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116U - 신발용 솔의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신발용 솔의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116U
KR20000018116U KR2019990003938U KR19990003938U KR20000018116U KR 20000018116 U KR20000018116 U KR 20000018116U KR 2019990003938 U KR2019990003938 U KR 2019990003938U KR 19990003938 U KR19990003938 U KR 19990003938U KR 20000018116 U KR20000018116 U KR 200000181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shoe
sole
present
out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9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국
Original Assignee
김남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국 filed Critical 김남국
Priority to KR20199900039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8116U/ko
Publication of KR200000181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116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용 아웃솔(outsole)과 미드솔(midsole) 상간에 적용되는 신발용 솔의 완충장치를 집중 개량한 것이다.
즉 본고안은 통상의 신발용 아웃솔(2)과 미드솔(3) 상간에 전후 요입실 (4,5)과 이들을 상호 연통되게 연결하는 에어통로(6)를 갖도록 에어챔버(7)를 형성한 신발용 솔의 완충장치(1)에 있어서, 상기 요입실(4,5)과 에어통로(6)는 각종 재질로 이루어지는 미드솔(3) 저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미드솔(3)의 요입실(4,5)과 에어통로(6)를 커버링할 수 있는 TPU시트지 또는 합성수지제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시트(8)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본 고안에 의하면 아웃솔이나 미드솔, 보강시트 등의 재질에 구애받지 않고 신발용 솔에 완충장치를 형성할 수 있어 재질선택에 범용성을 제공하며, 캐쥬얼 슈즈, 아웃도어 슈즈 등에 적용할 경우 제품의 경량화에 일조할 수 있고, 요입실(4,5)과 에어통로(6)는 아웃솔(2)에는 형성할 필요없이 미드솔(3) 에만 형성하므로서 제조과정이 보다 간단하여 제품의 양산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 등을 가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신발용 솔의 완충장치{A CUSHION DEVICE FOR SHOES OF SOLE}
본 고안은 신발용 솔(sole)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신발용 미드솔에 적용되는 완충장치를 집중 개량한 것이다.
종래에도 신발용 솔(sole), 즉 아웃솔과 미드솔에는 보행시 신발에 가해지는 충격 등을 완충코자 다양한 완충장치가 적용되고 있다. 그러한 완충장치 중 대표적인 수단이 솔에 각각 에어가 출입할 수 있는 에어챔버를 형성하여 에어가 착지시마다 출입할 수 있도록 하여 완충을 행하거나 또는 폐쇄된 에어챔버를 별도의 튜브체로 형성하여 착지시에 튜브가 신축되면서 완충을 행하도록 한 것 등이 있었다.
그리고 아웃솔에 요입형의 에어챔버를 형성하여 미드솔과 일체로 접착성형하면 에어챔버가 폐쇄형의 에어챔버로 구성되어 완충을 행하도록 한 것 등이 있는바, 이러한 아웃솔과 미드솔 독립형의 완충장치는 제한된 치수내에서 에어챔버의 치수를 증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고, 그로 인한 완충의 효과 역시 제한될 수 밖에 없었으며, 또한 근자에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별도의 독립된 에어챔버를 제작 사용할 시는 이로 인한 신발의 제조원가 앙등의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자는 신발의 미드솔과 아웃솔이 대응하는 연접면부에 대칭형의 요입실을 형성하여 상호 접착시 폐쇄형의 에어챔버가 형성되도록 하고, 요입실 형성으로 인한 솔의 뒤틀림이나 내구성 저하 등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TPU시트지를 미드솔 성형시 인서트몰딩하여 접착구성한 “신발용 솔의 완충장치"를 기히 선출원(출원번호: 1997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17574 호)한 바 있으나, 이러한 본인의 선출원 고안의 경우 미드솔과 아웃솔 양자에 요입실을 형성하여야 하고, 재질선택에 제한을 받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신발용 완충장치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개량형의 신발용 완충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특히 본고안은 재질에 제한을 받지 않고 아웃솔과 미드솔에 각각 에어챔버를 구성할 필요 없이 미드솔에만 에어통로와 요입홈의 에어챔버를 구성토록 하여 신발의 완충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신발의 작업 공정은 대폭 축소할 수 있도록 한 신발용 완충장치를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일부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A-A선 절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신발용 솔의 완충장치 2:아웃솔
3:미드솔 4,5:요입실
6:에어통로 7:에어챔버
8:보강시트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신발용 솔의 완충장치(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결합상태 단면도 등으로서, 통상 고무 또는 여타의 재질(예를 들면 PU, E.V.A, TPR 등)로 구성되는 아웃솔(2)의 상면부에 연접하여 접착되는 EVA 스폰지 또는 여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미드솔(3)의 저면부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요입실(4,5)을 형성하고 상기 요입실(4,5)을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에어통로(6)를 형성하여 에어챔버(7)가 구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요입실(4,5)과 에어통로(6)를 커버링할 수 있는 TPU시트지, 또는 공기가 통하지 않는 일반 연질의 합성수지제 등으로 성형되는 보강시트(8)를 미드솔(3) 성형시 동시에 인서트몰딩으로 접착성형하거나 또는 미드솔(3)성형 후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접착구성토록한 것이다. 미드솔(3) 성형후 보강시트(8)를 접착고정하기 위해서는 보강시트(8)를 사전에 프리몰딩(premolding)하여 두는 것도 바람직한 방법이나 꼭 보강시트(8)를 사전에 성형할 필요없이 미드솔(3) 성형시 동시에 그 형상이 성형되도록 하는 방법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의 신발용 솔 완충장치(1)는 각종 신발의 솔(sole)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이 적용된 신발을 착용 후 보행 등을 하게 되면 보행시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미드솔(3)에 형성된 요입실(4,5)과 에어통로(6)가 형성하는 에어챔버(7)가 신축되면서 완충을 수행하게 되어 보행감 향상과 함께 착용시 안락감을 높일 수 있으며, 발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한 관절의 손상이나 발의 피로도를 대폭 줄일 수 있고, 특히 본 고안에 의하면 신발용 솔의 전체 무게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신발 무게를 경량화시킬 수 있으며, 솔이 높은 일명 "키높이 운동화" 등과 같은 캐쥬얼 슈즈, 아웃도어 슈즈 등에 적용할 경우 그 작용효과가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미드솔(3)의 전후 요입실(4,5)과 에어통로(6)를 커버하는 보강시트(8)는 솔의 뒤틀림이나 중심이탈, 내구성저하 등과 같은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신발용 솔 완충장치의 경우 아웃솔이나 미드솔, 보강시트 등의 재질에 구애받지 않고 신발용 솔에 완충장치를 형성할 수 있어 재질선택에 범용성을 제공하며, 특히 아웃솔의 상면에 요입홈을 구성하지 않고 미드솔 요입홈의 에어챔버만으로도 충분한 쿳션효과를 제공할수 있고 캐쥬얼 슈즈, 아웃도어 슈즈 등에 적용할 경우 제품의 경량화에 일조할 수 있으며, 제조과정이 보다 간단하여 제품의 양산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등 신발용 솔 완충장치로서 기대되는 바가 매우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1)

  1. 통상의 신발용 아웃솔(2)과 미드솔(3) 상간에 전후 요입실(4,5)과 이들을 상호 연통되게 연결하는 에어통로(6)를 갖도록 에어챔버(7)를 형성한 신발용 솔의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요입실(4,5)과 에어통로(6)는 미드솔(3) 저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미드솔(3)의 요입실(4,5)과 에어통로(6)를 커버링할 수 있는 보강시트(8)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솔의 완충장치.
KR2019990003938U 1999-03-12 1999-03-12 신발용 솔의 완충장치 KR2000001811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938U KR20000018116U (ko) 1999-03-12 1999-03-12 신발용 솔의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938U KR20000018116U (ko) 1999-03-12 1999-03-12 신발용 솔의 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116U true KR20000018116U (ko) 2000-10-16

Family

ID=54760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938U KR20000018116U (ko) 1999-03-12 1999-03-12 신발용 솔의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811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26575A (zh) * 2020-05-26 2020-09-29 重庆特斯联智慧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照明的智慧安防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26575A (zh) * 2020-05-26 2020-09-29 重庆特斯联智慧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照明的智慧安防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86607B2 (ja) フットウェア製品用のソール構造体
JP6592069B2 (ja) 中心張力特徴部を有する履物用流体充填チャンバー
US7954259B2 (en) Sole element for a shoe
US6205683B1 (en) Shock diffusing, performance-oriented shoes
US7444767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midsole having higher density peripheral portion
CN111698921B (zh) 用于鞋类物品的鞋底结构
US5625964A (en) Athletic shoe with rearfoot strike zone
US9744734B2 (en) Sole assembly with plural portions that cooperatively define chamber
US6564476B1 (en) Flex sole
US20040163280A1 (en) Foot cushioning construct and system for use in an article of footwear
US20040187350A1 (en) Stable footwear that accommodates shear forces
JPH07143902A (ja) スポーツ用履物
US9743711B2 (en) Sole assembly with plural portions that cooperatively define chamber
US20020166262A1 (en) Flex sole with mesh insert enhancement
US20100186263A1 (en) Structure of shoes uppers, a manufacturing method of shoes and a structure of shoes
US20210186150A1 (en) Article of footwear
KR20000018116U (ko) 신발용 솔의 완충장치
KR200146192Y1 (ko) 신발용 솔의 완충장치
KR200265442Y1 (ko) 완충기능을 갖는 신발중창
CN214759485U (zh) 一种具有减震功能和反弹性能的鞋底
KR101996531B1 (ko) 투명 서라운드 쿠션을 포함하는 신발물품
CN102058204B (zh) 可更换鞋底夹层的功能鞋
CA2398480A1 (en) Flex sole
KR19990003810U (ko) 신발용 이너솔
KR20070000169U (ko) 신발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