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9275U - 동결건조기용 선반 - Google Patents

동결건조기용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9275U
KR20000019275U KR2019990005699U KR19990005699U KR20000019275U KR 20000019275 U KR20000019275 U KR 20000019275U KR 2019990005699 U KR2019990005699 U KR 2019990005699U KR 19990005699 U KR19990005699 U KR 19990005699U KR 20000019275 U KR20000019275 U KR 200000192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circulation path
refrigerant
heat medium
shelf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6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70522Y1 (ko
Inventor
박호열
Original Assignee
박호열
주식회사 호영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열, 주식회사 호영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박호열
Priority to KR20199900056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522Y1/ko
Publication of KR200000192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2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5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5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 F26B5/04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for drying materials in a batch operation in an enclosure having a plurality of shelves which may be 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 F26B5/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the process involving free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결건조기에 설치되어 피건조물이 안착되는 선반에 냉매순환로와 열매체순환로를 일체로 형성한 동결건조기용 선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동결건조기용 선반은 피건조물이 안착되고 다수개의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의 측부에 각각 나란하게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된 선반플레이트와, 상기 선반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설치되어 인접하는 2개의 상기 관통홀을 1개조로 하여 순차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냉매가 흐르는 냉매순환로를 형성하는 고리형연결관 및 상기 고리형연결관을 내부에 포함하도록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선반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부와 상기 선반플레이트에 형성된 공간부를 연결시킴으로써 열매체가 흐르는 열매체순환로를 형성하는 덮개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증발기 파이프의 접촉에 의한 열저항을 해소하여 열손실을 감소하고, 선반의 온도분포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동결 및 가열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냉각 및 가열효율을 향상시키며, 1개의 히터에 의해 상기 선반을 가열하므로 설비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고, 하자요인을 줄이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동결건조기용 선반 { A shelf for freeze-drying apparatus }
본 고안은 동결건조기용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피건조물이 안착되는 선반의 내부에 냉매순환로와 열매체순환로가 일체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 동결건조기용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약품이나 농산물 등을 장기간 보존하기 위해서는 동결을 시킨 상태에서 수분을 승화시킴으로써 건조시키는 동결건조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 동결건조기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동결건조법은 저압 하에서 얼음을 가열하면 융해되어 액체상태로 상변화를 일으키지 않고 직접 기체상태로 승화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피건조물의 동결상태를 유지하며 피건조물에 포함된 얼음을 승화시키기 위해서 진공 상태에 두는 방식과, 동결시킨 피건조물을 저온으로 유지하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동결건조법에 의해 동결건조된 피건조물을 건조된 상태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며, 동결건조된 피건조물에 물을 첨가하여 원래의 상태와 유사하게 복원시키거나, 용해 또는 분말 상태로 분쇄하여 사용한다.
이때, 건조되는 과정에서 열풍에 의해서나, 또는 자연건조에서와 같이 피건조물에 수축이 발생하는 경우 복원력이 저하되므로 피건조물은 제품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피건조물은 복원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건조된 후에 다공질로 형성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건조과정에서 물질의 이동이 정지되어야 하므로 피건조물을 동결시키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이와 같이 피건조물을 동결시켜 저온에서 건조시킨 제품은 재수화성이 뛰어나 복원력이 우수하고, 식품의 경우 그 맛과 향 및 영양성분의 보존이 양호하며, 의약품의 경우 역가(力價)보존 및 용해성이 양호하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고진공, 저온 하에서 건조가 행하여지므로 산화 및 기타 부적절한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동결건조법에 이용되는 동결건조기는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피건조물을 동결시켜 챔버 내의 선반 상에 위치시키고, 장치의 내부를 진공으로 한 다음 가열을 하면 피건조물 중의 얼음은 융해되지 않고 승화한다.
이 승화한 수증기는 상기 챔버에 진공을 형성하도록 설치된 진공펌프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나, 진공 중에서는 수증기의 체적이 수십만에서 수천만배로 증가하기 때문에 진공펌프로 배출시키는 것은 비경제적이므로, 따라서 냉동기를 이용하여 수증기를 재동결시키며, 건조가 완료된 후에 융해시켜 외부로 배출시킨다.
피건조물의 동결방법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는데, 통상 대용량의 동결건조기는 별도의 동결실을 구비하여 피건조물을 대량으로 동결시키고 있고, 실험실용 및 소용량의 동결건조기는 대용량의 동결건조기에서와 같이 별도의 동결실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며, 동결 및 건조가 실시되는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피건조물이 위치하는 선반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선반과의 접촉에 의해 피건조물을 동결시키고 있다.
상기 선반을 저온으로 냉각시키는 방법에는 열매체를 냉각시켜 선반으로 순환시키는 방법과, 상기 선반의 하부에 냉동기의 증발기파이프를 접촉시켜 냉각시키는 방법이 있으며, 상기 열매체로는 일반적으로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iene), 실리콘 오일(Silicone oil) 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전자는 상기 열매체가 흐르는 배관에서 열손실이 발생하고, 상기 열매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매의 증발온도가 저하되므로 냉동기의 효율이 저하되며, 상기 열매체를 상기 선반으로 강제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가 별도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에너지의 소비가 크다.
또한, 후자의 경우는 선반과 증발기파이프의 접촉에 의해 열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전열저항이 발생하므로 냉각동결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고, 동결된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가열히터를 선반의 하부에 설치하고 있으나, 상기 선반의 온도편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가열히터를 상기 선반의 하부에 다수개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비가 복잡하고, 하자요인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선반의 내부에 냉각을 위한 냉매순환로와, 가열을 위한 열매체순환로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냉각이나 가열시 접촉에 의한 열저항을 해소하여 열손실을 감소시키고, 냉각 및 가열시 상기 선반의 온도분포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피건조물의 동결 및 건조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냉각 및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결건조기용 선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동결건조기용 선반이 구비된 동결건조기의 구성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상기 동결건조기용 선반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상기 동결건조기용 선반의 Ⅱ - Ⅱ 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피건조물 10 : 동결건조기
11 : 챔버 12 : 선반
13 : 관통홀 14 : 공간부
15 : 선반플레이트 16 : 고리형연결관
17 : 중공부 18 : 덮개
20 : 냉각동결장치 21, 47 : 냉매회수관
22 : 압축기 23 : 응축기
24 : 수액기 25, 44 : 냉매공급관
26, 45 : 팽창밸브 27, 46 : 개폐밸브
30 : 가열장치 31 : 히터
32 : 열매체공급관 33 : 열매체회수관
34 : 순환펌프 40 : 수증기응결장치
41 : 배관 42 : 수증기응결실
43 : 냉각코일 48 : 온수분무기
49 : 온수공급밸브 50 : 배수밸브
51 : 진공밸브 52 : 진공펌프
53 : 압력계 54 : 진공파괴밸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동결건조기용 선반은, 피건조물을 냉각하여 동결시킨 후, 다시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동결건조기의 챔버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건조물이 안착되는 동결건조기용 선반에 있어서, 피건조물이 안착되고 다수개의 관통홀이 나란하게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기 관통홀의 측부에 나란하게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된 선반플레이트와, 상기 피건조물을 동결시키도록 상기 선반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설치되어 인접하는 2개의 상기 관통홀을 1개조로 하여 순차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냉매가 흐르는 냉매순환로를 형성하는 고리형연결관 및 상기 고리형연결관을 내부에 포함하도록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선반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부와 상기 선반플레이트에 형성된 공간부를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열매체가 흐르는 열매체순환로를 형성하는 덮개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피건조물(1)은 동결건조기(10)에 구비되어 동결 및 건조가 실시되는 챔버(11)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챔버(11)의 내부에는 상기 피건조물(1)이 안착되도록 선반(1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선반(12)의 내부에는 냉매가 순환하며 상기 피건조물(1)을 냉각시켜 동결시키도록 냉매순환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동결된 상기 피건조물(1)을 가열하여 건조시키도록 가열된 열매체가 순환하는 열매체순환로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선반(12)은 내부에 다수개의 관통홀(13)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관통홀(13)의 측부에는 상기 관통홀(13)과 나란하게 소정의 공간부(14)가 형성되어 있는 선반플레이트(15)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선반플레이트(15)의 상부에 상기 피건조물(1)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선반플레이트(15)의 양 측면에는 인접하는 2개의 상기 관통홀(13)을 1개조로 하여 순차적으로 연결시키는 고리형연결관(16)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13)과 상기 관통홀(13)을 연결시키는 상기 고리형연결관(16)에 의해 상기 피건조물(1)을 동결시키기 위하여 냉매가 흐르는 상기 냉매순환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선반플레이트(15)의 양 측면에는 상기 고리형연결관(16)을 감싸며 덮개(18)가 결합되고, 이때 상기 덮개(18)에는 내부에 상기 고리형연결관(16)을 포함하도록 중공부(1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부(17)와 상기 선반플레이트(15)에 형성된 공간부(14)가 상호 연결됨으로써 상기 피건조물(1)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열매체가 흐르는 상기 열매체순환로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선반플레이트(15)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재료를 압출 성형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고리형연결관(16)과 덮개(18)는 상기 선반플레이트(15)와의 결합부위에 틈새가 없도록 용접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동결건조기(10)에는 상기 선반플레이트(15)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13)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선반(12)의 냉매순환로로 냉매를 공급,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피건조물(1)을 동결시키는 냉각동결장치(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동결장치(20)는 상기 관통홀(13)의 일측에 연결된 냉매회수관(21)에 의해 냉매를 회수하여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를 형성하는 압축기(22)와, 상기 압축기(22)에 연결되어 상기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의 냉매액으로 형성하는 응축기(23) 및 수액기(2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액기(24)의 일측에는 냉매공급관(25)이 설치되어 상기 선반플레이트(15)에 형성된 관통홀(13)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냉매공급관(25)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냉매액을 저온저압의 냉매액으로 형성하는 팽창밸브(26)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냉매공급관(25)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개폐밸브(27)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22), 응축기(23), 수액기(24) 및 팽창밸브(26)를 거쳐 저온저압으로 형성된 냉매액은 상기 선반(12)의 냉매순환로를 거치며 상기 피건조물(1)로부터 열을 흡수함으로써 냉매가스로 증발하게 되며, 이때 상기 피건조물(1)은 냉각되어 동결된다.
그리고, 상기 동결건조기(10)에는 상기 덮개(18)에 형성된 상기 중공부(17)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선반(12)의 열매체순환로에 열매체를 공급, 순환시킴으로써 동결된 상기 피건조물(1)에 포함된 얼음을 가열, 승화시켜 건조시키도록 가열장치(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열장치(30)는 상기 열매체를 가열하는 1개의 히터(31)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히터(31)에는 가열된 상기 열매체를 상기 열매체순환로로 공급하는 열매체공급관(32)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열매체순환로로부터 상기 열매체를 상기 히터(31)로 회수하도록 상기 덮개(18)의 일측에는 열매체회수관(3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열매체회수관(33)에는 상기 열매체를 강제순환시키도록 순환펌프(34)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31)에서 가열된 상기 열매체는 상기 열매체공급관(32)을 따라 상기 열매체순환로로 공급되어 순환하게 되며, 이때 동결된 상기 피건조물(1)을 접촉에 의한 열전달에 의해 가열함으로써 상기 피건조물(1)에 포함된 얼음을 승화시켜 건조시킨다.
그리고, 상기 열매체순환로를 통과한 상기 열매체는 상기 순환펌프(34)에 의해 상기 열매체회수관(33)을 거쳐 상기 히터(31)로 재공급된다.
또한, 상기 챔버(11)의 일측에는 상기 피건조물(1)이 건조되어 발생한 수증기를 응축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수증기응결장치(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증기응결장치(40)에는 상기 챔버(11)와 배관(41)에 의해 연결된 수증기응결실(4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증기응결실(42)은 상기 피건조물(1)에 포함된 얼음이 승화되어 발생한 수증기를 상기 챔버(11)로부터 상기 배관(41)을 통해 공급받으며, 상기 수증기응결실(42)의 내부에는 상기 수증기를 응결시키도록 냉각코일(43)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냉각코일(43)에는 냉매가 순환하여 상기 냉각동결장치(20)와 동일한 과정에 의해 수증기를 냉각, 응결시키며, 여기서 상기 냉각코일(43)의 일측에는 상기 냉각동결장치(20)에 설치된 냉매공급관(25)과 접지된 다른 냉매공급관(44)을 연결시킴으로써 냉매를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냉각코일(43)에 연결된 상기 냉매공급관(44)에는 팽창밸브(45)와 개폐밸브(46)가 별도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냉각코일(43)의 타측에는 상기 냉각코일(43)을 순환하고 배출되는 냉매를 회수하도록 냉매회수관(47)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냉매회수관(47)은 상기 냉각동결장치(20)에 구비된 상기 냉매회수관(21)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냉각동결장치(20)에 구비된 상기 압축기(22)와, 응축기(23) 및 수액기(24)를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별도의 설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설비를 단순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코일(43)의 상부에는 상기 냉각코일(43)에 수증기가 응결되어 부착된 얼음을 제거하도록 온수를 분무하는 온수분무기(4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온수분무기(48)에는 상기 온수의 공급 및 차단을 조절하도록 온수공급밸브(4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증기응결실(42)의 하부에는 온수를 분무하여 얼음을 융해시킴으로써 생성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배수밸브(5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챔버(11)에서 얼음이 승화되어 발생한 수증기는 상기 배관(41)을 통해 상기 수증기응결실(42)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수증기는 냉매가 순환하는 상기 냉각코일(43)에 응결되어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코일(43)에 수증기가 응결되어 부착되면 상기 온수분무기(48)의 온수공급밸브(49)가 열리게 되고, 온수가 상기 냉각코일(43)에 분무되어 얼음을 융해시키며, 이때 생성된 물은 상기 수증기응결실(42)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배수밸브(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챔버(11)와 상기 배관(41)에 의해 연결된 상기 수증기응결실(42)의 일측에는 상기 챔버(11)와 상기 수증기응결실(42)의 내부에 진공을 형성하도록 진공밸브(51)를 구비한 진공펌프(5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공펌프(52)는 상기 챔버(11)의 내부에서 상기 피건조물(1)에 포함된 얼음의 승화가 용이하게 진행되도록 진공을 형성하고, 또한 얼음이 승화되어 발생한 수증기가 상기 수증기응결실(42)의 내부로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수증기응결실(42)의 내부에 진공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챔버(11)에는 상기 챔버(11)와 수증기응결실(42)의 내부에 형성된 진공의 정도를 측정하는 압력계(53) 및 그 내부에 형성된 진공을 파괴하도록 진공파괴밸브(5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냉각동결장치(20), 가열장치(30) 및 수증기응결장치(4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1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상기 동결건조기용 선반(12)을 구비한 상기 동결건조기(10)의 동작관계에 대해서 설명하면, 먼저 상기 피건조물(1)을 상기 챔버(11) 내부의 선반(12) 상에 안착시킨 후, 상기 압축기(22)를 작동시켜 냉매를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로 압축시킨다.
상기 압축기(22)에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는 응축기(23)에서 열을 방출하여 고온고압의 냉매액체로 되어 상기 수액기(24)를 거치게 되고, 상기 냉매공급관(25)에 설치된 상기 개폐밸브(27)가 개방되어 상기 팽창밸브(26)를 지나면서 팽창하여 저온저압의 냉매액체가 된다.
그리고, 상기 냉매액체는 상기 냉매공급관(25)을 따라 공급되어 상기 챔버(11) 내부에 설치된 상기 선반(12)의 냉매순환로로 공급되며, 상기 선반(12)으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상기 선반(12)을 냉각시키며 기화되고, 다시 상기 냉매회수관(21)에 의해 상기 압축기(22)로 흡입되며, 상기의 동작을 반복하여 실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선반(12) 상의 상기 피건조물(1)은 냉각되어 동결되며, 상기 피건조물(1)의 동결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매공급관(25)의 개폐밸브(27)를 차단하고, 상기 수증기응결장치(40)에 구비된 개폐밸브(46)를 개방시켜 냉매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냉각코일(43)을 냉각시킨다.
그리고, 상기 냉각코일(43)의 온도가 소정온도 이하로 저하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펌프(52)를 작동시키고, 상기 진공펌프(52)에 구비된 진공밸브(51)를 개방하여 상기 챔버(11)와 수증기응결실(42)의 내부를 진공배기시킴으로써 진공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냉각코일(43)의 냉각온도가 소정온도 이하가 되고, 상기 챔버(11)의 압력이 소정압력 이하가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장치(30)에 구비된 상기 순환펌프(34)를 작동시켜 열매체를 순환시키고, 이때 상기 열매체는 상기 히터(31)에서 가열된 후, 상기 열매체공급관(32)을 따라 상기 선반(12)의 열매체순환로로 공급되어 상기 선반(12)을 가열함으로써 상기 피건조물(1)에 포함된 얼음을 승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열매체순환로를 거친 상기 열매체는 상기 열매체회수관(33)을 따라 상기 순환펌프(34)로 회수되고, 이러한 순환이 반복하여 실시된다.
또한, 상기 피건조물(1) 중의 얼음이 승화되어 발생한 수증기는 상기 배관(41)을 통해 진공이 형성된 상기 수증기응결실(42)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수증기응결실(42)의 내부에서 이미 냉각된 상기 냉각코일(43)의 표면에 응결되어 부착되며, 상기 피건조물(1)의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로 얼음의 두께가 두꺼워진다.
상기 피건조물(1)에 대한 건조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장치(30)에 구비된 순환펌프(34)와, 히터(31) 및 상기 냉각동결장치(20)에 구비된 압축기(22)를 정지시키고, 상기 진공펌프(52)의 진공밸브(51)를 차단한 후 상기 진공펌프(52)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챔버(11)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진공파괴밸브(54)를 개방하여 상기 챔버(11)와 수증기응결실(42)의 내부에 형성된 진공을 파괴시킨 후, 상기 피건조물(1)을 상기 챔버(11)로부터 꺼낸다.
이때, 상기 수증기응결실(42)의 내부에서는 상기 온수분무기(48)로부터 상기 냉각코일(43)로 온수가 분무되어 상기 냉각코일(43)에 응결되어 부착된 얼음을 융해하고, 상기 수증기응결실(42)의 일측에 설치된 배수밸브(50)를 개방하여 얼음이 융해되어 생성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상기 선반(12)의 내부에 상기 냉매순환로와 열매체순환로를 형성하여 각각 냉매와 열매체를 순환시킴으로써 동결 및 가열시 열저항을 감소시켜 열손실을 감소하고, 또한 상기 선반(12)의 온도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선반의 내부에 냉각을 위한 냉매순환로와 가열을 위한 열매체순환로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냉각 및 가열시 접촉에 의한 열저항을 해소하여 열손실을 감소하고, 상기 선반의 온도분포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피건조물의 동결 및 건조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냉각 및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1개의 히터에 의해 열매체를 가열하여 상기 선반의 열매체순환로로 공급 순환시킴으로써 설비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하자요인을 줄이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피건조물을 냉각하여 동결시킨 후, 다시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동결건조기의 챔버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건조물이 안착되는 동결건조기용 선반에 있어서,
    피건조물이 안착되고, 다수개의 관통홀이 나란하게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기 관통홀의 측부에 나란하게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된 선반플레이트;
    상기 피건조물을 동결시키도록, 상기 선반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설치되어 인접하는 2개의 상기 관통홀을 1개조로 하여 순차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냉매가 흐르는 냉매순환로를 형성하는 고리형연결관; 및
    상기 고리형연결관을 내부에 포함하도록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선반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부와 상기 선반플레이트에 형성된 공간부를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열매체가 흐르는 열매체순환로를 형성하는 덮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건조기용 선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플레이트는 알루미늄합금을 압출 성형하여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동결건조기용 선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연결관과 상기 덮개는 각각 상기 선반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용접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동결건조기용 선반.
KR2019990005699U 1999-04-08 1999-04-08 동결건조기용 선반 KR2002705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699U KR200270522Y1 (ko) 1999-04-08 1999-04-08 동결건조기용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699U KR200270522Y1 (ko) 1999-04-08 1999-04-08 동결건조기용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275U true KR20000019275U (ko) 2000-11-06
KR200270522Y1 KR200270522Y1 (ko) 2002-04-03

Family

ID=54761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699U KR200270522Y1 (ko) 1999-04-08 1999-04-08 동결건조기용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52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930B1 (ko) * 2007-09-06 2008-06-24 주식회사 일신랩 동결건조기용 나선형 유로 플레이트와 그 제조방법
KR101303656B1 (ko) * 2013-03-15 2013-09-05 주식회사 오페론 동결건조기
KR101696837B1 (ko) * 2015-08-17 2017-02-01 주식회사 오페론 농수산물 동결건조장치
KR20190027739A (ko) * 2017-09-07 2019-03-15 주식회사 에스지티 동결 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결 건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853B1 (ko) * 2014-01-02 2014-11-21 주식회사 오페론 동결건조기용 발열 및 발냉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930B1 (ko) * 2007-09-06 2008-06-24 주식회사 일신랩 동결건조기용 나선형 유로 플레이트와 그 제조방법
KR101303656B1 (ko) * 2013-03-15 2013-09-05 주식회사 오페론 동결건조기
KR101696837B1 (ko) * 2015-08-17 2017-02-01 주식회사 오페론 농수산물 동결건조장치
KR20190027739A (ko) * 2017-09-07 2019-03-15 주식회사 에스지티 동결 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결 건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522Y1 (ko) 2002-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rikh Vacuum drying: basics and application
KR100789215B1 (ko) 이원냉동 및 히트펌프 방식을 채용한 진공 동결건조 장치
JPH0312876B2 (ko)
KR20090057422A (ko) 동결 건조용 극저온 냉장 시스템
JP2676374B2 (ja) 冷凍乾燥装置
KR20190026127A (ko) 진공동결건조장치
JP2010144966A (ja) 凍結乾燥装置
CN205878768U (zh) 一种真空冷冻干燥气流膨化一体化设备
KR200270522Y1 (ko) 동결건조기용 선반
KR101719257B1 (ko) 동결 건조기
KR100669257B1 (ko) 히트펌프 방식을 이용한 동결건조 장치 및 방법
KR101703099B1 (ko) 과일이나 채소의 원형이 보존되는 동결 건조기 및 그 건조방법
KR102123354B1 (ko) 열저장을 이용하는 진공동결건조시스템
KR200256642Y1 (ko) 동결건조기
AU9787098A (en) Lyophilizer system
KR102145828B1 (ko) 압축기의 고온가스를 이용한 정밀제어 동결건조장치
US2477959A (en) Balanced heat system for vacuum drying
KR102402683B1 (ko) 진공펌프가 필요 없는 진공건조기
KR101728882B1 (ko) 과일이나 채소의 원형이 보존되는 동결 건조기 및 그 건조방법
KR200405742Y1 (ko) 히트펌프 방식을 이용한 동결건조 장치
JP2001317869A (ja) 真空凍結乾燥装置
CN205561422U (zh) 一种冻干机制冷系统
KR100676910B1 (ko) 음식물 슬러리 건조장치
KR100840930B1 (ko) 동결건조기용 나선형 유로 플레이트와 그 제조방법
KR101767251B1 (ko) 멀티직렬콜드트랩을 가지는 진공동결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