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9336U - A compromise between burial and charnel style cemetery - Google Patents

A compromise between burial and charnel style ceme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9336U
KR20000019336U KR2019990005794U KR19990005794U KR20000019336U KR 20000019336 U KR20000019336 U KR 20000019336U KR 2019990005794 U KR2019990005794 U KR 2019990005794U KR 19990005794 U KR19990005794 U KR 19990005794U KR 20000019336 U KR20000019336 U KR 200000193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ial
cemetery
chamber
crypt
civ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79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성남
Original Assignee
허성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성남 filed Critical 허성남
Priority to KR20199900057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9336U/en
Publication of KR200000193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336U/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신을 일정기간 땅속의 탈육실에 매장하였다가 15년 내지 30년이 경과하면 탈육된 뼈를 화장하지 않고 유골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여 분쇄기에 넣어 분말화시켜 이를 지상의 납골당에 봉안하도록 한 매장-납골 절충식 묘지에 관한 것으로, 한국의 전통적인 매장문화와 국토가 좁은 현실에 적합한 납골방식을 절충하므로써 장묘문화에 대한 세대간의 갈등을 해소하고, 한 가문에서 하나의 가족 묘지만을 갖고 자손대대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땅속에 마련된 탈육실은 시신의 탈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수설비를 구비함과 아울러 목근(木根)과 해충(害蟲)에 의한 파손과 피해를 예방하고 석실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석실의 외측 둘레에 일정두께의 백회층을 형성한 것이며, 지상에 마련된 납골당은 다수의 납골함을 영구적으로 서열에 맞추어 모실 수 있도록 층상구조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buried the dead body in the groun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after 15 to 30 years, the dehydrated bone is removed from the ashes without being cremated. It is about a burial-civilized crypt cemetery, which resolves the generational conflict between the traditional burial culture and the ossuary method suitable for the narrow reality of the country, and resolves the generational conflict about the ancestral culture, and has only one family cemetery in one family. It is designed to be used efficiently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nd the degreasing chamber in the ground is equipped with drainage facilities for effective descaling of the body, and also prevents damage and damage caused by roots and pests, and improves the durability of the chamber. To improve it, a white layer of thickness was formed around the outside of the stone chamber. So that the number of napgolham can carry permanently according to the sequence composed of a layered structure.

Description

매장-납골 절충식 묘지 {A compromise between burial and charnel style cemetery}Burial-Collective Cemetery {A compromise between burial and charnel style cemetery}

본 고안은 시신을 일정기간 땅속의 탈육실에 매장한 후 탈육된 뼈를 화장하지 않고 수분을 제거한 후 이를 분말화시켜 지상의 납골당에 봉안하도록 한 매장-납골 절충식 묘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rial-ciliary eclectic cemetery, where the dead body is buried in a ground meat room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n the dehydrated bone is removed without making up moisture, and then powdered to seal the ground ossuary.

본 고안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123637호의 가족납골묘를 들 수 있는데, 이는 첨부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땅을 일정깊이로 판 매장지 (1)에 석관을 넣고 봉분(6)을 덮어서 된 묘에 있어서, 상면과 지면이 개방된 본체 (A)의 상면에는 뚜껑이 덮여지는 4개의 석관(2)(3),(4)(5)을 준비하고, 이들 중 2개의 석관(2)(3)을 묘 중앙에 배치하여 유해를 안장하고, 나머지 2개의 석관(4)(5)은 묘 양측에 배치하여 화장된 뼈를 안치하는 납골관으로 사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As a related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family lead bone gravel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23637, which includes a sarcophagus in a burial place (1) which has a predetermined depth of land as shown in FIG. In the covered seedlings, four sarcophagus (2) (3), (4) (5), which are covered with a lid, are prepar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 with the ground open. (3) i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grave and saddles the remains, and the remaining two sarcophagus (4) and (5)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grave to be used as a ossuary tube for placing cremated bone.

상기한 종래고안에 의한 가족 납골묘는 구조적으로 다음에 열거하는 바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The family ossuary grave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design had the following structural problems.

첫째, 종래고안은 화장된 납골관으로 사용하는 2개의 석관(4)(5)마저도 유해를 안장하는 석관(2)(3)과 함께 땅속에 매장되어 있었으므로 이 석관(4)(5)내부에 안치되는 화장된 뼈가 영구적으로 보관되지 않고 땅속의 습기와 세균에 의해 부패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First, the conventional draft was buried in the ground together with two sarcophaguses (4) (5) used as cremated ossuary tubes (2) (3), which are still saddles. There was a fatal problem that the cremated bones placed in the rot were not permanently stored and rotted by moisture and bacteria in the ground.

둘째, 종래고안은 시신(유해)를 일정기간동안 묘 중앙에 배치된 석관(2)(3)내에 안장한 후 탈육이 되면 이를 화장하여 다시 땅속에 매장하게 되는 방식이 되므로 고인을 두번 장사지내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배제할 수 없었다.Second, the conventional proposal is to bury the deceased twice because the body (harm) is buried in the sarcophagus (2) (3) placed at the center of the grav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n decapitated and then buried again in the ground. The same feeling could not be ruled out.

셋째, 종래고안은 시신(유해)를 일정기간동안 묘 중앙에 배치된 석관(2)(3)내에 안장하여 탈육한다고 되어 있으나, 이 시신이 안장되는 석관(2)(3)은 단순히 뚜껑(B)만 덮여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으므로 땅속의 수분이 석관을 통해 유입되고, 수분 뿐만 아니라 목근(木根)과 해충 등이 석관의 하부로 침범하게 되므로써 석관내부에 안장된 시신이 목근이나 해충 등에 의해 손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석관 자체도 시간이 지나면 습기와 목근 등에 의해 균열되거나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Third, the prior art suggests that the dead body (harm) is placed in the sarcophagus (2) (3) placed in the center of the grav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n dehydrated. ) Is covered only by water, water in the ground flows through the sarcophagus, and not only moisture but also the roots and pests invade the lower part of the sarcophagus, so that the body of the saddle inside the sarcophagus is damaged by roots or pests. There was a problem of wearing, and the sarcophagus itself also had a problem such as cracking or damage due to moisture and roots over time.

넷째로, 종래고안은 석관의 하부가 곧바로 지면과 접촉되도록 개방된 형태이므로 석관 내부에 물이 고이게 되거나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등 석관자체의 상태보존에도 문제점이 있어 실질적으로 이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어느 누구도 조상을 이와 같은 구조의 묘에 안장하려 하지 않는 구조상의 문제점에 의해이를 기피해오고 있었다.Fourth, the prior art is open to the lower part of the sarcophagus in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so there is a problem in preserving the state of the sarcophagus itself, such as water accumulation or drainage in the sarcophagus. No one has avoided this because of structural problems in which no ancestor tried to bury this structure.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한국의 전통적인 매장문화와 국토가 좁은 현실을 감안하고 국가시책에도 부응하는 장묘문화인 납골방식을 절충하므로써 장묘문화에 대한 세대간의 갈등을 해소하고, 한 가문에서 하나의 가족 묘지만을 갖고 자손대대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neral service for the family by making a compromise between the traditional burial culture of Korea and the reality of the narrow national territory and the ossuary method, which is a funeral culture that meets the national policy. It is to resolve the conflict between generations and to use one family cemetery in one family and to use it efficiently for generations.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땅속에 마련된 탈육실은 시신의 탈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목근(木根)과 각종 해충(害蟲)에 의한 파손과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for effectively removing the dead body of the dead body in the ground and preventing damage and damage caused by roots and various pests.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지상에 납골묘(또는 납골당)는 다수의 납골함을 영구적이고 서열에 맞추어 모실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the ossuary (or ossuary) on the ground can carry a plurality of ossuaries permanently and in sequenc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한 가문에서 자손대대로 사용할 수 있는 가족묘를 제공하되, 이 가족묘는 일정한 면적으로 이루어지고 이 가족묘역의 전방에는 시신을 일정기간 땅속에 매장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탈육실을 일렬로 배치하고 이 탈육실의 상부에는 봉분을 형성한 복수개의 매장묘와, 이 매장묘의 중심 또는 후방에 위치하고 지상에 설치되며 탈육실에서 탈육된 뼈를 일정기간 도과한 후 수습하여 화장하지 않고 수분을 제거한 후 이를 분쇄하여 납골함에 모신 후 다수의 납골함을 영구적으로 봉안할 수 있도록 된 납골묘(또는 납골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매장-납골 절충식 묘지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amily grave that can be used by a family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nd this family grave consists of a certain area, and in front of the family grave, a plurality of masks can be buried in the groun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rrange the meat chambers in a row, and at the upper part of the meat dressing room, a plurality of burial tombs formed with rods and placed in the center or the rear of the burial bed are installed on the ground. It provides a burial-civical eclectic cemetery comprising crypts (or ossuary) which can be crushed and then crushed and placed in a crypt to permanently seal a large number of crypts.

상기 매장묘는 필요에 따라 또는 가족묘역이 허락하는 범위내에서 일렬 또는 그 이상의 열로도 배치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여러구의 시신을 동기간에 매장할 수 있고, 탈육실은 1인용으로 하거나 부부합장용 또는 한세대를 동시에 한곳에 매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burial tomb can be buried in one row or more rows as needed or within the range permitted by the family cemetery, and the bodies can be buried at the same time, and the killing room can be used for one person, for couples, or for one generation at the same time. We can let you bury.

상기 탈육실은 한세대가 사용한 후 다음 세대가 재사용 가능하도록 천연 대리석이나 인조석 또는 각종 합성수지 등으로 된 기타의 석판으로 테두리를 두르고, 그 위에 상판 덮개를 덮는 석실 구조로 하고 이 석실의 하면은 배수를 위한 배수설비를 구비하며 테두리의 석판 외측에는 수밀의 유지 및 석판의 보호와 목근(木根)및 해충(害蟲)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두께의 백회층을 형성한 것이며, 이 백회층은 일정두께로 된 기성(旣成) 백회 패널로 형성하거나 외측에 합판 등의 거푸집을 형성하고 내측에 백회분말을 채워넣어서 현장에서 백회층을 형성하도록 할수 있다.The degreasing chamber is framed with other slabs made of natural marble, artificial stone, or synthetic resin, etc. so that the next generation can be reused after one generation is used, and the upper wall cover is covered with a stone structur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hamber is drained for drainage. The outside of the slab of the edge is equipped with a white ash layer of a certain thickness to maintain watertightness, to protect the slab, and to prevent invasion of wood roots and pests. It can be formed into a ready-made white ash panel or a formwork such as plywood on the outside and filled with white ash powder on the inside to form a white ash layer in the field.

상기 납골당은 지상에 설치되므로 매장된 시신이 탈육되어 수분을 제거하고 분말화 한 후 유골함에 담겨져 지상의 납골당에 봉안되는 의식은 종교적으로도 돌아가신 분이 다시 지상으로 부활하거나 또는 환생하는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납골을 지하에 매장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보관상의 각종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이 납골당은 배수 및 환기시설을 구비하여 납골의 영구적인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고, 납골당의 외형은 원형 또는 사각이나 다각의 봉분형이나 탑신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제작한다.Since the ossuary is installed on the ground, buried bodies are dehydrated, dehydrated, powdered, and then placed in the ashes, and the ceremonies that are enclosed in the ossuary of the earth can give the meaning of resurrection or reincarnation to the ground. Also, it is possible to solve various storage problems that can occur when burial is underground, and the ossuary is equipped with drainage and ventilation facilities to enable permanent storage of the urns, and the appearance of the ossuary is round or It is produced in various shapes such as square or polygonal rod shape or tower shape.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매장-납골 절충식 묘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1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burial-civical crypt ceme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시도,Perspective,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매장-납골 절충식 묘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Figure 2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burial-civical crypt ceme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시도,try,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매장-납골 절충식 묘지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Figure 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burial-civical crypt ceme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시도,Perspective,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매장-납골 절충식 묘지중 매장묘의 단면구조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structure diagram of the burial grave in the burial-civical crypt ceme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매장-납골 절충식 묘지의 납골당 내부구조를 도시한Figure 5 illustrate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ossuary of burial-ciliary crypt ceme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시도,Perspective,

도 6은 종래고안에 의한 가족납골묘의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amily kidnap seedling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desig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가족묘역 20 : 탈육실10: family cemetery 20: degreasing room

21 : 석판 22 : 상판 덮개21: slab 22: top cover

23 : 백회층 24 : 배수설비23: white ash layer 24: drainage equipment

30 : 봉분 40 : 매장묘30: Bon 40: burial

50 : 납골함 60 : 납골당50: ossuary 60: ossuary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매장-납골 절충식 묘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일정한 면적으로 이루어진 가족묘역(10)의 전방에는 시신을 일정기간 땅속에 매장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탈육실(20)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고, 이 탈육실(20)의 상부는 봉분(30)을 형성한 복수개의 매장묘(40)와, 이 복수개의 매장묘(40)중심 또는 후방에 위치되고 지상에 설치되며 상기 매장묘(40)의 탈육실(20)에서 탈육된 뼈를 일정기간 도과한 후 유골에 남아 있는 수분을 제거하고 이를 분쇄하여 분골을 여러 개의 납골함(도시안됨)에 넣어 영구적으로 봉안할 수 있도록 된 납골당(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납골 절충식 묘지를 제공한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burial-civical crypt ceme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bodies to be buried in the groun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front of the family graveyard 10 made of a certain area; Dog meat killing chambers 20 are arranged in a line, and the upper part of the meat killing chamber 20 is located at the center or the rear of the plurality of burial graves 40 having the rod powder 30, and the plurality of burial graves 40. It is installed on the ground and after passing bones degreased in the denitrification chamber 20 of the burial chamber 40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moisture remaining in the bones is removed and pulverized to put the bones into several ossuaries (not shown). It is to provide a burial-civil eclectic cemetery, characterized in that made including the ossuary (60).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납골당(60)은 원형의 봉분형태로 형성하고, 매장묘(40)는 사각의 봉분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본 고안은 납골당과 매장묘의 형태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것 외에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ssuary 6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ound rod, buried grave 40 is made of a rectangular rod-shaped,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in addition to the form of the ossuary and buried graves described below. Can be.

상기 매장묘(40)는 필요에 따라 또는 가족묘역(10)이 허락하는 범위내에서 도 1에서와 같이 일정간격을 갖도록 일렬로 배치하거나 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2열, 3열 및 그 이상의 열로도 배치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고안은 한국의 전통적인 매장문화를 흡수하면서도 좁은 국토면적에 적합한 납골방식이 절충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 매장묘(40)의 탈육실(20)은 1인용으로 하거나 부부합장용 또는 한세대를 동시에 한곳에 매장할 수 있도록 그 크기와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The burial grave 40 may be arranged in a line as needed in a predetermined interval as shown in FIG. 1 or within the range permitted by the family graveyard 10 or as in the other embodiments shown in FIGS. 2 and 3. It can also be arranged in rows, three rows, and more, where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bsorb the traditional burial culture of Korea, while the ossuary method suitable for the narrow land area is compromised, the degreasing chamber (20) of the burial grave 40 ) Can be changed in size and placement so that it can be used for one person, for couples, or for one household at a time.

상기 도 1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매장묘(40)의 둘레에는 자갈 등을 깔아 통행시의 편의를 도모함과 아울러 이의 관리도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매장묘(40)의 전방에는 상석 등을 배치하여 제를 올릴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각 매장묘(40)이 전방에는 묘비를 설치할 수도 있다.1 to 3 illustrate various for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vel 40 is circumferentially laid around the gravel to facilitate convenience and facilitate its management, and the burial tomb 40 ) Can be placed on the front of the) to raise the material, and each burial grave 40 may be provided with a tombstone in front.

또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 1및 도 2에서와는 달리 납골당(60)을 탑신 형태로 형성한 것이며, 본 고안에서 납골당(60)에는 각각 그 전방에 개방가능한 문이 설치되어, 이 문을 개방한 후에 내부의 납골함에 대하여 제례를 지내기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unlike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and 2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3, the ossuary sugar (60) is formed in the form of a top bod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ssuary sugar (60) in each of the doors that can be opened in front of the door, this door After opening, it is to facilitate the ritual about the inside ossuary.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매장-납골 절충식 묘지의 단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지하에 배치되는 탈육실(20)은 각각 한세대가 사용한 후 후손인 다음 세대가 재사용 가능하도록 천연 또는 인조 대리석이나 합성수지 등의 판, 바람직하게는 석판(21)으로 테두리를 두르고, 그 위에 상판 덮개(22)를 덮는 석실 구조로 형성하고, 이 석실의 하면은 배수를 위한 배수설비(24)가 구비되어 있다.Figure 4 schematically shows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burial-civical crypt ceme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asing room 20 is placed in the basement each natural or artificial marble so that the next generation that is descended after the use of one generation Or a plate such as synthetic resin, preferably, a slab 21, and formed in a stone structure covering the top cover 22 thereo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hamber is provided with a drainage facility 24 for drainage. .

상기 배수설비(24)는 석실의 주변으로 형성된 침출수 배출통(25)과, 이 침출수 배출통(25)과 연결된 침출수 배출파이프(26)및 배수펌프(27)를 포함하며, 시신이 안치되는 석실의 하부에는 상부로부터 왕모래층(28), 자갈층(29)및 숯층(29')을 형성하여 시신으로부터 빠져나온 수분이 고이지 않고 외부로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The drainage system 24 includes a leachate discharge container 25 formed around the stone chamber, a leachate discharge pipe 26 and a drainage pump 27 connected to the leachate discharge container 25, and a body in which the body is plac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king sand layer 28, the gravel layer 29 and the char layer (29 ') is formed from the top to facilitate the discharge to the outside without the accumulation of moisture from the body.

또한, 상기 석실을 형성하는 석판(21)의 외측에는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여 석판(21)의 보호를 도모하고 목근(木根)및 해충(害蟲)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두께의 백회층(23)을 형성한 것이며, 이 백회층(23)은 일정두께, 바람직하게는 10㎝이상의 기성(旣成) 백회 패널로 조립식으로 형성하거나, 외측에 합판 등의 거푸집을 형성하고 내측에 백회분말을 채워넣어서 현장에서 이 백회층(23)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side of the stone plate 21 forming the stone chamber to prevent the inflow of moisture to protect the stone plate 21 and to prevent the intrusion of wood roots and pests (white) layer of a certain thickness (23) is formed, and the white ash layer 23 is formed by a prefabricated panel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preferably 10 cm or more, or a form of plywood or the like on the outside, and white ash powder on the inside. The white ash layer 23 can be formed in the field by filling in.

또한, 상기 침출수 배출통(25)에는 지상까지 연결된 파이프(P)의 하단에 설치된 부구(F)와 로드(R) 및 로드 상부의 지시구(S)로 이루어진 수위감지기구(W)를 설치하여 필요시 배수펌프(27)를 설치하여 침출수 배출통(25)에 고인 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chate discharge container 25 is provided with a water level detection mechanism (W) consisting of a buckle (F) and a rod (R) and the indicator (S)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od (P)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pipe (P) connected to the ground If necessary, a drain pump 27 may be installed to discharge water accumulated in the leachate discharge container 25.

상기 납골당(60)은 지상에 설치되므로 본 고안의 가족묘지를 사용하여 조상을 모실 경우, 지하의 탈육실(20)에 매장되었던 시신이 한세대인 약 15년 내지 30년내외의 일정기간 동안 거쳐 완전히 탈육되면 이를 꺼내어 화장을 하지 않고 수분을 제거한 후 이를 분쇄하여 분말화 한 후 유골함에 담아 지상의 납골묘(60)에 봉안하는 의식은 종교적인 측면에 있어서도 돌아가신 분이 다시 지상으로 부활한다는 의미 또는 윤회하여 환생한다는 의미를 부여할 수 있으므로 후손의 신앙이 어떤 것이건 이를 회피하거나 하는 등의 갈등을 겪지 않아도 되는 것이며, 또한 납골을 서두에서 언급한 종래고안에서와 같이 지하에 매장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보관상의 각종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Since the ossuary 60 is installed on the ground, when the ancestors are collected using the family ceme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ies buried in the underground denitrification chamber 20 are one generation for about 15 to 30 years. When degreased, it removes moisture without removing it, removes moisture, pulverizes it, powders it, and puts it in the ashes. This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avoid conflicts such as avoiding any of the descendants' faith, and it is also possible to store various types of storage that can occur when burials are buried underground as in the prior art mentioned above. The problem can be solved.

또한, 본 고안의 묘지에 있어서 지상에 설치되는 납골당(6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기시설(62)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납골의 영구적인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고, 납골당(60)의 외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원형이거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사각형이거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탑신형 등으로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ssuary 60 installed on the ground in the gravey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ventilation facility 62 as shown in FIG. 5, the ossuary 60 can be permanently stored, and the outline of the ossuary 60 is It can be produced in various ways, such as a circular as shown in Figure 1, a quadrangle as shown in Figure 2, a top-shaped type as shown in Figure 3, or the like.

또한, 상기 첫번째 실시예에 의한 납골당(60)의 내부는 유골함 보관실(71)외부로 토사를 봉분형으로 쌓고 그 위에 잔디를 조성하되, 상기 유골함 보관실(71)의 전방으로는 개페가능한 석문(72)을 설치하고, 이 석문(72)양측으로는 고인들의 출생, 사망일과 환생 또는 부활일 즉, 매장묘에서 납골묘로 모셔진 일자 등을 표기한 명판(73)을 세우며, 상기 유골함 보관실(71)의 후방 상부에는 봉분(74)상부로 연결된 환기관(75)에 접속되는 환기구(76)가 형성되고, 상기 환기관(75)의 하단은 하방으로 개방되며 그 일측에는 봉분(74)전방으로 연결된 또다른 환기관(75')이 접속된 환기시설(62)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ossuary 6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to pile up the earth and sand to the outside of the ashes storage chamber 71 to form a grass thereon, the front door of the ashes storage chamber 71 is openable stone door 72 On both sides of the stone gate 72, a name plate 73 is placed on the sides of the deceased's birth, death and reincarnation or resurrection, that is, the date of the deceased from the burial tomb. The upper part is formed with a ventilation port 76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pipe 75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74, the lower end of the ventilation tube 75 is opened downward and one side of the other ventilation pipe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rod (74) ( 75 ') is provided with a ventilation 62.

또한, 상기 유골함 보관실(71)의 일측 전방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관(64)이설치되어 전방으로 개방되고, 이 배수관(64)선단에는 쥐나 각종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망(66)이 설치된다.In addition, one side front of the ash storage box 71 is provided with a drain pipe 64 for drainage is opened to the front, the front of the drain pipe 64 is provided with a net 66 for preventing the ingress of rats and various pests. .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절충형 묘지는 종전 여러장소에 흩어져 있는 조상의 묘지에서 고인들의 유골을 수습하여 납골당(60)에 서열대로 모시고, 후손의 한 세대가 작고하면 지하의 매장묘(40)에 시신을 안장해 두었다가, 그 다음 세대가 고인이 될 경우, 매장묘(40)에 안장되었던 앞세대의 유골을 거두어 납골당(60)에 모시고, 비워진 매장묘(40)에 다시 후세대의 시신을 안장하면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과정을 후손이 여러대에 걸쳐 반복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의해 하나의 가족묘역에 세대별로 일정기간동안 매장후 이를 다시 수습하여 지상의 납골당에 봉안하므로써 이른바 가문의 공용묘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The compromise ceme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collects the remains of the deceased in the graves of ancestors scattered in various places and orders them to the Ossuary (60) in order, and when a generation of descendants is small, the bodies are buried in the underground burial tombs (40). If the next generation is to be deceased, if the next generation is deceased, the remains of the previous generation that was buried in the burial tomb (40) to be collected in the ossuary (60), and to bury the body of the next generation in the empty burial grave (40) again, This process will be repeated for several generations, whereby a family graveyard is buri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each generation, and then reclaimed and sealed in the ossuary on the ground to form a so-called family grav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시신을 일정기간 땅속의 탈육실에 매장한 후 탈육된 뼈를 수습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 분말화하여 지상의 납골당에 봉안하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한국의 전통적인 매장문화와 국토가 좁은 현실에 적합한 장묘문화인 납골방식을 절충하므로써 장묘문화에 대한 사고방식이 다른 세대간의 갈등을 해소할 수 있고, 한 가문에서 하나의 가족 묘지만을 갖고 자손대대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전 매장방식에 의한 전국토의 묘지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며, 땅속에 마련된 탈육실은 배수 및 환기시설이 구비되어 있고 목근(木根)과 해충(害蟲)에 의한 파손과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시신의 탈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며, 지상에 마련된 납골당은 다수의 납골함을 영구적이고 서열에 맞추어 모실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방안제사를 따로 지내지 않고 묘지에서 일괄적으로 조상에 대한 예를 올릴 수 있어 하나의 묘지에 후손들 모두가 모이게 되므로 가족 및 가문 각 구성원간의 화합을 한자리에서 도모할 수 있어 국가시책에도 부응하고 현실에도 적합한 장묘문화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ury the body in a denitration room in the groun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the dehydrated bone to remove moisture and powdered to seal the ground ossua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raditional burial in Korea By negotiating the ossuary method, which is a funeral culture suitable for the narrow reality of culture and land, the way of thinking about the funeral culture can be resolved between generations, and only one family cemetery can be used by one family and effectively used for each generation. It can effectively solve the graveyard problem of the whole country by burial method, and the degreasing chamber in the ground is equipped with drainage and ventilation facilities,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and damage caused by roots and pests. It is effective to kill meat, and the ossuary on the ground is a permanent It is structured to be arranged according to the order, so you can put up an example of your ancestors in the cemetery without having to go to the plan priests, so that all descendants are gathered in one cemetery so that each family and family members can be united in one place. It is able to meet the national policy and provide the funeral culture suitable for reality.

Claims (8)

일정한 면적으로 이루어진 가족묘역(10)의 전방에 시신을 일정기간 땅속에 매장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탈육실(20)이 일렬로 배치되고, 이 탈육실(20)의 상부에는 봉분(30)이 형성된 복수개의 매장묘(40)와;In front of the family graveyard (10) consisting of a predetermined area, a plurality of degreasing chamber 20 is arranged in a line so that the body is buried in the groun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the rod powder 30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degreasing chamber 20. A plurality of burial seedlings 40; 상기 매장묘(40)의 중심 또는 후방에 위치되고 지상에 설치되며, 상기 매장묘(40)의 탈육실(20)에서 탈육된 뼈를 일정기간 도과한 후 이를 수습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분쇄하여 납골함(50)에 넣어 영구적으로 봉안할 수 있도록 된 하나의 납골묘(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납골 절충식 묘지.Located in the center or the rear of the burial tomb 40 and installed on the ground, after the bones degreased in the denitrification chamber 20 of the burial tomb 40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the moisture is removed to remove moisture and pulverize the ossuary (50 Buried-civilized eclectic cemeter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cryptus 60 to be permanently seal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매장묘(40)는 일렬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매장-납골 절충식 묘지.The burial-civical crypt ceme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burial graves (40) are arranged in a li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매장묘(40)는 다열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납골 절충식 묘지.The burial-civical crypt ceme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burial graves (40) are arranged in rows. 제 1항 내지 제 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육실(20)은 부부합장용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납골 절충식 묘지.4. The burial-civical crypt cemeter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haracterized in that the degreasing chamber (20) is for married coupl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육실(20)은 석판(21)으로 테두리를 두르고 그 위에 상판 덮개(22)를 덮는 석실 구조로 형성되고, 이 석실의 하면은 배수를 위한 배수설비(24)가 구비되며, 상기 석실을 형성하는 석판(21)의 외측에는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여 석판(21)의 보호를 도모하고 목근(木根)및 해충(害蟲)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두께의 백회층(2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납골 절충식 묘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greasing chamber 20 is formed of a stone structure surrounding the top plate cover 22 and the upper edge of the slab 21, the lower surface of the chamber is a drainage system for drainage 24 It is provided, the outside of the stone plate 21 to form the stone chamber to prevent the inflow of moisture to protect the stone plate 21 and to prevent the intrusion of wood roots and pests (백) of a certain thickness of white ash A burial-ciliary eclectic cemetery, characterized by the formation of a layer (23).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백회층(23)은 일정두께로 된 기성(旣成) 백회 패널로 조립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납골 절충식 묘지.The burial-civical crypt cemetery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white ash layer (23) is prefabricated from a regular white ash pane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백회층(23)은 외측에 합판 등의 거푸집을 형성하고 내측에 백회분말을 채워넣어서 현장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납골 절충식 묘지.6. The burial-civical crypt cemetery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white ash layer (23) is formed in the field by forming formwork such as plywood on the outside and filling the white ash powder on the ins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납골묘(60)에는 환기시설(6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매장-납골 절충식 묘지.The burial-civical crypt ceme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ssuary grave (60) is provided with a ventilation facility (62).
KR2019990005794U 1999-04-09 1999-04-09 A compromise between burial and charnel style cemetery KR20000019336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794U KR20000019336U (en) 1999-04-09 1999-04-09 A compromise between burial and charnel style ceme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794U KR20000019336U (en) 1999-04-09 1999-04-09 A compromise between burial and charnel style cemet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336U true KR20000019336U (en) 2000-11-15

Family

ID=54761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794U KR20000019336U (en) 1999-04-09 1999-04-09 A compromise between burial and charnel style ceme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9336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40648A1 (en) Burial complex
KR20000019336U (en) A compromise between burial and charnel style cemetery
KR100990779B1 (en) Nature friendly Ashes grave
JP7397515B2 (en) Urn burial type cemetery structure
CN205531618U (en) Coffin chamber and tomb hat with function of beautifying environment
KR100761485B1 (en) Anti-dewing enshrinement tomb burying without making a mound on the grave
KR100302628B1 (en) Stone ash box for family unit and ash moving and re-burial system
KR100272315B1 (en) Collective buial-cast system for relocation of unclaimed burials and niche cluster system for cremated remains utilizing retaining wall
KR200201730Y1 (en) Vault
KR102672522B1 (en) How to create a flat grave
KR200392040Y1 (en) the burial type charnel tomb structure
KR20080088689A (en) Stone cemetery establishment
KR20140112160A (en) Flowerpot funeral and cremation
KR100304492B1 (en) Construction method of mixed seedling
KR100304491B1 (en) Urn burying method
KR100207060B1 (en) Multipurpose family charnel house
JP2007111081A (en) Urn made of paper, natual burial method using it and natural burial cemetry structure
KR200338225Y1 (en) A sinerarium of person's ashes
KR200172615Y1 (en) A tomb for the bones jar of a deceased person
KR200164181Y1 (en) A family laying one's ashes to rest a grave of reclamation type
JP3415755B2 (en) Tomb
KR200329553Y1 (en) Mountain charnel house
KR100898402B1 (en) Frame Burying for Scattering around and Rotting Naturally on the Family Grave
KR20150088405A (en) A public cemetery of type a large number layer
KR960014373B1 (en) Family columba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