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4461U - 세탁기용 저수조의 이물질 유입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세탁기용 저수조의 이물질 유입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4461U
KR20000014461U KR2019980027771U KR19980027771U KR20000014461U KR 20000014461 U KR20000014461 U KR 20000014461U KR 2019980027771 U KR2019980027771 U KR 2019980027771U KR 19980027771 U KR19980027771 U KR 19980027771U KR 20000014461 U KR20000014461 U KR 200000144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shing tank
reservoir
pulsato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77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희태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277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4461U/ko
Publication of KR200000144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461U/ko

Links

Landscapes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기용 저수조의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세탁기는 세탁조와 펠세이터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저수조의 배수구를 막히게 하거나 펄세이터의 회전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캐비닛(10)의 내부에 세탁물의 세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저수조(20)와 세탁조(22)가 설치되고, 세탁조(22)의 바닥에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펄세이터(24)가 설치된다. 그리고, 세탁조(22)의 바닥면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리브(22a)가 원주방향을 따라 이어지도록 형성되며, 펄세이터(24)의 밑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세탁조(22)의 리브(22a)가 삽입되는 삽입홈(24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펠세이터와 세탁조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단추, 동전 또는 핀 등과 같은 이물질은 저수조의 내부로 유입될 수 없는 것이다.

Description

세탁기용 저수조의 이물질 유입 방지구조
본 고안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수조의 내부로 동전, 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세탁기용 저수조의 이물질 유입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조에 세탁물과 물, 그리고 적당한 양의 세제를 넣고 기계적인 물살(flow of water)에 의한 충격을 세탁물에 주어 일련의 세탁 및 헹굼, 탈수 등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세탁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0)의 상부에는 입구(12)가 형성되고, 이 캐비닛(10)의 입구(12)는 도어(14)에 의해 열리고 닫히게 된다. 캐비닛(10)의 상면 전방에는 컨트롤 패널(16)이 장착되며, 캐비닛(10)의 상면 후방에는 급수 밸브(18)가 장착된다. 그리고 캐비닛(10)의 내부에는 급수밸브(18)로부터 유입된 세탁수를 저장하는 저수조(20)가 설치되고, 저수조(20)의 내부에는 세탁조(2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세탁조(22)의 바닥에는 대략 원판 형상의 펄세이터(24)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저수조(20)의 저면에는 세탁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구(2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수조(20)의 저면 중앙에는 세탁조(22)와 펄세이터(24)를 회전시키는 기어장치(26)가 설치된다. 이 기어장치(26)는 저수조(20)의 저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M)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그 회전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세탁조(22)를 회전시키거나 펄세이터(24)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세탁조(22)에 세탁물과 세탁수, 그리고 적당한 양의 세제를 넣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16)을 조작하면, 모터(M)가 구동되어 펄세이터(24)가 회전한다. 그러면, 펄세이터에 의해 돌개 물살이 발생되고, 잇달아 분출 물살, 폭포물살, 소나기 물살이 발생되며, 여기에 도시하지 않은 기포 발생기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기포, 즉 공기방울이 공급되면서 세탁물의 세탁 행정이 수행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세탁기는 세탁조와 펠세이터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저수조의 배수구를 막히게 하거나 펄세이터의 회전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펠세이터(24)는 도 2에서와 같이 세탁조(22)의 바닥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바, 펠세이터(24)와 세탁조(22)의 바닥면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t)가 형성되며, 이 틈새(t)로 세탁중인 세탁물의 단추나 동전 또는 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면, 상기 이물질은 저수조(20)의 내부로 흘러들어 저수조(20)의 바닥면에 쌓이거나 저수조(20)의 배수구(26)를 막아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펠세이터와 세탁조의 바닥면과의 틈새(t)를 제거하여 단추, 동전 또는 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저수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세탁기용 저수조의 이물질 유입 방지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세탁기를 나타내는 세탁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용 저수조의 이물질 유입 방지구조를 나타내는 세탁기의 측면도,
도 4는 도 2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요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캐비닛 20: 저수조
22: 세탁조 22a: 리브
24: 펄세이터 24a: 삽입홈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캐비닛의 내부에 세탁물의 세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저수조와 세탁조가 설치되고, 상기 세탁조의 바닥면에는 펄세이터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의 바닥면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리브가 원주방향을 따라 이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펄세이터의 밑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세탁조의 리브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용 저수조의 이물질 유입 방지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용 저수조의 이물질 유입 방지구조를 나타내는 세탁기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우선,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세탁기의 세탁조(22)와 펠세이터(24)의 사이에는 세탁물의 단추, 동전 또는 핀 등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구조가 형성된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입구(12)를 갖는 캐비닛(10)의 상부에는 도어(14)가 설치되며, 캐비닛(10)의 상면에는 컨트롤 패널(16)과 급수 밸브(18)가 각각 장착된다. 캐비닛(10)의 내부에는 급수밸브(18)로부터 유입된 세탁수를 저장하는 저수조(20)가 설치되고, 저수조(20)의 내부에는 세탁조(2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세탁조(22)의 바닥면에는 리브(2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리브(22a)는 세탁조(22)의 바닥면의 상부로 돌출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세탁조(22)의 바닥에는 펄세이터(24)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 펄세이터(24)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수지를 소재로 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것으로, 펄세이터(24)의 밑면 가장자리에는 세탁조(22)의 리브(22a)가 삽입되는 삽입홈(24a)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홈(24a)은 리브(22a)가 삽입홈(24a)내에서 슬리딩하며 이동가능하도록 그 폭이 리브(22a)보다는 넓게 형성된다.
한편, 이에 의해 펄세이터(24)는 세탁조(22)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며, 따라서 이물질은 저수조(2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 것이다.
즉, 펄세이터(24)가 세탁조(22)에 조립된 상태는 펄세이터(24)의 삽입홈(24a)에 세탁조(22)의 리브(22a)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세탁조(22)와 펄세이터(24)의 사이에는 틈새가 거의 형성되지 않으며, 따라서 동전, 단추 및 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저수조(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저수조(20)의 저면에는 세탁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구(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수조(20)의 저면 중앙에는 세탁조(22)와 펄세이터(24)를 회전시키는 기어장치(26)가 설치된다. 이 기어장치(26)는 저수조(20)의 저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M)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그 회전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세탁조(22)를 회전시키거나 펄세이터(24)를 회전시킨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세탁조(22)에 세탁물과 세탁수, 그리고 적당한 양의 세제를 넣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16)을 조작하면, 모터(M)가 구동되어 펄세이터(24)가 회전한다. 그러면, 펄세이터에 의해 돌개 물살이 발생되고, 잇달아 분출 물살, 폭포물살, 소나기 물살이 발생되며, 여기에 도시하지 않은 기포 발생기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기포, 즉 공기방울이 공급되면서 세탁물의 세탁 행정이 수행된다.
한편, 세탁물에서 단추, 동전 또는 핀과 같은 이물질이 세탁조(22)의 바닥에 떨어지더라도 펄세이터(24)와 세탁조(22)가 서로 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이물질은 저수조(20) 내부로 유입될 수 없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용 저수조의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는 펠세이터와 세탁조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단추, 동전 또는 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저수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캐비닛(10)의 내부에 세탁물의 세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저수조(20)와 세탁조(22)가 설치되고, 상기 세탁조(22)의 바닥면에는 펄세이터(2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22)의 바닥면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리브(22a)가 원주방향을 따라 이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펄세이터(24)의 밑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세탁조(22)의 리브(22a)가 삽입되는 삽입홈(24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저주조의 이물질 유입 방지구조.
KR2019980027771U 1998-12-30 1998-12-30 세탁기용 저수조의 이물질 유입 방지구조 KR2000001446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771U KR20000014461U (ko) 1998-12-30 1998-12-30 세탁기용 저수조의 이물질 유입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771U KR20000014461U (ko) 1998-12-30 1998-12-30 세탁기용 저수조의 이물질 유입 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461U true KR20000014461U (ko) 2000-07-25

Family

ID=69506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7771U KR20000014461U (ko) 1998-12-30 1998-12-30 세탁기용 저수조의 이물질 유입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446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7664B1 (ko) 드럼세탁기
US20060053842A1 (en) Washing machine
US20070240456A1 (en) Drum washing machine with detergent supply device
KR20170019849A (ko) 세탁기
JP2007054416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060039186A (ko) 세탁기의 도어
KR20140120549A (ko) 세탁기
KR20000014461U (ko) 세탁기용 저수조의 이물질 유입 방지구조
KR100484798B1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KR20000014464U (ko) 세탁기용 저수조의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
KR200399783Y1 (ko) 드럼 세탁기의 펌프 커버 개폐구조
KR100637666B1 (ko) 드럼세탁기
KR100362858B1 (ko) 세탁기의 터브커버
KR200395272Y1 (ko) 세탁기
KR20050086204A (ko) 드럼 세탁기
US20220243384A1 (en) Washing machine
KR20060098835A (ko) 드럼 세탁기
KR101082888B1 (ko) 드럼 세탁기의 도어
KR100715538B1 (ko) 드럼세탁기
KR200395274Y1 (ko) 세탁기의 캐비닛 커버
JP7289042B2 (ja) 洗濯機
KR102461473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0479094B1 (ko) 세탁기
KR200207711Y1 (ko) 세탁기
KR20050080476A (ko) 드럼식 세탁기의 세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