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6873U -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6873U
KR20000016873U KR2019990002025U KR19990002025U KR20000016873U KR 20000016873 U KR20000016873 U KR 20000016873U KR 2019990002025 U KR2019990002025 U KR 2019990002025U KR 19990002025 U KR19990002025 U KR 19990002025U KR 20000016873 U KR20000016873 U KR 200000168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outlet
foreign matter
gap
out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20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38091Y1 (ko
Inventor
우석수
Original Assignee
우석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수 filed Critical 우석수
Priority to KR20199900020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091Y1/ko
Publication of KR200000168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8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0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091Y1/ko

Links

Landscapes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해태원초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선별제거하기 위한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통체(2)와 하우징(4)과 회동축(5)과 유출부재(8)와 틈새유지부재(10)로 구성된 공지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재(8)의 좌우길이방향의 제 1 통로(11a)와 상하길이방향의 제 2 통로(11)가 연결되게 형성하고 제 2 통로(11)의 상단부에 형성된 유출구(12)의 끝단부에 외측으로 확대되는 경사면의 확장부(13)를 형성하여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유출부재(8)에 형성된 유출틈새(7)가 절곡되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부드러운 해태원초는 통과되고 경질의 이물질은 통과되지 못하므로 이물질의 제거효과가 상승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ANALIEN SORTING SYSTEM OF LAVER}
본 고안은 해태원초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선별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회동되는 유출부재에 형성된 작은 간극의 틈새로 얇고 부드러운 해태원초가 유출되고 이물질이 통과되지 못하게 하므로서 작업효율이 상승되도록 한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태원초에는 해태를 양실할때에 사용되었던 로우프 및 각종 일반 해초류 또는 운반 과정중에 불의하게 유입되는 각종 이물질등의 포함되어 있으므로 건조김으로 제조하기에 앞서 해태원초로부터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이 선행되어 왔다.
해태원초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종래의 장치는 원통형의 통체 내부에 스크류축이 회동될 수 있도록 장치되고 스크류축 외면에 브러쉬가 장치된 것으로서, 외부에서 유입된 해태원초가 스크류축을 따라 와류되면서 외면에 부착된 브러쉬에 이물질이 걸려 선별되는 것이다.
그런, 상기한 종래의 이물질 선별장치는 비교적 외형이 큰 이물질의 제거는 용이하나 외형이 작은 경우에는 제거되지 않을 뿐 아니라, 상기 브러쉬에 부착된 이물질을 청소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모되었다.
또한, 본 원인에 의하여 선출원된 특허출원 제97-14739호의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가 있으며, 이러한 선발명은 상부측에 유입관이 형성되고 내부에 처리실이 구비된 원통형의 통체와, 상기 통체의 처리실 하방에 부착되고 일측에 유출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에 상하길이 방향으로 회동되게 장치된 회동축과, 회전칼날과 고정칼날이 상기 회동축에 장치된 절단부재와, 원형의 휠을 상하로 적층하여 각각의 휠 사이에 유출틈새가 구성되도록 상기 회동축에 결합된 유출부재와, 상기 유출부재의 일측방에 설치되어 판형의 제거판이 상기 유출틈새 사이에 각각 위치되게 장치된 틈새유지 부재와 상기 통체의 상부에 형성된 청소구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판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통체 내부의 진공실이 진공상태로 유지되고 유입관을 통하여 처리실에 유입된 해태원초가 유출부재의 틈새를 따라 유출관으로 이송되고 이물질을 처리실에 잔류되므로서 선별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선발명은 유출부재의 틈새에 이물질이 통과되지 못하고 작은 크기의 이물질이나 로우프 조각등의 통과되므로서 완전한 선별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제기되었으며, 또한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상기 틈새를 유지하기 위한 제거판에 의하여 틈새의 간격이 커지므로서 이물질 제거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유출부재의 틈새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차단되도록 하므로서 양질의 해태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측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중요한 부분을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중요한 부분을 보인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처리실 2 : 통체 3 : 유출관
4 : 하우징 5 : 회동축 6 : 휠
7 : 유출틈새 8 : 유출부재 9 : 제거판
10 : 틈새유지부재 11a : 제 1 통로 11b : 제 2 통로
12 : 유출구 13 : 확장부
본 고안은 해태원초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통체와, 하우징과, 회동축과, 절단부재와, 유출부재와, 틈새유지부재와, 덮개판으로 구성된 공지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유출틈새를 일차 통로와 이차 통로가 연결되도록 형성하여서, 일차 통로에 도달된 이물질의 상하길이 방향의 이차 통로에 통과되지 못하므로서, 경질의 로우프 조각과 같은 이물질이 제거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측단면도이며, 도 2 는 본 고안의 중요한 부분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중요한 부분을 보인 확대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처리실(1)이 구비된 통체(2)와, 상기 통체(2)의 하방중앙에 부착되고 하방에 유출관(3)이 형성된 하우징(4)과, 상기 하우징(4)의 중앙부에 상하길이 방향으로 회동되게 장치된 회동축(5)과, 원형의 휠(6)이 상하로 적층되고 각각의 휠(6) 사이에 유출틈새(7)가 형성된 유출부재(8)와, 상기 유출부재(8)의 일측방에 설치되어 판형의 제거판(9)이 상기 유출틈새(7)사이에 각각 위치되게 장치된 틈새유지부재(10)로서 구성한다.
상기 유출부재(8)의 유출틈새(7)는 도 2 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길이방향의 제 1 통로(11a)와 상하길이방향의 제 2 통로(11b)가 연결되게 형성하며, 제 1 통로(11a)의 후방부측에 제 2 통로(11b)를 상하길이 방향으로 연결되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2 통로(11b)의 상단부에 유출구(12)를 연결되게 형성하고, 유출구(12)의 끝단부를 외측으로 확대되는 경사면으로된 확장부(13)를 형성한다.
미설명부호 14는 교반날개, 15는 절단부재, 16은 공간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진공흡입펌프(도면에 도시되어 있지않음)를 유출관(3)에 연결하여 처리실(1) 내부에 흡인력이 작용되고 이러한 흡인력에 의하여 처리실(1)내의 해태원초가 유출관(3)를 통하여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처리실(1)내의 해태원초는 회동되는 교반날개(14)에 의해 발생된 와류에 의하여 풀어헤쳐지면서 유출틈새(7)로 유입된후 하우징(4)의 내부를 거쳐 유출관(3)를 통하여 다음단계인 제조공정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은 공지된 기술적 구성에 의한 것이며,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에 의한 작용은 다음과 같다.
처리실(1)내의 해태원초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틈새(7)에 도달되면, 제 1 통로(11a)에 통과된후 제 2 통로(11b)로 이동된후 유출구(3)를 통하여 내측광간부(16)로 유출되는 것이다.
이때, 비교적 외형이 큰 이물질은 제 1 통로로 유입되지 못하고 처리실(1)에 잔류하게 되며, 비교적 외형이 작고 경질의 이물질의 경우, 즉 제 1 통로(11a)로 유입된 이물질은 상부의 제 2 통로(11b)로 절곡되지 못하고 정체되며, 부드러운 질감의 해태원초는 제 1 통로(11a)에서 상부의 제 2 통로(11b)로 이동된후, 유출관(3)를 통하여 통과되는 것이다.
또한, 제 1 통로 사이에 정체된 이물질은 유출부재(8)가 회동축(5)에 고정된 상태로 회동됨에 따라 틈새유지부재(10)의 제거판(9)에 의하여 제거되는 것이다.
상기 유출구(12)의 끝단부에는 확장부(1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통로(4b)에 통과된 해태원초가 유출구(12)에 지체되는 일없이 원활한 효과가 이루어진다.
유출틈새(7)에 통과된 해태원초는 하방에 위치된 절단부재(15)에 의하여 절단된후 유출관(3)를 통하여 다음공정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은 해태원초가 통과되는 유출틈새를 절곡되게 형성하므로서, 작은 크기인 경질의 이물질이 절곡된 통로로 통과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순수한 해태원초로서 양질의 감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거판에 의하여 유출틈새가 마모될 경우, 제 2 통로에는 제거판이 미치지 못하므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유출틈새의 간극이 유지되므로 이물질의 통과를 방지할 수 있는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내부에 처리실(1)이 구비된 통체(2)와 상기 통체(2)의 하방중앙에 부착되고 하방에 유출관(3)이 형성된 하우징(4)과, 상기 하우징(4)의 중앙부에 상하길이 방향으로 회동되게 장치된 회동축(5)과, 원형의 휠(6)이 상하로 적츠되고 각각의 휠(6) 사이에 유출틈새(7)가 형성된 유출부재(8)와, 상기 유출부재(8)의 일측방에 설치되어 판형의 제거판(9)이 상기 유출틈새(7) 사이에 각각 위치되게 장치된 틈새유지부재(10)로 구성된 공지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출틈새(7)를 좌우길이방향의 제 1 통로(11a)와 상하길이방향의 제 2 통로(11b)가 연결되게 형성하고 제 2 통로(11)의 상단부에 형성된 유출구(12)의 끝단부에 외측으로 확대되는 경사면의 확장부(13)를 형성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KR2019990002025U 1999-02-09 1999-02-09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KR2002380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025U KR200238091Y1 (ko) 1999-02-09 1999-02-09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025U KR200238091Y1 (ko) 1999-02-09 1999-02-09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873U true KR20000016873U (ko) 2000-09-25
KR200238091Y1 KR200238091Y1 (ko) 2001-09-25

Family

ID=54759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2025U KR200238091Y1 (ko) 1999-02-09 1999-02-09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09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481B1 (ko) * 2011-10-25 2013-02-12 강신탁 물김용 이물질 제거장치
KR102346579B1 (ko) * 2021-04-21 2022-01-03 임준 측벽 관통슬릿을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765B1 (ko) 2007-10-08 2009-11-16 정광모 해태원초 이물질 제거장치 및 방법
KR102125649B1 (ko) * 2019-10-01 2020-06-23 (주)에프엠텍 해초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2407793B1 (ko) * 2020-08-19 2022-06-10 정광모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481B1 (ko) * 2011-10-25 2013-02-12 강신탁 물김용 이물질 제거장치
KR102346579B1 (ko) * 2021-04-21 2022-01-03 임준 측벽 관통슬릿을 포함하는 해태원초의 이물질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091Y1 (ko) 2001-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236B1 (ko) 세탁기 배수 필터링 시스템 및 그 배수 필터링 시스템을 보유한 세탁기
RU2002115832A (ru) Решеточный узел циклонного пылесборника пылесоса
US6588599B2 (en) Screen for pulp processing
PL124357B1 (en) Rotary apparatus for sifting a fibrous suspension
KR200238091Y1 (ko)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RU2559958C2 (ru) Самоочищающийся винтовой центробежный насос с рециркуляцией позади лопастного колеса
FR2617516A1 (fr) Appareil de repartition d'une pate cellulosique fibreuse
US6669025B2 (en) Screen
CA1309978C (en) Sorting apparatus for fiber suspensions
CA2005118C (en) Drainage pump
KR19980077571A (ko)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JPS6152280B2 (ko)
EP0100345B1 (en) Screen machine
ES2238345T3 (es) Cribadora para la purificacion de una suspension fibrosa.
KR101258440B1 (ko) 역세척이 필요없는 여과형 수처리장치
US20230060771A1 (en) Pulp Screening Machine
JPH0536553B2 (ko)
FR2663240A1 (fr) Appareil pour la separation d'un liquide et des particules solides en suspension qu'il contient.
KR20020066896A (ko)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0747730B1 (ko) 해태 원초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289567Y1 (ko)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용 틈새유지구
KR200230284Y1 (ko)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US20040035761A1 (en) Pressurized screen for screening a fibrous suspension
EP1124003B1 (de) Sortierer zur Reinigung einer Faserstoffsuspension
US20040079682A1 (en) Scree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