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9474A - 개량형스크류의 표면폭기기 - Google Patents

개량형스크류의 표면폭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9474A
KR20000019474A KR1019980037588A KR19980037588A KR20000019474A KR 20000019474 A KR20000019474 A KR 20000019474A KR 1019980037588 A KR1019980037588 A KR 1019980037588A KR 19980037588 A KR19980037588 A KR 19980037588A KR 20000019474 A KR20000019474 A KR 20000019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aeration
shape
baffle plate
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1814B1 (ko
Inventor
김양수
Original Assignee
김양수
주식회사 청우이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양수, 주식회사 청우이엔이 filed Critical 김양수
Priority to KR1019980037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1814B1/ko
Publication of KR20000019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8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이나 폐수처리장의 폭기조에 설치되는 표면 폭기기에 관한 것으로, 그 폭기기 스크류의 성형과 효과에 관한 것이다. 폭기기의 설치목적은 산소를 공급하는데 있으므로, 본 발명과 같은 폭기기를 사용하여 종래의 폭기 방법을 개선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폭기기는 일반적으로 스크류의 날개는 수직으로 구성되고 수평으로 형성되어 스크류의 회전축에 큰 부하가 형성되어 동력 소모가 큰 결점과 기포의 형성이 효과적이지 못한 점이 지적된 바 있다. 본 발명의 폭기기는 자재를 F.R.P로 구성하여 전체의 모양이 콘(CONE)형으로 형성되어 그 콘의 외부에 수리공학적 근거에 의해 유선형으로 설계되고, 수류에 가장 적은 저항으로 회전할 수 있는 다수개의 스크류를 성형하여 회전 시키므로서 적은 동력으로 폭기조 저부의 폐수를 부상시키고 또한 크게 비산시키지 않으므로 악취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그에 비례하여 폭기의 효과와 폭기기의 수명과 동력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량형스크류의 표면폭기기
본 발명은 개량형 스크류의 표면폭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크류의 전체 형상이 콘(CONE)의 형상으로서 스크류를 유선형으로 형성하고 그 재질을 F.R.P의 소재인 경량의 재질로 성형된 폭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폐수처리장에서 사용하던 포기조의 폭기기는 스크류의 직경이 크고 스크류의 형성이 축에서 직각 방향으로 직선으로 형성되어, 스크류의 회전시 스크류에 저항이 많이 발생하고 축에 부하가 많이 발생하여 스크류의 순발력이 큰 차이로 떨어짐을 지적할 수 있으며, 축이 받는 부하로 고장이 많으며 동력 소모의 많음이 지적되고 있다.
폭기기의 효능은 폐수에 산소를 공급하여 그 폐수를 활성화시키는데 있으며 적은 동력으로 큰 효과를 얻는데 있으므로, 스크류의 모양을 전체적으로 콘(CONE) 모양으로 형성하고 스크류의 형상은 유체공학을 기초로 하여 유선형으로 설계하고 특히 회전축에 부하를 줄이기 위해 스크류의 재질을 경량인 F.R.P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또한 스크류와 일체로 성형하여 같은 동력으로 큰 회전력을 얻어 포기조에 보다 많은 산소를 공급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폭기기가 포기조에서 폭기를 할 때는 포기조의 폐수에 수류를 형성하고 포기를 형성하여 공기와 접하는 면적을 넓게 하는 것이며, 폐수의 상 하 교류를 활발하게 하여 전체적으로 활성화하는 것이므로, 스크류 모양을 콘(CONE)의 모양에서 볼때, 밑에서 위로 나선형으로 성형하고, 그 나선형은 스크류의 첨예부에서 시작하여 메인스크류를 유선형으로 성형하고 그 메인스크류 사이에 보조스크류를 유선형으로 성형함으로서 스크류의 회전시 스크류의 와류에 의한 저항을 감소시키고 스크류와 스크류 사이에 형성된 요홈부에 의해 수류의 방향을 90。내에서 형성하여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진행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도
도 2는 폭기 스크류의 상태도
도 3은 종래의 폭기 스크류의 상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1 : 동력 12 : 회전축
13 : 배플플레이트 14 : 제어장치
15 : 메인스크류 16 : 보조스크류
17 : 콘 18 : 하우징
20 : 요홈부 21 : 첨예부
22 : 플레이트 23 : 날개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 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동력(11)에서 연계된 회전축(12)과 배플플레이트(13)에 지지되고 회전축(12)을 고정 지지하는 하우징(18)과 스크류(15,16)에서 폐수가 비산하여 동력부분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플플레이트(13)와 수중에 잠겨서 폐수를 교반하는 스크류(1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시하고자 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스크류(15,16)를 도시하고자 함이며, 도 3은 종래 스크류의 구성을 도시하고자 함이다.
재질을 F.R.P로 구성하여 그 자체로 경량이여서 부력이 크게 발생하고 성형하여 형성되는 스크류(15,16)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콘(CONE)(17)형으로 형성되고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모양으로 첨예부(21) 일 지점에서 시작하여 메인스크류(15)가 형성되고 그 메인스크류(15)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메인스크류(15)의 모양은 산맥과 같이 저면은 넓고 상부면은 첨예하게 형성되어 수류의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메인스크류(15)는 콘의 아랫 부분에서는 메인스크류(15)와 메인스크류(15)의 사이가 넓어지게 되고 수류가 그 부분에서 와류현상이 형성되어 스크류(15,16)의 회전에 방해가 되므로, 상기 메인스크류(15)와 메인스크류(15) 사이에 보조스크류(16)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스크류(15,16)의 간격이 일정한 요홈부(20)로 형성되어 수류의 와류보다는 수류의 상승의 효과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스크류(15,16)의 내부는 공간으로 형성되고 그 상부는 둘레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이 형성되어 플레이트(22)와 스크류(115,16)를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그 플레이트(22)에서 연장하여 회전축(12)이 형성되고 회전축(12)의 상부에는 제어장치(14)와 동력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12)의 일 지점의 위치에 배플플레이트가 형성되고 그 베플플레이트(13)에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로 동력장치가 고정 지지되고 배플플레이트(13) 저면에 고정되어 회전축(12)을 지지하는 하우징(18)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 예로 본 발명의 스크류(15,16)는 그 역학 구성으로 보아 성형하기 어려운 점이 있고 특히 금속으로 형성하기는 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성형이 쉽고 견고한 F.R.P의 재질을 이용하여 스크류(15,16)를 구성하였다. 스크류(15,16)의 회전은 동력에 비례하지만 스크류(15,16)의 모양에 따라 크게 변하는 것이기도 한 것이다. 또한 하수처리장이나 폐수처리장에서 필요로 하는 것은 교반의 성능, 즉 잘 섞이게 하는 것이므로 그 성능은 스크류(15,16)의 성능에 있다. 임펠러(19)의 형상에서 회전축(12)에서 회전 날개(23)가 길 수 록 교반의 성능은 높아지지만 회전축(12)이 받는 부하는 그 길이에 비례하여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제기되는 것이다. 따라서 교반의 성능이 우수하며 회전축(12)의 부하를 최소화한 스크류(15,16)에 있어서, 본 발명의 스크류(15,16)는 그 날개(23)를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모양으로 회전축(12)과 같은 방향, 즉 날개(23)를 수평으로 길게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 형성하여 회전축(12)에 부하를 줄이는 것이다. 도 2와 같은 모양의 임펠러(19)는 수직방향으로 구성되고 전체적인 모양이 유선형이며 그 외부에 형성된 스크류(15,16) 역시 유선형으로 구성되고 스크류(15,16)와 스크류(15,16) 사이에 형성되는 요홈부(20) 역시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임펠러(19)의 회전시 수류의 저항이 적기 때문에 동력(11)의 저속으로도 회전축(12)의 빠른 회전을 기대할 수 있고, 날개(23)가 수중으로 길이로 형성됨으로 표면 폐수만 교반하는 것이 아니라, 심수를 표면으로 표출시키는 기능을 가진 구성인 것이다.
산업사회가 발달하면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오염물질로는 특히 공기오염과 수질오염으로 강조할 수 있으며 이 2가지의 오염은 생명과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인 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수질오염의 주역인 폐수를 정화하는데 사용되는 기구로서 동력의 저속으로도 고속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스크류가 수지로 구성됨으로 부식 및 부패의 염려가 없으며, 회전축에 미치는 부하가 적으므로 기계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상 하 교반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1)

  1. 하수처리장이나 폐수처리장의 포기조에서 사용하는 폭기기에 있어서, 그 모양이 콘(17)의 형상이며 그 콘(17)의 외부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메인 스크류(15)와 다수개의 보조 스크류(1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스크류의 표면폭기기.
KR1019980037588A 1998-09-11 1998-09-11 개량형스크류의 표면폭기기 KR100271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588A KR100271814B1 (ko) 1998-09-11 1998-09-11 개량형스크류의 표면폭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588A KR100271814B1 (ko) 1998-09-11 1998-09-11 개량형스크류의 표면폭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474A true KR20000019474A (ko) 2000-04-15
KR100271814B1 KR100271814B1 (ko) 2000-11-15

Family

ID=19550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588A KR100271814B1 (ko) 1998-09-11 1998-09-11 개량형스크류의 표면폭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18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279B1 (ko) * 2009-08-05 2012-01-31 위성수 마이크로 버블 디퓨져
CN102757133A (zh) * 2011-06-06 2012-10-31 江苏亚太水处理工程有限公司 一种带承重调节的倒伞型表曝机
KR101469426B1 (ko) * 2014-10-06 2014-12-05 영농조합법인 양지엔텍 부유형 수질정화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279B1 (ko) * 2009-08-05 2012-01-31 위성수 마이크로 버블 디퓨져
CN102757133A (zh) * 2011-06-06 2012-10-31 江苏亚太水处理工程有限公司 一种带承重调节的倒伞型表曝机
KR101469426B1 (ko) * 2014-10-06 2014-12-05 영농조합법인 양지엔텍 부유형 수질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1814B1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17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eration of wastewater lagoons
US4308137A (en) Water aeration and circulation apparatus
US4844843A (en) Waste water aerator having rotating compression blades
US6634626B2 (en) Horizontal surface aerator
AU697641B2 (en) Apparatus for treating liquids
JP2007237153A5 (ko)
KR890002281B1 (ko) 기체용해 장치
CN208485627U (zh) 一种气浮机
KR20140020592A (ko) 풍력을 이용한 녹조 방지 및 수질개선용 폭기장치
KR20180024726A (ko) 자기부상식 표면 교반기
RU2005131955A (ru) Вспомогательная мешалка для флотаци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KR101012273B1 (ko) 고효율의 선회와류식 표면포기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의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CN208327537U (zh) 一种曝气搅拌器
CN208022733U (zh) 一种气浮机
US7651075B2 (en) Bubble generator
KR100271814B1 (ko) 개량형스크류의 표면폭기기
CN108503052B (zh) 一种差速双叶轮水下微气泡曝气装置及其方法
US3904714A (en) Low-speed mechanical aerator impeller
CN2156184Y (zh) 深层曝气机
CN212348361U (zh) Pam一体式溶解加药装置
JP2001062484A (ja) 縦軸型曝気攪拌装置
JP2004351377A (ja) 有機汚泥の浄化剤拡散装置
CN203329655U (zh) 一种带震动的多曲面搅拌机
JP2009022873A (ja) 汚泥凝集混和装置
CN204824374U (zh) 一种涡轮表面曝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