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6627U - Romote controller for karaoke - Google Patents

Romote controller for karaok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6627U
KR20000016627U KR2019990001664U KR19990001664U KR20000016627U KR 20000016627 U KR20000016627 U KR 20000016627U KR 2019990001664 U KR2019990001664 U KR 2019990001664U KR 19990001664 U KR19990001664 U KR 19990001664U KR 20000016627 U KR20000016627 U KR 200000166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s
remote controller
so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166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재환
Original Assignee
윤재환
태진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환, 태진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재환
Priority to KR20199900016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6627U/en
Publication of KR200000166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627U/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은 그 위치를 쉽게 찾아 키조작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노래반주장치의 원격조정기 및 이러한 원격조정기를 포함하는 노래반주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disclosed subject matter relates to a remote controller of a song accommodating device capable of easily finding its position and making key operation quick and easy, and a song accommodating device including the remote controller.

본 고안에 따른 노래반주장치의 원격조정기는 전면 패널에 복수의 키를 가지며 복수의 키 중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소정의 키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본체와, 본체의 전면 패널에 구비된 키들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키들을 가지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키신호를 본체로 송출하는 원격조정기를 갖는 노래반주장치에 있어서, 본체의 전면 패널에 구비된 각 키들과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기능의 키가 위치하는 키배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며, 노래반주장치는 전면 패널에 복수의 키를 가지며 복수의 키 중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소정의 키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노래반주장치의 본체 및 본체의 전면 패널에 구비된 각 키들과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기능의 키가 위치하는 키배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장치의 원격조정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원격조정기의 각 키들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노래반주장치 본체 전면 패널에 구비된 키들과 그 형태가 동일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remote controller of the song accommod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keys on the front panel and operates in response to a predetermined key input signal pressed by a user among the plurality of keys, and keys provided on the front panel of the main body. A song accommodating device having keys having the same function and having a remote controller for transmitting a corresponding key signal to the main body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wherein the key having the same function is located at the same position as each of the keys provided on the front panel of the main body. The key accommodating device has a key arrangement, and the song accommodating device has a plurality of keys on the front panel and operates in response to a predetermined key input signal pressed by a user among the plurality of keys. Remote control of the song accommod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key arrangement in which the same function key is located at the same position as each of the keys provided in th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as a regular, each key of the remote controll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form as the keys provided on the front panel of the main body of the song accommodating device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따라서, 본 고안의 장치는 노래반주장치의 사용에 익숙하지 않는 사용자라 하더라도 노래반주장치 본체의 키배열만으로도 원격조정기의 키배열을 쉽게 알 수 있으며, 어두운 실내에서 원격조정기를 이용하는 경우라도 노래반주장치 본체에서 발광되고 있는 키의 위치를 보고 원격조정기의 해당 키를 쉽게 찾을 수 있음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키조작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even if the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familiar with the use of the song accommodating device, the key arrang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can be easily known only by the key arrangement of the song accommodating body, and even if the remote controller is used in a dark room, By looking at the position of the key that is emitted from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easily find the corresponding key of the remote controller, so that the key operation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easily.

Description

노래반주장치의 원격조정기{ROMOTE CONTROLLER FOR KARAOKE}Remote controller for song accompaniment device {ROMOTE CONTROLLER FOR KARAOKE}

본 고안은 노래반주장치의 원격조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of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보다 상세하게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노래반주장치의 원격조정기의 각 키들과 본체 전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키들을 동일한 형태로 동일한 위치에 배열시킴으로써 그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고 용이하게 키조작할 수 있는 노래반주장치의 원격조정기 및 이러한 원격조정기를 포함하는 노래반주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by arranging each of the keys of the remote controller of the song accommodating device and the plurality of keys provided on the front panel of the main body in the same position in the same position, the position can be easily found as well as quickly and easi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ler for a key operable song accommodating device and a song accommodating device including the remote controller.

일반적으로 노래반주장치를 사용하여 노래를 부르는 경우, 사용자는 노래반주장치 본체의 전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키 중 해당키를 직접 눌러 노래반주장치를 동작시키거나, 별도로 구비된 원격조정기를 이용하여 노래반주장치 본체로 키신호를 송출함으로써 노래반주장치를 동작시키게 된다.In general, when singing using a song accompaniment device, the user operates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by directly pressing a corresponding key among a plurality of keys provided on the front panel of the song accompaniment body, or by using a remote controller provided separately. The song accommodating device is operated by sending a key signal to the song accommodating body.

이때, 통상 여러 사람이 하나의 노래반주장치를 사용하여 노래를 부르는 경우가 많으므로 노래반주장치 본체보다는 원격조정기를 주로 많이 사용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노래반주장치에 있어서 원격조정기의 역할은 다른 어느 장치보다 크다고 할 것이다.At this time, since many people sing a song using a single song accompaniment device, the remote controller is used more frequently than the main body of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Thus, the role of the remote controller in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is any other device. Would be greater.

도 1a는 일반적인 노래반주장치 본체의 전면 패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의 본체로 키신호를 송출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원격조정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ront panel of a general song accommodating body, and FIG. 1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for transmitting a key signal to the main body of FIG. 1A.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래반주장치 본체(10) 전면 패널의 중앙부위에는 통상 노래반주장치의 동작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창(11)이 있으며, 디스플레이창(11)의 좌우측으로 복수의 키들이 배열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A, a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panel of the song accommodating device body 10 includes a display window 11 which visually displays an operation state of the song accommodating device, and a plurality of key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window 11. Is arranged.

반면, 도 1b에 도시된 원격조정기(20)에는 노래반주장치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숫자키들을 중심으로 그 주위에 다른 키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노래반주장치 전면 패널에는 없는 기능키들(26), 예를 들어 음량조절, 중창효과, 음정교정 또는 음성변조 등 반주음을 변화시켜 줌으로써 분위기를 더욱 흥겹게 할 수 있는 기능의 키들 등도 소정부분에 위치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remote controller 20 shown in FIG. 1B, other keys are arranged around the numeric keys most used in the song accommodating device, and function keys 26 are not present in the front panel of the song accommodating device. For example, there are also keys that function to make the atmosphere more exciting by changing the accompaniment sound such as volume control, midsole effect, pitch correction, or voice modulation.

결국,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노래반주장치 본체(10)의 전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키와 원격조정기(20)에 구비된 복수의 키가 각기 다르게 배열되어 있으며, 원격조정기(20)에만 있는 키들의 구분도 쉽지 않다는 걸 알 수 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keys provided on the front panel of the song accommodating body 10 and a plurality of keys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ler 20 are arranged differently, and only the remote controller 20 is provided. It can be seen that it is not easy to distinguish the existing keys.

여기서, 상술한 노래반주장치 본체(10)와 원격조정기(20)가 가지고 있는 키배열의 상이함을 사용자가 부를 노래를 선곡하고, 선곡한 노래에 대해 반주음을 출력시키거나 곡이 정상적으로 종료되기 이전에 종료시키기 위한 숫자키와 시작키 그리고 정지키 등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 the user selects a song to be sung by the user of the key arrangements of the song accommodating apparatus main body 10 and the remote controller 20, and outputs an accompaniment to the selected song or ends the song normally. For example, the numeric key, the start key, and the stop key for terminating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노래반주장치 본체(10)에서 정지키(12)와 시작키(13)는 숫자키의 제일 하단 중간에 위치한 '0' 키(14)의 좌우 측에 배열되어 있다.In the song accommodating body 10, the stop key 12 and the start key 13 are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0' key 14 located in the lowermost middle of the numeric keys.

그러나, 원격조정기(20)에서 볼 때, 상술한 노래반주장치 본체(10)의 정지키(12) 및 시작키(13)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정지키(22) 및 시작키(21)는 숫자키의 하단부에 위치하기는 하나, 숫자키와는 별도로 배열되어 있다.However, when view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20, the stop key 22 and the start key 21 which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the stop key 12 and the start key 13 of the song accommodating body 10 described above are Although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numeric keys, they are arranged separately from the numeric keys.

즉, 원격조정기(20)의 '0'키(23)는 숫자키 배열에서 제일 하단의 좌측에 위치하며, 그 우측으로는 취소키(24) 및 예약키(25)가 배열되어 있다.That is, the '0' key 23 of the remote controller 20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bottom of the numeric key array, and the cancel key 24 and the reservation key 25 are arranged on the right side thereof.

한편, 상술한 원격조정기의 취소키(24) 및 예약키(25)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노래반주장치 본체 전면 패널의 해당 키는 예약취소키(15)와 예약키(16)로서 정지키(12)와 '0'키(14) 및 시작키(13)로 구성된 열의 하단에 배열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rresponding key on the front panel of the song accommodating device main body which performs the same functions as the cancel key 24 and the reservation key 25 of the above-described remote controller is a stop key (reservation key (15) and a reservation key (16). 12) and '0' key 14 and start key 13 are arranged at the bottom of the row.

또한, 상술한 키 중에서 노래반주장치 본체(10)에 구비된 정지키(12) 및 시작키(13)와 원격조정기(20)의 정지키(22) 및 시작키(21)는 그 각각의 형태 또한 다르게 되어 있다.In addition, among the above-described keys, the stop key 12 and the start key 13 provided in the song accommodating apparatus main body 10 and the stop key 22 and the start key 21 of the remote controller 20 may be in their respective forms. It is also different.

상술한 바에서 노래반주장치 본체(10)와 원격조정기(20)의 키배열이 각기 다르게 되어 있는 경우, 노래반주장치 본체(10)에 구비된 키들을 조작하여 원하는 키신호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별문제가 없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arrangement of the keys of the song accommodating device body 10 and the remote controller 20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 particular problem is required when a desired key signal is inputted by manipulating the keys provided in the song accommodating device body 10. There is no.

왜냐하면, 노래반주장치 본체(10)에 구비된 키들은 그 크기가 클 뿐만 아니라 통상 발광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므로 노래반주장치가 설치된 곳의 조명이 다소 어둡거나 노래반주장치의 사용이 익숙하지 않는 사용자라 하더라도 원하는 키들을 쉽게 찾아 조작할 수 있다.Because the keys provided in the singing accommodator main body 10 are not only large in size, but also generally include light emitting means, the lighting of the place where the singing accompaniment apparatus is installed is somewhat dark, or the user who is unfamiliar with the use of the singing accommodating apparatus. Even so, you can easily find and manipulate the desired keys.

반면, 원격조정기(20)는 노래반주장치의 본체(10)와는 달리 그 크기가 월등히 작기 때문에 구비되어 있는 키들의 크기 또한 본체의 키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작으며, 원가를 줄이기 위해 통상 발광수단도 구비되어 있지 않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remote controller 20 is significantly smaller in size than the main body 10 of the song accommodating device, the size of the provided keys is also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keys of the main body, and in order to reduce costs, the light emitting means is usually used. It is not equipped.

결국,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원격조정기의 경우, 노래반주장치를 자주 이용하지 않아 원격조정기에 구비된 키의 종류 및 키배열에 익숙하지 않거나, 조명이 어두운 곳에서 원격조정기를 조작하여 노래하고자 할 때 선택하고자 하는 키의 위치를 쉽게 알 수 없어 그 조작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s a result,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remote controller as described above,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is not frequently used, so the user may not be familiar with the type and arrangement of keys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ler, or to operate the remote controller in a dark place. When the position of the key to be selected is not easily know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may be difficult.

더욱이, 노래반주장치 본체와 원격조정기에서 동일한 기능을 하는 키들의 형태가 다르거나, 노래반주장치 전면 패널에는 없는 키들이 원격조정기에는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노래반주장치에 어느 정도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에게는 더욱더 사용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도 있었다.Furthermore, users who are unfamiliar with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when the keys of the song accompaniment body and the remote controller have different shapes or the keys are not provided on the front panel of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is not easy to use.

이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더욱 커지게 된다. 즉, 정사각형에 가까운 도 1b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원격조정기는 가로보다 세로측이 더 긴 형태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바, 이는 가로측 길이가 더 긴 형태의 노래반주기 본체와는 본질적으로 다른 키 배열을 가질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These various problems become larger in the following points. In other words, unlike the one shown in FIG. 1b close to the square, the remote controller is also used in a form that is longer in the vertical side than in the horizontal, which is a key arrangement that is essentially different from the karaoke cycle body of the longer side length form. I have no choice but to have it.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그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음으로 인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키들을 조작할 수 있는 원격조정기와 이러한 원격조정기를 포함하는 노래반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ng controller comprising such a remote controller and a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quickly and easily manipulating keys because the position thereof can be easily found.

도 1a 및 도 2a는 일반적인 노래반주장치 본체의 전면 패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1A and 2A ar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ront panel of a general song accommodating body,

도 1b는 도 1a의 본체로 키신호를 송출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원격조정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Figure 1b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or transmitting a key signal to the main body of Figure 1a,

도 2b는 도 2a의 전면 패널 키배열과 동일한 키배열 및 키형태를 갖는 본 고안이 적용된 노래반주장치의 원격조정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emote controller of a song accommodating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key arrangement and key form as the front panel key arrangement of FIG. 2A.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Description of Signs of Main Parts of Drawings *

10 : 노래반주장치 본체10: song accommodating body

100 : 원격조정기100: remote controller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노래반주장치의 원격조정기의 특징은 전면 패널에 복수의 키를 가지며 복수의 키 중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소정의 키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본체와, 본체의 전면 패널에 구비된 키들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키들을 가지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키신호를 본체로 송출하는 원격조정기를 갖는 노래반주장치에 있어서, 본체의 전면 패널에 구비된 각 키들과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기능의 키가 위치하는 키배열을 갖는 것에 있다.Features of the remote controller of the song accommod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ain body having a plurality of keys on the front panel and operating in response to a predetermined key input signal pressed by the user of the plurality of keys, A song accommodating device having key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the keys provided on the front panel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remote controller for transmitting a corresponding key signal to the main body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the same as each of the keys provided on the front panel of the main body. A key array in which a key of the same function is located at a position.

그리고,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노래반주장치의 특징은 전면 패널에 복수의 키를 가지며 복수의 키 중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소정의 키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노래반주장치의 본체 및 본체의 전면 패널에 구비된 각 키들과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기능의 키가 위치하는 키배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장치의 원격조정기로 구성된 것에 있다.In addition, a feature of the song accommod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ong accommodat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keys on a front panel and operating in response to a predetermined key input signal pressed by a user among a plurality of keys. And a key arrangement in which a key having the same function is located at the same position as each of the key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the front panel of the main body.

또한, 상술한 원격조정기 및 노래반주장치는 원격조정기의 각 키들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노래반주장치 본체 전면 패널에 구비된 키들과 그 형태가 동일함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remote controller and song accompaniment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type as the keys provided on the front panel of the song accommodator main body in which each key of the remote controller performs the same function.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노래반주장치의 원격조정기 및 이러한 원격조정기를 포함하는 노래반주장치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 2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ong accommodating device including a remote controller and a song accommod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a는 도 1a와 같이 일반적인 노래반주장치 본체의 전면 패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전면 패널 키배열과 동일한 키배열 및 키형태를 갖는 본 고안이 적용된 노래반주장치의 원격조정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노래반주장치 본체(10)와 노래반주장치 본체(10)의 전면 패널에 구비된 키배열과 동일한 키배열 및 상호 동일한 키형태를 갖는 원격조정기(100)를 도시하고 있다.Figure 2a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front panel of the general song accommodator main body as shown in Figure 1a, Figure 2b is a song accompaniment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key arrangement and key form as the front panel key arrangement of Figure 2a 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remot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mote controller having the same key configuration and the same key configuration as the key arrangement provided on the front panel of the karaoke apparatus body 10 and the karaoke apparatus body 10 ( 100 is shown.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조정기(100)는 상술한 노래반주장치 본체(10)와 같이 그 중앙부위는 노래반주장치 본체(10)의 디스플레이창(11)과 유사한 모양을 가지면서 축소된 공간(110)이 형성되며, 그 공간(110)의 좌우측으로 노래반주장치 본체(10)의 키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키들이 동일한 형태로 동일한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B, the remote controller 100 has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display window 11 of the song accommodating body 10, as shown in FIG. The space 110 is formed, and the keys having the same function as the keys of the song accommodating body 10 are arrang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same shape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pace 110.

즉, 도 2b에 도시된 원격조정기(100)는 가로측이 더 긴 직사각형에 가까운 형태로서, 노래반주장치 본체(10)와 유사한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키배열 및 키형태 등으로 미루어 볼 때, 노래반주장치 본체(10) 전면 패널의 축소판이라 할 수 있다.That is, the remote controller 100 shown in FIG. 2B has a shape that is similar to the song accommodator main body 10 as the horizontal side is closer to the longer rectangle, and when viewed in terms of key arrangement and key shape, etc. The accommodating apparatus main body 10 may be referred to as a miniature plate of the front panel.

한편, 음량조절, 중창효과, 음정교정 또는 음성변조 등과 같이 원격조정기에만 있는 기능키들(170)은 상술한 축소된 공간(110)에 배열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unction keys 170 only in the remote controller such as volume control, midsole effect, pitch correction, or voice modulation are arranged in the above-mentioned reduced space 110.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노래반주장치 본체(10)와 원격조정기(100)의 키배열 및 키형태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 the key arrangement and key shape of the song accommodator main body 10 and the remote controller 100 shown in FIG. 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노래반주장치 본체(10)에서 정지키(12)와 시작키(13)는 숫자키 중에서 '0'키(14)의 좌우측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그 하단에는 예약취소키(15)와 예약키(16) 등이 배열되어 있다.First, the stop key 12 and the start key 13 in the song accommodating device body 10 are arrang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0' key 14 among the numeric keys, and at the bottom thereof, the reservation cancel key 15 and the reservation are made. The keys 16 and the like are arranged.

또한, 원격조정기(100)에서 상술한 정지키(12) 및 시작키(13)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정지키(120) 및 시작키(130)의 위치를 살펴보면 노래반주장치 본체(10)의 키배열과 동일하게 숫자키 중에서 '0'키(140)의 좌우측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그 하단에는 예약취소키(150)와 예약키(160) 등이 배열되어 있다.In addition, looking at the position of the stop key 120 and the start key 130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above-described stop key 12 and start key 13 in the remote controller 100 of the song accommodating device main body 10 Similarly to the key arrangement, the number keys are arrang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0' key 140, and at the bottom thereof, the reservation cancel key 150 and the reservation key 160 are arranged.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 2에서 볼 때, 도 1과는 달리 정지키(120), 시작키(130), 예약취소키(150)와 예약키(160) 등 원격조정기(100)에 구비된 다른 키들 또한, 노래반주장치 본체(10)에 구비된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키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배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2, which show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unlike FIG. 1, the stop key 120, the start key 130, the reservation cancel key 150, and the reservation key 160 are described. It can be seen that other keys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ler 100, etc., are also arrang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position of the key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provided in the song accommodating body 10.

또한, 원격조정장치(100)와 노래반주장치 본체(10)의 예약취소키(150)(15)와 예약키(160)(16)를 비롯하여 같은 기능의 키들은 그 형태 또한 동일함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keys of the same function, including the reservation cancel keys 150 and 15 and the reservation key 160 and 16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00 and the main body of the song accommodating apparatus 10, are also identical in form. have.

한편, 원격조정기(100)에서는 노래반주장치의 동작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않아 비어있는 축소된 공간(110)에는 원격조정기에만 있는 기능키들(170)이 일목요연하게 배열되어 있음으로 해서, 노래반주장치 본체(10) 및 원격조정기(100)에 공통적으로 구비되는 키배열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remote controller 100 does not perform a function of visually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song accommodating device, the function keys 170 only in the remote controller are arranged in a clear and reduced space 110. The key arrangement commonly provided in the karaoke apparatus main body 10 and the remote controller 100 is not affected.

물론, 모든 노래반주장치 전면 패널의 형태 및 전면 패널에 구비된 키들의 종류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도시한 도 2a와는 같지 않은 것이 사실이며, 따라서 이들 노래반주장치의 원격조정기의 형태 및 구비하고 있는 키들의 종류도 도 2b와는 같지 않겠지만,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모든 가요반주기 및 가요반주기의 원격조정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Of course, it is true that the shape of all the song accompaniment front panels and the types of keys provided on the front panel are not the same as that shown in Fig. 2A, which is shown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shape and provision of the remote controller of these song accompaniment devices. The type of keys are not the same as in Figure 2b,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of these flexible half cycle and the remote control of the flexible half cyc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노래반주장치의 원격조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노래반주장치에 의하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노래반주장치의 원격조정기의 각 키들과 본체 전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키들을 동일한 형태로 동일한 위치에 배열시킴으로써 노래반주장치의 사용에 익숙하지 않는 사용자라 하더라도 노래반주장치 본체의 키배열만으로도 원격조정기의 키배열을 쉽게 알 수 있으며, 어두운 실내에서 원격조정기를 이용하는 경우라도 노래반주장치 본체에서 발광되고 있는 키의 위치를 보고 원격조정기의 해당 키를 쉽게 찾을 수 있음으로 신속하게 키조작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emote controller of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and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ach of the keys of the remote controller of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and a plurality of keys provided in the front panel of the main body are the same. By arranging them in the same position in the form, even us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the use of the song accommodating device can easily know the key arrang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only by the key arrangement of the song accommodating body, and even when using the remote controller in a dark room, By looking at the position of the key that is emitted from the main body, it is easy to find the corresponding key of the remote controller, so that the key operation can be performed quickly.

Claims (4)

전면 패널에 복수의 키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키 중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소정의 키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 패널에 구비된 키들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키들을 가지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키신호를 본체로 송출하는 원격조정기를 갖는 노래반주장치에 있어서,A main body having a plurality of keys on the front panel and operating in response to a predetermined key input signal pressed by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keys, and key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the keys provided on the front panel of the main body. In the song accommodating device having a remote controller for transmitting the key signal to the main body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상기 원격조정기는 상기 본체의 전면 패널에 구비된 각 키들과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기능의 키가 위치하는 키배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장치의 원격조정기.And the remote controller has a key arrangement in which a key having the same function is located at the same position as each of the keys provided on the front panel of the main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조정기의 각 키들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keys of the remote controller,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노래반주장치 본체 전면 패널에 구비된 키들과 그 형태가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장치의 원격조정기.The remote controller of the song accommod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key and the shape of the keys provided on the front panel of the song accommodating body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전면 패널에 복수의 키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키 중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소정의 키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노래반주장치의 본체; 및A main body of the song accommodat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keys on the front panel and operating in response to a predetermined key input signal pressed by a user among the plurality of keys; And 상기 본체의 전면 패널에 구비된 각 키들과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기능의 키가 위치하는 키배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장치의 원격조정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장치.Song accommod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remote controller of the song accommod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key array in which the same function key is located at the same position as each of the keys provided on the front panel of the main bod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조정기의 각 키들은,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each of the keys of the remote controller,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노래반주장치 본체 전면 패널에 구비된 키들과 그 형태가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장치.Song accommod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type as the keys provided on the front panel of the song accommodating body main body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KR2019990001664U 1999-02-04 1999-02-04 Romote controller for karaoke KR20000016627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664U KR20000016627U (en) 1999-02-04 1999-02-04 Romote controller for karaok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664U KR20000016627U (en) 1999-02-04 1999-02-04 Romote controller for karaok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627U true KR20000016627U (en) 2000-09-25

Family

ID=54758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1664U KR20000016627U (en) 1999-02-04 1999-02-04 Romote controller for karaok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6627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319292A (en) Display device and keyboard instrument using the same
EP1956805A3 (en) Portable terminal
US6207913B1 (en) Operation switch
KR20000016627U (en) Romote controller for karaoke
JPH0576087A (en) Remote controller
JP2002149094A (en) Display
JP3309117B2 (en) Musical characteristic visualization device
JPH0784306B2 (en) Operating device in elevator car
KR20050100962A (en) A display apparatus using the afterimage effect
JPH0848466A (en) Operating panel for elevator
JP3580699B2 (en) Key press display
GB2069216A (en) Display for electronic game
KR102176976B1 (en) Device for learning keyboard
JPH01240904A (en) Building control system
JPH025556Y2 (en)
US20050270760A1 (en) Keyboard having a light emitting effect
KR200423839Y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an afterimage
JPS6037577Y2 (en) scale display device
JP2002116761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and sound volume display method
JPS62150608A (en) Panel switching device
JP3159421B2 (en) Communication equipment
JPH03246838A (en) Switch unit
KR20090011349U (en) Display for Noraebang and Noraebang-layout using the same
JPH06302239A (en) Electrical equipment
JPH1124818A (en) Keyboar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