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721U - Toothbrush - Google Patents

Toothbru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721U
KR20000017721U KR2019990003298U KR19990003298U KR20000017721U KR 20000017721 U KR20000017721 U KR 20000017721U KR 2019990003298 U KR2019990003298 U KR 2019990003298U KR 19990003298 U KR19990003298 U KR 19990003298U KR 20000017721 U KR20000017721 U KR 200000177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handle
head
toothbrush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29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29426Y1 (en
Inventor
최동원
최장수
Original Assignee
최동원
최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원, 최장수 filed Critical 최동원
Priority to KR20199900032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426Y1/en
Publication of KR200000177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72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4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426Y1/en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칫솔은 후방이 트인 수용공간(22)을 가지며, 측면에는 트인 후방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트인 안내로(24)가 형성되는 손잡이(20)와; 상기 손잡이(20)의 수용공간(22)에 수납되어 치약을 공급하며, 상기 치약이 소모됨에 따라 접혀져 그 용적이 감소되는 벨로우즈로 된 치약저장용기(50)와; 상기 치약저장용기(50)의 후방에서 이 치약저장용기(50)를 가압하는 것으로, 일측에 상기 손잡이(20)의 안내로(24)를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노브(62)가 형성되는 피스톤(60)과; 상기 손잡이(20)의 트인 후방을 폐쇄하는 캡(70)과; 상기 손잡이(20)에 일체로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손잡이(20)의 수용공간(22)과 연통되어 치약을 배출하는 토출구(35)가 형성되는 헤드(30)와; 상기 헤드(30)의 토출구(35)의 주변으로 심어지는 다수의 섬모(40)들과;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토출구(35)를 통하여 상기 헤드(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유입방지 수단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ceiving space (22) open rear, the handle 2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guide path op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rear rear open;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50) made of a bellows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22 of the handle 20 to supply toothpaste, folded as the toothpaste is consumed, the volume of which is reduced; By pressing the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50 from the rear of the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50, a piston (62) protruding outward through the guideway 24 of the handle 20 on one side ( 60); A cap 70 for closing the open rear of the handle 20; A head 30 formed integrally with the handle 20 and having a discharge port 35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space 22 of the handle 20 to discharge toothpaste on one side thereof; A plurality of cilia (40) which are planted around the outlet (35) of the head (30); It is made of a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means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head 30 through the discharge port 35.

Description

칫솔{Toothbrush}Toothbrush

본 고안은 치아(齒牙)를 닦아 주기 위한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치약을 저장하고 있으면서 정량의 치약을 필요에 따라 섬모에 공급하도록 하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for cleaning teeth,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othbrush to supply to the cilia, if necessary, while storing the toothpaste in a fixed amount.

주지하는 바와 같이 칫솔은 사람의 치아를 닦아 잇몸질환과 충치질환의 주원인 물질인 음식물 찌꺼기, 플라그 및 유해 박테리아를 제거하여 주는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칫솔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을 정도의 소정 길이를 갖는 손잡이와, 이 손잡이의 일단에 형성되는 헤드를 갖는다. 그리고 헤드의 일측면에는 치아를 닦아 주는 부드러운 섬모(纖毛)들이 심어져 있으며, 이 섬모들은 대개의 경우 나일론(nylon)을 소재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다.As is well known, toothbrushes are used as a tool to clean human teeth to remove food waste, plaque and harmful bacteria, which are the main causes of gum disease and tooth decay disease. This toothbrush has a handl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enough to be grasped by a user, and a head formed at one end of the handle. In addition, one side of the head is planted with soft cilia to clean the teeth, which are usually made of thin and long nylon.

한편, 상기와 같은 칫솔을 사용하여 칫솔질을 할 때에는 보통 치약을 함께사용하는데, 이러한 치약은 보통 신축변형이 가능한 튜브체 내에 저장되어 필요한 만큼 짜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불소와 연마제 등과 같은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구강내의 유해 박테리아 및 치아의 플라그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brushing with a toothbrush as described above, toothpaste is usually used together, such toothpaste is usually stored in a tube that can be stretched and deformed so that it can be squeezed out as needed, and constituents such as fluorine and abrasives It facilitates plaque removal of harmful bacteria and teeth in the oral cavity.

따라서, 이러한 칫솔과 치약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칫솔의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헤드의 섬모에 소정량의 치약을 짜서 묻힌 후, 손잡이에 적당한 힘을 가해 치아에 섬모들을 접촉 및 마찰시키며 치아의 표면에 낀 플라그 및 음식물 찌꺼기를 닦아주는 것이다.Therefore, by using the toothbrush and toothpaste, the user squeezes a predetermined amount of toothpaste onto the cilia of the head while holding the handle of the toothbrush, and then applies an appropriate force to the handle to contact and rub the cilia on the teeth an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Wipe off any plaque and food debris.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칫솔은 별도의 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치약을 짜서 섬모에 묻힌 다음, 칫솔질을 해야되므로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특히, 여행이나 출장시 칫솔과 치약을 각각 별도로 구비하여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toothbrush has a very cumbersome drawback because the toothpaste is stored in a separate container and buried in the cilia and then brushed. In particular, the travel or business trip had a inconvenience to be equipped with a toothbrush and toothpaste separately.

또한, 일반적으로 치약은 치아를 충분히 청소할 수 있을 정도의 최소량 만큼만 사용함이 바람직한 바, 종래에는 사용자가 임의로 튜브체에 저장되어 있는 치약을 짜서 사용하므로 치아 청소에 적당한 정량의 치약을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결국, 치약 소비의 증가를 가져와 소비자에게 경제적 손실을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In addition, it is generally desirable to use only the minimum amount of toothpaste enough to sufficiently clean the teeth. In the conventional art, the user may use a toothpaste that is arbitrarily stored in a tube body. there was. This problem, in turn, has led to an increase in toothpaste consumption, resulting in economic losses to consumers.

한편,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섬모에 치약을 공급하는 기능을 일체로 갖는 칫솔이 다수 제안된 바 있다. 그 일례로서, 미국특허 제 5,584,593호 및 제 5,039,244호에서는 칫솔의 손잡이에 치약을 저장하면서 노브에 의해 그 용적이 증,감하는 중공부를 형성하고, 칫솔의 헤드에는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면서 헤드에 심어져 있는 섬모 사이로 토출구가 노출되는 연통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노브를 이동시키거나 회전하는 것에 의해 토출구로부터 치약이 배출되도록 하는 칫솔을 제안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number of toothbrushes having a function of supplying toothpaste to the cilia have been proposed. As an example, US Pat. Nos. 5,584,593 and 5,039,244 form a hollow portion in which the volume is increased and decreased by a knob while storing the toothpaste in the handle of the toothbrush, and the head of the toothbrush is planted in the head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portion. A toothbrush has been proposed to form a communication hole through which the discharge port is exposed between the cilia, which allow the toothpaste to b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by moving or rotating the knob.

한편, 이와 같은 미국특허의 칫솔은 별도의 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치약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종래에 비해 매우 큰 장점을 갖고 있으나,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조립이 매우 까다로워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제작비용을 상승시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를 노출시켰다. 즉, 상기 중공부의 치약을 소정압력으로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중공부에 스플라인을 설치하고, 이 스플라인에는 상기 스플라인을 따라 이동하면서 치약을 가압하는 피스톤을 설치하며, 헤드와 중공부를 잇는 연통구멍에는 이 연통구멍을 개폐하는 차단밸브가 설치되는 등 그 구성부품이 많고 복잡하여 조립이 까다로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제품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제작비용을 상승시키는 중대한 원인으로 작용하였던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oothbrush of the US patent has a great advantag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in that it does not have to have a toothpaste stored in a separate container, but its configuration is very complicated, assembly is very difficult to reduce productivity, It exposed various problems such as raising the manufacturing cost. That is, in order to discharge the toothpaste of the hollow part at a predetermined pressure, a spline is first installed in the hollow part, and a piston for pressing the toothpaste while moving along the spline is provided in the spline, and a communication hole connecting the head and the hollow part is provided. There are many components, such as a shut-off valve that opens and closes the communication hole, and complicated assembly was a problem. This problem was to act as a significant cause to lower the productivity of the product, and to increase the production cost.

그리고 상술한 칫솔의 가장 큰 문제점은 상기 헤드의 토출구로부터 치약이 계속해서 스며나와 치아 청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치약 및 이물질이 역류하여 중공부에 저장된 치약을 오염시키거나 딱딱하게 경화시키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켰다.In addition, the biggest problem of the toothbrush described above is that toothpaste continues to bleed out from the outlet of the head and the tooth cleaning is not performed properly, and in particular, the toothpaste and foreign matter flows backward through the outlet to contaminate the toothpaste stored in the hollow part. Problems such as hardening occurred.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치약을 칫솔에 저장하고 있으면서 정량의 치약을 필요에 따라 칫솔에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치약용기를 휴대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줌은 물론 사용자의 편의를 최대한 증대시키기 위한 칫솔을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of which is to store the toothpaste in the toothbrush while supplying the toothpaste of the quantitative to the toothbrush as needed, the need to carry a separate toothpaste container It is to provide a toothbrush to reduce the inconvenience and to maximize the user's convenienc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치약공급기능을 일체로 갖는 칫솔의 구성을 보다 단순화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조립시간을 단축시키는 등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thbrush that can simplify the configuration of the toothbrush having a toothpaste supply function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as well as to improve productivity, such as shortening the assembly tim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칫솔의 섬모에 필요한 만큼의 치약만 알맞게 공급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함과 아울러 칫솔의 헤드로 배출된 치약이 다시 배출구를 통하여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저장되어 있는 치약이 오염되거나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칫솔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thbrush that can adequately supply as much toothpaste as necessary for the cilia of the toothbrush and to prevent the toothpaste discharged from the head of the toothbrush from flowing back through the outlet to contaminate or harden the stored toothpaste. It is to provide a toothbrush to prevent tha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Figure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FIG.

도 3은 도 2의 작동도,3 is an operation of FIG.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일실시예의 헤드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Figure 4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head of one embodiment of a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4,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이물질 유입방지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헤드의 정면도,Figure 6 is a front view of the head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means of the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과 도 8은 도 6의 B-B선 단면도 및 작동도,7 and 8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operation of the B-B line of FIG.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과 도 11은 도 9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및 그 작동도이다.10 and 11 a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coupled state of Figure 9 and its operation diagram.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칫솔 20,110: 손잡이10: toothbrush 20,110: handle

22,112: 수용공간 24: 안내로22,112: Accommodating space 24: Guide

24a: 멈춤홈 30,120: 헤드24a: set groove 30,120: head

32: 압력실 36: 실링막32: pressure chamber 36: sealing film

36a: 절개부 40,130: 섬모36a: incision 40,130: cilia

50,140: 치약저장용기 60,150: 피스톤50,140: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60,150: piston

62: 노브 64: 작동홈62: Knob 64: Operating Groove

65: 스토퍼 70: 캡65: stopper 70: cap

160: 이송축 162: 노브160: feed axis 162: knob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특징은 후방이 트인 수용공간을 가지며, 측면에는 트인 후방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트인 안내로가 형성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수용공간에 수납되어 치약을 공급하며, 상기 치약이 소모됨에 따라 접혀져 그 용적이 감소되는 벨로우즈로 된 치약저장용기와; 상기 치약저장용기의 후방에서 이 치약저장용기를 가압하는 것으로, 일측에 상기 손잡이의 안내로를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노브가 형성되는 피스톤과; 상기 손잡이의 트인 후방을 폐쇄하는 캡과; 상기 손잡이에 일체로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손잡이의 수용공간과 연통되어 치약을 배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토출구의 주변으로 심어지는 다수의 섬모들과;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상기 헤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유입방지 수단으로 이루어진다.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is object has a rear open receiving space, the side of the handl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opening from the rear rear open; A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made of bellows which is stor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handle to supply toothpaste and is folded as the toothpaste is consumed and its volume is reduced; A piston which presses the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from the rear of the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and a knob protruding outward through the guide path of the handle on one side; A cap for closing the open rear of the handle; A head which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andle and has a discharge hol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receiving space of the handle and discharge toothpaste on one side thereof; A plurality of cilia planted around the discharge port of the head; It is made of a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means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head through the discharge port.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후방이 트인 수용공간을 갖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수용공간에 수납되어 치약을 공급하며, 상기 치약이 소모됨에 따라 접혀져 그 용적이 감소되는 벨로우즈로 된 치약저장용기와; 상기 치약저장용기의 후방에서 이 치약저장용기를 가압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되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피스톤을 이동시키는 이송축과; 상기 이송축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의 트인 후방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송축을 회전시키는 노브와; 상기 손잡이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손잡이의 수용공간과 연통되어 치약을 배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토출구의 주변으로 심어지는 다수의 섬모들과;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상기 헤드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유입방지 수단으로 이루어진다.A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having a rear receiving space; A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made of bellows which is stor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handle to supply toothpaste and is folded as the toothpaste is consumed and its volume is reduced; A piston for pressurizing the toothpaste reservoir from the rear of the toothpaste reservoir; A feed shaft for moving the piston by screwing and rotating to penetrate the piston; A knob integrally formed at one end of the feed shaft and rotatably installed at an open rear of the handle to rotate the feed shaft; A head integrally formed at one end of the handle, and at one side thereof, a discharge hol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n accommodation space of the handle to discharge toothpaste; A plurality of cilia planted around the discharge port of the head; It is made of a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means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head through the discharge port.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작동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일실시예의 헤드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칫솔(10)은 크게 수용공간(22)을 갖는 손잡이(20)와, 손잡이(20)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30)와, 상기 헤드(30)의 일측면에 식모되는 섬모(40)들과, 치약을 저장하는 치약저장용기(50)와, 치약저장용기(50)를 가압하는 피스톤(60)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Figure 1, Figure 3 is an operation of FIG. In addi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head of an embodiment of the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According to this, the toothbrush 10 is largely implanted into the handle 20 having a receiving space 22, the head 30 integrally formed on one end of the handle 20, and one side of the head 30 It can be seen that the cilia 40, the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50 for storing the toothpaste, and the piston 60 for pressing the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50.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칫솔(10)의 손잡이(20)는 사용자가 손으로 편리하게 잡을 수 있도록 비교적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후방이 트인 수용공간(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공간(22)은 통로(20a)에 의해 헤드(30)와 연통되며, 통로(20a)의 일단은 헤드(30)에 심어져 있는 섬모(40) 사이로 그 토출구(35)가 형성된다. 그리고 손잡이(20)의 측면에는 트인 후방으로부터 소정깊이 만큼 트인 안내로(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내로(24)의 일측면에는 다수의 멈춤홈(24a)들이 연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내로(24)의 일측에는 눈금(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피스톤(60)의 이동거리를 정확히 측정하여 정량의 치약을 헤드(30)로 공급하기 위함이다.Looking at this in detail, the handle 20 of the toothbrush 10 is formed relatively long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hold by hand, there is a receiving space 22 is formed inside the rear. The accommodation space 22 communicates with the head 30 by the passage 20a, and one end of the passage 20a is formed between the cilia 40 planted in the head 30. And the side of the handle 20 is formed with a guide path 24 that is open by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rear of the opening, the one side of the guide path 24 is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stop grooves (24a) are connected in series. In addition, the scale 25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path 24, which is to supply the quantitative toothpaste to the head 30 by accurately measur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piston (60).

한편, 손잡이(20)의 수용공간(22)에는 치약을 저장하는 치약저장용기(50)와, 이 치약저장용기(50)를 가압하는 피스톤(60)이 트인 후방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삽입되며, 최종적으로 트인 후방에는 캡(70)이 씌워진다.On the other hand, in the receiving space 22 of the handle 20, the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50 for storing the toothpaste, and the piston 60 for pressing the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50 is sequentially inserted from the rear open, finally A cap 70 is covered behind the opening.

치약저장용기(50)는 도 1에서와 같이 치약이 소모됨에 따라 접혀져 그 용적이 감소되고 신축변형이 가능한 벨로우즈로 구성되며, 일측에는 치약을 배출하는 배출구(5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출구(52)는 상기 치약저장용기(50)를 수용공간(22)에 삽입하였을 때, 통로(20a)에 소정깊이로 끼워져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치약저장용기(50)는 일회용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배출구(52)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치약을 공급받아 영구히 사용할 수도 있다.Toothpaste storage container 50 is folded as the toothpaste is consumed as shown in Figure 1 is reduced in volume and consists of a bellows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one side is formed with an outlet 52 for discharging the toothpaste. The outlet 52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being inserted into the passage 20a at a predetermined depth when the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50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22. On the other hand, the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50 may be formed in a single-use, it may be permanently used to receive toothpaste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52).

그리고 피스톤(60)은 치약저장용기(50)의 후방에서 상기 치약저장용기(50)를 가압하는 것으로, 그 용적을 감소시켜 치약을 소정의 압력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피스톤(60)은 일측에 노브(62)를 갖는다. 이 노브(62)는 상기 피스톤(60)을 수용공간(22)에 삽입하였을 때, 안내로(24)를 통하여 외면으로 돌출되면서 이 안내로(24)를 따라 좌,우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피스톤(60)을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 역할을 한다.And the piston 60 is to press the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50 in the rear of the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50, and serves to discharge the toothpaste to a predetermined pressure by reducing its volume. This piston 60 has a knob 62 on one side. The knob 62 is configured to move left and right along the guide path 24 while protruding to the outer surface through the guide path 24 when the piston 60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22. It serves as a handle that allows the user to move the piston (60).

아울러 노브(62)에는 상기 피스톤(60)을 소정의 위치에서 멈출 수 있도록 하는 피스톤 정지수단이 설치된다. 즉, 노브(62)의 일측면에는 작동홈(6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작동홈(64)에는 스토퍼(65)가 끼워진다. 스토퍼(65)는 소정각도로 굽어져 있으면서 탄성력을 갖는 판스프링이며, 상기 작동홈(64)에 출몰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스토퍼(65)는 피스톤(60)이 수용공간(22)에 삽입되고, 노브(62)가 안내로(24)를 따라 이동할 때, 작동홈(64)에서 출몰하면서 안내로(24)의 멈춤홈(24a)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상기 노브(62)가 소정의 위치에서 멈추었을 때에 안내로(24)의 멈춤홈(24a)에 삽입되어 피스톤(6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knob 62 is provided with a piston stop means for stopping the piston 6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at is, an operation groove 6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knob 62, and the stopper 65 is fitted into the operation groove 64. The stopper 65 is a leaf spring having an elastic force while being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installed in the actuating groove 64. The stopper 65 is stopped when the piston 6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22, and the knob 62 moves along the guide path 24 while releasing from the operating groove 64. It slides along the groove 24a and is inserted into the stop groove 24a of the guide path 24 when the knob 62 is stopp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piston 60.

한편, 사용자가 피스톤(60)을 이동시키고자 소정의 힘을 가하여 노브(62)를 손잡이(20)의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스토퍼(65)는 안내로(24)를 따라 작동홈(64)으로부터 출몰을 반복하며 전, 후방으로 이동하여 피스톤(60)의 이동을 허용하는 것이다. 한편, 개방된 손잡이(20)의 후방은 캡(70)을 씌워 피스톤(60)의 이탈을 막도록 구성하였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applies the predetermined force to move the piston 60 to move the knob 62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handle 20, the stopper 65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o guide the path 24 According to repeating the haunting from the working groove 64 to move forward, backward to allow the movement of the piston (60). On the other hand, the rear of the open handle 20 is configured to cover the cap 70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piston (60).

한편, 손잡이(20)의 일단에 형성된 헤드(30)는 수지, 예를 들어 에이비에스 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Resin)를 소재로 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것으로, 일측면에는 다수의 식모공(3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식모공(31)들에는 섬모(40)들이 식모된다. 섬모(40)는 나일론 소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치아와 잇몸이 손상되지 않고, 치아간의 틈새를 깨끗하게 닦을 수 있도록 부드럽고 가늘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30)의 타측에는 상기 손잡이(20)의 통로(20a)와 이어지는 압력실(32)이 형성되도록 커버(33)가 설치되며, 이 압력실(32)로부터 외측으로 즉, 섬모(50)들 사이로는 토출구(35)가 형성된다. 이 토출구(35)는 손잡이(20)의 통로(20a)와 헤드(30)의 압력실(32)을 지난 치약의 최종 배출구가 된다. 이러한 토출구(35)는 도 4에서와 같이 치약이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헤드(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head 30 formed on one end of the handle 20 is made of a resin, for example, ABS resin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Resin) by molding the material, a plurality of follicles 31 on one side Is formed, cilia (40) are planted in these hair follicles (31). The cilia 40 are made of a nylon material, so that teeth and gums are not damaged, and are smooth and thin so as to clean the gaps between the teeth. 4 and 5, the cover 33 is installed at the other side of the head 30 so that the pressure chamber 32 connected to the passage 20a of the handle 20 is formed. Outward from the 32, that is, the discharge port 35 is formed between the cilia (50). This discharge port 35 becomes the final discharge port of the toothpaste which passed the passage 20a of the handle 20 and the pressure chamber 32 of the head 30. The discharge port 35 is preferably form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30 so that the toothpaste is naturally discharged as shown in FIG.

한편, 헤드(30)의 압력실(32)에는 토출구(35)로 배출된 치약이 역류하여 압력실(3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유입방지 수단이 설치된다. 이 이물질 유입방지 수단은 헤드(30)의 압력실(32)의 일측 즉, 토출구(35)가 형성된 측벽을 덮는 실링막(36)을 갖는다. 이 실링막(36)은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러버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토출구(35)를 따라 형성되는 절개부(36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개부(36a)는 치약의 배출통로이며,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끝부분이 토출구(35)를 향하여 항상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말단으로 갈수록 얇게 구성된다. 이는 치약의 배출은 쉽게하고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역류는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치약은 손잡이(20)의 통로(20a)와 압력실(32)을 지나 실링막(36)을 통과하며, 최종적으로 토출구(3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실링막(36)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역류가 방지되어 치약의 오염이나 경화를 방지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sure chamber 32 of the head 30 is provided with a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means for preventing the toothpast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35 flows back into the pressure chamber 32.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ng means has a sealing film 36 covering one side of the pressure chamber 32 of the head 30, that is, the side wall on which the discharge port 35 is formed. The sealing film 36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and is formed with a cutout portion 36a formed along the discharge port 35. The cutout 36a is a discharge passage of the toothpaste, and as shown in FIG. 5, the end portion thereof is always abutted toward the discharge port 35, and is thinner toward the end. This is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toothpaste and to prevent the backflow of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side. Accordingly, the toothpaste passes through the passage 20a and the pressure chamber 32 of the handle 20 and passes through the sealing film 36, and is fin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35. At this time, the foreign matter backflow from the outside is prevented by the sealing film 36 to prevent contamination or curing of the toothpaste.

한편, 도 6내지 도 8에는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 수단의 다른 실시예 및 그 작동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다른 실시예의 이물질 유입방지 수단은 상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토출구(35)가 원추형 구멍 형상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실링막(36)을 대신하여 커버(38)가 상기 원추형 구멍 형상의 토출구(35)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함을 알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헤드(30)의 일측에는 원추형 구멍 형상의 토출구(35)가 형성되며, 헤드(30)의 타측에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커버(38)가 압력실(32)이 형성되도록 설치된다. 토출구(35)는 외측으로 갈수록 좁도록 구성되며, 커버(38)의 일측에는 상기 토출구(35)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다수의 핑거(38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핑거(38a)의 끝부분은 원추형 구멍 형상의 토출구(35)에 밀착되도록 원추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핑거(38a)가 토출구(35)의 끼워져 밀착되었을 때, 그 끝부분이 상기 토출구(35)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토출구(35) 주위에 존재하는 치약을 완전히 밀어내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to Figure 8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means and its operation diagram. Accordingly, in the foreign material inflow preventing means of another embodiment,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35 are formed in a conical hole shape, and the cover 38 replaces the sealing film 36 with the conical hole shape. It can be seen that the discharge port 35 is selectively opened or closed. Looking at this in detail, the discharge port 35 of the conical hole shap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ead 30, the cover 38 which is elastically deformable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head 30 so that the pressure chamber 32 is formed. The discharge port 35 is configured to be narrower toward the outside, and a plurality of fingers 38a for opening or closing the discharge hole 35 are protruded on one side of the cover 38. The tip of the finger 38a is conical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discharge hole 35 in the shape of a conical hole. And when the finger 38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ischarge port 35, the end thereof is configur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discharge port 35. This is for completely pushing out the toothpaste which exists around the discharge opening 35.

한편, 이러한 구성에 의해 치약이 손잡이(20)의 통로(20a)를 통과하여 압력실(32)로 유입되면, 도 7에서와 같이 치약의 배출압력에 의해 커버(38)는 외부로 부풀면서 변형되어 압력실(32)의 용적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때, 커버(38)의 핑거(38a)는 헤드(30)의 토출구(35)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토출구(35)를 개방하게 되며, 토출구(35)와 핑거(38a)의 사이에는 치약이 유입되어 충전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커버(38)에 외력을 가하면, 도 8에서와 같이 커버(38)는 압축되며, 압력실(32)의 용적은 감소된다. 이때, 핑거(38a)는 상기 토출구(35)와 핑거(38a)사이에 충전되어 있던 치약을 가압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며, 결국, 핑거(38a)는 토출구(35)에 밀착되어 이 토출구(35)를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oothpaste is introduced into the pressure chamber 32 through the passage (20a) of the handle 20 by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ure 7 by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toothpaste cover 38 is deformed while blowing out This increases the volume of the pressure chamber 32. At this time, the finger 38a of the cover 38 is spaced apart from the discharge hole 35 of the head 3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open the discharge hole 35, and the toothpaste between the discharge hole 35 and the finger 38a. Is introduced and charge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ver 38 in this state, the cover 38 is compressed as shown in FIG. 8 and the volume of the pressure chamber 32 is reduced. At this time, the finger 38a presses the toothpaste filled between the discharge hole 35 and the finger 38a to discharge it to the outside, and finally, the finger 38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ischarge hole 35 and discharges the discharge hole 35. ) Will be closed.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칫솔의 일실시예의 작동 및 효과를 도 2와 도 3을 참고로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에 따르면, 도 2는 칫솔의 사용전의 상태로서, 칫솔(10)의 손잡이(20)에는 내부에 치약이 충만한 치약저장용기(50)와 피스톤(60)이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트인 후방에는 캡(70)이 결합된 상태이다.Next,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one embodiment of the toothbrush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According to this, Figure 2 is a state before the use of the toothbrush, the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50 and the piston 60 filled with toothpaste inside the toothbrush 10 of the toothbrush 10 is sequentially inserted, the rear cap (open) 70) is combined.

이러한 상태에서 칫솔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칫솔의 손잡이(20)를 파지한 상태에서 피스톤(60)의 노브(62)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노브(62)와 일체로 형성된 피스톤(60)은 손잡이(20)의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치약저장용기(50)를 가압하게 되며, 치약저장용기(50)는 그 용적이 감소되면서 치약을 통로(20a)로 배출한다. 그리고 통로(20a)를 통과한 치약은 헤드(30)의 압력실(32)로 유입되면서 동시에 토출구(3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치약은 치약 역류 방지수단의 실링막(36) 또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커버(38)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소정의 위치에서 노브(62)를 놓으면, 노브(62)의 스토퍼(65)는 작동홈(64)에서 탄성변형되면서 안내로(24)의 멈춤홈(24a)에 삽입되고, 이에 의해 피스톤(60)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When the toothbrush is to be used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3, the user moves the knob 62 of the piston 60 to the front while the user grips the handle 20 of the toothbrush. Then, the piston (60) formed integrally with the knob (62) presses the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50) while moving forward of the handle (20), and the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50) reduces the volume of the toothpaste passage ( Discharge to 20a). The toothpaste passing through the passage 20a is introduced into the pressure chamber 32 of the head 30 and simultaneous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35. At this time, the toothpaste is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side by the sealing film 36 of the toothpaste backflow prevention means or the cover 38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Then, when the user releases the knob 62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the stopper 65 of the knob 62 is inserted into the stop groove 24a of the guideway 24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in the operating groove 64, As a result, the piston 60 is kept in a stopped state.

한편, 사용자는 상기 노브(62)의 이동거리를 정확히 조절함으로써, 치아 청소에 필요한 정량의 치약을 헤드(30)의 섬모(40)에 알맞게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손잡이(20)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로(24)의 일측에는 눈금(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눈금(25)을 기준으로하여 노브(62)의 이동거리를 정확히 측정함으로써, 헤드(30)의 섬모(40)에 공급되는 치약의 양을 매번 정확히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by precisely adjust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knob 62, the user can supply the quantitative toothpaste necessary for cleaning the tooth to the cilia 40 of the head 30. That is, the scale 25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guide path 24 formed in the handle 20, and by accurately measur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knob 62 on the basis of the scale 25, the head ( The amount of toothpaste supplied to the cilia 40 of 30) can be adjusted accurately every time.

다음으로, 도 9내지 도 1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10과 도 11은 도 9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및 그 작동도이다. 이에 따르면, 다른 실시예의 칫솔(100)은 크게 수용공간(112)을 갖는 손잡이(110)와, 손잡이(110)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120)와, 상기 헤드(120)의 일측면에 식모되는 섬모(130)들과, 치약을 저장하는 치약저장용기(140) 및 치약저장용기(140)를 가압하는 피스톤(150)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더불어 상기 손잡이(110)에는 피스톤(150)을 이동시키는 이송축(160) 및 이송축(160)을 회전시키는 노브(162)가 포함되어 설치됨을 알 수 있다.Next, FIGS. 9 to 11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s follows. First, Figure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and Figure 1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Figure 9 and its operation. According to this, the toothbrush 100 of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handle 110 having a large accommodation space 112, a head 120 integrally formed at one end of the handle 110, and one side surface of the head 120. It can be seen that it consists of a cilia 130 to be planted in the,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140 for storing the toothpaste and a piston 150 for pressing the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140, and in addition to the handle 110 It can be seen that the feed shaft 160 for moving the 150 and the knob 162 for rotating the feed shaft 160 are included and installed.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칫솔(100)의 손잡이(20)는 사용자가 손으로 편리하게 잡을 수 있도록 비교적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후방이 트인 수용공간(1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공간(112)은 통로(110a)에 의해 헤드(120)와 연통되며, 통로(110a)의 일단은 헤드(120)에 심어져 있는 섬모(130)들 사이로 그 토출구(125)가 형성된다.Looking at this in detail, the handle 20 of the toothbrush 100 is formed relatively long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hold by hand, there is a receiving space 112 is formed inside the rear. The accommodation space 112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head 120 by the passage (110a), one end of the passage (110a) the discharge port 125 is formed between the cilia 130 are planted in the head 120 .

그리고 수용공간(112)의 내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깊이로 안내홈(1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110)의 일단 즉, 트인 후방의 외면둘레에는 눈금(116)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노브(162)의 회전수 및 회전각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스톤(150)의 이동거리를 정확히 측정하여 정량의 치약을 헤드(120)로 공급하기 위함이다.And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112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114 in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cale 116 is formed on one end of the handle 110, that i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 rear. This is to supply the quantitative toothpaste to the head 120 by accurately measur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piston 150 by allowing the rotation speed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knob 162 to be recognized.

한편, 손잡이(110)의 수용공간(112)에는 치약을 저장하는 치약저장용기(140)와, 이 치약저장용기(140)를 가압하는 피스톤(150) 및 노브(162)를 일체로 갖는 이송축(160)이 차례로 삽입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receiving space 112 of the handle 110, the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140 for storing the toothpaste, the feed shaft having a piston 150 and the knob 162 for pressing the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140 integrally. 160 is inserted one after the other.

치약저장용기(140)는 도 9에서와 같이 치약이 소모됨에 따라 접혀져 그 용적이 감소되고 신축변형이 가능한 벨로우즈로 구성되는 것으로, 중앙에는 삽입홈(142)이 길이방향으로 소정깊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치약을 배출하는 배출구(14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출구(144)는 상기 치약저장용기(140)를 수용공간(112)에 삽입하였을 때, 통로(110a)에 소정깊이로 끼워져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치약저장용기(140)는 일회용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배출구(114)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치약을 공급받아 영구히 사용할 수도 있다.Toothpaste storage container 140 is folded as the toothpaste is consumed as shown in Figure 9 is reduced in volume and is composed of a bellows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in the center the insertion groove 142 is formed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e side The discharge port 144 for discharging the toothpaste is formed. The outlet 144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being inserted into the passage (110a) to a predetermined depth when the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14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112). On the other hand, the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140 may be formed in a single-use, it may be permanently used to receive toothpaste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114.

그리고 피스톤(150)은 치약저장용기(140)의 후방에서 상기 치약저장용기(140)를 가압하는 것으로, 그 용적을 감소시켜 치약을 소정의 압력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피스톤(150)의 일측에는 상기 수용공간(112)의 안내홈(114)에 끼워져 슬라이딩하는 안내돌기(15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돌기(152)는 수용공간(112)에서 피스톤(15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수용공간(112)을 따라 자연스러럽게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피스톤(150)의 중앙에 안내 구멍(15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내구멍(154)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 구멍(152)에는 후술하는 이송축(160)이 나사결합되며, 이 이송축(160)이 회전에 의해 피스톤(150)은 수용공간(112)에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iston 150 pressurizes the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140 at the rear of the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140, and serves to discharge the toothpaste at a predetermined pressure by reducing its volume. One side of the piston 150 is formed with a guide protrusion 152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14 of the receiving space 112 to slide. The guide protrusion 152 prevents the piston 150 from rotating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2 and helps to naturally move left and right along the accommodation space 112. In addition, a guide hole 154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iston 150, and an internal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hole 154. The feed shaft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screwed to the guide hole 152, and the piston 150 can move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2 by the rotation of the feed shaft 160.

한편, 이송축(160)은 상기 피스톤(150)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피스톤(150)의 안내구멍(154)과 나사결합되도록 외면 둘레에는 숫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노브(16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브(162)는 외부에서 상기 이송축(16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 역할을 함과 동시에 손잡이(110)의 수용공간(112)을 폐쇄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이송축(160)은 손잡이(110)의 트인 후방으로부터 끼워져 피스톤(150)의 안내구멍(154)과 나사결합하고, 치약저장용기(140)의 삽입홈(142)에 끼워져 수용공간(112)을 따라 뻗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eed shaft 160 to move the piston 150 to the left, right, a male thread is formed around the outer surface to be screwed with the guide hole 154 of the piston 150, the knob 162 on one side Is formed. The knob 162 serves as a handle to rotate the feed shaft 160 from the outside and also closes the receiving space 112 of the handle 110. The feed shaft 160 is fitted from the open rear of the handle 110 and screwed with the guide hole 154 of the piston 150, a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42 of the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140 to accommodate the receiving space 112 Stretched along.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노브(162)를 회전시키게 되면, 이송축(160)도 회전되고, 이송축(160)이 회전됨에 따라 피스톤(150)이 이동되어 치약저장용기(140)를 소정압력으로 가압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knob 162 is rotated by such a configuration, the feed shaft 160 is also rotated, and the piston 150 is moved as the feed shaft 160 is rotated to move the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140 to a predetermined pressure. To pressurize.

한편, 통로(110a)에 의해 이어진 손잡이(110)와 헤드(120)의 결합구조 및 헤드(120)와 토출구(125)와의 결합구조는 앞서 설명한 칫솔의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handle 110 and the head 120 connected by the passage (110a) and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head 120 and the discharge port 125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of the toothbrush described above, so a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Let's do it.

끝으로, 도 10과 도 11을 참고로하여 상술한 칫솔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따르면, 도 10은 칫솔의 사용전의 상태로서, 칫솔(100)의 손잡이(110)에는 내부에 치약이 충만한 치약저장용기(140)와 피스톤(150)과 이송축(160)이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트인 후방에는 이송축(160)과 일체로 된 노브(16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다.Finally, with reference to Figures 10 and 11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toothbrush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Figure 10 is a state before the use of the toothbrush, the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140, the piston 150 and the feed shaft 160 is filled in the handle 110 of the toothbrush 100 is filled with toothpaste sequentially In the open position, the knob 162 integrated with the feed shaft 160 is rotatably coupled.

이러한 상태에서 칫솔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도 11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칫솔(100)을 파지한 상태에서 노브(162)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노브(162)와 일체로 형성된 이송축(160)이 회전하게되고, 이 이송축(160)이 회전됨에 따라 피스톤(150)도 이동되어 치약저장용기(140)를 소정압력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치약저장용기(140)는 그 용적이 감소되면서 치약을 통로(110a)로 배출한다. 그리고 통로(110a)를 통과한 치약은 헤드(120)로 유입되면서 소정의 압력으로 동시에 토출구(35)(37)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치약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치약 역류 방지수단에 의해 역류가 방지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소정의 위치에서 노브(162)를 놓으면, 노브(162)는 회전을 멈추게 되고, 동시에 이송축(160)도 회전을 멈추게 되어 피스톤(150)의 가압작용은 정지하는 것이다.To use the toothbrush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11, the user rotates the knob 162 while holding the toothbrush 100. Then, the feed shaft 160 integrally formed with the knob 162 is rotated. As the feed shaft 160 is rotated, the piston 150 is also moved to press the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140 to a predetermined pressure. Therefore, the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140 discharges the toothpaste into the passage 110a while the volume thereof is reduced. And the toothpaste passing through the passage (110a) is introduced into the head 1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35, 37 at the same time at a predetermined pressure. At this time, the toothpaste is to prevent backflow by the toothpaste backflow prevention means as described above. Then, when the user releases the knob 162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knob 162 stops rotating, and at the same time, the feed shaft 160 also stops rotating, thereby stopping the pressing action of the piston 150.

한편, 사용자는 상기 노브(162)의 회전수 및 회전각도를 정확히 조절함으로써, 치아 청소에 필요한 정량의 치약을 헤드(120)의 섬모(130)에 알맞게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손잡이(110)의 둘레에는 눈금(1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눈금(116)을 기준으로하여 노브(162)의 회전수 및 회전각도를 정확히 측정함으로써, 헤드(120)의 섬모(130)에 공급되는 치약의 양을 매번 정확히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by accurately adjusting the rotational speed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knob 162, the user can supply the amount of toothpaste necessary for cleaning teeth to the cilia 130 of the head 120 appropriately. That is, a scale 116 is formed around the handle 110, and the cilia 130 of the head 120 are accurately measured by accurately measuring the rotation speed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knob 162 based on the scale 116. ), The amount of toothpaste supplied can be adjusted accurately every time.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별도의 치약용기를 휴대하지 않아도 됨은 물론 정량의 치약을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섬모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치아청소를 최대한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by this configuration, the user does not have to carry a separate toothpaste container as well as can easily and conveniently supply quantitative toothpaste to the cilia, so that the tooth cleaning can be made as simple as possible.

한편, 상기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은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 embodiments are merely to describe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For example, the shape and structure of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은 별도의 치약용기를 구비 및 휴대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칫솔의 섬모에 치약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최대한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upply toothpaste to the cilia of the toothbrush without having and carrying a separate toothpaste container,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또한, 정량의 치약을 필요에 따라 칫솔에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경제적 손실을 덜어주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by supplying the toothbrush in a quantitative amount as needed,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economic loss.

또한, 치약공급기능을 일체로 갖는 칫솔의 구성을 종래보다 단순화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조립시간을 단축시키는 등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oothbrush having a toothpaste supply function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productivity, such as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shorten the assembly time.

또한, 정량의 치약만 알맞게 공급할 수 있으면서도 외부의 이물질이 토출구를 통하여 압력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저장되어 있는 치약이 오염과 경화를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while only the toothpaste can be properly supplied,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pressure chamber through the discharge port, so that the stored toothpaste has an effect of preventing contamination and curing in advance.

Claims (8)

후방이 트인 수용공간(22)을 가지며, 측면에는 트인 후방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트인 안내로(24)가 형성되는 손잡이(20)와;A handle 20 having a rear receiving space 22, the side of which is formed with a guide path 24 that is op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rear of the open portion; 상기 손잡이(20)의 수용공간(22)에 수납되어 치약을 공급하며, 상기 치약이 소모됨에 따라 접혀져 그 용적이 감소되는 벨로우즈로 된 치약저장용기(50)와;Toothpaste storage container (50) made of a bellows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22 of the handle 20 to supply toothpaste, folded as the toothpaste is consumed, the volume of which is reduced; 상기 치약저장용기(50)의 후방에서 이 치약저장용기(50)를 가압하는 것으로, 일측에 상기 손잡이(20)의 안내로(24)를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노브(62)가 형성되는 피스톤(60)과;By pressing the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50 from the rear of the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50, a piston (62) protruding outward through the guideway 24 of the handle 20 on one side ( 60); 상기 손잡이(20)의 트인 후방을 폐쇄하는 캡(70)과;A cap 70 for closing the open rear of the handle 20; 상기 손잡이(20)에 일체로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손잡이(20)의 수용공간(22)과 연통되어 치약을 배출하는 토출구(35)가 형성되는 헤드(30)와;A head 30 formed integrally with the handle 20 and having a discharge port 35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space 22 of the handle 20 to discharge toothpaste on one side thereof; 상기 헤드(30)의 토출구(35)의 주변으로 심어지는 다수의 섬모(40)들과;A plurality of cilia (40) which are planted around the outlet (35) of the head (30);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토출구(35)를 통하여 상기 헤드(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유입방지 수단으로 이루어진 칫솔.Toothbrush made of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means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head 30 through the discharge port (3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30)의 토출구(35)는 상기 헤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The toothbrush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charge hole (35) of the head (30) is form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d.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 수단은 상기 헤드(30)의 내부에 상기 토출구(35)와 연통되는 압력실(32)을 형성하며, 이 압력실(32)에는 상기 토출구(35)에 밀착되면서 토출구(35)를 따라 절개부(36a)를 갖는 실링막(36)을 설치하고, 상기 절개부(36a)는 그 끝부분이 토출구(35)를 향하여 항상 맞닿도록 구성되면서 말단으로 갈수록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means forms a pressure chamber 32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port 35 in the head 30, the pressure chamber 32 in the discharge port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35, a sealing film 36 having a cutout 36a is provided along the discharge port 35, and the cutout 36a is configured such that its end portion always abuts toward the discharge port 35. Toothbrush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hinner toward the en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30)의 토출구(35)는 상기 섬모(40)들 사이로 형성되는 다수의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칫솔.2. The toothbrush of claim 1, wherein the outlets of the heads are a plurality of holes formed between the cilia.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 수단은 상기 헤드(30)의 일측에 압력실(32)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면서 탄성변형이 가능한 커버(38)와; 상기 커버(38)로부터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38)의 변형에 의해 상기 토출구(35)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다수의 핑거(38a)들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4, The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means is installed so that the pressure chamber 3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ead 30, the cover 38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And a plurality of fingers (38a)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cover (38) to selectively open or close the outlet (35) by deformation of the cover (3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은 상기 피스톤(60)을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시키도록 하는 피스톤 정지수단이 추가로 포함되며, 이 피스톤 정지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oothbrush further comprises a piston stop means for stopping the piston 60 in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piston stop means 상기 안내로(24)의 일측면에 연이어지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멈춤홈(24a)들과, 상기 노브(62)의 일측에 형성되는 작동홈(64)에 출몰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안내로(24)의 멈춤홈(24a)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스토퍼(65)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The stopper 24a is formed so as to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guide path 24 and the operating groove 6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knob 62, it is installed so as to be sunk, the guideway ( Toothbrush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65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stop groove (24a) of the 24.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로(24)의 일측에는 상기 노브(62)의 이동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눈금(2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The toothbrush of claim 6, wherein a scale (25)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guide path (24) to measure a moving distance of the knob (62). 후방이 트인 수용공간(112)을 갖는 손잡이(110)와;A handle 110 having a rear receiving space 112; 상기 손잡이(110)의 수용공간(112)에 수납되어 치약을 공급하며, 상기 치약이 소모됨에 따라 접혀져 그 용적이 감소되는 벨로우즈로 된 치약저장용기(140)와;Toothpaste storage container 140 of the bellows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112 of the handle 110 to supply the toothpaste, folded as the toothpaste is consumed to reduce its volume; 상기 치약저장용기(140)의 후방에서 이 치약저장용기(140)를 가압하는 피스톤(150)과;A piston 150 for pressing the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140 at the rear of the toothpaste storage container 140; 상기 피스톤(150)에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되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피스톤(150)을 이동시키는 이송축(160)과;A feed shaft 160 for moving the piston 150 by screwing and rotating to penetrate the piston 150; 상기 이송축(160)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110)의 트인 후방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송축(160)을 회전시키는 노브(162)와;A knob 162 integrally formed at one end of the transfer shaft 160 and rotatably installed at an open rear of the handle 110 to rotate the transfer shaft 160; 상기 손잡이(110)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손잡이(110)의 수용공간(112)과 연통되어 치약을 배출하는 토출구(125)가 형성되는 헤드(120)와;A head 120 integrally formed at one end of the handle 110 and having a discharge port 125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space 112 of the handle 110 to discharge the toothpaste; 상기 헤드의 토출구(125)의 주변으로 심어지는 다수의 섬모(130)들과;A plurality of cilia (130) which are planted around the outlet (125) of the head;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토출구(125)를 통하여 상기 헤드(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유입방지 수단으로 이루어진 칫솔.Toothbrush made of foreign matter inflow prevention means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head 120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5).
KR2019990003298U 1999-03-03 1999-03-03 Toothbrush KR20022942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298U KR200229426Y1 (en) 1999-03-03 1999-03-03 Toothbru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298U KR200229426Y1 (en) 1999-03-03 1999-03-03 Toothbrus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721U true KR20000017721U (en) 2000-10-05
KR200229426Y1 KR200229426Y1 (en) 2001-07-03

Family

ID=54759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298U KR200229426Y1 (en) 1999-03-03 1999-03-03 Toothbrus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426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8839A (en) * 2018-04-16 2018-07-24 广东企盟工业设计有限公司 A kind of novel toothbrush
KR20210009439A (en) * 2013-03-15 2021-01-26 워터 피크 인코포레이티드 Mechanically driven, sonic toothbrush and water floss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439A (en) * 2013-03-15 2021-01-26 워터 피크 인코포레이티드 Mechanically driven, sonic toothbrush and water flosser
CN108308839A (en) * 2018-04-16 2018-07-24 广东企盟工业设计有限公司 A kind of novel toothbru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426Y1 (en) 2001-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4073B2 (en) Travel toothbrush assembly
US7232310B2 (en) Interproximal squirt brush
US7699608B2 (en) Interproximal squirt brush
KR101433487B1 (en) Oral care system, kit and method
US6009886A (en) Dentifrice and floss dispensing toothbrush
US20030056307A1 (en) Powered toothbrush with associated oral solution dispenser mechanism
US7806689B2 (en) Disposable dental prophylaxis instrument capable of discharging dentifrice material
US2090144A (en) Tooth brush
EP0193299B1 (en) Brush for applying material in liquid or emulsion form
US6817803B1 (en) Toothbrush structure
KR100568074B1 (en) Improved applique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229426Y1 (en) Toothbrush
WO2012050312A2 (en) Toothbrush for discharging toothpaste
KR101434099B1 (en) Paste-injection toothbrush
US10827824B1 (en) Personal care brush with single dose dispenser
US11019917B2 (en) Oral/facial care brush with dispenser
WO1999063857A1 (en) Tooth-brush with container for tooth-paste
KR200172546Y1 (en) Tooth brush
JPH02152405A (en) Tooth-paste agent containing tooth brush
KR200234841Y1 (en) Toothpaste have toothbrush
US10426252B2 (en) Oral care system and method
KR100267035B1 (en) Toothbrush with pneumatic toothpaste
KR200281492Y1 (en) Portable toothbrush having a dental cream inside
EP3169187B1 (en) Oral care system and method
KR20220109852A (en) A portable toothbr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