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5216A -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5216A
KR20000015216A KR1019980034993A KR19980034993A KR20000015216A KR 20000015216 A KR20000015216 A KR 20000015216A KR 1019980034993 A KR1019980034993 A KR 1019980034993A KR 19980034993 A KR19980034993 A KR 19980034993A KR 20000015216 A KR20000015216 A KR 20000015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drive shaft
support member
sealed cas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4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영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34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5216A/ko
Priority to US09/359,315 priority patent/US6209328B1/en
Priority to JP11209484A priority patent/JP3102639B2/ja
Priority to CN99111115.XA priority patent/CN1211619C/zh
Publication of KR20000015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21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9/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 F25B9/14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cycle used, e.g. Stirling cycle
    • F25B9/145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cycle used, e.g. Stirling cycle pulse-tub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09/00Gas cycle refrigeration machines
    • F25B2309/14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ycle used 
    • F25B2309/1421Pulse-tube cycles characterised by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피스톤의 직선 왕복운동을 유도하는 각 지지부재가 장시간 왕복운동에 따른 피로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었던 것은 물론, 각 지지부재의 제작 및 조립시 동심도를 일치시켜야 하는 부담으로 인해 그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에서는 피스톤이 지속적으로 왕복운동을 하도록 하는 탄성용 지지부재를 피로한도에 강한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대체함으로써, 상기 탄성용 지지부재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그 탄성용 지지부재의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게 되는 것은 물론, 상기 안내용 지지부재를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게 되고, 맥동관 냉동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장치
본 발명은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동가스를 펌핑하는 피스톤이 직선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각 부품을 동심상에 제작 조립하는데 적합한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 전자부품 및 초전도체의 냉각을 위한 극저온 냉동기로 스터링 냉동기(Stirling Refrigerator) 및 지엠 냉동기(GM Refrigerator)등의 열재생식 냉동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냉동기들은 그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운전속도를 낮추어야 하거나, 또는 작동가스의 펌핑시 마찰부위의 마모에 대비하여 윤활을 실시하여야 했다.
이에 최근에는 냉동기의 높은 신뢰성을 유지하면서도 고속운전이 가능하여 냉동효율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별도의 윤활이 필요없어 장기간 보수를 하지 않아도 되는 극저온 냉동기가 요구되고 있는데, 이러한 극저온 냉동기중의 하나가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Lubricationless Pulse Tube Refrigerator)이다.
도 1은 종래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일례를 종단면하여 보인 개략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는, 작동가스의 왕복운동을 발생시키는 구동부(100)와, 그 구동부(100)에 의해 펌핑되면서 관내를 왕복운동 하는 작동가스의 열역학적 사이클에 의해 극저온부를 갖게 되는 냉동부(200)로 크게 구분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100)는 실린더부(110a)가 구비되고 내부에 작동가스가 충진된 밀폐케이스(110)와, 그 밀폐케이스(110)의 내부에 장착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20)와, 그 구동모터(120)의 가동자에 결합되어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구동축(130)과, 그 구동축(130)에 연결됨과 아울러 밀폐케이스(110)의 실린더부(110a)에 삽입되어 구동축(130)과 함께 직선 왕복운동을 하면서 작동가스를 펌핑하는 피스톤(140)과, 상기 밀폐케이스(110)와 구동축(130) 사이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구동모터(120)의 가동자의 직선 왕복운동을 탄성에너지로 저장하고 그 저장된 탄성에너지를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면서 구동모터(120)의 공진운동을 유발시킴과 아울러 구동모터(120)의 가동자의 직선운동을 전달받아 움직이는 피스톤(140)의 직진성을 안내하는 지지부재(151,15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밀폐케이스(110)는 피스톤(140)이 삽입되어 직선 왕복운동을 하도록 실린더부(110a)가 형성되는 상부프레임(111)과, 그 상부프레임(111)의 저면에 밀착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구동축(130)의 상단이 결합된 안내용 지지부재(151)가 체결됨과 아울러 상기 구동모터(120)가 고정 장착되는 중간프레임(112)과, 그 중간프레임(112)의 저면에 밀착 결합되어 구동축(130)의 하단에 결합된 탄성용 지지부재(152)가 체결되는 하부프레임(113)과, 상기 중간프레임(112) 및 하부프레임(113)을 감싸도록 상부프레임(111)의 하단면에 밀봉 결합되어 밀폐케이스(110)로부터 작동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셸(11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중간프레임(112)은 그 내주면 중간에 구동모터(120)를 장착시키기 위한 모터장착부(112a)가 환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모터장착부(112a)의 상측에는 상부 지지부재(151)가 얹혀져 체결되기 위한 수개의 돌기형 지지부재 장착부(112b)가 동일한 높이의 원주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13)은 그 내주면에 하부 지지부재(152)를 체결시키기 위한 수개의 돌기형 지지부재 장착부(113a)가 중간프레임(112)의 지지부재 장착부(112b)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높이의 원주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151,152)는 모두 스파이럴타입으로 형성된 원판형의 판스프링으로서, 그 각각의 중앙에 형성되는 구동축 장착공(151a,152a)은 피스톤(140)의 직진성이 유지되도록 상부프레임(111)의 실린더부(110a)와 함께 동심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모터(120)는 다수개의 철편이 원통형으로 적층된 내,외측 라미네이션(121A,121B)과, 그 중에서 외측 라미네이션(121B)에 수개의 코일(121b)이 장착된 고정자(121)와, 그 고정자(121)의 내,외측 라미네이션(121A,121B) 사이에 개재되어 구동축(130)과 결합되고 상기 코일(121b)에 대향되도록 마그네트(122b)가 장착된 가동자(122)로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리니어 모터로서, 상기 고정자(121)가 밀폐케이스(110)의 중간프레임(112)에 체결되어 있고, 상기 가동자(122)는 별도의 연결링(123)에 의해 고정자(121)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구동축(130)은 구동모터(120)의 가동자(122)에 일체되는 것으로, 그 상단은 안내용 지지부재(151)를 관통하여 피스톤(140)에 일체로 압입되는 반면, 그 하단은 하부 지지부재(152)의 중앙을 관통하여 별도의 고정부재(160)로 체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냉동부(200)는 밀폐케이스(110)의 실린더부(110a)에서 펌핑된 작동가스에 의해 내부의 작동가스가 질량유동되면서 양단부에서 압축과 팽창이 각각 발생되어 압축이 일어나는 압축부(211)에서는 열을 발생시키는 반면 팽창이 일어나는 팽창부(212)에서는 외부의 열을 흡수하는 맥동관(210)과, 그 맥동관(210)의 압축부(211)에 연결되어 왕복하는 작동가스의 질량유동과 압력맥동 사이에 위상차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열적평형을 이루도록 하는 오리피스(220)와, 그 오리피스(220)에 연결되어 작동가스가 일시 체류하는 저장용기(230)와, 상기 맥동관(210)의 팽창부(212)와 구동부(100)의 실린더부(110a) 사이에 연결되어 맥동관(210)으로 펌핑되는 작동가스의 현열을 저장하였다가 맥동관(210)에서 구동부(100)의 실린더부(110a)로 되돌아 가는 작동가스의 온도를 보상하는 재생기(240)와, 그 재생기(240)와 구동부(100)의 실린더부(110a) 사이에 연결되어 펌핑되는 고온고압의 작동가스를 우선 냉각시키는 예냉기(2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먼저, 상기 중간프레임(112)의 모터지지부(112a)에 구동모터(120)의 외측 라미네이션(121B)을 체결시키고, 그 외측 라미네이션(121B)에 내측 라미네이션(121A)을 삽입한 다음에 연결링(123)을 이용하여 내,외측 라미네이션(121A,121B)을 일체로 체결시키며, 상기 내,외측 라미네이션(121A,121B) 사이의 공극에 구동축(130)이 결합된 원통형의 가동자(122)를 개재시키고, 상기 구동축(130)이 중앙을 관통하도록 하여 안내용 지지부재(151)를 중간프레임(112)의 지지부재 장착부(112b)에 얹어 체결시키며, 상기 중간프레임(112)의 하단에는 하부프레임(113)을 체결시키고, 그 하부프레임(113)의 지지부재 장착부(113a)에는 탄성용 지지부재(152)를 체결시키며, 상기 구동축(130)의 상단에는 피스톤(140)을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피스톤(140)은 직선 왕복운동시 실린더부(110a)와의 간극이 약 5μm를 유지하도록 안내용 및 탄성용 지지부재(151,152)의 구동축 장착공(151a,152a) 및 실린더부(110a)가 동심도를 유지하도록 조립되어야 한다.
이후, 상기 중간프레임(112)의 상단에는 피스톤(140)이 실린더부(110a)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부프레임(111)을 체결시키고, 그 상부프레임(111)의 하단에는 중간프레임(112)과 하부프레임(113)을 감싸는 밀봉셸(114)을 결합시킨다.
다음, 상기 실린더부(110a)의 선단면에 예냉기(250)를 결합시키고, 그 예냉기(250)에 재생기(240), 맥동관(210), 오리피스(220), 저장용기(230) 등을 차례대로 결합시킨다.
한편, 종래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동작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상기 구동모터(120)에 전원이 인가되어 가동자(122)가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되면, 그 가동자(122)에 결합된 구동축(130) 역시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되고, 그 구동축(130)에 일체로 결합된 피스톤(140)이 실린더부(110a) 내에서 직선 왕복운동을 하면서 작동가스를 펌핑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140)의 압축행정시는 실린더부(110a)의 작동가스가 예냉기(250)쪽으로 유출되고, 그 예냉기(250)에서 소정 온도로 미리 냉각된 작동가스는 재생기(240)를 거치면서 열교환되어 내부의 현열을 저장한 상태로 맥동관(210)으로 유입되는데, 이 유입되는 작동가스에 의해 맥동관(210)에 충진되어 있던 작동가스는 오리피스(220)쪽으로 밀리면서 압축되어 맥동관(210)의 압축부(211)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그 상승된 온도는 작동가스가 오리피스(220)를 지나면서 단열팽창되어 외부로 방열된다.
이후, 상기 맥동관(210)은 피스톤(140)의 압축행정과 팽창행정간 사이에서 고압상태의 열적 평형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작동가스는 지속적으로 오리피스(220)를 통해 맥동관(210)으로부터 저장용기(230)로 이동하여 맥동관(210)의 온도를 낮추게 된다.
이후, 상기 피스톤(140)의 팽창행정시는 맥동관(210)으로 유입되었던 작동가스를 흡입하면서 맥동관(210)내의 작동가스를 재생기(240)쪽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재생기(240)를 통해 맥동관(210)을 빠져나가는 작동가스의 질량유량에 비해 오리프스(220)를 통해 맥동관(210)으로 유입되는 작동가스의 질량유량이 훨씬 적기 때문에 상기 맥동관(210)에서의 작동가스는 단열 팽창된다. 이 작동가스의 단열팽창은 통상 냉측 열교환기(미부호)가 장착된 재생기(240)쪽에서 급격하게 발생되어 극저온부가 형성된다.
다음, 상기 맥동관(210)은 피스톤(140)의 팽창행정과 압축행정 사이에서 저압상태의 열적평형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작동가스는 지속적으로 오리피스(220)를 통해 저장용기(230)에서 맥동관(210)으로 이동하면서 맥동관(210)내 작동가스의 압력을 높여 처음의 온도를 회복하게 된다.
상기 구동축(130)의 상,하단부에 결합된 상,하부 지지부재(151,152)는 구동축(130)의 왕복운동을 받아 가동자(122)의 직선 왕복운동을 탄성에너지로 저장하고, 그 저장된 탄성에너지를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면서 피스톤(140)의 공진운동을 유발시킴과 아울러 가동자의 직선운동을 전달받아 움직이는 피스톤(140)이 실린더부(110a)의 내주벽과 항상 일정한 공차를 두고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는, 구동축(130)의 양단부에 안내용 및 탄성용 지지부재(151,152)가 각각 장착되어 구동축(130)의 양단을 구속하면서 구동모터(120)의 공진성 및 피스톤의 왕복 직진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구조이나, 이는 상기 지지부재(151,152)가 구동모터(120)의 지속적인 공진운동을 위해 탄성부의 면적 또는 두께를 좁게 형성하거나 또는 얇게 형성하게 되어 상기 지지부재(151,152)의 탄성부가 장시간 왕복운동에 따른 피로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상기 피스톤(140)이 실린더부(110a)와 미소간극을 두고 무윤활 왕복운동을 하기 위하여는 피스톤(140)의 직진성이 보장되어야 하는데, 실제 실린더부(110a)와 각 지지부재(151,152)가 동심상에 일치되도록 제작하기도 난해할 뿐만 아니라 조립과정도 용이하지 못하여 피스톤(140)과 실린더부(110a) 사이에 마찰이 발생될 우려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가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상기 지지부재가 구동모터의 공진성을 유지하기 위한 지속적인 왕복운동에 따른 피로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동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의 직진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지지부재의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여 별도의 윤활유를 사용하지 않고도 피스톤과 실린더부 사이에 마찰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장치를 제공하려는데도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일례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종래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장치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 A"를 보인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일례를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장치를 확대하여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B - B"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0 : 밀폐케이스 310a : 실린더부
311 : 상부프레임 311a : 고정부재
312 : 하부프레임 312a : 모터지지부
313 : 밀봉셸 320 : 구동모터
330 : 구동축 340 : 피스톤
350 : 탄성용 지지부재 360 : 안내용 지지부재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린더부가 구비되고 내부에 작동가스가 충진된 밀폐케이스와, 그 밀폐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그 구동모터의 가동자에 결합되어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구동축과, 그 구동축에 연결됨과 아울러 밀폐케이스의 실린더부에 삽입되어 구동축과 함께 직선 왕복운동을 하면서 작동가스를 펌핑하는 피스톤과, 상기 밀폐케이스의 내부에 결합되어 구동모터의 가동자의 직선 왕복운동을 탄성에너지로 저장하고 그 저장된 탄성에너지를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면서 피스톤의 공진운동을 유도하는 탄성용 지지부재와, 상기 밀폐케이스의 내부에 결합되어 구동모터의 가동자와 함께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이 직진성을 유지하도록 안내하는 안내용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일례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장치를 확대하여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B - B"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가스를 압축하여 맥동관으로 대표되는 냉동부(200)로 공급하거나 반대로 상기 냉동부로부터 작동가스를 반출해내도록 냉동부(200)의 일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실린더부(310a)가 구비되고 내부에 작동가스가 충진된 밀폐케이스(310)와, 그 밀폐케이스(310)의 내부에 장착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320)와, 그 구동모터(320)의 가동자에 결합되어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구동축(330)과, 그 구동축(330)에 연결됨과 아울러 밀폐케이스(310)의 실린더부(310a)에 삽입되어 구동축(330)과 함께 직선 왕복운동을 하면서 작동가스를 펌핑하는 피스톤(340)과, 상기 밀폐케이스(310)의 내부에 결합되어 구동모터(320)의 가동자의 직선 왕복운동을 탄성에너지로 저장하고 그 저장된 탄성에너지를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면서 피스톤(340)의 공진운동을 유도하는 탄성용 지지부재(350)와, 상기 밀폐케이스(310)의 내부에 결합되어 구동모터(320)의 가동자와 함께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340)의 직진성을 유지하도록 안내하는 안내용 지지부재(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밀폐케이스(310)는 피스톤(340)이 삽입되어 직선 왕복운동을 하도록 실린더부(310a)가 형성됨과 아울러 안내용 지지부재(360)가 체결되기 위한 고정부재(311a)가 결합되는 상부프레임(311)과, 그 상부프레임(311)의 저면에 밀착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구동모터(320)가 고정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구동축(330)의 하단에 결합된 탄성용 지지부재(350)가 장착되는 하부프레임(312)과, 상기 하부프레임(313)을 감싸도록 상부프레임(311)의 저면에 밀봉 결합되어 밀폐케이스(310)로부터 작동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셸(3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프레임(311)의 고정부재(311a)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별도로 제작하여 후조립하거나 또는 상부프레임(311)의 제작시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내주면에 안내용 지지부재(360)가 얹혀져 체결되기 위한 지지부재 장착부(미부호)가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프레임(312)의 내주면에는 구동모터(320)의 고정자가 장착되기 위한 모터지지부(312a)가 원주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그 바닥면 중앙에는 탄성용 지지부재(350)의 하단이 얹혀져 지지된다.
상기 탄성용 지지부재(350)는 구동축(330)의 하단부에 외삽되는 압축 코일스프링으로서, 상기 구동모터(320)의 가동자의 왕복운동시 공진운동을 유발시킴과 아울러 피스톤(340)이 직선 왕복운동을 하도록 그 상단은 구동축(330)에 구속되는 반면, 하단은 하부프레임(312)의 바닥면에 지지 구속된다.
상기 안내용 지지부재(360)는 피스톤(340)의 왕복운동시 탄성적으로 동작되면서 피스톤(340)의 직진성을 유지하도록 그 외주면이 상부프레임(311)에 체결되는 반면 내주면은 구동축(330)에 체결되는 유연성 재질로, 그 탄성부(361)가 스파이럴 타입 또는 방사형으로 형성된 원판형 판스프링 등 그 형상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다만 중앙에 형성되는 구동축 장착공(362)은 피스톤(340)의 직진성이 유지되도록 상부프레임(311)의 실린더부(310a)와 동심상에 형성되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모터(320)는 다수개의 철편이 원통형으로 적층된 내,외측 라미네이션(321A,321B) 및 그 중에서 외측 라미네이션(321B)에 수개의 코일(321b)이 장착된 고정자(321)와, 그 고정자(321)의 내,외측 라미네이션(321A,321B) 사이에 개재되어 구동축(330)과 결합되고 상기 코일(321b)에 대향되도록 마그네트(322b)가 장착된 가동자(322)로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리니어 모터로서, 상기 내,외측 라미네이션(321A,321B)이 밀폐케이스(310)의 하부프레임(312)에 체결된다.
상기 구동축(330)은 구동모터(320)의 가동자(322)에 일체되는 것으로, 그 상단에는 피스톤(340)이 일체로 결합되는 반면 상단부 외주면에는 안내용 지지부재(360)인 판스프링이 얹혀져 체결되기 위한 상부지지턱(331)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탄성용 지지부재(350)인 압축 코일스프링이 삽입되어 지지되기 위한 하부지지턱(332)이 형성된다.
도면중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210은 맥동관, 211 및 212는 온측부 및 냉측부, 220은 오리피스, 230은 저장용기, 240은 재생기, 250은 예냉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장치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먼저, 상기 구동모터(320)의 고정자(321)인 내,외측 라미네이션(321A,321B)을 하부프레임(312)에 고정 체결하고, 그 중에서 내측 라미네이션(321A)의 중앙에 탄성용 지지부재(350)가 삽입된 구동축(330)을 삽입시킴과 아울러 상기 내,외측 라미네이션(321A,321B)사이의 공극에는 구동축(330)과 일체된 구동모터(320)의 가동자(322)를 개재시키며, 상기 구동축(330)의 상단부에 안내용 지지부재(360)를 체결시키고, 그 안내용 지지부재(360)의 외주면에는 고정부재(311a)를 체결시키며, 상기 구동축(330)의 상단에 피스톤(340)을 조립시킨 다음에, 그 피스톤(340)이 실린더부(310a)에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부재(311a)에 상부프레임(311)을 결합시킴과 아울러 그 상부프레임(311)을 하부프레임(312)에 체결시킨다.
이후, 상기 상부프레임(311)의 저면에 밀봉셸(313)을 체결시켜 작동가스가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320)에 전원이 인가되어 가동자(322)가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되면, 그 가동자(322)에 결합된 구동축(330) 역시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되고, 그 구동축(330)에 일체로 결합된 피스톤(340)이 실린더부(310a) 내에서 직선 왕복운동을 하면서 작동가스를 펌핑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축(330)의 하단부에 결합된 탄성용 지지부재(350)인 압축 코일스프링은 구동축(330)의 왕복운동을 받아 수축 및 팽창되면서 가동자(322)의 직선 왕복운동을 탄성에너지로 저장하고, 그 저장된 탄성에너지를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면서 가동자(322)를 공진운동시켜 피스톤(340)이 지속적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한다.
반면, 상기 구동축(330)의 상단부에 결합된 안내용 지지부재(360)는 가동자(322)의 직선운동을 전달받아 탄력적으로 요동되면서 움직이는 피스톤(340)이 실린더부(310a)의 내주벽과 항상 일정한 공차를 두고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피스톤(340)의 반경방향을 지지한다.
이렇게 하여, 상기 안내용 지지부재(360)는 탄성부가 구비된 판형 스프링이나, 상기 가동자(322)의 왕복운동시 구동축(330) 및 피스톤(340)이 항상 직진성을 유지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반면, 상기 가동자(322)의 공진운동을 유도하여 구동축(330) 및 피스톤(340)이 지속적으로 왕복운동을 하도록 하는 역할은 구동축(33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탄성용 지지부재(350)인 압축 코일스프링이 담당을 하게 되므로써, 상기 탄성용 지지부재(350)가 과다한 하중을 받지 않게 되어 파손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는 것은 물론, 그 탄성용 지지부재(350)의 제작 및 조립시 동심도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가 있게 되고, 상기 안내용 지지부재(360)의 형상을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종래에는 밀폐케이스가 상,중,하부프레임 및 밀봉셸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레임 중에서 하부프레임이 제거되므로 맥동관 냉동기의 전체크기가 소형화되는 효과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장치는, 상기 피스톤이 지속적으로 왕복운동을 하도록 하는 탄성용 지지부재를 피로한도에 강한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대체함으로써, 상기 탄성용 지지부재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그 탄성용 지지부재의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게 되는 것은 물론, 상기 안내용 지지부재를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게 되고, 맥동관 냉동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실린더부가 구비되고 내부에 작동가스가 충진된 밀폐케이스와, 그 밀폐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그 구동모터의 가동자에 결합되어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구동축과, 그 구동축에 연결됨과 아울러 밀폐케이스의 실린더부에 삽입되어 구동축과 함께 직선 왕복운동을 하면서 작동가스를 펌핑하는 피스톤과, 상기 밀폐케이스의 내부에 결합되어 구동모터의 가동자의 직선 왕복운동을 탄성에너지로 저장하고 그 저장된 탄성에너지를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면서 피스톤의 공진운동을 유도하는 탄성용 지지부재와, 상기 밀폐케이스의 내부에 결합되어 구동모터의 가동자와 함께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이 직진성을 유지하도록 안내하는 안내용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케이스는 피스톤이 삽입되어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실린더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안내용 지지부재가 체결되는 상부프레임과, 그 상부프레임의 저면에 밀착 결합되어 내부에 구동모터가 고정 장착됨과 아울러 탄성용 지지부재가 구속되는 하부프레임과, 그 하부프레임을 감싸도록 상부프레임의 저면에 밀봉 결합되어 밀폐케이스로부터 작동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용 지지부재는 그 상단이 구동축에 구속되는 반면 하단은 하부프레임에 구속되도록 구동축에 삽입되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유발되는 가동자의 공진운동을 구동축을 통해 피스톤에 전달하는 압축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용 지지부재는 그 외주면이 상부프레임에 체결되는 반면 내주면은 구동축에 체결되어 피스톤의 왕복운동시 탄성적으로 동작되면서 피스톤의 직진성을 유지하는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장치.
KR1019980034993A 1998-07-23 1998-08-27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장치 KR2000001521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993A KR20000015216A (ko) 1998-08-27 1998-08-27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장치
US09/359,315 US6209328B1 (en) 1998-07-23 1999-07-23 Oil-free compressor-integrated pulse tube refrigerator
JP11209484A JP3102639B2 (ja) 1998-07-23 1999-07-23 無給油方式の圧縮機一体型脈動管冷凍機
CN99111115.XA CN1211619C (zh) 1998-07-23 1999-07-23 与无油型压缩机做成一体的脉冲管致冷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993A KR20000015216A (ko) 1998-08-27 1998-08-27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216A true KR20000015216A (ko) 2000-03-15

Family

ID=19548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4993A KR20000015216A (ko) 1998-07-23 1998-08-27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521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02639B2 (ja) 無給油方式の圧縮機一体型脈動管冷凍機
US5642618A (en) Combination gas and flexure spring construction for free piston devices
US3220201A (en) Cryogenic refrigerator operating on the stirling cycle
JP2933390B2 (ja) 一体型スターリングクリオクーラ用のシール構造体
KR100393792B1 (ko) 맥동관 냉동기
KR100304566B1 (ko) 무윤활맥동관냉동기의구동장치
KR100304567B1 (ko) 무윤활맥동관냉동기의구동장치
KR100304570B1 (ko) 무윤활맥동관냉동기의구동장치
KR20110097065A (ko) 극저온 냉동기
KR100296296B1 (ko) 선형액츄에이터
KR20000015216A (ko)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장치
KR100279616B1 (ko)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판스프링 지지구조
KR100284427B1 (ko) 맥동관냉동기의구동모터방열장치
KR100311373B1 (ko) 무윤활맥동관냉동기
KR100304569B1 (ko) 무윤활맥동관냉동기의가스누설저감구조
CN110736264A (zh) 一种机架及自由活塞分置式斯特林制冷机
KR100314026B1 (ko)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장치
KR100273437B1 (ko) 선형 액츄에이터 방열구조
KR100314027B1 (ko)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장치
KR100374827B1 (ko) 극저온 냉동기의 진동 흡수장치
KR100283156B1 (ko)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예냉기 구조
KR20000012905A (ko) 맥동관 냉동기의 구동축 및 피스톤 결합구조
KR20000009342A (ko)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
KR100333397B1 (ko) 스터링냉동기
KR100348620B1 (ko)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패시브 밸런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