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365U - 환자복 - Google Patents

환자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365U
KR20000018365U KR2019990004318U KR19990004318U KR20000018365U KR 20000018365 U KR20000018365 U KR 20000018365U KR 2019990004318 U KR2019990004318 U KR 2019990004318U KR 19990004318 U KR19990004318 U KR 19990004318U KR 20000018365 U KR20000018365 U KR 200000183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pipes
vest
expansion
injection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3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성
Original Assignee
이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성 filed Critical 이진성
Priority to KR20199900043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8365U/ko
Publication of KR200000183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365U/ko

Link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환자가 입을 수 있는 조끼에 주사병을 꽂아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환자복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환자(30)의 후면 등부위와 어깨에 밀착되는 부분이 경질부(42)로 되고, 흉부(胸部)에 밀착되는 부분은 양쪽으로 분할되어 벨크로패스너(50)(52)(54)에 의해 개폐되는 연질부(44)로 이루어지는 조끼(40)와, 상기 조끼(40)의 경질부(42)에 후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하기의 신축파이프(70)(72)를 지지하는 관통파이프(60)(62) 및 하부캡(64)(66)와, 주사병(80)(82)을 거꾸로 삽입할 수 있는 주사병 지지부(90)(92)가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신축파이프(70)(72)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환자복{patient vest}
본 고안은 환자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가 입을 수 있는 조끼에 주사병을 꽂아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환자복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스터(10)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다리부(12)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파이프(14)로부터 상측으로 빠져나오도록 되어 있는 연장봉(16)의 상단에 "T"자 모양으로 설치되어 있는 수평봉 (18)의 양단에 주사병(20)(22)을 걸어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것은 환자가 용변이나 검사, 산책 등 기타의 일을 보기 위하여 타장소로 이동할 필요가 있는 경우 지속적인 투약을 지키기 위해서는 주사병과 함께 이동하여야 되는데, 이를 손으로 밀거나 들어서 이동하고 있는데, 이는 중량이 무거워 노약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 취급하기가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손의 사용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에는 보호자나 간호사와 같은 타인의 도움 없이는 이동이 어려우므로, 주사병에 의한 투약중에는 독자적인 힘으로 병원내 다른 장소로 이동하기가 어렵게 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손으로 밀거나 들지 않더라도 투약중에 주사병을 보다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환자복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환자의 후면 등부위와 어깨에 밀착되는 부분이 경질부로 되고, 흉부(胸部)에 밀착되는 부분은 양쪽으로 분할되어 벨크로패스너에 의해 개폐되는 연질부로 이루어지는 조끼와, 상기 조끼의 경질부에 후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하기의 신축파이프를 지지하는 관통파이프 및 하부캡과, 주사병을 거꾸로 삽입할 수 있는 주사병 지지부가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신축파이프로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도 1 은 종래 주사병을 매달아 놓는 것을 보이는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환자복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환자복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환자복의 구성을 보이는 측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환자복의 구성을 보이는 도2의 A-A선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신축파이프의 중간을 절곡하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예를 보이는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30 : 환자42 : 경질부
44 : 연질부40 : 조끼
60,62 : 관통파이프50,52,54 : 벨크로패스너
64,66 : 하부캡70,72 : 신축파이프
80,82 : 주사병90,92 : 주사병 지지부
100 : 쿠션패드70a,72a : 플렉시블파이프
200 : 각도조절기구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환자복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환자복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환자복의 구성을 보이는 측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환자(30)의 후면 등부위와 어깨에 밀착되는 부분이 경질부(42)로 되고, 흉부(胸部)에 밀착되는 부분은 양쪽으로 분할되어 벨크로패스너(50)(52)(54)에 의해 개폐되는 연질부(44)로 이루어지는 조끼(40)와, 상기 조끼(40)의 경질부(42)에 후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하기의 신축파이프(70)(72)를 지지하는 관통파이프(60)(62) 및 하부캡(64)(66)과, 주사병(80)(82)을 거꾸로 삽입할 수 있는 주사병 지지부(90)(92)가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신축파이프(70)(72)로 구성하였다.
상기 관통파이프(60)(62)에는 상기 신축파이프(70)(72)를 압박하여 고정하기 위한 조임볼트(60a)(62a)를 설치하였으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파이프(60) (62)의 상하길이방향으로는 상기 조임볼트(60a)(62a)에 의해 걸리는 장홈(72g)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장홈(72g)에 서로 등간격을 이루는 여러개의 걸림구멍(72k)을 형성하여 내관(70n)(72n)이 외관(70m)(72m)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였다.
하여 신축파이프(70)(72)가 회전되면서 주사병(80)(82)에 연결되어 있는 호스(80h)(82h)가 꼬이는 것을 방지하였다.
상기 하부캡(64)(66)은 상단부는 개방되고 하단부가 폐쇄된 바닥을 가진 형태로 구성하였다.
상기 신축파이프(70)(72)의 상단 일부분을 자유롭게 굴곡이 가능한 플렉시블파이프(70a)(72a)로 구성하였다.
상기 경질부(42)의 안쪽에 쿠션패드(100)를 설치하여 완충기능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환자(30)의 허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신축파이프(70)(72)는 내관(70n)(72n)과 외관(70m)(72m)으로 구성되어 내관(70n)(72n)이 외관(70m)(72m)으로부터 출입되면서 신축파이프(70)(72)의 전체길이가 가변되는 통상의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외관(70m)(72m)의 상단부에는 내관(70n)(72n)을 압박함으로써 가변된 길이를 유지하는 고정볼트(70c)(72c)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신축파이프(70)(72)를 구성하고 있는 내관(70n)(72n)의 중간에 각도조절기구(200)를 구비하여 내관(70n)(72n)을 절곡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절곡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즉, 이러한 각도조절기구(200)는 첨부도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 (70n)(72n)의 중간을 횡으로 분리한 다음 분리된 양단부에 각각 면취된 형태의 힌지부(201)(202)를 형성한 다음 동일중심선상에 놓이는 관통구멍(203) 및 나사구멍 (204)을 한쪽의 힌지부(201)와 다른쪽의 힌지부(202)에 각각 형성하는 한편, 이들 힌지부(201)(202)가 서로 접하는 면에 섹터형 톱니부(205)(206)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멍(203)을 통과하여 상기 나사구멍(204)에 나사결합되는 조정볼트(207)를 구비하여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주사병 지지부(90)(92)는 상기 주사병(80)(82)의 바깥쪽 둘레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가지는 복수의 대경링(90a)(90c)과, 이들 대경링(90a)(90c)들을 잇는 수직연결바(90d)(90e)와, 상기 주사병(80)(82)의 주둥이부분 밑을 받치는 소경링 (90f)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끼(40)의 경질부(42)는 환자(30)의 등부위에 밀착되는 부분과, 어깨부분에 걸리는 부분, 환자(30)의 목이 빠져나올 수 있는 "C"자 모양의 홈부로 구성되며, 상기 연질부(44)는 앞쪽 중앙이 절개되어 옆으로 펼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환자(30)의 팔이 빠져나올 수 있도록 좌우양측에는 타원형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축파이프(70)(72)를 구성하고 있는 외관(70m)(72m)이 밖으로 노출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천과 같이 질기고 쿠션이 있는 커버지(300)를 이용하여 경질부(42)의 후면에서 외관(70m)(72m)을 비롯하여 관통파이프(60)(62) 및 하부캡(64)(66)을 덮도록 구성하였으며, 그 상측에는 외관 (70m)(72m)의 상측 일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공(302)을 형성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벨크로패스너(50)(52)(54)의 한쪽단은 상기 연질부(44)의 한쪽에 고정하고, 자유단은 상기 반대편에 붙거나 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도면 도2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끼(40)를 구성하고 있는 연질부(44)를 옆으로 벌린 상태에서 환자(30)의 상체에 착용한 다음 앞부분에 있는 벨크로패스너(50)(52)(54)를 단단하게 조이게 되면, 조끼(40)를 구성하고 있는 연질부(44)가 환자(30)의 흉부에 밀착되어 단단하게 됨과 동시에 조끼(40)의 경질부 (42)는 환자(30)의 어깨부분에 걸리면서 동시에 등부분에 밀착되어 흔들리지 않게 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관통파이프(60)(62)에 설치되어 있는 조임볼트(60a) (62a)를 풀어서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신축파이프(70)(72)를 관통파이프(60)(62)의 상단부를 통해 아래쪽으로 삽입하게 되면, 신축파이프(70)(72)가 하부캡(64)(66)에 걸리면서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때 관통파이프(60)(62)에 설치되어 있는 조임볼트(60a)(62a)를 다시 조이게 되면, 신축파이프(70)(72)가 수직으로 고정됨과 동시에 조임볼트(60a)(62a)가 장홈(72g)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구멍(72k)에 걸리면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게 되어 이동중에 안전하게 된다.
이후 신축파이프(70)(72)의 길이를 늘리거나 줄일 필요가 있을 경우 신축파이프(70)(72)의 외관(70m)(72m)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볼트(70c)(72c)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내관(70n)(72n)을 상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내관(70n)(72n)이 외관(70m)(72m)으로부터 빠져나오면서 신축파이프(70)(72)의 전체적인 길이가 늘어나게 되며, 그 반대로 내관(70n)(72n)을 아래쪽으로 밀어 넣게 되면, 외관(70m) (72m)의 안쪽으로 내관(70n)(72n)이 들어가면서 신축파이프(70)(72)의 전체적인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이후 풀어져 있던 고정볼트(70c)(72c)를 다시 조이게 되면, 내관(70n)(72n)을 압박하여 가변된 길이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주사병(80)(82)을 거꾸로 한 상태에서 주사병 지지부(90)(92)의 상측을 통해 아래쪽으로 삽입하게 되면, 주사병(80)(82)의 주둥이부분이 주사병 지지부 (90)(92)에 있는 소경링(90f)에 걸리면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신축파이프(70)(72)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플렉시블파이프(70a)(72a)를 이용하여 주사병(80)(8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끼(40)의 경질부(42) 안쪽면에 설치되어 있는 쿠션패드(100)는 착용자의 허리를 보호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각도조절기구(200)의 작용은 첨부도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볼트(207)를 느슨하게 풀게 되면, 섹터형 톱니부(205)(206)에 의해 서로 맞물려 있는 힌지부(201)(202)가 밀착되어 있다가 떨어질 수 있는 상태로 되고, 동시에 절곡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때 조정볼트(207)를 기점으로 하여 내관(70n)(72n)의 상측을 임의의 각도로 절곡한 후에 조정볼트(207)를 다시 조이게 되면, 힌지부(201)(202)의 대합면에 형성되어 있던 섹터형 톱니부(205)(206)가 서로 맞물리면서 조정된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환자가 입은 조끼에 주사병을 매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투약중에 손을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보행하는 행동에 의해 주사병이 이동되어지는 효과가 있으므로, 손의 사용이 불편한 환자는 물론 손의 사용이 가능한 환자도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적어도 환자(30)의 후면 등부위와 어깨에 밀착되는 부분이 경질부(42)로 되고, 흉부(胸部)에 밀착되는 부분은 양쪽으로 분할되어 벨크로패스너(50)(52)(54)에 의해 개폐되는 연질부(44)로 이루어지는 조끼(40);
    상기 조끼(40)의 경질부(42)에 후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하기의 신축파이프 (70)(72)를 지지하는 관통파이프(60)(62) 및 하부캡(64)(66);
    주사병(80)(82)을 거꾸로 삽입할 수 있는 주사병 지지부(90)(92)가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신축파이프(70)(7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파이프(70)(72)의 상단 일부분을 자유롭게 굴곡이 가능한 플렉시블파이프(70a)(72a)로 구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부(42)의 안쪽에 쿠션패드(100)를 추가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파이프(70)(72)의 중간에 각도조절기구(200)를 추가로 구비하여 이 신축파이프(70)(72)를 임의의 각도로 절곡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복.
KR2019990004318U 1999-03-18 1999-03-18 환자복 KR200000183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318U KR20000018365U (ko) 1999-03-18 1999-03-18 환자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318U KR20000018365U (ko) 1999-03-18 1999-03-18 환자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365U true KR20000018365U (ko) 2000-10-16

Family

ID=54760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318U KR20000018365U (ko) 1999-03-18 1999-03-18 환자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836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936Y1 (ko) * 2012-06-14 2014-01-22 전창곤 링거 휴대 및 지지 고정용 재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936Y1 (ko) * 2012-06-14 2014-01-22 전창곤 링거 휴대 및 지지 고정용 재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8565A (en) Osteoarthritic knee brace
US5725490A (en) Elastic wrist brace with support and longitudinally extending fastener
CA2827041C (en) Dynamic shoulder orthosis with rehabilitating adduction
JP5698665B2 (ja) 患者抱き上げ用具
US11617400B2 (en) Infant anti-flail garment
US9044324B2 (en) Selectively adjustable arm and shoulder support
JPS62253053A (ja) 整形装置
US9827133B1 (en) Selectively adjustable arm and shoulder support
US5827207A (en) Night splint
JP2020059938A (ja) 動作補助作業着
US11638656B2 (en) Shoulder and arm restraint
US6719712B2 (en)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the back, hips, upper thighs and groin areas
US4469095A (en) Medical sleeve
US9668902B1 (en) Selectively adjustable arm and shoulder support
EP0727198B1 (en) Improvement to orthoses for the upper body
KR20000018365U (ko) 환자복
US10610400B1 (en) Selectively adjustable arm and shoulder support
JP2006305225A (ja) 歩行補助具
WO2023153497A1 (ja) 姿勢矯正器具
US5320590A (en) Orthopedic bracing mechanism for facilitating hip reciprocation
US11547592B1 (en) Arm support apparatus
KR200368706Y1 (ko) 목 디스크 예방 및 치료용 보호구
US20220079801A1 (en) Arm sling apparatus
JP3663168B2 (ja) 姿勢改善バンド
CN209790037U (zh) 一种手足外科用肘部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