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363U - Automatic teethbrush - Google Patents

Automatic teethbru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363U
KR20000018363U KR2019990004316U KR19990004316U KR20000018363U KR 20000018363 U KR20000018363 U KR 20000018363U KR 2019990004316 U KR2019990004316 U KR 2019990004316U KR 19990004316 U KR19990004316 U KR 19990004316U KR 20000018363 U KR20000018363 U KR 200000183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automatic
branch
contain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31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38172Y1 (en
Inventor
류홍우
Original Assignee
류홍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홍우 filed Critical 류홍우
Priority to KR20199900043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172Y1/en
Publication of KR200000183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36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172Y1/en

Link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치아를 닦는데 사용하는 자동치솔기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an automatic toothbrush used to clean teeth.

본 고안의 자동치솔기는 용기형 본체에, 치솔이 끼워지는 치솔부착부, 상기 치솔부착부를 동작시켜 치솔질을 하게 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치솔부착부는 기존의 막대형 치솔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utomatic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ntainer-type body, a toothbrush attachment portion to which the toothbrush is fitted, a drive unit for brushing by operating the toothbrush attachment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energy to the drive unit, the toothbrush attachment unit i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portion to be fixed by inserting the bar toothbrush.

따라서, 기존의 일반 수동치솔을 사용할 수 있고 치솔의 교체도 용이하므로 하나의 자동치솔기를 구비하면 여러 사람이 사용할 수 있게 되고, 기존의 자동치솔 교체에 들어가는 비용과 수고를 줄여 값싼 기존의 수동용 치솔을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manual toothbrush can be used and the toothbrush can be easily replaced, so if one automatic toothbrush is provided, it can be used by many people, and the cheaper manual toothbrush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cost and effort for replacing the existing automatic toothbrush. Can be used.

Description

자동치솔기 {Automatic teethbrush}Automatic Teeth Brush {Automatic teethbrush}

본 고안은 치아를 닦을 때 사용하는 자동치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치솔을 이용할 수 있는 자동치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toothbrush used when cleaning teeth,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toothbrush that can use the existing toothbrush.

치아는 음식물을 섭취할 때 음식물을 기계적으로 끊거나 갈아주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작용은 음식물이 소화액과 잘 섞이도록 하여 소화를 돕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치아는 씹는 감각을 갖게 하여 식사할 때 음식물을 느끼도록 작용하고 쾌감을 줄 수도 있다. 음식물을 섭취하여 외부에서 영양소를 얻는 것은 인간의 생존을 위한 기본적인 작용이므로 그 작용에 관련된 치아의 건강은 인체의 건강에 큰 영향을 준다.Teeth mechanically break or grind food when ingesting food. This action helps digestion by allowing food to mix well with digestive fluids. In addition, teeth can have a chewing sensation, which makes them feel and eat when eating. Obtaining nutrients from the outside by eating food is a basic action for human survival, so the health of teeth involved in the action has a great impact on the health of the human body.

치아 사이에 음식물이 잔류하여 부패할 경우 음식물이나 세균의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에 의해 치아가 손상을 받게 되고 악취를 유발시켜 자신에게는 나쁜 기분이 들고 타인에게 혐오감을 줄 수 있다. 더욱이 치아에 대한 침식이 심화될 경우 치아 일부가 손상으로 제거되거나 전체가 빠지게 되고, 치아를 인체에 고정시키고 있는 잇몸이 세균의 작용으로 곪는 경우에도 치아가 빠지게 되며 신경을 자극하여 고통을 주므로 소화와 신경에 대한 악영향으로 건강을 해치게 된다.If food remains between teeth and decays, the teeth are damaged by substances caused by food or bacteria, causing bad smell, which can cause you to feel bad and disgust others. Furthermore, if the erosion of the teeth is intensified, some of the teeth are removed or damaged as a result of the damage, and even if the gums that fix the teeth to the human body are removed by the action of bacteria, the teeth are pulled out and the nerves are irritated and painful. Negative effects on nerves can damage your health.

따라서 인류는 예로부터 치아의 건강을 위한 치아의 세정 방법을 많이 개발하여 왔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일반적인 치아의 세정 방법으로는 치솔을 이용한 양치질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치솔은 구강 내부의 치아를 세척하기 위해 막대형의 치솔대 끝부분에 탄력이 있고 강한 치솔모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치솔모에 흔히 살균작용이나 연마작용이 있는 물질을 묻혀 치아와 잇몸에 문지르는 형태로 양치질을 하게 된다.Therefore, human beings have developed many methods for cleaning teeth for the health of teeth since ancient times. The most common method of cleaning teeth at present is brushing teeth using a toothbrush. Toothbrush is made by installing elastic and strong bristles on the tip of the rod-shaped toothbrush rod to clean the teeth in the mouth. Brushing teeth is rubbed on the teeth and gums by applying a sterilizing or abrasive material. Done.

치아의 건강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면서 이들 치솔에 대한 연구도 많이 이루어져 치솔의 형태와 치솔모의 재질 형태, 치솔질의 방법 등에 대한 많은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As a lot of systematic researches on the health of teeth, many researches on these toothbrushes have been made, and many proposals have been made on the shape of the toothbrush, the material form of the brush head, and the brushing method.

그 가운데 하나로 자동치솔을 들 수 있다. 자동치솔은 손으로 치솔을 움직이면서 치아를 닦을 필요가 없고 닦을 부분에 치솔모를 닿게 하면 치솔모부분이 회전하거나 진동하면서 치아를 닦게 된다. 따라서 자동치솔은 유아용 치솔이나 노약자, 환자용 치솔로 특히 적합하며, 피곤한 상태에서는 치솔질이 번거롭고 바쁜 아침시간에 치솔질을 하기 위해 서두르면서 무리하게 힘을 가해 구강내부에 손상이 생길 수도 있음을 고려하면 일반인용으로도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One of them is the automatic toothbrush. The automatic toothbrush does not need to brush your teeth while moving the toothbrush. If you touch the brush head to the brushed area, the brush head rotates or vibrates to clean the tooth. Therefore, the automatic toothbrush is particularly suitable as a toothbrush for infants, the elderly, or a patient toothbrush.In case of tiredness, the toothbrush is cumbersome and it may be inconvenient for the toothbrush to be damaged in the oral cavity due to the excessive force and rush to brush the teeth in busy morning hours. Can also be used conveniently.

자동치솔은 주로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여 이를 소형모터를 이용하여 치솔모가 설치된 부분을 회전운동 혹은 기계적인 왕복운동하도록 제작한 것이다. 따라서 자동치솔을 손으로 잡고 치솔모가 있는 부분을 치아에 대면 치솔모 부분이 회전하거나 상하로 혹은 좌우로 진동하면서 치아표면과 치아 사이를 닦아주게 된다.The automatic toothbrush is mainly made of electricity as a power source, and the small toothed motor is used to rotate or mechanically reciprocate the part where the brush head is installed. Therefore, holding the automatic toothbrush by hand and brushing the part with the bristles to brush the toothbrush rotates or vibrates up and down or from side to side to wipe between the tooth surface and teeth.

기존의 자동치솔의 경우 치솔대의 손잡이 부분과 치솔모가 설치된 부분이 조립식으로 이루어져서 치솔모가 낡게 되면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의 자동치솔의 경우 상당한 고가에 거래가 되고 있으며 대개는 손잡이 부분과 치솔모 부분이 조립식인 경우에도 일체에 가까운 밀접한 구조로 연결되어 메이커 및 상품 마다 서로 호환성이 없어 치솔모가 설치된 부분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당해 메이커의 특약점을 찾아야 하는 등 교체에 불편함이 많았다.In the case of the existing automatic toothbrush, the handle portion of the toothbrush rod and the brush head installed portion are prefabricated, so that when the brush head is old, it can be replac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current automatic toothbrush, it is dealing with a considerable price. In general, even when the handle part and the brush head part are prefabricated, they are connected in a close structure, close to all, so that each manufacturer and product are not compatible with each other. There was a lot of inconvenience in replacement, such as finding a dealer of the manufacturer.

또한 기존의 자동치솔은 상당한 고가이므로 가족의 구성원이 모두 자동치솔을 구입할 경우 그 비용이 적지않아 그 편리함에도 불구하고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In addition, the existing automatic toothbrushes are quite expensive, so when all the members of the family purchase the automatic toothbrushes, the cost is not small, and in spite of their convenience, they were often not used.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들 즉, 자동치솔이 제조회사나 제품마다 규격이 달라 교체에 불편함이 많았고, 고가이므로 다수 구입이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었던 사정을 고려하여 치솔의 교체가 용이하고 또한 기존의 치솔들을 사용할 수도 있는 자동치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many problems such as the automatic toothbrush has different specifications for each manufacturer or product, and it is very inconvenient to replace the toothbrush.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automatic toothbrush that can be used.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치솔이 끼워진 상태의 외관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toothbrush is fitt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 구동부에 모터와 캠을 사용한 경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when a motor and a cam are used in a driv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구동부에 전자석을 사용한 경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when an electromagnet is used in a drive uni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of main part of drawing

1: 치솔 10: 자동치솔기1: toothbrush 10: automatic toothbrush

11: 용기형 본체 12: 치솔고정틀11: container type body 12: toothbrush fixing frame

13: 고정스크류 14: 속도조절기13: fixed screw 14: speed controller

21: 고정부 23: 모터21: fixing part 23: motor

24: 모터축 25: 캠24: motor shaft 25: cam

26: 연결부 가지 27,30: 축26: connection branch 27,30: shaft

28: 중심줄기 29: 동작부 가지28: center stem 29: moving parts

31: 전자석부분31: electromagnet par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치솔기는 용기형 본체에, 치솔이 끼워지는 치솔부착부, 상기 치솔부착부를 동작시켜 치솔질을 하게 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치솔부착부는 기존의 막대형 치솔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부와 상기 구동부의 움직임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와 접촉하는 동작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utomatic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made with a container-type body, the toothbrush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toothbrush is fitted, the driving unit to operate the toothbrush attachment portion to brush the teeth and the power supply for supplying energy to the drive unit The toothbrush attachment part may include a fixing part and an operation part contacting the driving part so as to receive the movement of the driving part so as to fix the existing rod-shaped toothbrush.

본 고안에서 치솔부착부는 일반 막대형 치솔의 손잡이 부분을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의 고정부를 구비하고 여기에 구동부의 움직임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동부와 접촉하는 동작부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구동부와 접촉하는 동작부가 구동부의 영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고정부는 치솔을 고정한 상태로 움직여서 치아와 닿아 있는 치솔모가 치아를 닦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thbrush attachment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xed portion of the structure that can fix the handle portion of the general rod-type toothbrush, and the operation portion in contact with the drive portion to receive the movement of the drive portion is made integrally connected. Therefore, when the operating part in contact with the drive is mov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drive unit, the fixed part moves the toothbrush fixed state so that the brush head in contact with the teeth to brush the teeth.

도1은 본 고안 자동치솔기에 치솔이 끼워진 상태의 외관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외부로 치솔(1)을 고정하도록 자동치솔기(10)의 용기형 본체(11) 상부인 치솔고정틀(12)에 고정스크류(13)가 나타나 있고 그 아래쪽으로 속도조절 스위치(14)가 설치되어 있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toothbrush inserted into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 toothbrush. A fixing screw 13 is shown on the toothbrush fixing frame 12 that is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shaped body 11 of the automatic toothbrush 10 to fix the toothbrush 1 to the outside, and a speed control switch 14 is installed below the toothbrush fixing frame 12. have.

고정부는 치솔이 끼워질 수 있는 용기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그런데 용기형의 경우 본 고안의 고정장치에는 여러 종류와 크기의 치솔이 끼워질 수 있어야 하므로 용기는 일반적인 치솔이면 모두 끼워질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갖도록 형성한다. 단, 이런 형태로는 이용시 치솔을 고정시키기 어려울 것이므로 하나 이상의 고정용 스크류 나사를 용기형 본체 외벽쪽에서 고정부를 이루는 용기를 관통하도록 설치하여 용기에 치솔을 넣은 후 스크류 나사를 조여 치솔대를 고정하는 형식으로 치솔을 고정시킬 수 있다.The fixing part may be manufactured in a container shape in which the toothbrush can be fitted. By the way, in the case of the container type, the toothbrush of various types and sizes should be fitted to th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container is formed to have enough space to fit all of the general toothbrush. However, in this form, it will be difficult to fix the toothbrush, so install one or more fixing screw screws through the container forming the fixing part on the outer wall of the container body, insert the toothbrush into the container, and then tighten the screw screws to fix the toothbrush rod. The toothbrush can be fixed in the form.

도2는 본 고안 자동치솔기의 일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치솔 고정부(21)가 치솔(1)을 포함하는 용기와 이 용기의 외부로부터 설치된 치솔 고정스크류(13)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부는 거꾸로 선 Y자형의 동작부와 연결되어 있다. 구동장치로는 모터(23)와 모터축(24)에 장치한 캠(25)을 사용한 예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 toothbrush is composed of a toothbrush fixing portion 21 comprises a container including a toothbrush 1 and a toothbrush fixing screw 13 installed from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The fixed part is connected to the inverted Y-shaped moving part. The driving device is an example in which the cam 25 provided on the motor 23 and the motor shaft 24 is used.

고정용 스크류 외에 쐐기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쐐기방식에서는 다소 탄력성이 있는 쐐기형 끼우게를 축이 있는 레버와 연결하여 레버를 돌리면 끼우게가 용기와 치솔대 사이에 쐐기처럼 끼워지는 상태가 된다.In addition to the fixing screw, a wedge may be used. In the wedge method, a slightly elastic wedge-shaped fitting is connected to the lever with a shaft, and when the lever is turned, the fitting is fitted like a wedge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toothbrush.

그 밖에도 탄성재질의 밀착부재와 지레 원리를 이용하는 많은 형태의 레버를 채택하여 다양한 치솔 고정장치가 가능하다.In addition, a variety of toothbrush fixing devices are possible by adopting many types of levers using elastic members and levers.

본 고안에서 구동부로는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는 구동모터 및 전기 진동장치를 우선 생각할 수 있다.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치솔을 고정시키는 치솔부착부를 움직여주는 방법도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간단히 도2와 같이 캠(25)을 이용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전원에 연결된 구동 모터(23)가 회전하면 모터축(24)에 연결된 캠이 회전하면서 캠의 돌출부가 거꾸로선 Y자형의 연결부에서 아래쪽으로 형성된 연결부 가지(26)와 닿게 되면 이를 중심에서 바깥 쪽으로 밀어준다. 그러면 연결부는 축(27)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므로 연결부의 가지(26)가 한 바깥 쪽으로 움직일 때 축(27) 반대편의 중심줄기(28)가 동작부의 가지(29)와 닿게 된다. 이때 축(27)의 작용으로 중심줄기(28)는 동작부 가지(29)를 다른 바깥 쪽으로 밀어준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driving unit, a driving motor and an electric vibrator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may be considered first. There may be various ways to move the toothbrush attachment part which fixes the toothbrush using a drive motor, but it can be considered simply how to use the cam 25 as shown in FIG. When the drive motor 23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rotates, the cam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24 rotates, and when the protrusion of the cam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nnection branch 26 formed downward from the upside down Y-shaped connection part, it is pushed outward from the center. give. Then, the connecting portion is installed to be rotated about the shaft 27, so that when the branch 26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moved outward, the central stem 28 opposite the shaft 27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ranch 29 of the operating portion. At this time, by the action of the shaft 27, the central stem 28 pushes the operation branch 29 to the other outward.

이들 동작부 가지(29)는 치솔이 고정된 치솔부착부의 용기형 고정부(21)와 연결된다. 그리고 연결된 가운데 부분에는 치솔부착부를 자동치솔기 용기형 본체의 고정틀에 고정시키는 치솔부착부 축(30)이 있고 치솔부착부는 이 축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좌우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결국 캠(25)의 장반경 부분이 연결부 가지(26)부분을 밀어주면 연결부 중심줄기(28)가 동작부 가지(29)를 움직이고 동작부와 연결된 고정부의 치솔(1)을 움직이게 된다.These operation part branches 29 are connected with the container type fixing part 21 of the toothbrush attachment part to which the toothbrush was fixed. And the central portion connected to the toothbrush attachment portion 30 to secure the toothbrush attachment portion to the fixed frame of the automatic toothbrush container type body and the toothbrush attachment portion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at a certain angle around the axis. As a result, when the long radius portion of the cam 25 pushes the connection part branch 26, the connection center stem 28 moves the operation part branch 29 and moves the toothbrush 1 of the fixed part connected to the operation part.

그리고 연결부나 동작부 가지부분의 움직이는 경로에는 판형 스프링등 스프링장치를 설치하고 가령 판형 스프링의 볼록한 부분이 가지부분과 맞닿게 하면 캠의 장반경이 지나간 후에는 오목해진 판스프링이 다시 볼록해지면서 스프링 작용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게 된다. 가지부분은 연결부와 동작부에 각각 2개씩 형성되므로 캠이 일회전할 때 치솔은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한 번씩 움직이게 된다. 치솔의 움직임을 빠르게 하려면 캠에 장반경을 여러개 둔 삼각형 캠, 오각형 캠 등을 사용하거나 캠을 설치한 모터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하면 된다.In addition, if a spring device such as a leaf spring is installed in the moving path of the branch of the connection part or the moving part, and the convex part of the leaf spring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ranch part, the concave leaf spring becomes convex again after the long radius of the cam passes. Will restore the original position. Since two branch parts are formed at each of the connecting part and the operating part, the toothbrush moves to the left and the right once when the cam is rotated once. To speed up the movement of the toothbrush, use a triangular cam with a long radius on the cam, a pentagonal cam, etc., or increase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with the cam installed.

전기 진동장치를 사용하는 경우는 도3에 도시되어 있다. 전기 진동장치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전기 벨에서 보여지는 형태이다. 도2에서와 같이 가지(29)부분 이 있는 동작부가 있고 이 동작부의 가지부분은 끝이 약간 모아지는 형태로 된다. 구동부는 거꾸로선 Y자형의 연결부 및 전자석부분(31)과 부속 전기회로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동작부의 서로 모아지는 가지부분의 사이에는 상기 Y자형 연결부의 중심줄기(28) 끝 부분이 위치하고, 연결부의 가지(26)부분은 자성체이며 각각의 인근에는 상기 자동치솔기 본체 내벽의 양편으로 전자석부분(31)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의 중심줄기(28)와 가지부분(26) 사이에는 치솔부착부의 용기형 고정부(21)와 동작부의 사이에 있는 축(30)과 마찬가지로 축(2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전자석부분은 인근에 있는 연결부 가지부분(26)과 일정 간격이상 떨어지면 전기가 흘러서 전자석이 되어 연결부의 가지부분을 끌어당기고 닿으면 전자석에 자기장을 인가시키는 코일에 전류가 끊어져 전자석의 성질을 잃도록 형성되어 전원부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은 연결부의 가지(26)부분이 인근 전자석부분(31)과 떨어지고 붙는 동작을 계속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양상이 반복되면서 연결부 가지부분이 계속 좌우로 진동하게 되고 연결부 중심줄기(28)는 치솔부착부의 동작부 가지부분(29)을 좌우로 밀어주게 되며 따라서 치솔부착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축(30) 반대편의 용기형 고정부(21)에 고정된 치솔을 좌우로 움직여 준다. 이때 전자석의 가동은 연결부와 관련된 기계적 스위치 동작외에 릴레이 회로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case of using the electric vibrator is shown in FIG. The most basic form of an electric vibrator is that seen in an electric bell. As shown in Fig. 2, there is an operation part having a branch 29, and the branch part of the operating part is formed to have a slightly collected tip. The drive section includes an inverted Y-shaped connecting section, an electromagnet section 31, and an attached electric circuit. At this time, the end of the central stem 28 of the Y-shaped connecting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branch portions collected from each other of the operation portion, the branch 26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a magnetic material, and each of the electromagnets on both sides of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of the automatic toothbrush The part 31 is formed. A shaft 27 is formed between the central stem 28 and the branch portion 26 of the connecting portion, similar to the shaft 30 between the container-type fixing portion 21 and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toothbrush attachment portion. When the electromagnet part is separated from the branch part 26 adjacent to the neighboring part by more than a certain distance, electricity flows to become an electromagnet, which pulls the branch part of the connecting part, and when touched, the electric current is cut off by a coil that applies a magnetic field to the electromagnet to lose its properties. While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he branch 26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neighboring electromagnet portion 31 and continues to attach. As this pattern is repeated, the branch part of the connection part continuously vibrates from side to side, and the central part of the connection part 28 pushes the branch part 29 of the operation part of the toothbrush part to the left and thus the axis 30 to which the toothbrush part is rotatably fixed. ) Move the toothbrush fixed to the container type fixing part 21 on the opposite side to the left and right. The electromagnet can then use a relay circuit in addition to the mechanical switch action associated with the connection.

전원부는 외부의 전기를 끌어들여 구동모터나 전기 진동장치를 작동시키는 외부전원형과 건전지, 축전지를 이용한 내부전원형이 있을 수 있다. 외부전원형은 직류전원형이나 교류전원형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휴대용에 적합하도록 건전지 혹은 축전지를 사용하는 내부전원형을 겸하여 장치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may include an external power supply type that draws in electricity from outside and operate a driving motor or an electric vibration device, and an internal power supply type using a battery or a storage battery. The external power type may be divided into a DC power type or an AC power type, and may be installed as an internal power type using a battery or a battery to be suitable for portable use.

전원회로에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늘린다거나 진동장치의 진동수를 늘리는 방법으로 필요에 따라 치솔질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기를 부착하여 사용하면 편리할 것이다. 치솔의 왕복운동 횟수 혹은 진동수는 일초에 3 내지 5회에서 7회까지가 적당하며 치솔질의 속도도 스위치를 통해 3회, 5회, 7회 식으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치아를 닦아주는 치솔모의 운동범위도 상하부 치아의 크기를 합한 정도가 되도록 축의 위치, 연결부의 길이, 치솔기 본체의 몸체나 가지의 벌어진 정도, 캡의 장반경, 진동장치의 진동폭 등을 조절한다. 그리고 그 폭의 미세조절이 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may be convenient to use a regulator to control the speed of the toothbrush as necessary by increasing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driving motor by increasing the amount of current in the power circuit or increasing the frequency of the vibration device. The number of reciprocating movements or the frequency of the toothbrush is suitable from 3 to 5 to 7 times a second, and the speed of the brushing is also preferably used to be divided into three times, five times, seven times through the switch. In addition,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brush head to clean the teeth also adjusts the position of the shaft,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portion,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body or branch of the toothbrush body, the long radius of the cap, and the vibration width of the vibrator so that the size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is combined. And it is preferable to form so that the width can be finely adjusted.

자동치솔기 치솔부착부는 치솔이 고정되면서 외부 습기에 노출되므로 내부의 전기장치에 누전이 생기고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전기충격을 받을 수 있으므로 전원부나 구동부는 방수용 재질로 틈을 잘 감싸도록 설치하며 치솔을 직접 고정하는 부분은 어쩔수 없이 물기에 접촉하게 되므로 전기를 통하지 않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utomatic toothbrush The toothbrush attachment part is exposed to external moisture as the toothbrush is fixed, which may cause an electric leakage to the internal electric device and in some cases, the user may receive an electric shock, so install the power supply part or the driving part to cover the gap well with waterproof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material of the synthetic resin that does not pass through electricity because it is inevitably in contact with water.

본 고안에 따르는 자동치솔기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치솔질을 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일반 수동치솔을 사용할 수 있고 치솔의 교체도 용이하므로 하나의 자동치솔기를 구비하면 여러 사람이 사용할 수 있게 되고, 기존의 자동치솔 교체에 들어가는 비용과 수고를 줄여 값싼 기존의 수동용 치솔을 사용할 수 있다.Using the automatic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ave the user the trouble of brushing. In addition, the existing manual toothbrush can be used and the toothbrush can be easily replaced, so if one automatic toothbrush is provided, it can be used by many people, and the cheaper manual toothbrush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cost and effort of replacing the existing automatic toothbrush. Can be used.

이상에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mainly describ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Claims (4)

용기형 본체에, 치솔이 끼워지는 치솔부착부, 상기 치솔부착부를 동작시켜 치솔질을 하게 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치솔부착부는 일반 막대형 치솔의 손잡이 부분을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의 고정부와 상기 구동부의 움직임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와 접촉하는 동작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치솔기.The container body has a toothbrush attachment portion to which the toothbrush is fitted, a drive portion for operating the toothbrush attachment portion for brushing, and a power supply portion for supplying energy to the drive portion, wherein the toothbrush attachment portion is a handle portion of a general stick toothbrush. An automatic toothbrush,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ortion of the structure that can be fixed and the operating portion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drive so as to receive the movement of the driv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정부는 치솔의 손잡이 부분이 끼워질 수 있는 용기형이며 상기 용기형 본체 외벽으로부터 상기 고정부의 벽체를 관통하여 치솔의 손잡이 부분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스크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치솔기.The fixing part is a container type to which the handle portion of the toothbrush can be fitted and the automatic toothbrush,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screw for fixing the handle portion of the toothbrush penetrates through the wall of the fixing portion from the outer wall of the container-type body. group.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원부에 연결된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연결된 캠과 거꾸로 선 Y자형의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동작부는 거꾸로선 Y자형의 가지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작부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는 부분 및 상기 연결부 중앙에는 상기 치솔부착부 및 상기 연결부를 각각 상기 자동치솔기의 용기형 본체에 고정하며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축이 있어서, 상기 캠에 상기 연결부의 Y자형의 가지부분이 닿으면 상기 연결부의 Y자형의 중심줄기 부분이 상기 동작부 가지부분을 자동치솔기의 종심에서 밖으로 밀게 되고 상기 치솔부착부 축의 작용으로 고정부를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치솔이 움직이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치솔기.The driving unit is composed of a drive motor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and a cam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drive motor in an inverted Y-shaped connection part, and the operating part is made up of an inverted Y-shaped branch part, and the operating part and the fixed part And a shaft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at the center of the toothbrush attaching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respectively, fixed to the container-type body of the automatic toothbrush and rotating left and right, the cam has a Y-shaped branch of the connecting portion. When the part touches, the Y-shaped central stem of the connecting part pushes the branch part of the movable part out of the center of the automatic toothbrush and moves the fixing part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the action of the toothbrush attachment part to move the toothbrush. Featuring an automatic toothbrush.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구동부는 거꾸로선 Y자형의 자성체인 연결부, 전자석부분 및 부속 전기회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동작부는 거꾸로선 Y자형의 가지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작부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는 부분 및 상기 연결부 중앙에는 상기 치솔부착부 및 상기 연결부를 각각 상기 자동치솔기의 용기형 본체에 고정하며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축이 있고, 상기 연결부의 가지부분 각각의 인근에는 상기 자동치솔기의 용기형 본체 내벽의 양편으로 전자석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석부분은 인근에 있는 상기 연결부의 가지부분과 일정 간격이상 떨어지면 전기가 흘러서 전자석이 되어 상기 연결부의 가지부분을 끌어당기고, 닿으면 전자석에 자기장을 인가시키는 코일에 전류가 끊어져 전자석의 성질을 잃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원부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은 상기 연결부의 가지부분이 인근 전자석부분과 떨어지고 붙는 동작을 계속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치솔기.The driving part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part, an electromagnet part, and an accessory electric circuit which is a magnetic body of Y-shaped upside down, and the operating part is composed of a branch part of Y-shaped upside down, and a part connecting the operating part and the fixing part; In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portion, the toothbrush attachment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is fixed to the container-type body of the automatic toothbrush, respectively, there is an axis formed to rotate left and right, each of the branch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tainer of the automatic toothbrush Electromagnet part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and the electromagnet parts are electromagnets when they ar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ranch parts of the adjacent parts, and become electromagnets, attracting the branch parts of the connecting parts, and when touched, a magnetic field to the electromagnet. The electric current is cut off to the coil to apply the loss of the electromagnet properties, so The automatic toothbrush,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nch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while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rtion is made to continue to move apart from the adjacent electromagnet portion.
KR2019990004316U 1999-03-18 1999-03-18 Automatic teethbrush KR20023817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316U KR200238172Y1 (en) 1999-03-18 1999-03-18 Automatic teethbru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316U KR200238172Y1 (en) 1999-03-18 1999-03-18 Automatic teethbrus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363U true KR20000018363U (en) 2000-10-16
KR200238172Y1 KR200238172Y1 (en) 2001-09-25

Family

ID=54760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316U KR200238172Y1 (en) 1999-03-18 1999-03-18 Automatic teethbrus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172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172Y1 (en) 2001-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4232B1 (en) Toothbrush and electric toothbrush
US6938294B2 (en) Toothbrush with movable head sections for enhanced oral care
RU2313310C2 (en) Toothbrush provided with drive
TWI380802B (en) Powered toothbrush with two-sided moving head
US3033197A (en) Battery operated rotary toothbrush
US20060230555A1 (en) Electrical tooth brush
JPH01500490A (en) Oral care appliances
MXPA01013220A (en) Electric toothbrush.
JP2018000942A (en) Finger toothbrush for pet
US5699575A (en) Flexible rotary toothbrush
US2601567A (en) Manually driven toothbrush
US7065821B2 (en) Powered toothbrush
KR200418868Y1 (en) Vibration electric a toothbrush
US3512202A (en) Power toothbrush and guard therefor
US3512201A (en) Power toothbrush
KR100413209B1 (en) Electromotion toothbrush rotatable in positive or reverse direction
KR200467548Y1 (en) Electric toothbrush
US10987203B2 (en) Multiple mode dental device
KR200238172Y1 (en) Automatic teethbrush
CN2124686U (en) Magnetic health electric tooth-brush
KR20110014352A (en) Electric toothbrush
CN201171725Y (en) Oscillatory type teeth cleaner
KR200401783Y1 (en) Toothbrush
KR200394926Y1 (en) Electric toothbrush
KR20100121923A (en) Electric motion toothbr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