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0899A - 이산화탄소 투과성 포장재 - Google Patents

이산화탄소 투과성 포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0899A
KR20000020899A KR1019980039698A KR19980039698A KR20000020899A KR 20000020899 A KR20000020899 A KR 20000020899A KR 1019980039698 A KR1019980039698 A KR 1019980039698A KR 19980039698 A KR19980039698 A KR 19980039698A KR 20000020899 A KR20000020899 A KR 20000020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iphatic
carbon dioxide
packaging material
polyester resin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9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수
이재왕
김동훈
전정남
Original Assignee
정현수
김석태
주식회사 이래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수, 김석태, 주식회사 이래화학 filed Critical 정현수
Priority to KR1019980039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0899A/ko
Publication of KR20000020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89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6Unsaturated poly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를 투과시키는 데 사용되는 재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지방족-방향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투과성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의 화학식 1로 나타나는 개환중합법에 의한 지방족폴리에스테르 또는 화학식 2로 나타나는 축중합법에 의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지방족-방향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단독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타수지와의 혼합물의 이산화탄소 투과성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가 제공된다.
-[C:O-O-R]- (1)
-[O-R1-O-C:O-R2-C:O]- (2)
단,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지방족탄화수소, 화학식 2에서 R1, R2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이다.

Description

이산화탄소 투과성 포장재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를 투과시키는 데 사용되는 재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지방족-방향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투과성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김치, 막걸리등의 발효식품 포장시 폴리올레핀, 나이론,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알루미늄 소재등을 단독 또는 복합소재화하여 이용하여 왔는데, 유통과정중 식품자체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에 의하여 포장재가 부푸는 현상으로 인하여 포장재가 터지거나, 식품의 맛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에 직면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지방족-방향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높은 이산화탄소 투과성을 이용하여, 김치, 막걸리등의 발효식품 유통과정 중 식품자체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적절히 포장재 외부로 투과시킴으로서 포장재가 부푸는 현상등의 문제점들을 없애고, 식품의 맛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투과성 포장재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의 화학식 1로 나타나는 개환중합법에 의한 지방족폴리에스테르 또는 화학식 2로 나타나는 축중합법에 의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지방족-방향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높은 이산화탄소 투과성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가 제공된다.
-[C:O-O-R]-
-[O-R1-O-C:O-R2-C:O]-
단,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지방족탄화수소, 화학식 2에서 R1, R2는 지방족 탄화수소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에 나타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지방족-방향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높은 이산화탄소 투과성을 이용하여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지방족-방향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단독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타수지와의 혼합물인 복합재질의 이산화탄소 투과성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를 사용한다.
위의 이산화탄소 투과성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수지 단독 또는 타수지와의 혼합물인 복합재질의 높은 이산화탄소 투과성을 이용하여 포장재 전체를 제작할 수 있고, 또한 포장재의 대부분은 기존의 포장재질을 사용하면서 일부분을 창문의 형태로 또는 마개(뚜껑)부위를 상기 이산화탄소 투과성 소재를 이용함으로서 이산화탄소 투과성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를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투과성 포장재에 관하여 실시예를 이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디카르복실산으로 아디프산을 사용하고, 디올로서 1,4-부탄디올을 사용하여 축중합반응을 실시함으로서 최종적으로 용융흐름지수(190℃, 2160g)가 7, 중량평균분자량 300,000의 수지를 얻었다. 위의 방법으로 얻어진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하여 두께가 50㎛인 필름을 성형한다. 이와 같이 성형된 필름의 이산화탄소 투과율을 특정한 결과 75%RH, 20℃조건하에서 89,000㎤/25㎛/㎡/24hrs,1atm 의 투과율을 나타내었다. 위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필름 단독 재질로 3면이 열접착된 가로 15㎝ 세로 20㎝의 직사각형 모양 포장용기를 만들고 새로 담근 김치 300g을 넣은 후 나머지 한면을 열접착하여 밀봉한다. 위와 같이 밀봉된 김치 포장용기 샘플 다섯 개를 제작한 후 25℃의 항온기에 보관한다. 20일이 경과한 후 관찰한 결과 위의 김치 포장용기 샘플 다섯 개 중 부풀어 오른 샘플이 없었다.
실시예 2
기존의 김치포장재로 사용되고 있는 폴리올레핀, 알루미늄, 피이티 복합소재로 된 가로 15㎝ 세로 20㎝의 삼면이 열접착된 직사각형 모양 포장용기에 가로×세로가 각각 1㎝×1㎝, 1.5㎝×1.5㎝, 2㎝×2㎝, 2.5㎝×2.5㎝, 3㎝×3㎝ 크기를 잘라낸후 잘라낸 부위를 실시예 2에서 제작된 50㎛ 두께 필름으로 막고 접착제를 사용하여 창문 형태로 제작한다. 위와 같이 창문 형태를 갖춘 포장용기에 새로 담근 김치 300g을 넣은 후 나머지 한면을 열접착하여 밀봉한다. 위와 같이 밀봉된 김치 포장용기를 각각의 창 크기당 샘플 다섯 개를 제작한 후 25℃의 항온기에 보관한다. 20일이 경과한 후 관찰한 결과 위의 김치 포장용기 샘플 25개 중 부풀어 오른 샘플이 없었다.
비교예 1
기존의 김치포장재로 사용되고 있는 폴리올레핀, 알루미늄, 피이티 복합소재로 된 가로 15㎝ 세로 20㎝의 삼면이 열접착된 직사각형 모양 포장용기에 새로 담근 김치 300g을 넣은 후 나머지 한면을 열접착하여 밀봉한다. 위와 같이 밀봉된 김치 포장용기 다섯 개를 제작한 후 25℃의 항온기에 보관한다. 20일이 경과한 후 관찰한 결과 위의 김치 포장용기 샘플 다섯개 중 2개는 부풀어 올라 터졌으며, 나머지 3개는 부풀어 올라 매우 팽팽한 형태를 이루고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지방족-방향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높은 이산화탄소 투과성을 이용하여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지방족-방향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단독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타수지와의 혼합물인 복합재질의 이산화탄소 투과성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를 이용하여, 김치, 막걸리 등의 발효식품이 포장되어 유통될 경우 식품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에 의하여 포장재가 부품으로서 발생하는 기존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위의 이산화탄소 투과성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수지 단독 또는 타수지와의 혼합물인 복합재질을 이용하여 포장재 전체를 제작할 수 있고, 또한 포장재의 대부분은 기존의 포장재질을 사용하면서 일부분을 창문의 형태로 또는 마개(뚜껑)부위를 상기 이산화탄소 투과성 소재를 이용함으로서 이산화탄소 투과성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를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4)

  1. 하기의 화학식 1로 나타나는 개환중합법에 의한 지방족폴리에스테르 또는 화학식 2로 나타나는 축중합법에 의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지방족-방향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높은 이산화탄소 투과성을 특징으로 발효식품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적절히 배출하여 줄 수 있는 포장재.
    -[C:O-O-R]- (1)
    -[O-R1-O-C:O-R2-C:O]- (2)
    단,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지방족탄화수소, 화학식 2에서 R1, R2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카프로락톤 수지, 폴리락타이드 수지 단독 내지 10∼99.99중량%가 포함된 복합재료로서 높은 이산화탄소 투과성을 특징으로하는 포장재.
  3. 제1항에 있어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지방족-방향족 공중합폴리에스테르 수지 단독 내지 10∼99.99중량%가 포함된 복합재료로서 높은 이산화탄소 투과성을 특징으로하는 포장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투과성 재질을 단독으로 전체포장에 사용하거나 또는 기존 포장재의 일부분을 창문의 형태, 마개 등으로 대체 적용함으로서 이산화탄소 투과성을 특징으로하는 포장재.
KR1019980039698A 1998-09-24 1998-09-24 이산화탄소 투과성 포장재 KR200000208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698A KR20000020899A (ko) 1998-09-24 1998-09-24 이산화탄소 투과성 포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698A KR20000020899A (ko) 1998-09-24 1998-09-24 이산화탄소 투과성 포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899A true KR20000020899A (ko) 2000-04-15

Family

ID=19551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9698A KR20000020899A (ko) 1998-09-24 1998-09-24 이산화탄소 투과성 포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08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51116B1 (en) Polymeric film
US5021515A (en) Packaging
US5639815A (en) Packaging
EP0353710B1 (en) Blood collecting tube
EP0351115B1 (en) Packaging method
EP0270764B1 (en) Container providing controlled atmospheric storage
CA1329572C (en) Curable silicone-coated microporous films for controlled atmosphere packaging
US4842875A (en) Controlled atmosphere package
US4574148A (en) Polyester resins capable of forming containers having improved gas barrier properties
US4552948A (en) Polyester resins capable of forming containers having improved gas barrier properties
JPH0474515A (ja) 酸素吸収体
US4401805A (en) Modifi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improved gas barrier properties
US4963641A (en) Polyester with improved gas barrier properties from cycloalkylidene bis (p-phenyleneoxy) diacetic acid
US20100310729A1 (en) Packaged Beverage Having Enhanced Carbon Dioxide Retention, Method For Packaging A Beverage, Container For Packaging A Beverage, And Polyester Composition
US4663426A (en) Polyester resins capable of forming containers having improved gas barrier properties
US4105818A (en) Gas barrier packaging material
KR20000020899A (ko) 이산화탄소 투과성 포장재
EP1186552A1 (en) Packing container and packing method
KR100336491B1 (ko) 김치제품의 팽창방지 포장방법
US4841012A (en) Polyesters with improved gas barrier properties
JPS62183834A (ja) 酸素吸収剤包装体
JPH0397557A (ja) 包装材料用ポリエステル積層体
US4388456A (en) Copolyesters having improved gas barrier proper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