced droplets representing a U or V-shaped cavity that freely protrudes from the two droplets freely protruding toward the stationary plate in the non-area region, so that the tongue tip is in the cavity. Will enter. The double curved bellows extend at right angles to the external stop plate, leading to a straight or thick section.

이 공지된 모조 젖꼭지의 설계와 형상은 자연스럽게 굽은 혀의 자연스러운 동작경로 또는 동작영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하는데, 이 모두를 위한 해결책으로는 혀가 치열궁을 따라 윗부분에 이상적으로 머물 수 있도록 하는 구강내의 큰 공간을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양쪽의 공지된 모조 젖꼭지들은 이빨들 사이에 두껍고 곧게 뻗은 통로를 구비하는데, 이 또한 잘못된 것으로 이빨들 사이에 넓고 얇으며 비스듬히 연장하는 통로를 이루는 것에 오히려 목표를 두어야 하며, 이 양쪽의 모조 젖꼭지들은 혀가 아래턱 치열궁 쪽으로 내리 눌러져 이로부터 "개방성 교합"이 생길 수 있다.The design and shape of this known imitation nipple keeps it away from the natural course of action or area of the naturally curved tongue, a solution for both of which is the large space in the oral cavity that allows the tongue to ideally stay in the upper part along the arch. It is to be provided. The known dummy nipples on both sides have thick, straight passages between the teeth, which is also wrong and should rather be aimed at forming a wide, thin and obliquely extending passage between the teeth. The tongue can be pushed down towards the lower jaw arch, resulting in "open occlusion".

독일 특허 제 3840178 호에 따른 모조 젖꼭지는 이 모조 젖꼭지의 방울형상체가 혀를 위턱의 치열궁 안에서의 자연스러운 위치로부터 멀리 아래로 압박하는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아래턱으로 힘을 유도하여 부정교합을 일으키게 된다.In the imitation nipple according to German Patent No. 3840178, the droplet-like body of the imitation nipple presses the tongue farther away from its natural position in the arch of the upper jaw, which induces force to the lower jaw and causes malocclusion as described above. .

미국 특허 제 5133740 호는 종래의 모조 젖꼭지와 같은 다양한 특성을 지닌 모조 젖꼭지를 게재하는 바, 혀가 상기 공동부내에 놓이게 되면 혀는 부자연스러운 형상으로 되고 입의 천장에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없게 되는데,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 이는 잘못된 교합을 발달시키게 된다.U.S. Patent No. 5133740 discloses a dummy nipple having various characteristics such as a conventional dummy nipple, when the tongue is placed in the cavity, the tongue becomes unnatural and cannot maintain its position on the ceiling of the mouth. After a long time, it develops a false bite.

본 발명은 모조 젖꼭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아들의 빨려는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유아용 모조 젖꼭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imitation nipples, and more particularly to imitation nipples for infants that can satisfy the desire to suck.

손가락을 빠는 것 대신으로 고무 젖꼭지와 모조 젖꼭지의 사용이 지난 수년 동안 매우 증가하고 있는데, 유아들의 약 90%가 빠는 습관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들의 약 60%가 모조 젖꼭지를 사용하고 있다. 모조 젖꼭지를 사용하는 습관이 이전 보다 더욱 오래 동안 지속되고 잇으며, 이 모조 젖꼭지들이 이전보다 더욱 심하게 사용된다고 조사되고 있다.Instead of sucking fingers, the use of pacifiers and imitation nipple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over the years, with about 90% of infants exhibiting sucking habits, and about 60% of them using imitation nipples. The habit of using dummy nipples lasts longer than ever before, and it is being investigated that these nipples are used more severely than ever before.

잘 알려진 종래 모조 젖꼭지와 관련된 모조 젖꼭지 사용의 중대한 영향은 무리하게 물고 있어서 차후에 소위 부정교합(不正咬合)을 일으킨다는 것으로, 이는 모조 젖꼭지의 젖꼭지와 같은 방울형상체가 혀를 구강의 바닥으로 내리 누르는데 기인한다. 따라서, 위턱의 치열궁(齒列弓)이 지지력을 상실하고 뺨의 압력에 의해 안쪽으로 눌러짐과 동시에 혀는 아래턱의 치열궁을 바깥쪽으로 밀어낸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모조 젖꼭지를 사용하는 스웨덴 여아(女兒)들의 26%가 무리하게 물고 있음으로 해서 차후의 부정교합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오가아드 비( Ogaard B), 라쏜 이(Larsson E), 린드스텐 알(Lindsten R)의 "노르웨이와 스웨덴의 3살 유아의 차후 부정교합에 있어서 빠는 습관과, 동세대별, 성(性)별, 치열궁의 폭 및, 모유와 젖병수유의 영향", 미국의 치과교정과 치공 및 치열교정학(Orthod Dentofac Orthoped )지(誌) 1994년 106호 161-166쪽 참조)The significant effect of using a dummy nipple in connection with the well-known conventional dummy nipple is that it bites excessively, causing a so-called malocclusion in the future. Is caused. Thus, while the arch of the upper jaw loses its support and is pressed inward by the pressure of the cheeks, the tongue pushes the arch of the lower jaw outward. Recent studies show that 26% of Swedish girls who use imitation nipples are forced to bite, indicating a later malocclusion. (Ogaard B, Larsson E, and Lindsten R, "Sucking habits, cohorts, sex in later malocclusion in Norway and Sweden's three-year-old infant." Stars, width of dental arches and the effects of breast milk and feeding ", US Orthodontics and Orthodontics and Orthopeds, 1994, pp. 1061-1161-1.

힘의 영향을 받는 부정교합은 턱의 성장과 발달에 크게 벗어날 수 있는 심각한 잘못된 교합을 형성하게 되므로, 국립 보건원은 치료에 대해 막대한 비용을 제공해야 하는데, 어린 유아에 대한 치과교정은 상당히 복잡하고, 어린이들에게 불필요한 정신적 긴장을 줄 수 있다.Because malocclusion affected by force creates severe misalignments that can greatly deviate from jaw growth and development,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must provide enormous costs for treatment. It can give children unnecessary mental strain.

모조 젖꼭지의 사용으로 인한 다른 심각한 결과는 공지된 모조 젖꼭지에 필요한 이빨들 사이의 두껍고 곧게 뻗은 통로로 생기는 소위 "개방성 교합"이다.Another serious consequence of the use of a dummy nipple is the so-called "open bite" resulting from thick, straight passages between the teeth required for known dummy nippl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모조 젖꼭지의 측면도이고,1 is a side view of a dummy nipple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조 젖꼭지의 사용위치에서 혀는 물론 위와 아래입Figure 2 of the tongue in the use position of the imitation nipp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well as the upper and lower mouth

술 및 일부의 이빨들을 갖는 위와 아래턱을 도시한 측면도,Side view showing the upper and lower jaw with tufts and some teeth,

도 3은 아래에서 비스듬히 바라본 모조 젖꼭지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mmy nipple viewed obliquely from below.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물고 있는 동안 혀가 바르게 위치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되어 있는 모조 젖꼭지를 제공하는 데에 있으므로, 혀는 위턱의 치열궁을 따라 놓이게 되고, 입의 천장면으로부터 그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뺨의 압력을 견딜 수 있게 된다. 유아가 모조 젖꼭지의 방울형상체를 물고 있는 동안 혀는 입안에서 가능한 앞으로 멀리 도달하게 될 기회가 생기게 된다.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mmy nipple which is preferably adapted to allow the tongue to be correctly positioned while biting, so that the tongue is placed along the arch of the upper jaw and can retain its support from the ceiling surface of the mouth. It will be able to withstand the pressure on the cheeks. While the infant is biting the droplet of the dummy nipple, the tongue has the opportunity to reach as far forward as possible in the mouth.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목적은 다음 청구항 1에 기술된 특징적인 형태의 모조 젖꼭지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this object can be achieved by a dummy nipple of the characteristic type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 1.

청구항 1에 따른 본 발명의 부수적인 우수한 특징들은 다음의 종속항에 정의되고, 부수적이나 중요한 목적은 상기 모조 젖꼭지가 입안에서 바르게 위치되도록 하는 데에 있는데, 이는 주로 방울형상체의 비대칭적인 형상에 기인한다.Additional excellent features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are defined in the following subclaims, and an additional but important object is to ensure that the dummy nipple is correctly positioned in the mouth, mainly due to the asymmetrical shape of the droplets. do.

따라서, 중간 매개연결부를 구비하는 모조 젖꼭지의 방울형상체는 측면(사용위치)에서 바라볼 때 비대칭으로 되고, 다른 길이의 2개의 방울형상부를 구비하는 가능한 이중으로 굽어진 평판형상부재로 형성되는데, 측면에서 바라볼 때 비교적 긴 하부의 방울형상부는 이 긴 방울형상부에 비스듬히 형성된 대체적으로 짧은 상부의 방울형상부로 비교적 부드럽게 이어져 있다.Thus, the drop-shaped body of the dummy nipple having the intermediate intermediate connection becomes asymmetrical when viewed from the side (use position), and is formed of a possible double bent flat member having two drop-shaped portions of different lengths, As viewed from the side, the relatively long lower droplets are relatively smoothly connected to the generally short upper droplets formed obliquely on the long droplets.

특히, 외부의 정지판의 새로운 형태와 상호작용하는 이 설계와 형상은 혀가 아래턱에 대해 앞으로 내리 눌려지는 것을 방지한다.In particular, this design and shape, which interacts with the new shape of the external stop plate, prevents the tongue from being pushed forward against the lower jaw.

올바른 사용위치에서, 상기 방울형상체의 긴 최하단 방울형상부의 외부 끝은 바람직하기로 짧은 방울형상부의 외부 끝 보다 연결부분의 방울형상체의 매개연결부의 중심으로부터 더욱 멀리 떨어져 위치된다.In the correct position of use, the outer end of the elongate lowest droplet of the droplet is preferably located farther from the center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of the droplet of the connection than the outer end of the short droplet.

상기 정지판은 대체로 옆으로 위치된 2개의 절반부로 형성되고, 특히 정지판의 중아의 세로영역에서는 2개의 세로부 또는 절반부가 이 중앙에 대해 비대칭으로 되어 있는데, 방울형상체를 향한 상부 정지판의 표면은 적어도 그 길이의 일부를 가로질러 대체로 오목하게 연장하고, 하부 정지판의 상응하는 표면은 적어도 그 길이의 일부를 가로질러 대체로 볼록하게 연장한다. 이러한 설계와 형상의 목적은 서로에 대해 위턱과 아래턱을 유지하는 데에 있는데, 아래의 앞니들은 위의 앞니들의 안쪽에 대해 놓이게 되며, 더구나 이 위치는 혀의 최적위치와 안정위치에 바람직하게 된다. 이빨들 사이의 모조 젖꼭지의 의도적이고 경사진 통로가 이루어지는데, 이는 앞니들이 잘못된 위치에 놓이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기여하는 한편, 사용위치에 있어서, 유아의 외부 입부분을 향하고 있으면서 전체적으로 또는 대부분의 그 길이(높이)를 가로질러 오목하게 옆으로 굽어진 정지판의 이 형상은 마찬가지로 입안에서 모조 젖꼭지가 올바른 위치에 놓이는 데에 기여한다. 모조 젖꼭지의 방울형상체가 위·아래 위치가 180˚로 회전되어 잘못 놓이게 되면, 이 잘못된 사용위치에서 알맞은 구조에서 상부의 외부 평판부에 상응하는 최하단의 외부 평판부가 코에 닿게 되는 반면, 알맞은 구조의 하부인 정지판의 최상단 부분이 바람직하지 않게 턱 끝에 닿게 되어서, 유아는 즉시 불편함을 느끼고 그 감정을 표현하는데, 즉 모조 젖꼭지를 뱉어 내거나 입안에 여전히 둔 채 올바른 위치로 전환시키게 된다.The stop plate is generally formed of two halves positioned laterally, in particular in the longitudinal region of the middle child of the stop plate two longitudinal or half portions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top plate. The surface extends generally concave across at least a portion of its length, and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lower stop plate extends generally convexly at least across a portion of its length. The purpose of this design and shape is to maintain the upper and lower jaws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 lower incisors are placed against the inside of the upper incisors, moreover this position is desirable for the optimal and stable position of the tongue. Intentional and inclined passages of the imitation nipples between the teeth are made, which contributes to preventing the incisors from being placed in the wrong position, while in the position of use, in whole or in most cases, facing the outer mouth of the infant. This shape of the stop plate bent concave laterally across its length (height) likewise contributes to the placement of the dummy nipple in the correct position in the mouth. If the bubble-shaped body of the dummy nipple is misplaced by being rotated up and down by 180 °, the lowermost outer plate part corresponding to the upper outer plate part in the proper structure at this incorrect use position will touch the nose, while The uppermost part of the stop plate, which is lower, undesirably reaches the tip of the jaw, causing the infant to immediately feel discomfort and express his feelings, i.e. spit out a dummy nipple or leave it still in the mouth and switch to the correct position.

사용위치에서, 방울형상체의 물림부분의 짧은 연장부를 구성하는 짧은 방울형상부는 앞니 뒤의 입천장의 앞부분에 대해 놓이게 되고, 특별하게 형성된 방울형상부의 나머지 부분과 상호작용 하여 혀가 구강의 윗부분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압박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In the position of use, the short droplets, which make up the short extension of the bite of the bell, are placed against the front of the palate, behind the front teeth, and interact with the rest of the specially shaped bellows so that the tongue is far from the upper part of the mouth. It is not to be pressed down.

상기 긴 방울형상부의 자유끝은 혀가 방울형상부의 아래에 오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해서 비교적 뾰족하게 되어 있으며, 짧은 방울형상부는 비교적 평면으로 구획되어 있다.The free end of the elongated bellows is relatively pointed to ensure that the tongue is below the bellows, and the short bellows is relatively flat.

상기 중간 매개연결부는 특히 대략 중심부에서 비교적 넓은 폭에 맞추어 비교적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서, 비교적 얇은 두께에 대하여 힘 등을 보충하는데, 이 매개연결부(방울형상체와 정지판 사이의 중간 근처의)의 길이의 대략 중심의 얇고 넓은 부분에서, 새김눈과 같은 단면형상을 갖추면서 매개연결부의 세로방향으로 위치된 반대로 향하고 있는 홈들을 형성하기에 매우 바람직하다. 사용위치에서 상부홈을 구성하는 아래로 향한 홈은 입의 윗부분에 있는 앞니를 수용하는 반면, 하부의 위로 향한 홈은 입의 아래부분에 있는 앞니를 수용하게 된다.The intermediate intermediate connection is formed in a relatively thin thickness, especially at a relatively large width at about the center, to compensate for the relatively thin thickness, such as the length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near the middle between the droplet and the stop plate). In the thin and wide part of the approximately center of the cross section, it is highly desirable to form longitudinally located opposite facing grooves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like a notch. The downward facing grooves that make up the upper groove in the use position receive the incisors in the upper part of the mouth, while the lower upward grooves receive the incisors in the lower part of the mouth.

상기 중간 매개연결부와 특히 무의미한 두께의 이러한 설계는 물려 있는 동안 혀가 입안에서 훨씬 앞으로 도달할 수 있게 하는 데에 확실하게 기여한다.This intermediate mediation, and in particular of this meaningless thickness, certainly contributes to the tongue being able to reach much further in the mouth while bite.

상기 정지판, 특히 외부의 제한하는 벽들은 정지판이나 그 부분들이 입술에 닿게 되면 유아에게 불편함을 끼치는 구슬과 같은 원주의 끝부분들로 바람직하게 형성되어 있다.The stop plate, in particular the outer confining walls, is preferably formed with the ends of the circumference, such as beads, which cause discomfort to the infant when the stop plate or parts thereof touch the lips.

상기 정지판이나 이와 동일한 부분들은 정지판의 벽을 통해 연장하는 옆으로 굽어진 다수의 구멍들로 형성될 수 있다.The stop plate or the same parts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laterally bent holes extending through the wall of the stop plate.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되고 설계된 모조 젖꼭지의 추가적인 장점들과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제한없이 가능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다음에 더욱 설명될 것이다.Further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dummy nipple formed and desig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described below in connection with a possible embodiment without the limitations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모조 젖꼭지는 일반적으로 다음 부분들로 이루어지게 되는 바, 서로의 연장부로 연장하는 2개의 비대칭부들(16a,16b)과 합체된 정지판(16)에 굳게 연결된 부착부(14)와 각각 연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베어링부(12)에서 자유회전 되도록 선택적인 손잡이용 링(10)이 매달려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사용위치에서 그 세로(수직) 중심부는 상부끝과 하부끝 사이에서 불규칙하면서 비선형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정지판(16)과 방울형상체(18)의 사이에 매개연결부(20)가 장착되어 그 자유끝에서 방울형상체(18)를 지지하고 있다.In an embodiment, the dummy nipp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generally consists of the following parts: an attachment part firmly connected to the stop plate 16 incorporated with the two asymmetric parts 16a, 16b extending into each other's extensions; An optional handle ring 10 is suspended so as to freely rotate in a bearing portion 12 connected or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f 14, in the use position shown in FIG. It extends irregularly and non-linearly between the ends,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20 is mounted between the stop plate 16 and the droplet 18 to support the droplet 18 at its free end.

상기 세로 중심면(도 2에서 해칭부분)에서, 서로의 연장부를 구성하는 2개의 세로부들(16a,16b)은 서로에 대해 대략 엇갈리게 되어 있으며, 사용위치에서 방울형상체(18) 쪽으로 향한 굽어진 표면을 갖춘 정지판의 하부(16b)는 정지판(16)상의 매개연결부(20)의 연결위치의 중심부로부터 떨어져서, 그 부분에서 수직하게 매달려 있는 손잡이용 링(10)을 통하는 가상면으로부터 다소 멀리 떨어져 있다. 서로 이격된 이 정지판 부분들(16a,16b)은 유아의 입술들에 적당한 정지면들을 형성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윗입술(22)은 정지판의 상부(16a)에 대해 지지되듯이 놓이게 되는 반면, 아래입술(24)은 정지판의 하부(16b)에 대해 지지되듯이 놓이게 된다.In the longitudinal center plane (hatched in FIG. 2), the two longitudinal portions 16a, 16b constituting the extensions of each other are approximately stagger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bent toward the droplet 18 at the position of use. The lower portion 16b of the stop plate with surface is farther away from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20 on the stop plate 16 and somewhat further from the imaginary surface through the handle ring 10 suspended vertically in that portion. Away. These stop plate portions 16a, 16b,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m suitable stop surfaces on the lips of the infant, as shown in FIG. 2, as the upper lip 22 is supported against the top 16a of the stop plate. The lower lip 24 is placed as if it is supported against the lower portion 16b of the stop plate.

도 3에는 정지판(16)이 옆으로의 관통하는 굽어진 구멍들(26)을 갖추는 것을도시하는 바, 유아가 그의 입안으로 정지판(16)을 넣은 경우에 유아가 여전히 숨을 쉴 수 있도록 되어 있다.3 shows that the stop plate 16 has side-by-side bent holes 26 so that the infant can still breathe when the infant puts the stop plate 16 into his mouth. It i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지판(16)은 옆으로 오목하게 만곡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stop plate 16 is curved concave laterally.

상기 중간 매개연결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매개연결부(20)가 입의 윗부분에 있는 앞니(26)와 입의 아래부분에 있는 앞니(28) 사이의 입안에 놓이게 될 영역에서 얇은 두께와 비교적 넓은 폭을 나타내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The intermediate mediation section 20 is located in the region where the mediation section 20 will be placed in the mouth between the incisors 26 at the top of the mouth and the incisors 28 at the bottom of the mouth, as shown in FIG. It is formed in a size representing a thin thickness and a relatively wide width.

상기 영역에서, 매개연결부(20)는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로 향하는 2개의 각각 세로단면이 새김눈과 같은 홈들(30,32)을 나타내고 있다.In this area, the intermediate connection 20 in particular shows grooves 30, 32, each of which has two longitudinal sections facing oppositely, as shown in FIG.

도 2에서는 위의 앞니(26)는 상기 매개연결부(20)의 상부의 위로 개방되고 아래로 유도된 홈(30)에 아래로 안내되어 고정되는 한편, 아래의 앞니(28)는 매개연결부(20)의 하부의 아래로 개방된 홈(32)에 위로 안내되어 고정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는데, 하부홈(32)은 매개연결부(20)의 상부홈(30) 보다 방울형상체(18)에 더 밀접하게 놓이도록 되어 있다.In FIG. 2, the upper incisors 26 are guided down and fixed in the grooves 30 which are opened up and dow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connector 20, while the lower incisors 28 are the intermediate connector 20. The lower groove 32 is shown in a method of being guided up and fixed to the downwardly open groove 32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ottom, the lower groove 32 is more in the bell shaped body 18 than the upper groove 30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20 It is to be placed closely.

상기 매개연결부(20)의 자유끝에 구비되는 방울형상체(18)는 매개연결부(20)의 자유끝의 방울형상체(18)의 연결위치에서 오목하게 각이 져 있을 졌을 뿐만 아니라 매개연결부(20)로부터 떨어져 있는 외부표면(18')을 갖추는데, 상기 연결위치에 대해 가능한 옆으로 오목하게 만곡된 이 외부표면(18')은 훨씬 작은 상부 외부표면(18b')으로 이어지는 큰 하부 외부표면(18a')으로 이루어지면서, 도 1과 도 2에 측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외부표면(18')의 외부끝은 불규칙한 곡선을 따라 연장하고 있다.The droplet-shaped body 18 provided at the free end of the intermediate connector 20 is not only concavely angled at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droplet-shaped body 18 at the free end of the intermediate connector 20, but also the intermediate connector 20 And an outer surface 18 'which is concave as sideways as possible to the connecting position, this outer surface 18' is a large lower outer surface leading to a much smaller upper outer surface 18b '. 18a '), the outer ends of the entire outer surface 18' extend along an irregular curve, as shown in side views in FIGS. 1 and 2.

상기 방울형상체(18)의 하부(18a)는 외부의 자유끝에서 매개연결부(20)의 방울형상체(18)와의 연결위치까지 대략 동일한 두께를 갖기 때문에 이 하부(18a)는 대체로 평행한 표면들을 갖추게 되는데, 이러한 평행한 표면들은 물려 있는 동안 입안에서 혀의 위치에 특히 바람직하게 된다.Since the lower portion 18a of the droplet 18 has approximately the same thickness from the free end of the outer end to the connection position with the droplet 18 of the intermediate connector 20, the lower portion 18a has a substantially parallel surface. These parallel surfaces are particularly desirable for the position of the tongue in the mouth while bite.

상기 방울형상체(18)의 연결위치에 밀접한 매개연결부(20)의 외부, 즉 이빨들 사이에서 매개연결부(20)를 위한 통로의 영역은 사용위치에서 바람직하기로 비스듬히 위쪽으로 경사져 있어서 물려 있는 동안 혀가 입안에서 자연스럽고 편한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기여하는데, 이 설계와 형상은 특히 부정교합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The area of the passageway for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20 outside of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20, ie between the teeth, close to the connecting position of the droplet 18 is preferably tilted upwardly obliquely at the use position while being bitten. The tongue contributes to a natural and comfortable position in the mouth, which is particularly desirable in that it prevents malocclusion.

고무 젖꼭지형의 종래의 모조 젖꼭지는 종종 측면부분에서 개방성 교합과 부정교합과 같은 잘못된 교합을 일으키는 바, 이 개방성 교합은 어린 유아에 있어서 미적이고 기능적인 문제를 나타내나, 종종 유아가 모조 젖꼭지의 사용을 중지한 후에 스스로 교정되는 한편, 상기 부정교합은 매우 종종 영구적인 치열로 변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정교합은 공지된 모조 젖꼭지가 혀를 구강의 바닥으로 내리 눌러서, 혀(34)가 바깥쪽으로 아래턱의 치열궁(36)을 밀어냄과 동시에 위턱의 치열궁(38)은 혀(34)로부터 지지력을 상실하고, 뺨의 압력이 위턱의 치열궁(38)을 안쪽으로 압박하여 형성된다. 위턱의 치열궁의 폭과 아래턱의 치열궁의 폭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불균형이 종종 부정교합을 일으키는데, 종래의 모조 젖꼭지를 사용하여 생기는 부정교합은 종종 아래턱의 힘의 영향과 관련되고, 이는 턱의 정형수술이 초기단계에 시작되어 턱들의 성장과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방지해야 할 필요가 있는 심하게 기능적으로 잘못된 교합으로 된다.Conventional dummy nipples of the pacifier type often cause false occlusions such as open occlusion and malocclusion at the side, which presents aesthetic and functional problems in young infants, but often infants use imitation nipples. While stopping and correcting itself, the malocclusion is very often transformed into a permanent dentition. As described above, malocclusion is a known imitation nipple presses the tongue to the bottom of the oral cavity, while tongue 34 pushes the arch 36 of the lower jaw outward, while the arch of the upper jaw 38 is the tongue. The support force is lost from 34, and the pressure of the cheek is formed by pressing the dental arch 38 of the upper jaw inward. Imbalances between the width of the upper and lower arches often cause malocclusions. The malocclusion using conventional dummy nipples is often associated with the effects of force on the lower jaw. Beginning at a stage, this results in a severely functionally incorrect occlusion that needs to be prevented from adversely affecting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jaws.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모조 젖꼭지의 전체적인 설계와 형상이 유아의 아래턱의 힘의 영향에 의한 부정교합의 발달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수행되어서, 모조 젖꼭지가 혀를 구강의 바닥 아래로 내리누르는 것, 즉 위턱의 치열궁이 너무 좁게 되고, 아래턱의 치열궁이 너무 넓게 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게 되어 있다. 이빨을 악물 때 아래턱은 한쪽으로 밀려 나가게 되나,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조 젖꼭지는 아래턱의 힘의 영향에 의한 부정교합이 방지되도록 설계되고 형성되어 있는 바,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혀의 자유롭고 자연스러운 위치와 조건을 제공하는 혀(34)에 대한 입안에서의 방울형상체의 특별한 형상과 위치 및 배치를 통해 성취된다. 혀(34')의 아래에 있는 침샘이나 소대(小帶) 등은 모조 젖꼭지의 방울형상체(18)에 의해 대체로 영향을 받지 않고 자유로이 위치될 수 있다. 근본적으로, 상기 모조 젖꼭지는 혀(34,34')가 구강의 바닥으로 내리 눌려지는 것을 방지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overall design and shape of the dummy nipple is carried out in that it prevents the development of malocclusion under the influence of the force of the lower jaw of the infant, so that the dummy nipple pushes the tongue down the bottom of the mouth, i.e. The arch of the upper jaw becomes too narrow and the arch of the lower jaw is essentially prevented from becoming too wide. The lower jaw is pushed to one side when the teeth are clenched, whereas the imitation nip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and formed to prevent malocclusion due to the influence of the force of the lower jaw, which is shown in FIG. This is achieved through the special shape, position and placement of the droplet in the mouth relative to the tongue 34 providing a free and natural position and condition. Salivary glands or platoons under the tongue 34 'can be freely positioned without being largely affected by the droplet 18 of the dummy nipple. Essentially, the dummy nipple prevents the tongues 34, 34 'from being pushed down to the bottom of the mouth.

특별한 설계의 정지판(16)은 물론 앞니들(26,28) 사이의 비스듬히 위쪽으로 유도되는 통로의 진로는 본 발명에 따른 모조 젖꼭지가 오랜 기간 이상으로 사용될 때 이빨들이 바르게 위치되도록 하는데, 아래의 앞니(28)들의 외부의 자유끝은 위의 앞니(26)들의 안쪽에 놓이게 되고, 더구나 가능한 맞은편의 어금니(42,44)들이 서로에 대해 바르게 위치되고 배치되도록 한다.The special design of the stop plate 16, as well as the course of the obliquely upward passage between the front teeth 26 and 28, ensures that the teeth are correctly positioned when the dummy nipp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used for longer periods of time. The free end of the outside of the incisors 28 lies on the inside of the incisors 26 above, furthermore allowing the opposite molars 42 and 44 to be correctly positioned and positioned relative to each other.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본적으로 혀(34)의 위쪽과 접촉하는 방울형상체(18)의 표면(18a',18b')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그 세로방향의 일부를 가로지르면서 가능한 옆으로 다소 만곡된 대략 타원형의 원주형상을 나타내는데, 이 방울형상체(18), 특히 그 외부표면(18a',18b')의 상세한 설계와 형상은 계속적으로 실험과 경험에 의거한 응용과 적용의 종속적인 문제로 될 것이지만, 상기 방울형상체(18)는 인접한 축방향 끝의 매개연결부(20)에 대한 그 연결점에 대하여 비대칭인 평판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경사진 평판부분은 적어도 한 방향으로 다소 오목하게 만곡될 수 있는데, 가능한 이중으로 만곡된, 즉 가늘고 긴(타원형의) 방울형상체(18)에 관련된 바와 같이 적어도 방울형상체(18)의 임의의 세로방향의 일부를 가로지르는 세로와 옆쪽 모두의 방향으로 맞춰지면서 다소 오목하게 만곡된 형상을 나타낸다. 하지만, 혀(34)를 위한 방울형상체(18)의 휴식용 표면(18a',18b')의 사용이 방지되는 것은 아니고, 대체로 사각형이나 원형의 원주형상을 나타낸다.As shown in FIG. 2, the surfaces 18a ′ and 18b ′ of the droplet 18, which essentially contact the top of the tongue 34, cross at least a portion of its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3. And an approximately elliptical cylindrical shape that is somewhat curved to the side as much as possible, and the detailed design and shape of the droplet 18, particularly its outer surfaces 18a 'and 18b', is consistent with application and experimentation. As will be a matter of application dependent, the droplet 18 has a flat plate-like shape which is asymmetrical with respect to its connection point to the intermediate connection 20 at the adjacent axial end. As described above, this inclined plate portion may be somewhat concavely curved in at least one direction, at least in the form of a double curved, ie, elongated (elliptical) droplet 18. It exhibits a somewhat concavely curved shape, fitted in both the longitudinal and lateral directions across som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s in (18). However, the use of the resting surfaces 18a 'and 18b' of the droplet 18 for the tongue 34 is not prevented and generally represents a rectangular or circular columnar shape.

상기 방울형상체(18)의 외부표면(18b')은 가능한 생략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18b 'of the droplet 18 can be omitted as much as possibl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물고 있는 동안 혀가 바르게 위치되도록 바람직하게 되어 있는 모조 젖꼭지를 제공하여서, 모조 젖꼭지가 혀를 구강의 바닥 아래로 내리누르는 것, 즉 위턱의 치열궁이 너무 좁게 되고 아래턱의 치열궁이 너무 넓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유아의 아래턱의 힘의 영향에 의한 부정교합의 발달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mmy nipple which is preferably adapted to properly position the tongue while biting, so that the dummy nipple pushes the tongue under the bottom of the mouth, that is, the arch of the upper jaw becomes too narrow. The lower jaw arch is prevented from becoming too wide, thereby preventing the development of malocclusion due to the influence of the force of the lower jaw of the infant.

Claims (10)

한쪽 외부 끝에 유아가 빨기 위한 방울형상체(18)와, 예컨대 정지판의 형태로서 유아의 입술들(22,24)에 대한 접촉면을 형성하면서 매달림부재(12)와 부착부(14)에 의해 손잡이용 링(10)을 지지하는 대향부재(16) 및, 한쪽 축방향 끝에는 상기 방울형상체(18)가 연결되고 다른 축방향 끝에는 정지판(16)이나 손잡이용 링(10)이 연결된 중간 매개연결부(20)를 구비하는 고무 젖꼭지형의 모조젖꼭지에 있어서,Handle by the hanging member 12 and the attachment portion 14, forming a contact surface for the infant's lips 22, 24,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stop plate, for suckling the infant at one outer end. Opposing member 16 for supporting ring 10, and intermediate connection between connecting the drop member 18 at one axial end and a stop plate 16 or handle ring 10 at the other axial end. A nipple-shaped dummy nipple provided with (20), 상기 방울형상체(18)는 매개연결부(20)의 인접한 끝부분에서 그 연결점에 대해 비대칭으로 형성되고, 사용위치에서 구강의 안쪽으로 향하면서 혀(34)의 맞은편 부분이 놓이는 영역을 형성하는 오목하게 경사지면서 만곡된 외부표면(18a',18b')을 구비하는데, 상기 방울형상체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비교적 길면서 사용위치에서 비스듬히 아래로 유도된 다리(18a)와 이에 대해 경사지면서 비교적 짧은 다리(18b)를 갖춘 가능한 이중으로 만곡된 평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정지판(16)은 서로의 연장부로 뻗어 있는 2개의 세로부들(16a,16b)을 갖추는데, 그 중 하나는 유아의 윗입술 또는 위입술 영역(22)에 대해 놓이도록 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유아의 아래입술 또는 아래입술 영역(24)에 놓이도록 되어 있되, 이 2개의 세로부들(16a,16b)은 서로에 대해 위치되고, 사용위치에서 최하단인 세로 정지판부(16b)의 외부표면(방울형상체(18)를 향한 표면)이 상부의 세로 정지판부(16a)의 상응하는 외부표면 보다 방울형상체(18)에 다소 가깝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모조 젖꼭지.The drop-shaped body 18 is formed a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its connection point at the adjacent end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20, and forms an area where the opposite portion of the tongue 34 lies, while being inward of the mouth at the use position. A concavely inclined and curved outer surface 18a ', 18b', which is relatively long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relatively inclined relative to the leg 18a which is inclined downward at the position of use. It may consist of possible double curved plates with short legs 18b, the stop plate 16 having two longitudinals 16a, 16b extending into each other's extensions, one of which is the infant's The upper lip or upper lip area 22, and the other one to lie in the infant's lower lip or lower lip area 24, with the two longitudinal portions 16a, 16b positioned relative to each other. Become, The outer surface (surface toward the droplet-shaped body 18) of the vertical stop plate portion 16b, which is the lowest in the use position, is positioned closer to the droplet 18 than the corresponding outer surface of the upper vertical stop plate portion 16a. Imitation nipple for the baby,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지면서 오목하게 만곡된 평판 같은 방울형상체(18)의 긴 다리(18a)의 외부 자유끝은 사용위치에서 비스듬히 위쪽으로 연장하는 방울형상체(18)의 짧은 외부 자유끝 보다 매개연결부(20)의 끝부분의 방울형상체(18)의 연결점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더 멀리 떨어져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모조 젖꼭지.2. The short outer free end of the bell shaped body (18)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free end of the long leg (18a) of the slanted and concavely curved flat plate (18a) extends obliquely upward in the use position. Imitation nipple for infants,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farther axially from the connection point of the drop-shaped body 18 of the end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20 than the end.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울형상체(18)를 향하는 하부의 세로 정지판부(16b)의 표면은 그 세로방향의 일부를 가로질러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는 한편, 상부의 세로 정지판부(16a)의 상응하는 표면은 그 세로방향의 일부를 가로질러 오목하게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모조 젖꼭지.The surface of the lower longitudinal stop plate portion 16b facing the droplet 18 is convexly curved across a por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the upper portion thereof.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longitudinal stop plate portion (16a) of the baby imitation nipp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urved concave across a por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판(16)의 하부 세로부(16b)의 외부표면은 매개연결부(20)의 인접한 끝부분의 정지판의 연결점으로부터 떨어져 가장 뚜렷이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으며, 정지판(16)의 상부 세로부(16a)의 외부표면은 매개연결부(20)의 인접한 끝부분의 정지판(16)의 연결점의 근처에서 가장 뚜렷이 오목하게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모조 젖꼭지.4.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longitudinal portion 16b of the stop plate 16 is curved most convexly away from the connection point of the stop plate at the adjacent end of the intermediate connector 20. 16. The infant imitation nipp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longitudinal portion (16a) of the upper longitudinal portion (16a) is most concavely curved in the vicinity of the connection point of the stop plate (16) of the adjacent end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20).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판(16)은 방울형상체(18)를 향하는 표면이 옆으로 오목하게 만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모조 젖꼭지.The baby imitation nipp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 plate (16) is formed by concave curved surfaces laterally facing the droplet (18).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울형상체(18)와 정지판(16) 사이의 매개연결부(20)는 얇은 두께와 넓은 폭을 나타내는 크기로 형성되는데, 이 두께는 측면에서 바라본 크기이고, 폭은 그에 직각으로 위치한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모조 젖꼭지.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20 between the droplet 18 and the stop plate 16 is formed in a size representing a thin thickness and a wide width. A baby imitation nipp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viewed from the side, the width is located at a right angle to i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연결부(20)의 양쪽면에는 새김눈과 같은 단면형상을 갖춘 홈들(30,32)로 형성되어 있어서, 앞니들(26,28)을 수용하도록 안내하게 되어 있는데, 사용위치에서 상부의 위로 개방되고 아래로 유도된 홈(30)은 하부의 아래로 개방되고 위로 유도된 홈(32) 보다 상기 방울형성체(18)의 연결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모조 젖꼭지.According to claim 6, On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20 is formed of grooves 30, 32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such as a notch, to guide to accommodate the front teeth (26, 28), In the use position, the imitation of the infant,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open and downward guided groove 30 is farther from the connection point of the droplet-forming body 18 than the lower open and guided groove 32 below. nippl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아래의 앞니(28)를 수용하도록 안내하는 하부의 아래로 개방되고 위로 유도된 홈(32)은 대체로 매개연결부(20)의 인접한 끝부분의 방울형성체(18)의 연결점의 바로 근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모조 젖꼭지.8. The lower open and directed groove 32 of the lower part which guides the lower incisor 28 to receive the lower portion of the drop forming body 18 of the adjacent end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20. Imitation nipple for infants,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the connection point.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울형상체(18)와, 매개연결부(20), 버팀부(12), 및 부착부(14)는 동일한 재료의 단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모조 젖꼭지.9. The droplet-shaped body 18,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20, the brace portion 12, and the attachment portion 14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re made of a single body of the same material. Imitation nipples made with.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울형상체(18)의 연결점에 인접한 그 외부 축방향 끝부분의 매개연결부(20), 즉 사용위치에 있어서 가능한 앞니들(26,28) 또는 잇몸들 사이의 매개연결부(20)의 통로는 위로 경사진 진로를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모조 젖꼭지.9. The intermediary connection 20 at its outer axial end adjacent to the connection point of the droplet 18, i.e. possible front teeth 26, 28 in any of the positions of use. Or imitation nipple for infa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ssage of the intermediary connection (20) between the gums follows a path inclined upwards.
KR10-1998-0710955A 1996-07-05 1997-06-20 Teat, in particular of the comforter type KR1004739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710955A KR100473989B1 (en) 1996-07-05 1997-06-20 Teat, in particular of the comforter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962832 1996-07-05
KR10-1998-0710955A KR100473989B1 (en) 1996-07-05 1997-06-20 Teat, in particular of the comforter ty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510A true KR20000022510A (en) 2000-04-25
KR100473989B1 KR100473989B1 (en) 2005-06-20

Family

ID=43666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955A KR100473989B1 (en) 1996-07-05 1997-06-20 Teat, in particular of the comforter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3989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3989B1 (en) 2005-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4141B2 (en) Pacifier, a system and a method for maintaining proper dentitions
EP1613260B1 (en) Pacifier
US7975701B2 (en)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on habits of an oral cavity
CN107249506B (en) Mandibular teeth fixed oral cavity appliance
US10874593B2 (en) Pacifier to train proper tongue position
FI108276B (en) dUMMY
US6080186A (en) Teat, in particular of the comforter type
JP3844362B2 (en) Nipples, especially comfort-type nipples
TWM627580U (en) Orthodontic smoothing nipple and milk bottle thereof
KR100473989B1 (en) Teat, in particular of the comforter type
WO2002064079A1 (en) Pacifier
JP6226970B2 (en) Induction pacifiers that encourage maturity for infants
CN213191315U (en) Pacifying nipple
CN117814944A (en) Tooth socket
CA2260027C (en) Teat, in particular of the comforter type
JP2023048036A (en) oral appliance
WO2015166362A1 (en) System to facilitate feeding in patients facing trouble in consuming food
ITCH940005U1 (en) SOOTHER AND Teat for children
KR20050044791A (en) A pacifier, a system and a mehtod for maintaining proper dent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