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699U - Electric-powered automatic baby swing - Google Patents

Electric-powered automatic baby sw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699U
KR20000018699U KR2019990004852U KR19990004852U KR20000018699U KR 20000018699 U KR20000018699 U KR 20000018699U KR 2019990004852 U KR2019990004852 U KR 2019990004852U KR 19990004852 U KR19990004852 U KR 19990004852U KR 20000018699 U KR20000018699 U KR 200000186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container
moving member
bearing portion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85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갑철
Original Assignee
정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갑철 filed Critical 정갑철
Priority to KR20199900048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8699U/en
Publication of KR200000186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699U/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9/00Swings
    • A63G9/16Driving mechanisms, such as ropes, gear, belt, motor driv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10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 A47D13/105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pivotally mounted in a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9/00Swings
    • A63G9/02Swings with two suspensory axl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입설된 좌/우 양 지지 프레임을 기준으로 좌/우 회동자재하게 연결된 그네용기가 안전하면서도 연속 반복적으로 좌/우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와 구동모우터 사이에 상기 모우터의 구동에 따라 일정한 반경을 그리면서 왕복 운동할 수 있는 이동부재를 설치함으로 모우터의 회전운동을 그네용기의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주어 편리하면서도 일정한 속도와 유동 폭을 유지하는 유아용 전동식 자동 그네인바,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지지 프레임; 그네용기; 상기 지지 프레임에그네용기가 좌/우 회동자재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그네용기의 양 측면에 입설고정된 채 지지 프레임에 축설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그네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저 면 일단에 돌출된 베어링부와; 상기 베어링부가 내삽되어 이탈되지 아니하도록길이방향으로 요홈부가 형성된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의 끝단부와 축설되어 이동부재가 일정한 반경을 그리면서 직선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회전링크를 축설하고서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는 구동모우터를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drive the motor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driving motor so that the swing container connected to the left / right pivoting frame on the basis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ing frame can safely and continuously move left and right repeated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swing bar for infants maintains a constant speed and flow width by chang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motor into the linear motion of the swing container by installing a moving member capable of reciprocating while drawing a constant radius. Silver support frame; Swing container; In the swing consisting of a connecting member which is arranged on the support frame while the swing frame swing container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swing container so that the swing container can be connected to the left / right rotation, bearing portion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Wow; A moving member having a recessed portion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such that the bearing portion is not inserted into the bearing portion; And a driving motor which is arranged with the end of the moving member and is fixed to the supporting frame while the rotary link is arranged to allow the movable member to linearly reciprocate while drawing a constant radius.

Description

유아용 전동식 자동 그네{ELECTRIC-POWERED AUTOMATIC BABY SWING}Electric swing swing for infants {ELECTRIC-POWERED AUTOMATIC BABY SWING}

본 고안은 어린 유아의 수면유도 및 유치원생들의 놀이용으로 마련되는 전동식 자동 그네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입설된 좌/우 양 지지 프레임을 기준으로 좌/우 회동자재하게 연결된 그네용기가 안전하면서도 연속 반복적으로 좌/우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와 구동모우터 사이에 상기 모우터의 구동에 따라 일정한 반경을 그리면서 왕복 운동할 수 있는 이동부재를 설치함으로 모우터의 회전운동을 그네용기의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줌으로 편리하면서도 일정한 속도와 유동 폭을 유지하는 유아용 전동식 자동 그네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automatic swing that is provided for sleep induction of young infants and play of kindergarten students, and more specifically, the swing container connected to the left / right pivoting materials safely based on the left and right support frames installed. In order to continuously and repeatedly move left and right,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swing container is moved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driving motor by installing a moving member capable of reciprocating while drawing a constant radius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otor. It provides a motorized electric swing for infants that maintains a constant speed and flow width while being convenient by changing to linear motion.

일반적으로, 어린 유아가 편안하게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거나, 혹은 놀이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사람의 힘에 의하여 좌/우로 반복되게 유동하는 요람 등은 이미 오래 전부터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cradles that repeatedly flow left / right by human power to allow a young infant to sleep comfortably or to be used for play have been proposed and used for a long time.

그러나 이것들은 사람의 손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밀어주거나, 당겨주게 됨으로 사람이 항상 곁에 있어야 하고, 팔에 쉬 피로가 발생하여 장시간동안 흔들어 줄 수 없었고, 사람의 손은 기계처럼 일정한 힘을 유지한 채 반복적으로 밀어줄 수 없다는 한계와 동시에 용기 속의 유아에게도 불필요한 충격을 주게되어 아기가 쾌적한 상태로 편안하게 잠이 들 수 없었다.However, these are pushed or pulled directly by the human hand, so that the person must always be nearby, and the arm fatigue occurs and can not be shaken for a long time. In addition to the limitations that can not be pushed to the baby as well as unnecessary impact on the baby in the container was unable to fall asleep comfortably.

즉, 어린 유아일 경우 편안하면서도 안정적인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몸이 반복적으로 유동될 경우 즐거움과 동시에 심리적인 만족감을 느끼게 되어 가만히 그냥 누워있는 고정된 자세보다는 훨씬 더 아이에게 효용성을 높여줄 수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In other word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if a young infant is in a comfortable and stable posture and the body is repeatedly flown, the child feels pleasure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which can increase the utility of the child much more than a fixed posture that is still lying down. Is true.

따라서, 그네의 동력원으로서 국내 실용신안 공고 번호 제73-801호로 전자석을 이용한 자동그네가 제안된바 있다.Therefore, an automatic swing using an electromagnet has been proposed as a domestic utility model notification No. 73-801 as a power source of a swing.

그러나, 상기의 자동그네는 좌대의 저 면에 영구자석을 착설하고, 지지대의중앙부에는 직류 전자석을 이와 대설하여 접점간의 영구자석편을 직류 전자석의 중심선상에 영구자석과 대설시킨 것으로써, 좌대가 항상 지구중력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도달될 때 직류전 자석의 반발력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automatic swings install permanent magnets on the bottom of the seat, and install a permanent magnet on the center of the support, and install the permanent magnet piece between the contacts with the permanent magnet on the center line of the direct current magnet. It is always to be operated by the repulsive force of direct current magnet when it is reach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earth gravity.

또한, 상기의 구성과는 달리 태엽식도 제시되어 일부 사용되고는 있으나 실효성이 낮아 매우 한정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이 현실인 것이다.In addition, contrary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pring is also presented and is used in part, but its effectiveness is very limited, which is used very limitedly.

그러나, 상기의 선 출원 고안인 전자석을 이용한 자동 그네에 따르면, 그네로써의 정상적인 목적 달성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포함한다.However, according to the automatic swing using the electromagnet of the above-mentioned pre-applied design, it include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achieve a normal purpose as the swing.

즉, 영구자석과 직류 전자석이 접근하여 대치된 상태에서 소정의 전류를 통하게 하면, 상기 직류 전자석에 서로 다른 극이 순간적으로 발생하고 따라서 강하게 반발하여 튕겨나게 됨으로 그네가 좌/우로 일정한 방향성이 없이 상/하로만 급격하게 충격적으로 움직이게 되고 상/하로의 떨림 현상 등의 수반으로 아기가 불안해하고 놀래는 등의 위험한 상황을 맞게 되어 상기 인용고안은 그네로써의 역할 불능에 빠지게 되는 것이었다.That is, when a permanent magnet and a direct current electromagnet are approached and passed through a predetermined current, different poles are instantaneously generated in the direct current electromagnet, and thus strongly rebound and bounce off, so that the swing is left or right without any directivity. The movement was suddenly shocked only to the bottom and a dangerous situation such as anxiety and amazement of the baby caused by tremors such as up and down, and the above quote was incapable of serving as a swing.

또한, 후자인 태엽식인 경우에는 사람의 손으로 일일이 태엽을 감아주어야 함으로 동력의 크기와 전달에 한계가 있는 것이고, 그 동작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을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latter, the spring has a limitation in the size and transmission of power by winding the hand one by one, and include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is very cumbersome.

아울러, 본 출원인에 의해서 전자석 상호간의 반발력을 이용한 하부 구동식자동 그네가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코스트가 높다는 문제점도 포함하고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applicant has been proposed a bottom-driven automatic swing using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electromagnets, but also includes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따라서, 간단한 구조와 저렴한 비용으로 유아들이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안전하면서도 조용하게 반복 운동으로 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는 그네가 적은 동력원을 이용하여 충격 없이 무소음으로 장시간 동안 동작될 수 있도록 배려되어야 한다.Therefore,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swing can be operated silently for a long time without impact by using a small power source that can be automatically driven in repeated motion safely and quietly so that infants can rest comfortably with a simple structure and low cost.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모우터의 회전 구동에 따라 축설된 그네용기가 일직선상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별도의 이동부재를 설치한 전동식의 간단한 구조를 마련하여, 안전하면서도 원활한 좌/우 왕복운동을 구현하게 됨으로 유아 및아이엄마의 만족감을 향상시키며, 저렴한 유지비용과 견고한 내구성을 갖는 자동 그네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mple electric motor structure equipped with a separate moving member so that the swing container reciprocated in a straight lin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rive of the motor, safe and smooth left / right reciprocating motion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infants and mothers by implementing the, and to provide an automatic swing with low maintenance costs and solid durability.

상기 본 고안의 목적달성은 지지 프레임; 그네용기; 상기 지지 프레임에 그네용기가 좌/우 회동자재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그네용기의 양 측면에 입설고정된채 지지 프레임에 축설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그네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저면 일단에 돌출된 베어링부와; 상기 베어링부가 내삽되어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요홈부가 형성된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의 끝단부와 축설되어 이동부재가 일정한 반경을 그리면서 직선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회전링크를 축설하고서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는 구동모우터를 구비함으로 달성될 수 있다.The support frame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wing container; In the swing consisting of a connecting member arranged on the support frame while the swing container is fixed to the both sides of the swing container so that the swing container can be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to the left / right rotation, bearing portion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 A moving member having a recessed portion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such that the bearing portion is not inserted into the bearing portion; And it can be achieved by having a drive motor is fixed to the end frame of the movable member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and the rotary link so as to allow the movable member to linearly reciprocate while drawing a constant radius.

이때, 상기 그네용기의 일 측면을 선택하여 이동부재를 설치하고 구동모우터를 그네용기의 하방에 위치시킴으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도 있다.In this case, the same purpose may be achieved by selecting one side of the swing container to install a moving member and placing the driving motor under the swing container.

또한, 상기 그네용기는 접철식으로 축소 및 전개가 자유롭도록 하여 보관 및이동에 유용성을 부여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In addition, the swing container can be folded and expanded to be free to give the usefulness to storage and movement of course.

도 1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유아용 전동식 자동 그네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1-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fant electric swing provid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 도 1의 구성으로 그네가 작동됨을 도시해 보인 측면도.2-side view showing that the swing is operated in the configuration of FIG.

도 3 - 도 1의 작동 상태 원리를 도시해 보인 예시도.3-1 illustrate the principle of the operating state of FIG.

도 4 -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유아용 전동식 자동 그네의사시도.4-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ic swing swing for infants provided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 도 4의 작동 상태도.Figures 5-4 state of operation.

도 6 - 도 4의 주요 구성을 분리 도시해 보인 분해 사시도.6-4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separated main components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지지 프레임 12 : 연결부재10 support frame 12 connecting member

13 : 그네용기 14 : 베어링부13 swing container 14 bearing part

15 : 이동부재 15a : 요홈부15: moving member 15a: groove

16 : 구동모우터 17 : 회전링크16: drive motor 17: rotary link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및 도 3은 작동 상태의 원리를 도시해 보인 예시도인바, 본 고안은 소정의 삼각형상으로 그네 틀을 형성하기 위해 지지 프레임(10)을 마련하는데, 이동 및 보관상의 유용성을 위해 조립식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정성과 견고성을 위하여 하방은 넓고, 상방은 좁은 삼각 형상의 유지가 요망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Figure 1 and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principle of the operating state, the invention is a swing frame in a predetermined triangle shape In order to form the support frame 10 to be formed, it is preferable to be prefabricated for the usefulness of movement and storage, and as described above, it is desirable to maintain a wide triangular shape in the lower part and the upper part for stability and robustness.

이와 같은 상기 지지 프레임(10)의 상단부 횡봉(11)에는 복수의 연결부재(12)가 수직 방향으로 회동자재하게 축설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축 부분에 베어링을 내설하여 보다 원활한 유동성을 부여함이 요망된다.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12 are rotatably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bar 11 of the support frame 10. Preferably, the bearing is installed in the shaft portion to provide smoother fluidity. do.

상기 각 연결부재(12)의 하단으로는 유아가 탑승되는 그네용기(13)와 상호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어 일체화됨으로 연결부재(12)를 통해 그네용기(13)의 좌/우회동이 달성되며, 이와 같은 그네용기(13)는 필요에 따라 외곽의 측벽 및 바닥판을접철하여 보관 및 이동시에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게 하였고, 필요에 따라 측벽을대신하여 파이프 부재를 설치함으로 내/외부가 연통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t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connection members 12, the swing container 13 is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and is integrated with the swing container 13 on which the infant is boarded, so that the left / right rotation of the swing container 13 is achieved through the connection member 12. The same swing container 13 can be conveniently used for storage and movement by folding the outer side wall and the bottom plate as necessary, and can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by installing a pipe member instead of the side wall as necessary. It may be.

이때, 상기 그네용기(13)의 저 면 일단에는 역시 이와 일체로 형성된 베어링부(14)를 하방으로 돌출시키고, 상기 베어링부(14)가 내삽된 채 외부로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요홈부(15a)가 길게 형성된 이동부재(15)가 수평방향으로마련되며, 상기 요홈부(15a)내에서 베어링부(14)의 이동은 자유롭게 된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wing vessel 13 also protrudes downwardly the bearing portion 14 formed integrally therewith, and the recesse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bearing portion 14 is not inserted outside A movable member 15 having a long elongated portion 15a is prepar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movement of the bearing portion 14 in the recessed portion 15a is free.

또한, 상기 이동부재(15)의 끝단부에는 이와 축설되어 이동부재(15)가 일정한 반경을 그리면서 직선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지지 프레임(10)의 하방 일 측에 구동모우터(16)가 마련되고, 이 구동모우터(16)의 회전축에 설치된 회전링크(17)에 상기 이동부재(15)가 연결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driving motor 16 is arranged at the end of the moving member 15 so that the driving motor 16 is disposed below one side of the supporting frame 10 so that the moving member 15 can linearly reciprocate while drawing a constant radius. The moving member 15 is connected to the rotary link 17 provided on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ing motor 16.

따라서, 도 3에서와 같이 구동모우터(16)의 구동에 따라 회전링크(17)가 회전되면 그 회전반경을 따라 이동부재(15)가 베어링부(14)를 끌고서 직선왕복운동하게 되는데, 베어링부(14)를 기준으로 이동부재(15)의 회전 이동시 발생하는 좌/우유동(회전링크의 회전 반경만큼)이 가능해져 그네용기(13)의 왕복운동에 별도의 간섭요인은 발생치 아니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3, when the rotary link 17 is rotat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16, the moving member 15 is linearly reciprocated by dragging the bearing portion 14 along the rotation radius thereof. The left / right flow (as much as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rotary link) generated dur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15 with respect to the bearing portion 14 is possible, so that no additional interference factor occurs in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swing vessel 13. .

첨부된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5는 도 4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주요 구성을 분리해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FIG. 4,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ain configuration of FIG. 4.

상기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그네용기(13)의 일 측면 상단을 선택하여 역시 베어링부(14)를 돌출설치하고, 수직방향으로 이동부재(15)를 설치함으로결국 구동모우터(16)를 그네용기(13)의 하방에 위치시킴이 가능해져 전체적으로 그네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는 유용성이 있으며, 그 작동 상태도에서와 같이 그네용기(13)의 좌/우 구동은 전과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Looking at another embodiment of the above, by selecting the upper side of one side of the swing container 13 also protruding the bearing portion 14, and finally by installing the moving member 15 in the vertical direction drive motor 16 It is useful to be able to position the lower side of the swing container 13 can reduce the size of the swing as a whole, as in the operation state diagram, the left / right driving of the swing container 13 can be implemented as before. .

따라서, 본 고안은 간단한 기구적 구성과 특징으로 그네용기가 안전하면서도연속 반복적으로 또한 일정한 속도를 유지한 채 좌/우 운동할 수 있게 됨으로 어린유아나 유치원아들의 편안한 휴식과 놀이가 가능해져 아이와 보호자 모두의 만족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wing container to be left / right with a simple mechanical configuration and features that can safely and continuously repeat and maintain a constant speed.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all.

한편, 본 고안은 그에 관한 최선의 실시예들을 예거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국한되어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수 있다면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의 변경을 고려해볼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exemplifies the best embodiments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sider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Claims (2)

지지 프레임; 그네용기; 상기 지지 프레임에 그네용기가 좌/우 회동자재하게연결될 수 있도록 그네용기의 양 측면에 입설고정된 채 지지 프레임에 축설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그네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저 면 일단에 돌출된 베어링부와; 상기 베어링부가 내삽되어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요홈부가 형성된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의 끝단부와 축설되어 이동부재가 일정한 반경을 그리면서 직선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회전링크를 축설하고서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는구동모우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전동식 자동 그네.Support frame; Swing container; In the swing consisting of a connecting member arranged on the support frame while the swing container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swing container so that the swing container can be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to the left / right rotation, bearing portion protruding at one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Wow; A moving member having a recessed portion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such that the bearing portion is not inserted into the bearing portion; And a driving motor which is arranged with the end of the moving member and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by arranging the rotary link so that the moving member can linearly reciprocate while drawing a constant radiu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네용기의 일 측면을 선택하여 베어링부를 돌출시키고, 이에 이동부재를 설치하여 구동모우터를 그네용기의 하방에 위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전동식 자동 그네.The infant electric swing of claim 1, wherein one side of the swing container is selected to protrude a bearing portion, and a moving member is installed to position the driving motor under the swing container.
KR2019990004852U 1999-03-25 1999-03-25 Electric-powered automatic baby swing KR20000018699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852U KR20000018699U (en) 1999-03-25 1999-03-25 Electric-powered automatic baby sw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852U KR20000018699U (en) 1999-03-25 1999-03-25 Electric-powered automatic baby sw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699U true KR20000018699U (en) 2000-10-25

Family

ID=54760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852U KR20000018699U (en) 1999-03-25 1999-03-25 Electric-powered automatic baby sw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8699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8623A (en) 2017-09-09 2019-03-19 김용현 The swing chair Swing chair swingy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haf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8623A (en) 2017-09-09 2019-03-19 김용현 The swing chair Swing chair swingy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haf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2368B1 (en) Swing
US8967716B2 (en) Infant care apparatus
US7717798B2 (en) Child motion device
US7722118B2 (en) Repositionable child support device
EP1942773B1 (en) Child motion device
US7607734B2 (en) Child motion device
US7824273B2 (en) Child motion device
US7788744B2 (en) Self rocking sleeping compartment assemblie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20120066833A1 (en) Motion device for children
US9370260B2 (en) Control device for a children's bouncer
JP6236121B2 (en) Pediatric exercise equipment
JP2011101801A (en) Child motion device
US3882556A (en) Electrically Rocked Crib
US20040123383A1 (en) Vibrating infant bed
US9750350B2 (en) Bouncing and swiveling infant support structure
KR20000018699U (en) Electric-powered automatic baby swing
GB2386551A (en) A hammock type infant cradle with rocking mechanism
KR200228143Y1 (en) An automatic swing for the in fant
KR200266691Y1 (en) automatic rocking cradle
KR100505825B1 (en) Multi-function swing for infant
JPH0889377A (en) Automatic rocking device for little child
CN216454296U (en) Mobile device and baby rocking chair
KR200337041Y1 (en) Electric Cradle Bed
KR200416202Y1 (en) Electromotive swinging cot
KR910007324Y1 (en) Roc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