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6093U - 디스플레이 패널 시야각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 시야각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6093U
KR20000016093U KR2019990000919U KR19990000919U KR20000016093U KR 20000016093 U KR20000016093 U KR 20000016093U KR 2019990000919 U KR2019990000919 U KR 2019990000919U KR 19990000919 U KR19990000919 U KR 19990000919U KR 20000016093 U KR20000016093 U KR 200000160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isplay panel
fixed
positioning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09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900009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6093U/ko
Publication of KR200000160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093U/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23Arrangements for providing a switchable viewing ang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씨디(LCD)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모니터와 같은 각종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패널 시야각 조절장치에 있어서, 사용부품수를 절감하여 구조를 간단화하면서도 각도 조절이 원활하게 되도록 개선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의 후면에 고정되는 지지판(20)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중앙의 축공(22) 주위에 다수개의 위치결정홈(23)이 원주상으로 형성되는 힌지판(21)을 구비하고, 받침대(2a)에 고정되는 고정판(30)에 고정되어 상기 힌지판(21)의 축공(22)에 축착되는 힌지축(31)을 구비하며, 상기 힌지판(21)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위치결정홈(23)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위치결정돌부(41)가 양측 탄성돌출간(42)의 단부에 형성되는 위치결정판(40)을 구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이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의 시야각을 조절하면 위치결정판(40)의 위치결정돌부(41)와 힌지판(21)의 위치결정홈(23)에 의하여 위치가 결정되어 조절된 각도가 안정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회동시켜 시야각을 조절하고자 하는 동일한 목적을 수행하면서 부품수를 대폭 감소시키고, 구조를 간단히 해주면서 완전한 동작이 되게 하였으며, 장시간 사용해도 변형이 되지 않는 판스프링재 위치결정판을 이용하여 내구성 및 신뢰성 문제를 해결하였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 시야각 조절장치{APPARATUS TO ADJUST THE SIGHT ANGLE OF A DISPLAY PANNEL}
본 고안은 엘씨디(LCD; liquid crystal display)를 이용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모니터와 같은 각종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패널 시야각 조절장치에 있어서, 사용부품수를 절감하여 구조를 간단화하면서도 각도 조절이 원활하게 되도록 한 디스플레이 패널 시야각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엘씨디(LCD)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패널을 화상표시수단으로 이용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및 모니터가 폭 넓게 보급되고 있으며,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제품 들은 브라운관을 이용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및 모니터에 비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 있으므로 대체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엘씨디(LCD)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텔레비젼 수상기 및 모니터 등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회동시켜 시야각을 조절하고 외광반사를 없애도록 되어 있으며, 종래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시야각을 조절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시야각 조절장치는 사용 부품수가 많이 요구되는 복잡한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패널 시야각 조절장치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1에는 종래 디스플레이 패널형 모니터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 및 도 3에는 종래 디스플레이 패널 시야각 조절장치를 보인 종단면도 및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 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 부호 1은 디스플레이 패널, 2는 받침판을 보인 것으로, 종래의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을 지탱해주는 지지판(1a)의 좌,우 중간부에 형성된 체결공(1b)에 지지구(4)가 나사(3)로 체결되고, 지지구(4)는 양측부에 판스프링(6)과 스페이서(7)를 개재하여 나사결합되는 고정구(5)와 힌지축(8)에 의해 지지 브래키트A(11)에 결합되어 있으며, 힌지축(8)에는 지지판(1a)이 상방향 복원력을 가지도록 하는 토션 스프링(10)이 삽입되고, 힌지축(8)은 지지 브래키트B(9)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토션 스프링(10)의 한쪽 끝은 지지구(4)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4a)에 걸리고, 다른쪽 끝은 지지 브래키트B(9)의 걸림돌기(9a)에 걸려 토션력을 가지면서 결합되며, 상기 고정구(5)의 지지구(4) 양측부에 결합되는 스페이서(7)는 체결부의 윤활작용을 도와주고 판스프링(6)은 밀착력을 도와준다.
상기 고정구(5)는 힌지축(8)의 일단부에 형성된 나사부(8a)에 나사 결합되고, 힌지축(8)의 사각단면의 타단부는 지지 브래키트B(9)의 사각공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 브래키트A(11)와 지지 브래키트B(9)는 베이스(12)에 형성된 체결공(12a),(12b)에 나사(3)로 견고하게 체결된다.
이렇게 조립된 힌지 조립체는 받침판(2)과 받침대(2a)에 결합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은 이러한 힌지 조립체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의 무게와 토션 스프링(10)에 의해서 상측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은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또 끝마무리용 고정구(5)와 지지구(4) 사이에 삽입되는 2장의 판스프링(6)과 힌지축(8) 회전시 소음을 막아주는 윤활유를 장기적으로 함유하도록 하는 스페이서(7)가 서로 견고히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힌지축(8)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므로 회전력이 적으면서도 임의의 각도로 회전이 가능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고정구(5)를 회전시켜 결합이 느슨하게 한 후, 디스플레이 패널(1)을 전,후로 회동시켜 각도를 조절하고, 고정구(5)를 다시 조이게 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의 각도 조절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스페이서(7)는 윤활작용을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 즉 디스플레이 패널(1)의 후면에 고정된 지지구(4)가 원활하게 회동하도록하고, 힌지축(8)에 결합된 토션 스프링(10)은 디스플레이 패널(1)을 앞으로 회동시킬 때에 복원탄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이 보다 쉽게 회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패널 시야각 조절장치는 많은 부품수가 사용되는 복잡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원가가 증가하고, 조립 및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아니라, 디스플레이 패널에 토션 스프링의 복원력이 항상 작용하고 있으므로 조절된 각도가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각도 조절 작업이 불편하고, 사용자가 다수회 시야각 보정을 위한 조작행위를 반복할 때 시야각을 고정해주는 힌지부의 판스프링이 마모되어 시야각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함 및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시야각 보정용 힌지 구조를 대폭 개선하여 구조를 간단하면서도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 시야각 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디스플레이 패널형 모니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디스플레이 패널 시야각 조절장치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종래 디스플레이 패널 시야각 조절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 시야각 조절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단면도로서,
도 4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절된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치를 조절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 시야각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플레이 패널2 : 받침판
2a : 받침대20 : 지지판
21 : 힌지판22 : 축공
23 : 위치결정홈30 : 고정판
31 : 힌지축40 : 위치결정판
41 : 위치결정돌부42 : 탄성돌출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받침판의 받침대에 시야각 조절가능하게 결합된 것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고정되는 지지판의 양단부에 구비되고 중앙의 축공 주위에 다수개의 위치결정홈이 형성되는 힌지판과, 받침대에 고정되는 고정판에 고정되어 상기 힌지판의 축공에 축착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판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위치결정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위치결정돌부가 양측 탄성돌출간의 단부에 형성되는 위치결정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판은 지지판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지지판을 제거하고 힌지판만을 별도로 형성하여, 이 힌지판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케이스에 결합하는 구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힌지판에 형성되는 위치결정홈은 힌지판의 축공 주위의 원주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형태를 갖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소정각도의 원호상에 제한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시야각을 조절할 목적으로 360도를 회전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회전 각도만을 고려한다면 위치결정홈을 소정 각도 범위에 한정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위치결정홈이 형성되는 각도 범위는 꼭 한정될 필요는 없다.
상기 지지판, 힌지판, 고정판, 위치결정판 및 힌지축 등의 부품은 강판 및 강봉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한 강도가 유지되는 범위에서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 시야각 조절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단면도로서, 도 4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절된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5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치를 조절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고안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 시야각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 시야각 조절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의 후면에 지지판(20)이 나사 체결되어 고정되고, 지지판(20)의 양단부에는 힌지판(21)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받침대(2a)에 나사 체결 등으로 고정되는 고정판(30)에는 상단부에 힌지축 끼움부(34)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31)이 억지끼움으로 고정되고, 상기 힌지판(21) 내면의 축공(22) 주위에는 원주상에 다수개의 원형 위치결정홈(23)이 형성되며, 힌지축(31)과 위치결정판(40)은 키형 축단부와 고정공(43)으로 결합된다.
상기 위치결정판(40)의 양측 탄성돌출간(42)에는 위치결정돌부(41)로서 예를들어 엠보싱 돌기가 형성되며, 힌지축(31)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홈(32)에는 위치결정판(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33)가 고정된다.
상기 지지판(20)은 양단부에 힌지판(21)이 일체로 구비되도록 프레스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30)은 상단부에 힌지축 끼움부(34)가 구비되도록 프레스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결정판(40)은 스프링력을 가지는 판재로 형성되고, 위치결정판(40)의 고정공(43)은 원호부와 직선부를 가지는 반달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위치결정판(40)의 고정공(43)에 끼워지는 힌지축(31)도 같은 반달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힌지축(31)이 회전할 때에 위치결정판(40)이 함께 회전하면서 헛돌지 않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장치를 조립할 때에는 힌지판(21)이 구비된 지지판(20)을 디스플레이 패널(1)의 후면에 나사 체결시킴과 아울러 고정판(30)을 받침대(2a)에 나사 체결시키고, 관절 역할을 하는 힌지축(31)의 단부에 위치결정판(40)을 끼운 후, 힌지축(31)의 단부를 힌지판(21)의 축공(22)에 삽입하고, 힌지축(31), 위치결정판(40) 및 힌지판(21)을 밀착시키면서 힌지축(31)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홈(32)에 와셔(33)를 압입시키면 위치결정판(40)이 힌지판(21)과 힌지축(31)의 단턱부 사이에 밀착되어 안정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 디스플레이 패널 시야각 조절장치의 시야각 조절작용을 보면, 도 4와 같이 힌지축(31)에 고정된 위치결정판(40)의 위치결정돌부(41)가 지지판(20)의 위치결정홈(23)에 삽입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이 무단히 움직이지 못하고 안정하게 고정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도 4의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을 시야각을 조절하기 위하여 약간 힘을 가하여 회동시키면 도 5와 같이, 위치결정판(40)의 양측 탄성돌출간(42)이 자체 탄성에 의해 휘어지면서 힌지축(31)과 위치결정판(40)이 함께 회전하게 되며, 디스플레이 패널(1)을 계속 회동시키면 위치결정판(40)의 양측 탄성돌출간(42)에 형성된 위치결정돌부(41)가 지지판(20)의 위치결정홈(23)에 탄력적으로 삽입 및 이탈되면서 회동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의 적합한 시야각이 조절되고 탄성돌출간(42)의 위치결정돌부(41)가 위치결정홈(23)에 삽입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의 회동을 중지시키면 디스플레이 패널(1)이 시야각이 확보된 위치에서 다시 안정하게 유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회동시켜 시야각을 조절하고자 하는 동일한 목적을 수행하면서 부품수를 대폭 감소시키고, 구조를 간단히 해주면서 완전한 동작이 되게 하였으며, 장시간 사용해도 변형이 되지 않는 판스프링재 위치결정판을 이용하여 내구성 및 신뢰성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 구조가 간단함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되고, 원재료비가 저렴하게 요구되므로 제품의 경쟁력 확보에도 보다 용이하게 된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되고 청구된 원리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 안에서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는 여러가지 실시형태는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디스플레이 패널이 받침판의 받침대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 것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고정되는 지지판의 양단부에 구비되고 중앙의 축공 주위에 다수개의 위치결정홈이 원주상으로 형성되는 힌지판과, 상기 받침대에 고정되는 고정판에 고정되어 상기 힌지판의 축공에 축착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판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위치결정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위치결정돌부가 양측 탄성돌출간의 단부에 형성되는 위치결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시야각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와셔를 고정하여 상기 위치결정판을 상기 힌지판에 밀착되게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시야각 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판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고정공과, 상기 힌지축의 단부가 반달형으로 형성되어, 키결합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시야각 조절장치.
KR2019990000919U 1999-01-25 1999-01-25 디스플레이 패널 시야각 조절장치 KR2000001609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919U KR20000016093U (ko) 1999-01-25 1999-01-25 디스플레이 패널 시야각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919U KR20000016093U (ko) 1999-01-25 1999-01-25 디스플레이 패널 시야각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093U true KR20000016093U (ko) 2000-08-16

Family

ID=54758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919U KR20000016093U (ko) 1999-01-25 1999-01-25 디스플레이 패널 시야각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609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843B1 (ko) * 2001-12-22 2007-11-2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843B1 (ko) * 2001-12-22 2007-11-2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3524B1 (ko) 영상표시기기용 힌지어셈블리
US7334765B2 (en) Display apparatus
EP1785661B1 (en) Apparatus to support a display device
EP2020557B1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00171011A1 (en) Support stand for flat-panel display monitor
US20020002759A1 (en) Hinge assembly for LCD monitor
US7338019B2 (en) Adjusting assembly for LCD monitor
US20100050383A1 (en) Electronic device
US20090173869A1 (en) Cantilever structure of mounting frame
US20100102191A1 (en) Hinge assembly
US20080141489A1 (en) Hinge assembly
US20100107368A1 (en) Hinge assembly
CN102563320B (zh) 一种有阻尼的旋转壁挂支架
KR20000016093U (ko) 디스플레이 패널 시야각 조절장치
US20090070962A1 (en) Open-slot hinge fixing assembly
KR100443866B1 (ko) 회전력 조절 가능한 힌지 장치
JP2009047743A (ja) 表示装置
KR20080102714A (ko) 디스플레이 기기
KR20020024644A (ko) 영상표시기기용 힌지어셈블리
KR200244606Y1 (ko) 엘씨디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
KR100485373B1 (ko) 액정 모니터용 힌지장치
KR20000054173A (ko) 엘.씨.디 모니터용 힌지 어셈블리
JP4502695B2 (ja) 電子機器の支持装置
KR20030056775A (ko)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힌지 어셈블리
KR200304304Y1 (ko) 액정 모니터용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