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6816A - 비디오 라인 스크램블링 시스템에 의해 야기되는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 최소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라인 스크램블링 시스템에 의해 야기되는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 최소화 방법 및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6816A
KR20000016816A KR1019980710501A KR19980710501A KR20000016816A KR 20000016816 A KR20000016816 A KR 20000016816A KR 1019980710501 A KR1019980710501 A KR 1019980710501A KR 19980710501 A KR19980710501 A KR 19980710501A KR 20000016816 A KR20000016816 A KR 20000016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hroma
coring
scrambled
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4041B1 (ko
Inventor
로날드 콴
Original Assignee
빅터 비에가스
매크로비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빅터 비에가스, 매크로비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빅터 비에가스
Publication of KR20000016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0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7Systems rendering the television signal unintelligible and subsequently intelligible
    • H04N7/169Systems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of the televis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Circuit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몇 몇 비디오 스크램블링 시스템에 잇어서, 복합 비디오 신호는 휘도 및 색차로 불완전하게 분리되고 불안정한 잔여 크로마 칼라 부반송파가 상기 휘도 채널 내에 남게되는 방식으로 스크램블된다. 이러한 불안정한 잔여 부반송파는 그 후에 안정화된 크로마와 합산되어, 결과적으로 발생하는 복합 칼라 신호는 작지만 가시적인 양의 칼라 부반송파 불안정성을 나타내고 이것은 디스크램블되거나 또는 텔레비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될 때 노이즈가 있는 칼라 신호를 나타내게 된다. 상기 휘도 채널로부터 불안정한 잔여 크로마 부반송파를 실질적으로 제거하여, 칼라 부반송파 불안정성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코어링 회로가 개시된다. 향상된 코어링 기술이 적응 크로마를 사용하여 또한 개시되는데, 이것은 색차 신호의 진폭에 따라 인가되는 코어링의 양을 조정함으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만약 프로그램 비디오 입력이 높은 레벨의 칼라 채도를 갖는다면, 크로마 코어링은 전자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역으로, 만약 입력 비디오 프로그램이 본질적으로 블랙 및 화이트(칼라 성분이 없음) 상태에 있다면, 본질적으로 상기 코어링 회로는 전자적으로 오프된다. 상기 코어링 기술은, 예를들면 텔레비젼과 비디오 레코더와 같은 비디오 회로에서 자주 사용되는 비디오 콤 필터의 휘도-색차 분리를 향상시키기 위해 적용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비디오 라인 스크램블링 시스템에 의해 야기되는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 최소화 방법 및 장치
관련 특허
본 발명은 1995년 10월 31일 발행된 J.O. Ryan에 의한 미국 특허 Re. 35,078호, 1995년 8월 1일 발행된 J.O Ryan 등에 의한 미국 특허 제 5,438,620호 및 1996년 4월 2일 발행된 J.O. Ryan 등에 의한 미국 특허 제 5,504,815호에 관련된다.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 스크램블링 시스템(video signal scrambling systems)에 관한 것으로, 특히 라인 시간 시프팅 또는 위치 변조 비디오 스크램블링 장치에서 완전한 휘도 해상도(full luminance resolution)를 유지하면서 실질적으로 안정한 칼라 부반송파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코어링 시스템(coring system)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참조 문헌으로 통합되고 상기 언급된, 미국 특허 Re. 35,078호(이하, '078호), 5,438,620호(이하, '620호) 및 5,504,815호(이하, '815호)는 통상적인 라인 위치 시프팅 비디오 스크램블러(line positional shifting video scrambler) 프로세스와 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라인 위치 또는 시간 시프팅 비디오 스크램블러는 복합 입력 신호를 휘도와 색차 성분으로 분리하거나(도 1A 참조) 또는 휘도와 복조된 색차 R-Y 및 B-Y 성분(도 1B 참조)으로 분리하는 비디오 콤 필터(comb filter) 또는 등가의 휘도/색차 분리기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된 신호는 그 다음 시간 또는 위치에서, 선입선출(first-in-first-out; FIFO) 메모리와 같은, 적절한 메모리나, 또는 가변 지연 라인(variable delay line)을 통해 시프트된다. 도 1A에서, 색차 신호가 먼저 시간 시프트되고(즉, 스크램블되고) 그 다음 칼라 부반송파가, 스크램블된 휘도 신호에 더해지기 전에, 위상 및 주파수에서 안정화되어, 복합 칼라의 안정화된 시간 또는 위치 변조된 스크램블 비디오 출력 신호를 제공한다. R-Y 및 B-Y 변조된 색차 성분(demodulated chrominance components)이 제공되는 도 1B에서, 시간 시프트된 또는 위치 변조된 R-Y 및 B-Y 성분은 시간 시프트된 또는 위치 변조된 휘도 신호에 더해지기 전에 안정한 칼라 부반송파 주파수 및 위상으로 재인코드되어 복합 칼라의 안정화된 시간 시프트된 또는 위치 변조된 스크램블 비디오 출력 신호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스크램블링 시스템의 휘도/색차 분리기 또는 비디오 콤 필터는 색차(크로마(chroma)) 및 휘도(루마(luma)) 성분의 완전한 분리를 제공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상기 상술된 스크램블링 시스템에서 잔여 크로마가 루마 채널에 남게된다. 일반적으로, 불완전한 휘도-색차 분리는 텔레비젼과 같은 장치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즉, 이러한 장치에서는, 휘도 채널의 잔여 색차가 여전히 안정한 색차이고 따라서, 예를들면 텔레비젼에서는, 색차 불안정을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일단 루마 채널이 스크램블링 프로세스에 의해 시간 시프트되면, 잔여 색차는 위상과 주파수에서 불안정하게 된다. 불안정한 잔여 크로마를 갖는 시간 시프트된 또는 (저주파) 위치 변조된 휘도 채널 신호가 안정화된 시간 시프트된 크로마 채널 신호에 더해지면, 복합 비디오 신호가 스크램블되고 그 다음 디스크램블될 때 작지만 가시적인, 불안정한 크로마 위상 및 진폭 에러를 갖는 복합 비디오 신호가 생성된다. 이들 불안정한 크로마 위상 및 진폭 에러는 텔레비젼 분야에서 저주파 칼라 스트리킹(streaking) 또는 휴(hue)와 채도 노이즈(saturation noise)를 유발시킨다.
도 1A는 상기 언급된 '620호 및 '815호에서 상술된 바와 같은, 신호 동요 기술(signal wobbling technique)을 활용하는 스크램블링 시스템(10)용 기본 비디오 경로를 도시한다. 복합 비디오 신호와 같은 프로그램 비디오 신호는 입력 리드(input lead; 12)를 통해 콤 필터(14)로 제공된다. '620호 및 '815호의 도 4에 도시된 소자(76, 78 및 80)는 도 1A의 콤 필터(14)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소자를 예시한다. 상기 콤 필터(14)는 잔여 크로마를 갖는 루마 신호, 및 크로마 신호의 출력을 제공한다. 상기 루마 신호는 자신의 잔여 크로마와 함께 스크램블링 처리를 달성하기 위해 시간 시프트 소자로 제공되며, 상기 스크램블링 처리에 의해 상기 소자(16)는 시프트된 루마 신호에 시프트된 불안정한 위상 잔여 크로마를 제공한다. 상기 크로마 신호는 상기 언급된 크로마 신호의 스크램블링을 제공하는 제 2의 시간 시프트 소자(18)로 제공된다. 상기 시간 시프트 소자(16, 18)도 역시 위치 변조 소자가 될 수 있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시간 시프트(또는 위치 변조) 소자 둘 다는 사용되는 특정 스크램블링 처리의 일부로서 동일한 양만큼 비디오 신호를 시프트한다. 시간 시프트된 크로마 신호를 포함하는 시간 시프트 소자(18)의 출력은 크로마 부반송파 안정기(chroma subcarrier stabilizer; 20)로 제공된다. 상기 크로마 부반송파 안정기(20)는 상기 '620호 및 '815호 특허의 도 4의 헤테로다인 소자(heterodyne element; 100)에 필적하며, 시프트된 크로마 신호에 안정한 위상을 제공한다. 크로마 부반송파 안정기(20) 및 시간 시프트 소자(16)의 출력은 가산기 회로(adder circuit; 22)의 입력으로 제공되는데, 상기 가산기 회로는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을 갖는 스크램블된 비디오 신호를 출력 리드(24) 상에 생성한다.
도 1B는 상기 언급된 '078호 특허에서 상술된 것과 같은 신호 동요 기술을 활용하는 스크램블링 시스템(30)용 기본 비디오 경로를 도시한다. 복합 비디오 신호와 같은 프로그램 비디오 신호는 입력 리드(32)를 통해 콤 필터/크로마 복조 회로(34)에 공급된다. 상기 '078호 특허의 도 4A에 도시된 소자(16)는 도 1B의 콤 필터/크로마 복조기로서 사용될 수 있는 소자를 예시한다. 상기 콤 필터/크로마 복조기 회로(34)는 약간의 잔여 크로마를 갖는 루마 신호, R-Y 성분 및 B-Y 성분의 출력을 제공한다. 상기 루마 신호는 자신의 잔여 크로마와 함께 시간 시프팅 또는 위치 변조 소자(36)로 제공되는데, 상기 시간 시프팅 또는 위치 변조 소자는 시프트된 루마 신호로 형성된 스크램블된 루마 신호에 시프트된 불안정한 위상 잔여 크로마를 제공한다. 상기 R-Y 및 B-Y 신호는 스크램블된 R-Y 및 B-Y 성분 신호를 제공하는 두 채널의 시간 시프트 소자(36, 38)로 제공된다. 상기 시간 시프트 소자(36, 38)는 스크램블링 처리의 일부로서 동일한 양만큼 각각의 비디오 신호를 시프트시킨다. 시간 시프트된 또는 위치 변조 R-Y 및 B-Y 신호를 포함하는 시간 시프트 소자(38)의 출력은 크로마 인코더(40)로 제공된다. 상기 크로마 인코더(40)는 상기 언급된 '078호 특허의 도 4A의 인코더 소자(25)에 필적하며, 스크램블된 크로마 신호에 안정한 위상을 제공한다. 상기 크로마 인코더(40) 및 시간 시프트 소자(36)의 출력은 가산기 회로(42)의 입력으로 제공되며, 상기 가산기 회로는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을 갖는 스크램블된 비디오 신호를 출력 리드(44) 상에 생성한다.
위치적으로 시프트된 루마 채널에서 불안정한 잔여 크로마를 제거하기 위한 한 해결책은 휘도 채널에 노치 필터(notch filter)를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상기 필터는 자신의 칼라 측대역(side band)과 칼라 부반송파 주파수 주위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다. 그러나, 이 해결책은 휘도 해상도를 상당히 저하시키고 따라서 비디오 스크램블러 및 디스크램블러의 출력의 주파수 응답을 저하시킨다. 콤 필터가 일반적으로 완전한 휘도 해상도를 얻는데 조력하기 때문에, 저하된 해상도는 비디오 콤 필터가 제공하는 많은 이점을 제거한다. 따라서, 휘도 주파수 응답과 결과적으로 생성되는 신호 스크램블링 시스템의 신호의 해상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불안정한 크로마 위상 및 진폭 에러를 제거하는 해결책이 요구되어진다.
도 1A는 휘도/색차 콤 필터링을 사용하는 종래 기술의 위치적으로 시프트된 비디오 스크램블러의 블록도.
도 1B는 휘도 및 복조된 크로마, R-Y 및 B-Y 성분을 갖는 콤 필터링을 사용하는 종래 기술의 위치적으로 시프트된 비디오 스크램블러의 블록도.
도 1C는 기본적인 통상의 코어링 회로를 묘사하는 개략도.
도 1D는 예를들면 도 1C의 코어링 회로의 전송 함수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장치에 통합된 본 발명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B는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장치에 통합된 본 발명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C는 입력 신호 레벨의 함수로서 루마 채널 신호에 대한 크로마 코어링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크로마 코어링 회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의 적응형을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도 3의 본 발명의 다른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적응 크로마 코어링 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크로마 주파수 주위에서 적응 및/또는 고정된 코어링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다중대역(multiband) 코어링 회로를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
본 발명의 목적은 실질적으로 안정한 칼라 부반송파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비디오 스크램블링 시스템의 완전한 휘도 해상도를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안정한 부반송파 위상 및 진폭은, 시간 시프트된 또는 위치 변조된 스크램블된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여, 결과적으로 발생하는 복합 비디오 출력 신호에서 나타난다. 증가된 안정성은 불완전한 휘도/색차 신호 분리에 의한 크로마 노이즈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거나 또는 제거한다. 즉, 루마 채널로 누설되는 적은 양의 크로마 신호에 의해 유발되는 불안정한 잔여 크로마 칼라 부반송파를 실질적으로 제거하여, 위치적으로 변조된 또는 시간 시프트된(동요된) 휘도 채널이 위치적으로 변조된 또는 시간 시프트된 안정한 크로마 칼라 부반송파 채널의 신호와 가산될 때, 칼라 불안정성이 실질적으로 최소로 감소되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방법과 장치는 루마 채널에서 불안정한 잔여 크로마 칼라 부반송파, 즉 불안정한 잔여 크로마를 제거하는 크로마 코어링 시스템(chroma coring system)을 활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적응 크로마 코어링 시스템(adaptive chroma coring system)을 포함함으로써 다른 향상을 제공한다. 상기 적응 크로마 코어링은 스크램블되고 안정화된 크로마 칼라 부반송파 채널의 크로마 신호에서 감지되는, 또는 색차 채널의 비디오 콤 필터로부터 유도되는 신호에서 감지된 크로마 진폭에 따라 인가되는 코어링(coring)의 양을 가변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제공된다. 예를들면, 만약 프로그램 비디오 입력 신호가 높은 채도의 칼라 성분(highly saturated color components)의 큰 영역을 갖는다면, 크로마 코어링은 전자적으로 나타나게(turned up) 된다. 극단적으로는, 만약 프로그램 비디오 신호가 본질적으로 블랙 또는 화이트 상태(칼라 성분이 없음)에 있다면, 본질적으로 상기 코어링 회로는 전자적으로 오프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적응 코어링 기술은 블랙 및 화이트 신호에 대해서 주파수와 펄스 응답을 최대화한다.
텔레비젼과 비디오 레코더와 같은 다른 비디오 회로 및 시스템에서 종종 사용되는 비디오 콤 필터의 휘도-색차 분리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도 본 발명이 사용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양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신호 코어링(signal coring)은 선택된 진폭 이하의 저레벨 신호가 특정 회로를 통과하는 것이 거부되고, 선택된 진폭보다 큰 신호가 상기 회로를 통과하는 것이 허용되는 프로세스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코어링은 콤 필터의 휘도 및 색차 분리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크로스오버 왜곡(crossover distortion)을 갖는 상보형 클래스 B 또는 C 트랜지스터 증폭기는 도 1C에 도시된 코어링 회로의 일예이다. 이 때문에, 약 +0.7볼트 내지 -0.7 볼트 사이의 어떠한 신호도 통과되지 않지만 절대값에서 약 0.7 볼트 이상의 모든 신호는 통과가 허용된다. 도 1C 및 도 1D를 참조하라. 본 발명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상기 코어링 회로는 비디오 스크램블러의 휘도 채널의 시간 시프트 회로(즉, 메모리, FIFO, 지연 라인 등) 앞 또는 뒤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어링은 스크램블링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휘도 채널이 시간 시프트된 후에 수행된다. 또한 상기 코어링은 입력 신호를 제한하거나 또는 클립(clip)하는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일부의 반전된 가산(감산)에 의해 수행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0.1 내지 -0.1 볼트의 신호(또는 더 이하의 신호)와 같은 낮은 입력 신호 레벨에서, 상기 증폭기가 자신의 선형 범위(linear range) 내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감산은 전면적이다. 그러나, 절대값 0.1 볼트 이상(또는 0.1볼트 이하)의 선택된 신호레벨에서, 감산은 제한되고 따라서 상기 높은 입력 신호 대부분은 통과가 허용된다. 도 1C는 상기 논의된 통상의 코어링 회로를 도시한다. 도 1D는 코어링 회로의 전송 특성을 일반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C에 도시된 것과 같은 회로에 대해서, 불감대 전압(deadband voltage)(V)은 약 0.7 볼트이다. 트랜지스터 차동 쌍을 사용하는 코어링 회로에 있어서, 상기 불감대 전압(V)은 0.1 볼트 이하이다.
특히,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스크램블링 시스템(50)으로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도시하는 시스템 레벨 블록도이다. 입력 리드(52) 상의 복합 프로그램 비디오 신호는 도 1A의 콤 필터(14)와 유사한 콤 필터(54)로 제공된다. 도 1A에서와 같이, 상기 콤 필터(54)는 리드(57) 상에 잔여 크로마를 포함하는 루마 신호와, 리드(55) 상에 크로마 신호를 포함하는 출력을 제공한다. 이들 두 신호는 시간 시프트 소자(58)와 시간 시프트 소자(60) 각각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크로마 코어링 회로(62)는 상기 소자(58) 다음에 따라서 도 2A의 루마 채널의 지점(A)과 지점(B) 사이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크로마 코어링 회로를 상기 스크램블링 시스템에서 상기 지점에 배치하는 것은 시간 시프트된 루마 신호에 0, 또는 훨씬 감소된, 시간 시프트된 불안정한 잔여 크로마를 제공한다. 그러나,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크로마 코어링 회로(62)는,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콤 필터(54)와 시간 시프트 소자(58) 사이의 위치(56)에서 상기 소자(58) 앞에 삽입될 수도 있다. 상기 크로마 채널은 도 1A의 시간 시프트 소자(18)와 칼라 부반송파 안정기(20)의 동작을 각각 수행하는 시간 시프트 소자960) 및 칼라 부반송파 안정기(64)를 포함한다. 안정화된 시간 시프트된 크로마와 최소화된 시간 시프트된 잔여 크로마를 갖는 시간 시프트된 루마는 가산기(66)에서 결합되어 안정한 노이즈가 없는 크로마 성분을 갖는 스크램블된 비디오 신호를 출력 리드(68) 상에 제공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스크램블링 시스템(70)으로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도시하는 시스템 레벨 블록도이다. 코어링 회로(84)는 시간 시프트 소자(80) 뒤에 그러므로 루마 채널의 지점(A)과 지점(B) 사이에 삽입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도 2A에서와 같이, 상기 코어링 회로는 76에서 점선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80) 앞에 삽입될 수도 있다. 상기 상술된 바와 같이, 불완전한 콤 필터로 인한 불안정한 크로마 성분의 적은 양은 상기 크로마 코어링 회로(84)에 의해 제거된다.
따라서, 도 2A 및 도 2B의 크로마 코어링 회로는 루마 신호로부터 그 주파수가 칼라 부반송파 주파수의 영역에 있는 저레벨 신호를 제거한다. 이들 저레벨 신호는 상기 콤 필터(54 및 74), 또는 등가 회로에 의해 상기 루마 신호로부터 제거되지 않는 크로마를 구성한다. 더 큰 레벨 신호는 크로마 코어링 회로를 통과한다. 예를들면, 도 2A 및 도 2B의 크로마 코어링 회로는 3.58㎒ 주위에서 공칭 신호 레벨의 단지 3%만을 제거하도록 설정된다. 이것은 만약 스크램블된 루마 채널이 3% 이하의 잔여 크로마 성분을 가지고 있다면, 상기 크로마 코어링 회로가 완전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불안정한 크로마 성분을 제거할 것임을 의미한다. 도 2C는 입력 레벨의 함수로서 루마 채널에 대한 크로마 코어링 효과를 도시한다. 실제, 제조 비용에 의존하여, 콤 필터는 일반적으로 루마 채널에서 약 3% 내지0.3%까지 잔여 크로마 성분을 생성한다.
크로마 코어링 시스템이 양자화 노이즈에 의해 유발되는 휘도 채널에서의 임의적인 노이즈 또는 비디오 주파수 대역에서의 노이즈를 또한 감소시킴을 주지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크로마 코어링은 보다 일반적으로 될 수 있다. 500㎑ 이상의 작은 신호를 코어링함으로써, 상기 회로는 스크램블된 휘도 채널로부터 잔여(불안정한) 크로마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휘도 채널에 존재하는 비디오 노이즈도 감소시킨다.
도 3은 도 2A 및 도 2B의 회로(62, 84)와 같은 본 발명의 크로마 코어링 회로의 실시예(100)를 도시한다. 지점(A)에서의 신호는 불안정한 잔연 크로마 성분을 갖는 시간 시프트된 휘도 신호인데, 리드(102)를 통해 증폭기로(102)로 제공되며, 상기 증폭기는 예를들면 두 배의 이득을 갖는다. 상기 증폭기(104)의 출력은 대역 통과 필터(bandpass filter; 106)로 제공된다. 상기 필터(106)는 예를들면 3.58의 칼라 부반송파 주파수에서 설정된 낮은 Q 대역통과 필터(low Q bandpass filter)이거나, 또는 약 500㎑에서 설정된 고역통과 필터(high pass filter)와 같은 몇 몇 다른 필터일 수 있으며, 여기서 대역 통과 필터는 불안정한 잔여 크로마를 코어링하지만, 고역 통과 필터는 다른 비디오 노이즈를 제거한다. 상기 필터(106)의 출력은 예를들면 5의 이득을 갖는 증폭기(108)에 의해 증폭되고 그 다음 제한 증폭기(limiting amplifier; 110)와 같은 제한된 헤드룸(headroom)을 갖는 증폭기(또는 양과 음의 클리퍼(clipper))로 제공된다. 이러한 제한 증폭기는, 하기에 설명되는 것처럼, 약 +/-100 밀리볼트의 최대 입력을 갖는 트랜지스터 차동 쌍 증폭기일 수 있다. 상기 차동 쌍 증폭기(110)는 +/-100 밀리볼트 이하의 입력에 대해 -1(minus unity)의 이득을 가지게되어 더 큰 입력 레벨을 갖는 신호를 제한하거나 클립할 것이다. 상기 차동 쌍 증폭기(110)의 출력은 이 실시예에서 감쇠기(111)에서 1/5만큼 감쇠되고, 가산 증폭기(summing amplifier; 112)의 제 1의 입력으로 제공된다. 상기 증폭기(104)의 출력은 상기 필터(106), 증폭기(108), 제한 증폭기(110) 및 1/5 감쇠기(111)에 의해 유발되는 지연을 정합(match)시키기 위해 지연 라인(113)(또는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을 또한 구동한다. 상기 지연 라인(113)의 출력은 상기 가산 증폭기(112)의 제 2의 입력으로 제공된다. 통상적으로 A에서의 휘도 레벨은 700 밀리볼트이다. 따라서 상기 지연 라인(113)의 출력은 1400 밀리볼트이고 1/5 감쇠기(111)의 출력은 40 밀리볼트이다. 이때 상기 가산 증폭기(112)의 출력은 도 2A 및 도 2B의 지점(B)에 대응하는 출력 리드(114) 상에 제공되는 루마 채널 신호로부터 잔여 크로마의 40 밀리볼트(약 3% 또는 40/1400)까지를 감산할 것이다.
도 4는 루마 채널에 인가된 코어링의 양을 변조하기 위해서, 시간 또는 위치 시프트된 크로마 채널의 크로마 신호 진폭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적응 코어링 회로(120)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에서, 도면의 소자는 도 3의 각각의 소자와 유사하지만, 상이한 도면부호가 표기되었다. 코어링 깊이는 제한 증폭기(140)(이것은 도 3의 제한 증폭기(110)와 유사하다)의 최대 출력 레벨을 변경하고, 동시에 자신의 작은 신호 이득 상수를 유지함으로써 제어된다. 이 때문에, 예를들면, 도 2A 및 도 2B의 칼라 부반송파 안정기(64) 또는 크로마 인코더(86)로부터의 크로마 채널 신호는 각각 리드(142)를 통해 적응 코어링 제어 회로(145)의 증폭기(144)로 제공된다. 상기 증폭된 신호는 전파 정류기(full wave rectifier)(또는 엔벨롭 검출기)(146)로 제공되고, 그 결과 발생하는 신호는 커패시터(148)/저항기(151) 네트워크를 통해 평활화된다. 증폭기(152)는, 제한 증폭기(140)의 출력 레벨을 제어하기 위해서 크로마 신호 진폭에 비례하는 제어 회로(145)로부터의 전압을 제공한다. 따라서, 칼라 채도가 더 높을수록, 제한 증폭기(140)의 클립 레벨(clipping level)이 더 상승된다. 이것은 크로마 주파수 코어링의 양을 상승시킨다. 역으로, 만약 프로그램 비디오에서 칼라의 부족이 존재하면, 클립 레벨은 감소되고 이것은 휘도 채널에서 신호의 아주 작은, 또는 0의 코어링을 제공한다. 상기 결과로 발생하는 적응적으로 코어링된 신호는 지점(B)에 대응하는 출력 리드(160) 상에 제공된다.
도 4는 적응 코어링 제어 회로를 사용하는 적응 코어링을 제공하는 여러 방법 중 하나를 도시한다. 대안으로는, 예를들면, 회로(130 및 156)를 제어하기 위해서 증폭기(152)의 출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데, 그 결과 회로(130)의 값(K2)이 제한 증폭기(140)를 대응하는 고정된 클립 레벨로 유지하기 위해 시간 시프트된 크로마 채널의 크로마 진폭에 의해 역으로 변한다. 예를들면, 만약 크로마 레벨이 낮다면, 상기 값(K2)은, 약 1.5%의 코어링에 대해서, 예를들면 K2≈10 으로 크게되어야만 한다. 만약 크로마 레벨이 높다면, K2는, 예를들면, 약 3%의 코어링에 대해서 낮게 되어야만 한다.
도 5는 고정된 코어링 레벨을 갖는 코어링 회로(170)의 수정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소자는 이전 도면의 소자와 대응하지만, 보다 상세히 도시되었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도 5의 코어링 회로 또는 그 등가 회로는, 스크램블된 복합 비디오 신호에서 크로마 불안정성을 제거하려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예를들면 도 2A 및 도 2B의 시간 시프트 소자 앞에 또는 뒤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불안정한 잔여 크로마를 갖는 시간 시프트된 루마는 리드(168)를 통해 제공되고, 저항기(169, 171)를 통해 설정된 2의 이득을 갖는, 피드백 증폭기(172)에 의해 증폭된다. 상기 증폭기(172)의 출력은, 저항기/인덕터/커패시터 네트워크(173)로 구성된, 2보다 작은 Q의 크로마 대역 통과 필터로 제공된다. 크로마 대역 통과 필터(173)의 출력은 증폭기(174)의 비반전 입력으로 제공된다. 증폭기(174)는 코어링 깊이를 결정하는 이득에서 설정된다. 예를들면 만약 증폭기(174)가 자신의 반전 입력에 연결된 저항기(175, 177)를 통해 5의 이득을 위해 설정된다면, 상기 코어링 깊이는 약 3% 내지 3.5%이다. 만약 상기 증폭기(174)가 7의 이득을 위해 설정된다면, 상기 코어링 깊이는 약 2% 내지 2.5%이다. 다이오드(179)는 증폭기(174)의 출력이 피크 대 피크에서 약 1.4볼트가 되도록 제한하여, 증폭기(174)의 출력이 제한 증폭기(176)의 항복 현상의 Q1 및 Q2 베이스 에미터 접합을 전도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을 보장한다. Q1 및 Q2의 차동 증폭기 회로는 본원에서 명확하게 제한 증폭기(176)로서 사용되는데, Q1의 베이스에서의 전압이 양 또는 음의 약 100 밀리볼트를 초과할 때 제한이 발생한다. 상기 증폭기(176)의 반전 출력은 저항기와 조정 가능한 저항기(183)를 통해 Q1의 컬렉터에서 제공된다. -1의 이득은 Q1의 베이스로의 100 밀리볼트 이하의 신호에서 Q1의 베이스를 통해 저항기(183)의 슬라이더(slider)로 유도된다. 증폭기(180) 및 증폭기(182)는, 저항기/인덕터/커패시터 네트워크(187)로 형성된 지연 라인과 버퍼 증폭기(186)를 통해 비디오 신호(동기 신호를 포함하지 않음)의 약 1.4 볼트를 수신하는 증폭기(180)의 반전 입력에 연결된 저항기(185)와 함께 가산 증폭기를 형성한다. 상기 지연 라인은 크로마 대역 통과 필터(173)와 제한 증폭기(176)에서의 지연을 정합시키는데 필요한데, 그 결과 최대 널화(nulling) 또는 코어링이 크로마 주파수 주위에서 발생할 수 있다. 제한 증폭기(176)가 최대 ± 100 밀리볼트(피크에서 피크가 200 밀리볼트)의 1/5 또는 1/7을 출력하기 때문에, 저항기(185)와 저항기(184)를 통한 크로마 주파수 근처의 신호의 최대 감산은 200 밀리볼트/5 = 40 밀리볼트(또는 200 미리볼트/7=28.5 밀리볼트)이다. 따라서 1400 밀리볼트의 비디오 신호에 관련되는 코어링 깊이는 40/1400 또는 대략 3%이거나, 또는 28.6/144 또는 대략 2%이다.
증폭기(174)의 이득을 설정함으로써 임의의 코어링 깊이가 달성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허용 가능한 안정한 크로마 출력에 필요 되어지는 최소 코어링 깊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과도한 코어링이 휘도 노이즈에서의 바람직하지 않은 감소와 함께 휘도 상세(luminance detail)의 바람직하지 않은 감소를 유발할 것이기 때문이다. 크로마 대역 통과 필터(173)의 Q가 2 이상으로 상승된다면, 이 경우 코어링이 크로마 주파수의 영역에서 더 좁은 대역 주위에 있을 것이기 때문에, 코어링 깊이는 휘도 상세를 상승된 만큼 손실하지 않으면서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출력 리드(188) 상의 코어링된 신호(cored signal)와, 스크램블러 시스템의 출력에 잔여 크로마 불안정성이 없도록 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주의가 요망된다.
도 6은 적응 코어링 제어 회로(209)를 활용하는 적응 크로마 코어링 회로(19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코어링 깊이는 크로마 채널의 신호 진폭을 감지함으로써, 도 4에서와 같이, 다시 조정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도 6의 코어링 회로는 적응적이든지 고정적이든지 간에 콤 필터의 뒤쪽과 각각의 시간 시프트 소자의 앞에 삽입될 것이다. 텔레비젼과 비디오 레코드 등에서 사용되는 콤 필터용 휘도-색차 분리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이 사용될 때 도 6의 실시예는 더 적절하게 사용된다.
도 6은 복합 피드백 차동 증폭기를 형성하는 트랜지스터(Q1, Q2, Q3, 및 Q4)를 활용하는, 도 6의 제한 증폭기(204)를 제외하면 도 5의 소자들과 유사한 소자들을 포함한다. 제한 증폭기(204)에서의 이득은 트랜지스터 쌍(Q5, Q6)의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전류에 의한 에미터 테일 전류(emitter tail current)에 실질적으로 무관하지만, 출력 클립 레벨은 Q5 컬렉터 전류에 의한 에미터 테일 전류에 비례한다. Q1, Q2, Q3, Q4, 저항기(197, 199), 및 국부 피드백 저항기(193, 195)에 의해 아주 높은 트랜스컨덕턴스 증폭기를 형성하는 것은 약 1/저항기(193)의 증폭기에 대한 전체적인 트랜스컨덕턴스를 제공한다. 상기 저항기(193, 195)가 동일한 저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항기(197) 및/또는 저항기(199)에서의 피크 클립핑 출력 레벨은 저항기(197)의 저항에 의해 승산된 에미터 테일 전류(Q5 컬렉터 전류)에 비례한다. 저항기(197, 199)는 증폭기(204)에 대한 출력 부하 저항기이며, 그 출력은 본원에서 차동 증폭기(200)로 공급되며, 상기 차동 증폭기(200)는 적응 코어링 제어 회로(209)에서 증폭기(212)의 출력을 통해 제공된 크로마 채널의 엔벨롭 신호를 거부한다. 조정 가능한 저항기(201)는 최대 코어링(감산)을 위해 제한 증폭기(204)의 출력에 의해 조정된다. 가산 증폭기(202)는 조정 가능한 저항기(201)와 도 3 내지 도 5의 지연 라인과 유사한 지연 라인(211)에 연결되다. 이때 출력 리드(214) 상의 증폭기(202)의 출력은 최소화된 불안정한 크로마를 갖는 휘도 신호이다.
도 4에서와 같이, 도 6의 적응 코어링 제어 회로(209)는 리드(206) 상의 크로마 채널 신호를 증폭하고 그 다음 상기 신호를 전파 정류기(210)(또는 엔벨롭 검출기)로 제공한다. 상기 전파 정류기 또는 엔벨롭 검출기의 출력은 전하 커패시터(charge capacitor; 203)를 통해 평활화되고, 상기 전하 커패시터(203)는 저항기(205)를 통해 방전된다. 증폭기(212)는 크로마 신호 진폭에 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한다. 부가적으로, DC 오프셋은 바이어스 저항기(207)와 트랜지스터(Q3 및 Q4)로 형성된 전압-전류 변환기 회로(215)를 바이어스 하기 위해 213에서 증폭기(212)로 제공된다. 이 때 상기 Q3 컬렉터 전류는 크로마 신호 진폭에 비례한다. 칼라 채도가 더 높을수록, Q3 컬렉터 전류도 더 높아진다. 다음으로, 높은 클립 레벨은 제한 증폭기(204)에 의해 제공되고, 이것은 크로마 주파수 코어링의 양을 상승시킨다. 만약 프로그램 비디오 신호에 칼라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Q3 컬렉터 전류는 0으로 접근하고 저항기(197 또는 199)에서의 클립 레벨은 0 근처에 있으며, 따라서 휘도 채널 신호에 대해 수행되는 코어링은 0 이거나, 또는 아주 작다.
도 7은 다중 대역 주파수 코어링 시스템(22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코어링은 제 1의 코어링 경로에서 대역 통과 필터(226)를 경유한 크로마 주파수와, 제 2의 병렬 코어링 경로에서 고역 통과 필터(high pass filter; 228)를 경유한 휘도 채널 신호의 노이즈를 더 감소시키기 위한 다른 주파수에서 수행된다. 또한 도 7은 적응 코어링 제어 회로(225)에 의해 제 1의 코어링 경로에서 잔여 크로마 주파수에 대한 적응 코어링의 대안을 도시하지만, 제 2의 병렬 코어링 경로에서 고역 통과 필터(228)를 활용함으로써 다른 주파수에서 고정된 코어링을 제공한다. 고역 통과 필터(228)가 상기 대역 통과 필터(226)의 주파수에서 설정된 노치 필터를 포함하여 가산 회로(238 및/또는 240)에서 위상 상호 작용(phase interaction)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부가적인 소자(224, 230, 234)는 상기 도 3 내지 도 6의 각각의 소자와 유사하고, 고역 통과 필터(228)의 제 2의 병렬 코어링 경로에서의 소자(231, 236)는 대역 통과 필터(226)의 제 1의 코어링 경로에서의 각각의 소자와 유사하다. 마찬가지로, 지연 라인(242)은 도 3 내지 도 6의 지연 라인(113, 128, 187-186, 191, 204)의 각각과 유사하다. 또한, 소자(246, 248, 250 및 249-251)로 형성된 적응 코어링 제어 회로는 도 4와 도 6의 적응 코어링 회로의 각각의 소자와 유사하다.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비디오 콤 필터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을 다시 한 번 더 강조한다.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는 노이즈 감소와 증가된 루마-크로마 분리를 통해 그들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개념을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본원에서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여러 다른 특징과 이점이 상기 설명과 도면에서 명백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영역은 하기의 청구의 범위와 그에 상응하는 것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23)

  1. 라인 스크램블된 비디오 신호에서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색차 신호가 휘도 신호로부터 불완전하게 분리되어 잔여 색차를 갖는 휘도 신호와, 색차 신호를 생성하는,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 최소화 방법에 있어서,
    안정한 크로마를 갖는 스크램블된 색차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색차 신호를 시프팅하는 단계와;
    불안정한 잔여 크로마를 포함하는 스크램블된 휘도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휘도 신호를 시프팅하는 단계와;
    상기 휘도 신호에서 불안정한 잔여 크로마의 통과를 제한하고 동시에 불안정한 잔여 크로마보다 큰 레벨의 신호의 통과를 허용하여, 최소화된 불안정한 잔여 크로마를 갖는 스크램블된 휘도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스크램블된 휘도 신호를 코어링(coring)하는 단계; 및
    최소화된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을 갖는 라인 스크램블된 비디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안정한 크로마를 갖는 스크램블된 색차 신호와 최소화된 불안정한 잔여 크로마를 갖는 스크램블된 휘도 신호를 합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 최소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링 단계는,
    통과가 제한되는 불안정한 잔여 크로마의 선택된 레벨에 상응하는 임계 레벨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램블된 휘도 신호에서 스크램블된 불안정한 잔여 크로마를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임계 레벨에서 상기 스크램블된 불안정한 잔여 크로마를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 최소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마 신호의 진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색차 신호의 검출된 진폭에 응답하여 상기 임계 레벨을 변화시켜 그에 상응하여 코어링의 양을 변화시키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는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 최소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색차 신호 진폭을 나타내는 가변 전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신호 이득율을 유지하면서 상기 가변 전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임계 fp벨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 최소화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레벨은 상기 크로마 부반송파 주파수 근처에서 입력 비디오 신호의 0% 내지 약 3.5%를 코어링(coring) 하도록 설정되는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 최소화 방법.
  6. 라인 스크램블링 프로세스를 통해 스크램블된 비디오 신호에서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스크램블링 프로세스동안 색차 및 휘도 신호의 불완전한 분리가 휘도 신호에 잔여 크로마를 제공하고, 상기 스크램블링 프로세스가 스크램블된 휘도 신호에 불안정한 잔여 크로마를 생성하는,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 최소화 방법에 있어서,
    통과가 거부되는 낮은 레벨의 크로마 성분을 결정하는 코어링 임계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임계 레벨보다 큰 신호 레벨의 통과를 허용하면서 잔여 또는 불안정한 잔여 크로마의 통과를 실질적으로 거부하도록 상기 코어링 임계에서 각각의 휘도 신호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잔여 크로마를 갖는 휘도 신호, 또는 상기 불안정한 잔여 크로마를 갖는 휘도 신호를 코어링 하는 단계; 및
    최소화된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을 갖는 라인 스크램블된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 상기 코어링된 스크램블된 휘도 신호를 상기 스크램블된 색차 신호와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 최소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링 단계는 상기 라인 스크램블링 프로세서 이전에 발생하여 상기 잔여 크로마를 코어링 하는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 최소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링 단계는 상기 라인 스크램블링 프로세스 이후에 발생하여 상기 불안정한 잔여 크로마를 코어링 하는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 최소화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램블링 프로세스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색차 신호의 진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링 임계를 변화시켜 상기 검출된 색차 신호 진폭에 비례하여 상기 휘도 신호의 코어링의 깊이를 상응하게 변화시키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는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 최소화 방법.
  10. 라인 스크램블된 비디오 신호에서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색차 신호가 휘도 신호로부터 불완전하게 분리되어 그 결과 잔여 크로마를 포함하는 휘도 신호를 생성하는,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 최소화 장치에 있어서,
    불안정한 잔여 크로마를 갖는 스크램블된 휘도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 잔여 크로마를 포함하는 상기 휘도 신호를 스크램블링하기 위한 시프팅/변조 수단과;
    안정한 크로마를 갖는 스크램블된 색차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시프팅/변조 수단과;
    최소화된 불안정한 잔여 크로마를 갖는 스크램블된 휘도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불안정한 잔여 크로마의 통과를 거부하고 상기 불안정한 잔여 크로마보다 큰 레벨을 갖는 신호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한, 불안정한 잔여 크로마를 갖는 스크램블된 휘도 신호를 수신하는 크로마 코어링 수단; 및
    최소화된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을 갖는 라인 스크램블된 비디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안정한 크로마를 갖는 스크램블된 색차 신호를 최소화된 불안정한 잔여 크로마를 갖는 스크램블된 휘도 신호와 결합하기 위한 가산 수단을 포함하는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 최소화 장치.
  11. 라인 스크램블링 시스템을 통해 스크램블된 비디오 신호에서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라인 스크램블링 시스템의 필수 구성요소인 색차 및 휘도 채널 각각의 색차 및 휘도 신호의 불완전한 분리가 상기 라인 스크램블링 시스템에서 스크램블링 처리 후에 불완전한 잔여 크로마를 갖는 스크램블된 휘도 신호 및 스크램블된 색차 신호를 유발하는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 최소화 장치에 있어서,
    안정한 크로마를 갖는 스크램블된 색차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시프팅/변조 수단과;
    잔여 크로마의 통과를 거부하고 상기 잔여 크로마보다 큰 레벨의 신호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한, 잔여 크로마를 포함하는 상기 휘도신호를 수신하는 크로마 코어링 수단과;
    최소화된 불안정한 잔여 크로마를 갖는 스크램블된 휘도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크로마 코어링 수단에 응답하여 상기 크로마 코어링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휘도 신호를 스크램블링하기 위한 시프팅/변조 수단; 및
    최소화된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을 갖는 상기 라인 스크램블된 비디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안정한 크로마를 갖는 상기 스크램블된 색차 신호를 최소화된 불안정한 잔여 크로마를 갖는 스크램블된 휘도 신호와 결합하기 위한 가산 수단을 포함하는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 최소화 장치.
  12. 라인 스크램블링 시스템을 통해 스크램블된 비디오 신호에서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색차 및 휘도 채널 각각의 색차 및 휘도 신호의 불완전한 분리가 상기 스크램블링 프로세스 후에 스크램블된 색차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스크램블링 프로세스 이전에 잔여 크로마를 갖지만 상기 스크램블링 프로세스 이후에 불안정한 잔여 크로마를 갖는 스크램블된 휘도 신호를 생성하는,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 최소화 장치에 있어서,
    잔여 크로마 신호의 통과를 거부하면서 상기 잔여 크로마 신호보다 큰 신호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한 상기 휘도 채널에 배치된 코어링 수단; 및
    최소화된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을 갖는 스크램블된 비디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실질적으로 안정한 잔여 크로마 신호를 갖는 상기 휘도 신호를 상기 스크램블된 색차 신호와 결합하기 위한 가산 수단을 포함하는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 최소화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링 수단은 상기 라인 스크램블링 시스템 앞의 상기 휘도 채널에 배치되고 상기 잔여 크로마 신호를 코어링하는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 최소화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링 수단은 상기 라인 스크램블링 시스템 뒤의 상기 휘도 채널에 배치되고 상기 불안정한 잔여 크로마 신호를 코어링하는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 최소화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링 수단은,
    코어링 임계를 설정하여 상기 잔여 크로마 신호는 상기 임계 이하에 있도록 하여 일반적으로 통과가 거부되도록 하고 상기 잔여 크로마 신호보다 큰 신호는 상기 임계 이상에 있도록 하여 통과가 허용되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 최소화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링 수단은,
    선택된 최대 입력 및 -1의 이득을 가지며, 상기 선택된 최대 입력보다 큰 신호를 제한하는 제한 증폭기 수단을 포함하는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 최소화 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링 수단은,
    상기 휘도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크로마 부반송파 주파수에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필터 수단과;
    상기 필터 수단에 응답하여 상기 코어링 임계에서 상기 크로마 부반송파 주파수 신호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 증폭기 수단; 및
    상기 제한된 신호에 응답하여 일반적으로 안정한 잔여 크로마를 갖는 휘도 신호를 상기 결합용 가산 수단에 제공하기 위한 가산 증폭기를 포함하는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 최소화 장치.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크로마 부반송파 주파수 근처에서 상기 비디오 신호 레벨의 0% 내지 약 3.5%를 코어링하기 위해 상기 임계 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 최소화 장치.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색차 신호의 진폭에 응답하여 상기 코어링 임계를 변화시키기 위한 코어링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 최소화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링 제어 수단은,
    상기 색차 신호의 진폭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과;
    정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검출된 색차 신호 진폭에 응답하여 가변 전류 제어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 최소화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링 수단은,
    상기 잔여 크로마 신호를 실질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상기 가변 전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변화하고 있는 코어링 임계에서 상기 휘도 신호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 증폭기 수단을 더 포함하는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 최소화 장치.
  22.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링 수단은,
    상기 휘도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크로마 부반송파 주파수에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필터 수단과;
    상기 필터 수단에 연결된 미리 선택된 이득율의 증폭기와;
    상기 미리 선택된 이득율의 증폭기에 연결되어 상기 증폭기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코어링 임계에서 제한하기 위한 제한 증폭기 수단; 및
    상기 제한 증폭기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폭기의 미리 선택된 이득률의 역치(inverse value)만큼 상기 신호를 감쇠시키기 위한 감쇠 수단(attenuating means)을 더 포함하는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 최소화 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색차 신호의 진폭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증폭기의 미리 선택된 이득율과 상기 미리 선택된 이득율의 역치는 상기 색차 신호의 검출된 진폭에 응답하여 변경되는 크로마 부반송파 불안정성 최소화 장치.
KR1019980710501A 1996-06-17 1997-06-17 비디오라인스크램블링시스템에의해야기되는크로마부반송파불안정성최소화방법및장치 KR1003040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58496P 1996-06-17 1996-06-17
US60/011,584 1996-06-17
PCT/US1997/010487 WO1997049247A1 (en) 1996-06-17 1997-06-17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chroma subcarrier instability caused by a video line scrambl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816A true KR20000016816A (ko) 2000-03-25
KR100304041B1 KR100304041B1 (ko) 2001-11-22

Family

ID=21751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501A KR100304041B1 (ko) 1996-06-17 1997-06-17 비디오라인스크램블링시스템에의해야기되는크로마부반송파불안정성최소화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1) EP0906697B1 (ko)
JP (1) JP3378914B2 (ko)
KR (1) KR100304041B1 (ko)
CN (1) CN1148966C (ko)
AT (1) ATE205655T1 (ko)
AU (1) AU713958B2 (ko)
BR (1) BR9710715A (ko)
CA (1) CA2256617C (ko)
DE (1) DE69706680D1 (ko)
HK (1) HK1018869A1 (ko)
MX (1) MX221553B (ko)
NZ (1) NZ332756A (ko)
RU (1) RU2154919C1 (ko)
WO (1) WO19970492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70656B1 (en) 2002-01-30 2008-08-2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crambling packet data using variable slot length and apparatus thereof
US7558405B2 (en) * 2005-06-30 2009-07-07 Nokia Corporation Motion filtering for video stabilization
KR20070012047A (ko) 2005-07-22 2007-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8984A (en) * 1980-10-16 1982-04-27 Toshiba Corp Chroma signal processing circuit
JPS63142997A (ja) * 1986-12-05 1988-06-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テレビジヨン信号秘匿伝送装置
AU658014B2 (en) * 1991-11-19 1995-03-30 Macrovi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crambling and descrambling of video signals with edge fi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154919C1 (ru) 2000-08-20
JP3378914B2 (ja) 2003-02-17
AU3398297A (en) 1998-01-07
EP0906697A1 (en) 1999-04-07
EP0906697B1 (en) 2001-09-12
KR100304041B1 (ko) 2001-11-22
AU713958B2 (en) 1999-12-16
CN1222282A (zh) 1999-07-07
BR9710715A (pt) 1999-08-17
MX221553B (es) 2004-07-19
DE69706680D1 (de) 2001-10-18
CN1148966C (zh) 2004-05-05
NZ332756A (en) 2000-04-28
CA2256617C (en) 2002-01-15
WO1997049247A1 (en) 1997-12-24
ATE205655T1 (de) 2001-09-15
JPH11514817A (ja) 1999-12-14
HK1018869A1 (en) 2000-01-07
CA2256617A1 (en) 1997-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8086A (en) AGC in sound channel of system for processing a scrambled video signal
US4241363A (en) Comb filter circuit
US41797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on of chrominance and luminance with adaptive comb filtering in a quadrature modulated color television system
US4337479A (en) Color resolution compensator
US4232330A (en) Method and system for separating the chrominance and luminance signals in color television signals having quadrature-modulated chrominance subcarriers
US4706285A (en) Automatic gain control of a scrambled video signal
US4514763A (en) Sound signal and impulse noise detector for television receivers
EP0103286B1 (en) Chrominance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GB2112246A (en) Carrier colour signal processing circuits
JPS6139794B2 (ko)
US4263612A (en) Comb filter equalization circuit
US4656502A (en) Color mixing or interference reduction circuit in color TV decoding circuits
KR100304041B1 (ko) 비디오라인스크램블링시스템에의해야기되는크로마부반송파불안정성최소화방법및장치
US4051510A (en) Hue correction apparatus controlled by chrominance saturation
US634913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chroma subcarrier instability caused by a video line scrambling system
KR100230258B1 (ko) 필터의 지연시간 및 흑백 반전을 개선한 비디오 기록매체 복사장치
US4276566A (en) Circuit for inhibiting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in a television receiver
JPH0515357B2 (ko)
GB2118396A (en) Video signal peaking system
CA1143828A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having a non-linear transfer function
JPS6313584B2 (ko)
EP0271954A2 (en)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rise time normalization and noise reduction
KR850003314Y1 (ko) 광대역 색복조 장치
US5629742A (en) Compatible non linear pre-emphasis for composite video signals
CA1212464A (en) Television sound detection system using a frequency translation phase-locked lo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