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5212A - Structure for connecting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computer system - Google Patents

Structure for connecting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compute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5212A
KR20000015212A KR1019980034988A KR19980034988A KR20000015212A KR 20000015212 A KR20000015212 A KR 20000015212A KR 1019980034988 A KR1019980034988 A KR 1019980034988A KR 19980034988 A KR19980034988 A KR 19980034988A KR 20000015212 A KR20000015212 A KR 20000015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omputer system
connector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49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04110B1 (en
Inventor
장진희
송병용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34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4110B1/en
Publication of KR20000015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2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110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using hardware independent of the central processor, e.g. channel or peripheral process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PURPOSE: A structure is provided to connect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computer system directly without a separate cable. CONSTITUTION: The structure for connecting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computer system comprises: cradles(32) having an opening(34) toward one plane of the computer system; a first connector(30) connected with an electronic circuit of the computer system so as to be exposed connectors to an inside of the cradles; a housing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formed to be received into the cradles through the opening; a second connector(58) instal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or so as for connectors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s of the first connector(30).

Description

컴퓨터 시스템에 휴대형 통신 단말기를 접속시키기 위한 구조(A STRUCTURE FOR CONNECTING A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 TO A COMPUTER SYSTEM)A STRUCTURE FOR CONNECTING A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 TO A COMPUTER SYSTEM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 휴대형 통신 단말기를 접속시키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컴퓨터 시스템과 휴대형 통신 단말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connecting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computer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computer system and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통신 분야와 컴퓨터 분야는 급속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특히, 두 분야에서는 장소와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들을 통신 분야에서는 휴대형 통신 단말기로, 컴퓨터 분야에서는 휴대형 컴퓨터로 불리고 있다. 또한, 상기 휴대형 통신 단말기를 상기 휴대형 컴퓨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통신을 이용한 다양한 정보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e telecommunications and computer fields are developing rapidly. In particular, in both fields, systems that can be used without restrictions of place and time are being used and are being developed. Such systems are called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in the communication field and portable computers in the computer field. In addition, by connecting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portable computer, it is possible to use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functions using communication.

도 1은 종래 노트북 컴퓨터에 휴대형 통신 단말기를 접속시키는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connecting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conventional notebook computer.

일반적으로, 노트북 컴퓨터(100)와 같은 휴대형 컴퓨터들에는 통신 라인과 연결하여 통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노트북 컴퓨터(100)에서 통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대표적인 전자 요소에는 모뎀(modem)(도시 않음)이 있다. 상기 노트북 컴퓨터(100)는 상기 모뎀을 외부의 통신 라인과 연결시킬 수 있도록 커넥터(102)가 노출되어 있다. 또한, 휴대형 통신 단말기(110)에는 상기 노트북 컴퓨터(100)와 같은 다른 전자 장치와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portable computers such as the notebook computer 100 ar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line to use a communication function. A representative electronic element that enables the notebook computer 100 to use a communication function is a modem (not shown). The laptop computer 100 has a connector 102 exposed to connect the modem with an external communication line. In addition,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s configured to connect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such as the notebook computer 100.

종래 상기 노트북 컴퓨터(100)와 상기 휴대형 통신 단말기(110)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케이블(120)을 사용해야 한다. 상기 케이블(120)에는 상기 노트북 컴퓨터(100)와 상기 휴대형 통신 단말기(110)를 접속시키기 위한 커넥터들(도시 않음)이 각 단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 컴퓨터 시스템에 휴대형 통신 단말기를 접속시키기 위한 구조는 별도의 케이블을 사용함으로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의 불편한 점을 가져다 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상기 케이블을 항상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을 느끼게 될 것이다. 종래 컴퓨터 시스템에 휴대형 통신 단말기를 접속시키기 위한 구조는 별도의 케이블이 없이는 컴퓨터 시스템과 휴대형 통신 단말기를 접속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In order to connect the notebook computer 100 and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 separate cable 120 should be used. The cable 120 is provided with connectors (not shown) for connecting the notebook computer 100 and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t each end. As such, the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onventional computer system can bring various inconveniences to the user by using a separate cable. For example, a user may feel inconvenient to carry the cable at all times. The conventional structure for connecting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computer system is because the computer system and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cannot be connected without a separate cabl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컴퓨터 시스템과 휴대형 통신 기기를 접속시켜서 사용할 때 별도의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컴퓨터 시스템에 휴대형 통신 단말기를 접속시키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structure for connecting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new type computer system that does not use a separate cable when the computer system and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re used in connection. To provide.

도 1은 종래 노트북 컴퓨터에 휴대형 통신 단말기를 접속시키는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connecting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conventional notebook computer;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에 휴대형 통신 단말기를 접속시키는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들;2A and 2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ructure for connecting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notebook compu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와 휴대형 통신 단말기의 결합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portion between a notebook computer and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노트북 컴퓨터 20 : 베이스10: notebook computer 20: base

22 : 베이스 하우징 24 : 키보드 어셈블리22: base housing 24: keyboard assembly

26 : 포인팅 디바이스 28 : 시스템 보드26: pointing device 28: system board

30 : 컴퓨터 커넥터 32 : 크레들30: computer connector 32: cradle

34 : 크레들 오프닝 40 : 디스플레이 패널34 cradle opening 40 display panel

42 : 디스플레이 50 : 휴대형 통신 단말기42: display 50: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52 : 단말기 베이스 54 : 단말기 플립부52: terminal base 54: terminal flip portion

56 : 키 어셈블리 58 : 단말기 커넥터56: key assembly 58: terminal connector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컴퓨터 시스템에 휴대형 통신 단말기를 접속시키기 위한 구조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일면으로 오프닝이 형성되어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로 형성된 크레들과; 상기 크레들의 내부로 컨택트들이 노출되도록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전자 회로와 연결된 제 1 커넥터와; 일부가 상기 오프닝을 통하여 상기 크레들에 수용되도록 형성된 상기 휴대형 통신 단말기의 하우징 및; 컨택트들이 상기 제 1 커넥터의 컨택트들과 접속되도록 상기 제 1 커넥터와 대응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설치된 제 2 커넥터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structure for connecting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computer system comprises: a cradle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computer system opening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mputer system; A first connector coupled with electronic circuitry of the computer system to expose contacts into the cradle; A housing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ortion of which is configured to be received in the cradle through the opening; And a second connector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or a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such that the contacts are connected to the contacts of the first connector.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휴대형 통신 단말기의 시스템 유니트가 내장되는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의 일단에 피벗 결합되어 상기 제 1 부분에 덮여지고 펼쳐지는 제 2 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2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노트북 컴퓨터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housing includes: a first portion in which the system unit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mbedded; And a second portion pivotally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portion and covered and unfolded on the first portion, wherein the second connector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portion. The computer system may also be a notebook computer.

전술한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 크레들을 형성하고, 상기 크레들에 일부가 수용되도록 휴대형 통신 단말기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크레들과 하우징에는 서로 결합관계를 갖는 커넥터들을 구비된다. 이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에 휴대형 통신 단말기를 접속시키기 위한 구조에 의하면, 휴대형 통신 단말기가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므로 별도의 케이블이 필요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형 통신 기기와 컴퓨터 시스템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휴대형 통신 단말기와 컴퓨터 시스템의 접속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형 컴퓨터와 휴대형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들은 별도의 케이블을 휴대할 필요가 없으므로, 휴대형 전자 기기를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adle is formed in the computer system, and the housing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cradle. In addition, the cradle and the housing are provided with connectors having a mating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o such a computer system, since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mputer system, no separate cable is required. Thus,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computer system. In addition, since a separate cable is not us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mputer system can be stably maintained. In particular, users of a portable computer such as a notebook computer and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do not need to carry a separate cable, so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a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상기 도면들에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병기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A to 3.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denoted together for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에 휴대형 통신 단말기를 접속시키는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2A and 2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structure of connecting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notebook compu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10)는 베이스(20)와 디스플레이 패널(40)을 갖는다. 상기 베이스(20)에는 다양한 전자 요소들이 수납된다. 이때, 상기 전자 요소들에는 다수 개의 키 스위치들과 상기 키 스위치들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매트릭스(matrix)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으로 구성된 키보드 어셈블리(22)와 컴퓨터의 중앙 연산 장치(CPU) 그리고, 배터리와 같은 전원 공급 장치 및 하드 디스크 또는 플로피 디스크 등의 적당한 저장 장치들이 있다. 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40)의 디스플레이(42) 상의 포인터를 제어하기 위한 포인팅 디바이스(24) 등이 있다. 상기 전자 요소들은 상기 베이스(20)의 하우징(22) 내부에 위치되거나, 상기 베이스 하우징(22)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40)은 상기 베이스(20)의 뒷부분에서 일반적으로 힌지구조의 어떤 형태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20)에 피벗 결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40)은 상기 베이스(20)의 윗면에 덮였을 때 상기 베이스(20)의 윗면으로 노출되어 있는 키보드의 키 엘리먼트들(key elements)을 보호하는 커버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40)이 열렸을 때 컴퓨터 사용자가 보는 디스플레이(42)를 수납하는 홀더(holder)의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40)의 전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42)는 비디오 모니터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표시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2A and 2B, a notebook comput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se 20 and a display panel 40. The base 20 houses various electronic elements. In this case, the electronic components include a keyboard assembly 22 including a plurality of key switches and at least one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matrix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key switches, and a central computing unit (CPU) of a computer. And power supplies such as batteries and suitable storage devices such as hard disks or floppy disks. There is also a pointing device 24 for controlling the pointer on the display 42 of the display panel 40. The electronic elements are located inside the housing 22 of the base 20 or positioned to be exposed out of the base housing 22. The display panel 40 is pivotally coupled to the base 20 through a form of a hinge structure generally at the rear of the base 20. The display panel 40 serves as a cover that protects key elements of a keyboard exposed to the top of the base 20 when the display panel 40 is covered on the top of the base 20. When the display panel 40 is opened, the display panel 40 serves as a holder for receiving the display 42 viewed by the computer user. Meanwhile, the display 42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display panel 40 may be formed of a display device such as a video monitor or a liquid crystal display.

일반적으로, 상기 휴대형 통신 단말기(50)는 베이스(52)와 플립부(54)로 구성된다. 상기 단말기 베이스(52)에는 상기 휴대형 통신 단말기(5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유니트(도시 않음)가 설치된다. 상기 플립부(54)에는 전화 번호 등을 입력할 수 있는 키 어셈블리(56) 등이 설치된다. 상기 플립부(54)는 상기 단말기 베이스(52)와 피벗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 베이스(52)에/로부터 덮여지고/펼쳐지므로써 상기 베이스(52)의 커버 역할도 한다. 또, 상기 단말기 베이스(52) 또는 플립부(54)에는 상기 휴대형 통신 단말기(50)의 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가 설치될 수 있다.In general,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50 is composed of a base 52 and the flip portion (54). The terminal base 52 is provided with a system unit (not shown) for performing the function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50. The flip unit 54 is provided with a key assembly 56 for inputting a telephone number and the like. The flip portion 54 pivotally couples with the terminal base 52 to be covered / unfolded on / from the terminal base 52 to serve as a cover of the base 52. In addition, a display showing a state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50 may be installed in the terminal base 52 or the flip portion 54.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22)에는 크레들(32)이 형성된다. 상기 크레들(32)의 상기 베이스 하우징(22)의 측면으로 형성된 오프닝(34)을 갖는다. 이 형성된다. 상기 휴대형 통신 단말기(50)의 플립부(54)의 끝단은 상기 크레들(32)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크레들(32)은 상기 플립부(54)를 수용하고, 도 2b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휴대형 통신 단말기(50)가 상기 노트북 컴퓨터(10)에 결합되어 있도록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se housing 22 is formed with a cradle 32. It has an opening 34 formed on the side of the base housing 22 of the cradle 32. Is formed. An end of the flip portion 54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50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cradle 32. The cradle 32 accommodates the flip portion 54 and allows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50 to be coupled to the notebook computer 10 as shown in FIG. 2B.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와 휴대형 통신 단말기의 결합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portion between a notebook computer and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하우징(22)의 내부에는 시스템 보드(28)가 설치된다. 상기 시스템 보드(28)에는 컴퓨터 커넥터(30)가 설치된다. 상기 컴퓨터 커넥터(30)의 컨택트들(도시 않음)은 상기 크레들(32)로 노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택트들은 상기 휴대형 통신 단말기(50)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물론, 상기 컴퓨터 커넥터(30)의 커넥터들은 다양한 위치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컴퓨터 커넥터(30)는 상기 휴대형 통신 단말기(50)의 커넥터(58)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단말기 커넥터(58)는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50)의 플립부(54)의 끝단에 배치된다. 물론, 상기 단말기 커넥터(58)와 상기 컴퓨터 커넥터(30)는 서로 결합되는 관계를 갖도록 설치되어야 한다.Referring to FIG. 3, a system board 28 is installed in the base housing 22. The computer connector 30 is installed on the system board 28. Contacts (not shown) of the computer connector 30 are exposed to the cradle 32. Preferably, the contacts are arranged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50 is inserted. Of course, the connectors of the computer connector 30 may be formed in various positions. The computer connector 3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nnector 58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50. The terminal connector 58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flip portion 54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50. Of course, the terminal connector 58 and the computer connector 30 should be installed to have a coupling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휴대형 통신 단말기가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므로 별도의 케이블이 필요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형 통신 기기와 컴퓨터 시스템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휴대형 통신 단말기와 컴퓨터 시스템의 접속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형 컴퓨터와 휴대형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들은 별도의 케이블을 휴대할 필요가 없으므로, 휴대형 전자 기기를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mputer system, no separate cable is required. Thus,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computer system. In addition, since a separate cable is not us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mputer system can be stably maintained. In particular, users of a portable computer such as a notebook computer and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do not need to carry a separate cable, so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Claims (3)

컴퓨터 시스템에 휴대형 통신 단말기를 접속시키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In a structure for connecting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computer system,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일면으로 오프닝이 형성되어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로 형성된 크레들과;A cradle having an opening formed in one surface of the computer system and formed into the computer system; 상기 크레들의 내부로 컨택트들이 노출되도록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전자 회로와 연결된 제 1 커넥터와;A first connector coupled with electronic circuitry of the computer system to expose contacts into the cradle; 일부가 상기 오프닝을 통하여 상기 크레들에 수용되도록 형성된 상기 휴대형 통신 단말기의 하우징과;A housing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ortion of which is configured to be received in the cradle through the opening; 컨택트들이 상기 제 1 커넥터의 컨택트들과 접속되도록 상기 제 1 커넥터와 대응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설치된 제 2 커넥터를 포함하여,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상기 크레들에 상기 휴대형 통신 단말기의 하우징을 수용시켜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과 상기 휴대형 통신 단말기를 접속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휴대형 통신 단말기를 접속시키기 위한 구조.A second connector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or a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such that the contacts are connected to the contacts of the first connector; A structure for connecting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computer system, wherein the computer system can be connected to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우징은 상기 휴대형 통신 단말기의 시스템 유니트가 내장되는 제 1 부분 및;The housing includes a first portion in which the system unit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mbedded; 상기 제 1 부분의 일단에 피벗 결합되어 상기 제 1 부분에 덮여지고 펼쳐지는 제 2 부분을 포함하되,A second portion pivotally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portion and covered and unfolded in the first portion,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2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통신 단말기를 접속시키기 위한 구조.And said second connector is disposed in said second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노트북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휴대형 통신 단말기를 접속시키기 위한 구조.The computer system is a structure for connecting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comput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notebook computer.
KR10-1998-0034988A 1998-08-27 1998-08-27 A structure for connecting a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 to a computer system KR1005041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988A KR100504110B1 (en) 1998-08-27 1998-08-27 A structure for connecting a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 to a comput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988A KR100504110B1 (en) 1998-08-27 1998-08-27 A structure for connecting a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 to a computer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212A true KR20000015212A (en) 2000-03-15
KR100504110B1 KR100504110B1 (en) 2005-09-26

Family

ID=19548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4988A KR100504110B1 (en) 1998-08-27 1998-08-27 A structure for connecting a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 to a compute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411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265B1 (en) 2008-12-24 2010-09-02 주식회사 이티에이 Front connector for input/output module of PLC system having system for preventing socket terminal from de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4110B1 (en) 2005-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8358B1 (en) Portable computer with mounting apparatus for camera
US6229695B1 (en) Palm-sized computer with a frame to hold device plates
JP2823182B2 (en) Mobile phone equipment
US5619396A (en) Modular PCMCIA card
KR100304520B1 (en) High density flexible circuit element and communication device using same
US6147858A (en) Keyboard unit and portable type informa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US683922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external unit
KR100504110B1 (en) A structure for connecting a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 to a computer system
WO1995024007A1 (en) Modular, reconfigurable devices
KR100294262B1 (en) Cable guide device and portable computer installing cable guide device
JPH10243442A (en) Portable telephone set
JP2633486B2 (en) IC card
KR19990000117U (en) Portable computer with slide camera
JPH09330148A (en) Compact electronical equipment structure
CN216161920U (en) Intercommunication device
JP2000208952A (en) Electronic apparatus
KR200360118Y1 (en) USB plug unit
JP3365384B2 (en) Mobile phone equipment
JPH0934592A (en) Information processor
KR100315563B1 (en) A portable computer having a cable guiding structure
KR200166225Y1 (en) Apparatus for contacting point of flip cover
CN115793870A (en) Detachable leather sheath keyboard and use method
JP3070538B2 (en) Mobile phone equipment
JP2000216914A (en) Portable telephone device
KR20000004990U (en) Handheld computer with han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