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6671U - 냉장고의 선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6671U
KR20000016671U KR2019990001724U KR19990001724U KR20000016671U KR 20000016671 U KR20000016671 U KR 20000016671U KR 2019990001724 U KR2019990001724 U KR 2019990001724U KR 19990001724 U KR19990001724 U KR 19990001724U KR 20000016671 U KR20000016671 U KR 200000166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refrigerator
cold air
detachable
ai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17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48440Y1 (ko
Inventor
이종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9-00017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8440Y1/ko
Publication of KR200000166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6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4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4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5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clamping means, e.g. with sliding bolts or sliding we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용화가 가능하도록 한 냉장고 선반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냉장고 선반(200)은 냉기토출덕트(150)와 인접하는 내측단에 냉기토출덕트(150)의 돌출부(150a)가 위치하도록 절개 형성된 설치부(210a)가 형성된 몸체부(210)와 이 설치부(210)에 결합되며 돌출부(150a)와 형합되도록 된 착탈부(230)가 설치되며, 착탈부(230)와 선반(200)의 설치부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수단이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냉장고 선반은 냉기토출덕트의 다양한 구조에 맞게 각각의 선반을 별도로 제조하지 않고, 하나의 선반을 공용화하여 제조한 후 선반의 설치부에 결합되는 착탈부의 형상만을 일부 변경하여 선반에 결합시켜 선반을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선반의 공용화가 가능하고, 이에 따른 제조효율과 조립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선반{The shelf of refrigerator}
본 고안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저장실에 설치되는 선반의 구조를 개선하여 냉기토출덕트의 형상에 따라 선반들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냉장고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이루는 함체형상으로 마련된 본체(10)를 구비하고, 이 본체(10) 내부의 상측으로는 냉동실(11)이 형성되며 냉동실(11)의 하측으로는 격벽(16)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는 냉장실(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각각의 냉동실(11)과 냉장실(12) 내부에는 저장되는 음식물이 안착되도록 다수의 선반(20)이 설치되며, 냉동실(11)과 냉장실(12)을 개폐하도록 본체(10)의 전면 일측으로는 본체(10)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냉동실도어(13)와 냉장실도어(14)가 설치된다.
한편, 냉장실(12)에는 냉장실(12) 내부로 냉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냉기토출덕트(15)가 설치되는데, 이 냉기토출덕트(15)에는 냉기가 냉장실(12) 내부로 보다 골고루 공급될 수 있도록 송풍팬(미도시)이 설치되며, 이 송풍팬에 의한 송풍으로 냉기가 냉장실(12) 내부로 가능한 한 방사상으로 뿌려지도록 하기 위하여 냉장실(12)의 내측으로 돌출하여 있는 원형의 돌출부(15a)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돌출부(15a)가 형성된 냉기토출덕트(15)로 인해 종래의 선반(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기토출덕트(15)의 돌출부(15a)에 형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선반(20)의 내측단을 돌출부(15a)의 형상에 맞게 원형으로 절개한 설치부(21)를 형성하여야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선반(20)의 설치부(21)는 냉기토출덕트(15)의 돌출부(15a)의 형상이 조금만 바뀌더라도 선반(20)을 제대로 돌출부(15a)에 형합되게 설치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이때에는 선반(20)의 설치부(21) 형상을 돌출부(15a)에 맞게 변경하여 새로이 제작하여 사용하여야 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냉장고 선반(20)은 냉기토출덕트(15)의 형상이 바뀜에 따라 항상 선반(20)의 형상도 함께 바꾸어야 하기 때문에 신규제품이 제조될 때마다 선반(20)의 형상 또한 이때의 제품에 맞게 바꾸어야 하므로 선반(20)의 사용효율이 상당히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냉기토출덕트의 형상에 따라 선반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냉기토출덕트와 형합되는 형상으로 마련된 별도의 착탈부를 선반의 몸체부에 착탈 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선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냉장고 선반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a와 b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을 보인 사시도와 요부 단면도이다.
도 5a와 b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을 보인 사시도와 요부 단면도이다.
도 6a와 b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을 보인 사시도와 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본체110...냉동실
120...냉장실130...냉동실도어
140...냉장실도어150...냉기토출덕트
200...선반210...몸체부
220...날개부230...착탈부
240...끼움홈250...걸림턱
260...안착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저장실, 상기 저장실 내부로 냉기를 안내하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한 냉기토출덕트, 상기 냉장실 내부에 저장된 식료품이 안착되도록 상기 냉기토출덕트의 전방에 설치된 선반을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상기 저장실에 설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착탈되며 상기 돌출부와 형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착탈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냉장고는 외관을 이루는 함체형상으로 마련된 본체(100)를 구비하고, 이 본체(100)의 내부중의 상측으로는 냉동실(110)이 형성되며 냉동실(110)의 하측으로는 격벽(160)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는 냉장실(1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냉동실(110)과 냉장실(120)을 개폐하도록 본체(100)의 전면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냉동실도어(130)와 냉장실도어(140)가 설치된다.
한편, 이 각각의 냉동실(110)과 냉장실(120) 내부에는 저장되는 음식물이 안착되도록 다수의 선반(200)이 설치되는데, 특히 냉장실(120)의 내부에 설치된 선반(200)은 냉장실(120) 내부의 양측벽에 형성된 걸림부(170)에 선반(200)의 양측단이 삽입되어 끼워짐으로써 해서 그 설치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냉장실(120)에는 냉장실(120) 내부로 냉기가 토출되도록 상하로 연장된 냉기토출덕트(150)가 설치된다. 이 냉기토출덕트(150)는 냉기가 냉장실(120) 내부로 보다 골고루 공급될 수 있도록 별도의 송풍팬(미도시)을 내측에 구비하고 있고, 그 외측면은 전방으로 일부 원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150a)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선반(200)은 사각의 판상으로 마련된 몸체부(210)와 이 몸체부(210)에 착탈되는 착탈부(230)로 구성된다.
먼저 몸체부(210)는 뒷단에 전술한 냉기토출덕트(150)의 돌출부(150a)와 맞추어 조립되는 설치부(210a)를 형성된 있으며, 이 설치부(210a)에는 덕트(150)의 돌출부(150a)의 형상에 따라 적절히 선반(20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전술한 착탈부(230)가 설치된다.
이 착탈부는 다수의 실시예로 실시가능한데,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과 착탈부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각각의 실시예에서의 선반은 서로 다른 부호로서 설명되어있다.
먼저 도 4a와 b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을 보인 사시도와 요부 단면도이다.
이 제 1실시예에 따른 선반(200)은 몸체부(210)의 뒷단에 원형으로 절개 형성된 설치부(210a)를 구비한다. 이 설치부(210a)의 크기는 냉기토출덕트(150)의 돌출부(150a)보다 큰 크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 설치부(210a)에 끼워지는 착탈부(230)는 내측단에 설치부(210a)의 단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된 끼움홈(240)을 구비하고, 외측단에는 냉기토출덕트(150)의 돌출부(150a)의 형상에 맞는 크기(W1)로 형성된 안착부(260)가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착탈부(230)의 양단에는 몸체부(210)의 설치부(210a)의 양측단에 하향 절곡 형성된 날개부(220)에 걸려서 착탈부(230)가 보다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턱(250)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 착탈부(230)의 결합은 몸체부(210)의 설치부(210a)에 착탈부(230)의 끼움홈(240)을 맞추어 끼우면서 누르면 걸림턱(250)이 몸체부(210)의 양 날개부(220) 내측으로 걸리면서 고정 결합되게 된다.
한편, 만약 냉기토출덕트(150)의 돌출부(150a) 형상이 더 커졌을 경우에는 안착부의 크기가 더 큰 착탈부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때의 제 2착탈부(230')는 도 4a에 함께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260')의 크기(W2)가 전술한 첫 번째 착탈부(230)의 크기(W1)보다 더 크게 형성하고(W1< W2), 그 외의 구성부분들 즉, 걸림턱(250')과 끼움홈(240')은 첫 번째 착탈부(230)와 동일하게 형성한다. 따라서 착탈부(230)를 교체함으로써 몸체부(210)의 공용화가 가능하게 된다.
도 5a와 b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300)을 보인 사시도와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300)의 제 2실시예에서는 몸체부(310)의 뒷단에 냉기토출덕트(150)의 형상보다 큰 설치부(310a)를 형성하고, 몸체부(310)의 바닥에 두 개의 나사홈(320)을 형성한다.
그리고 착탈부(330)의 내측단은 몸체부(310)의 설치부(310a)에 끼워질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절개형성하고, 그 밑면에는 설치부(310a)의 바닥 내측으로 일부 돌출한 두 개의 돌출편(340)을 형성하되, 이 돌출편(340)에는 두 개의 나사홀(350)이 형성한다. 그리고 착탈부(330)의 외측단에는 냉기토출덕트(150)의 형상에 맞는 크기로 형성된 안착부(360)를 형성한다.
따라서 착탈부(330)의 결합은 착탈부(330)를 몸체부(310)의 설치부(310)에 위치시킨 후 나사(370)를 착탈부(330)의 나사홀(350)과 몸체부(310)의 나사홈(320)에 각각 관통시켜 체결하게 되면 그 결합이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도 6a와 b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400)을 보인 사시도와 요부 단면도이다.
이 도 6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서는 선반(400)의 몸체부(410) 뒷단에 냉기토출덕트(150)의 형상보다 큰 설치부(410a)를 형성하고, 이 설치부(410a)의 착탈부(430)와 접하는 면에 다수의 걸림홈(420)을 형성한다.
그리고 착탈부(430)의 내측단은 몸체부(410)의 설치부(410a)에 끼워질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절개형성하고, 설치부(410a)와 접하는 면에는 설치부(410a)에 형성된 걸림홈(420)에 삽입되어 걸려 지지되는 다수의 걸림돌기(440)를 형성하되, 이 걸림돌기(440)의 단부에는 걸림턱(450)을 형성하여 걸림돌기(440)가 걸림홈(420)에 삽입되면 걸림홈(420)의 내측단에 이 걸림돌기(440)의 걸림턱(450)이 걸려서 착탈부(430)가 설치부(410a)에서 지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착탈부(430)의 외측단은 냉기토출덕트(150)의 형상에 맞는 크기로 형성된 안착부(460)를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냉장고는 본체(100) 내부에 도시되지 않은 냉동사이클의 구성요소들을 설치한 후 냉장실(120)에 냉기토출덕트(150)를 설치하고, 그 내부에는 회전날개(미도시)를 설치한다. 그리고 선반(200)을 설치하는데, 이 선반(200)은 냉장고 내부에 형성된 걸림부(170)에 끼워서 설치하면 된다.
이때 설치되는 선반(200)은 냉기토출덕트(150)의 돌출부(150a)의 형상에 맞게 형성된 착탈부(230)가 선반(200)의 몸체부(210)에 설치된 것으로, 이때의 착탈부(230)는 전술한 제 1, 제 2 그리고 제 3실시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몸체부(210)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선반(200)의 몸체부(210)는 냉기토출덕트(150)의 형상과 관계없이 냉장고의 용량이 같은 경우에는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제조하고, 다만, 냉기토출덕트(150)의 형상에 맞게 안착부(260)의 형상만을 바꾼 다양한 형태의 착탈부(230)(230')를 제조하여 선반(200)에 끼우면 각각의 냉기토출덕트(150)의 형상에 맞게 선반(200)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냉장고 선반은 냉기토출덕트의 다양한 구조에 맞게 각각의 선반을 별도로 제조하지 않고, 하나의 선반을 공용화하여 제조한 후 선반의 설치부에 결합되는 착탈부의 형상만을 변경하여 선반에 결합시켜 선반을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선반의 공용화가 가능하고, 이에 따른 제조효율과 조립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저장실, 상기 저장실 내부로 냉기를 안내하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한 냉기토출덕트, 상기 냉장실 내부에 저장된 식료품이 안착되도록 상기 냉기토출덕트의 전방에 설치된 선반을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상기 저장실에 설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착탈되며 상기 돌출부와 형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착탈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측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착탈부에는 상기 걸림턱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과 끼움홈에 의하여 상기 몸체부와 착탈부가 체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착탈부에는 상기 나사홈과 연통하는 나사홀이 형성되어 나사에 의하여 상기 몸체부와 착탈부가 체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착탈부에는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다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과 걸림돌기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몸체부와 착탈부가 체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20-1999-0001724U 1999-02-05 1999-02-05 냉장고의 선반 KR2003484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724U KR200348440Y1 (ko) 1999-02-05 1999-02-05 냉장고의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724U KR200348440Y1 (ko) 1999-02-05 1999-02-05 냉장고의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671U true KR20000016671U (ko) 2000-09-25
KR200348440Y1 KR200348440Y1 (ko) 2004-04-29

Family

ID=49428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1724U KR200348440Y1 (ko) 1999-02-05 1999-02-05 냉장고의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844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6056B2 (en) 2011-03-03 2016-08-02 J.J. Mackay Canada Limited Parking meter with contactless payment
US9494922B2 (en) 2008-12-23 2016-11-15 J.J. Mackay Canada Limited Single space wireless parking with improved antenna placemen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4922B2 (en) 2008-12-23 2016-11-15 J.J. Mackay Canada Limited Single space wireless parking with improved antenna placements
US9406056B2 (en) 2011-03-03 2016-08-02 J.J. Mackay Canada Limited Parking meter with contactless pay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8440Y1 (ko) 200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071565A (ja) 冷蔵庫
KR101021080B1 (ko) 캔틸레버 선반을 구비하는 냉장고용 냉기 공급 덕트조립구조
KR200348440Y1 (ko) 냉장고의 선반
JP2008069997A (ja) 冷蔵庫
JP2011191028A (ja) 冷蔵庫
KR100640234B1 (ko) 냉장고용 아이스메이커어셈블리
US11137202B2 (en) Modular LED illumination device
KR200308187Y1 (ko) 냉장고
KR200217744Y1 (ko) 냉장고의 댐퍼커버
CN214665441U (zh) 一种生鲜自提柜的隔温结构
KR101362309B1 (ko) 냉장고용 선반 및 그 장착구조
KR20010010883A (ko) 냉장고용 야채실 냉기공급구조
KR200164358Y1 (ko) 냉장고용 야채실
KR200217735Y1 (ko) 냉장고의도어선반
KR100547428B1 (ko) 냉장고용 도어덕트
KR200292004Y1 (ko) 냉장고
KR100246886B1 (ko) 냉장고
KR20230116581A (ko) 냉장고
KR200217531Y1 (ko) 냉장고
KR0129513B1 (ko) 냉장고의 김치실 본체 결합구조
KR200220617Y1 (ko) 냉장고의 리턴덕트
JP2011191026A (ja) 冷蔵庫
KR20140124543A (ko) 냉장고용 선반
KR20000002104U (ko) 냉장고의 캐비닛 조립구조
KR20030038991A (ko) 냉장고의 선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