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3642A - 인터넷/패킷망 접속을 위한 시스템 네트웍 - Google Patents

인터넷/패킷망 접속을 위한 시스템 네트웍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3642A
KR20000013642A KR1019980032614A KR19980032614A KR20000013642A KR 20000013642 A KR20000013642 A KR 20000013642A KR 1019980032614 A KR1019980032614 A KR 1019980032614A KR 19980032614 A KR19980032614 A KR 19980032614A KR 20000013642 A KR20000013642 A KR 20000013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packet
packet data
internet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2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7158B1 (ko
Inventor
임병근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8-0032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7158B1/ko
Priority to US09/348,828 priority patent/US6876634B1/en
Publication of KR20000013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7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71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6Reselection control by user or terminal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4Backbone network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가 제공된 시스템 네트웍에서 사용자가 직접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를 지정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실행 할 수 있는 인터넷/패킷망 접속을 위한 시스템 네트웍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다수의 무선 네트웍 제어기(RNC)와, 상기 무선 네트웍 제어기와 연결된 이동 교환국(MSC)과, 상기 이동 교환국과 연결된 다수의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로 구성되어, 상기 무선 네트웍 제어기와 이동 교환국이 상기 각각의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에 대해 이동통신망에서 구분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 의해 지정 호출할 수 있는 고유주소를 부여하여 임의의 데이터 단말기가 패킷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 임의의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를 지정한다.

Description

인터넷/패킷망 접속을 위한 시스템 네트웍
본 발명은 인터넷/패킷망 접속을 위한 시스템 네트웍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가 제공된 시스템 네트웍에서 사용자가 직접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를 지정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실행 할 수 인터넷/패킷망 접속을 위한 시스템 네트웍에 관한 것이다.
공중 무선 데이터 통신은 전용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사용하거나 셀룰러 모뎀을 사용하던 1 세대의 단계를 지나, 이제 디지털 셀룰라/피시에스(Cellular/PCS)망을 이용한 음성/데이터 겸용의 2 세대 무선 데이터 통신시대가 열리고 있으며, 향후 지속적으로 무선 데이터 서비스의 고속화가 추진될 전망이다. 즉, 이제 무선 이동통신에서 음성전용 또는 데이터 전용의 서비스 개념은 사라지고 음성과 데이터의 복합 서비스가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유선 망에서 시도되었던 음성/데이터 통합 서비스가 상업적인 성공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현재의 추세로 살펴보면 셀룰러/피시에스 무선 통신 망에서 실질 적인 음성. 데이터 통합 서비스가 먼저 상업적인 성공에 이를 가능성이 많고, 이를 기반으로 한 차세대 이동 전화 시스템(IMT-2000)에서 광대역의 멀티미디어 서비스까지 무선 단말기에서 제공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규정하고 있으며, 그 표준화를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요구사항의 근간이 되는 전세계 로밍 서비스와 고속 무선 데이터 서비스, 그리고 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성공을 위해서는, 현재 Q.FIN에서 요구하고 있듯이, 전 세계적으로 서비스되고 있는 인터넷과의 연동 및 패킷 데이터 통신망과의 연동이 필수적인 사항이며, 그의 구현을 위한 시스템 망 구성 방안이 현재 Q.FIN 에서 제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즉, ITU-T의 Q.FNA 에서 제시된 종래의 인터넷 및 유선 패킷망 연동을 위한 인터넷 및 패킷망 연동 시스템 네트웍의 구성도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 단말기(UDT1,2)(user data terminal)는 이동 단말기(MT1,2)(mobile terminal)와 접속하여 무선 인터넷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이동 데이터 단말이 되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acket data serving node : PDSN)는 Q.FNA에서 규정한 기능 요소(Functional entity)인 PSCF(Packet service control function)를 갖는 물리적 요소가 되고,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acket data gateway node : PDGN)는 기능요소인 PSGCF(Packet service gateway control function)를 갖는 물리적 요소이다.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과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는 무선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존재하는 망 요소로서, 데이터 단말기(UDT)와 인터넷 사이의 패킷 데이터를 무선 네트웍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 RNC)에서 연결하여 패킷 스위칭에 의한 전달을 수행한다.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와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는 패킷 데이터의 라우팅을 위해 단말의 위치이동을 상시 파악해야 하므로 방문자 위치 등록기/홈 위치 등록기(VLR/HLR)(Visitor location register/home location register)와 신호선이 연결되며, 타 사업자 망으로 로밍 해간 이동 데이터 단말기의 로밍 서비스 및 핸드오프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홈 네트웍의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가 방문네트웍의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와 네트웍 대 네트웍 인터페이스(network to network interface : NNI)로 연결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은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의 지정시 가입자가 직접 지정하는 방식이 아니고 이동통신망의 사업자가 가입자의 단말에서 지정한 패킷 서비스의 옵션에 따라서 이동 교환국과 무선 네트웍 제어기가 자신에 영역에 접속된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를 지정하였다.
따라서,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ISP의 접속 서비스가 불편한 점이 생기며, 또한, 무선 데이터 통신 사업자가 무선 데이터 사용자에게 ISP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의 서비스이므로 무선데이터 사용자는 ISP의 전문적인 서비스를 받는데 불편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가 제공된 시스템 네트웍에서 사용자가 직접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를 지정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실행 할 수 있는 인터넷/패킷망 접속을 위한 시스템 네트웍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인터넷/패킷망 접속을 위한 시스템 네트웍은 다수의 무선 네트웍 제어기(RNC)와, 상기 무선 네트웍 제어기와 연결된 이동 교환국(MSC)과, 상기 이동 교환국과 연결된 다수의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로 구성되어, 상기 무선 네트웍 제어기와 이동 교환국이 상기 각각의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에 대해 이동통신망에서 구분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 의해 지정 호출할 수 있는 고유주소를 부여하여 임의의 데이터 단말기가 패킷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 임의의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를 지정한다.
도 1은 종래의 패킷망 연동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패킷망 접속을 위한 시스템 네트웍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킷루트 제어 신호의 프로토콜 스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패킷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스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간 패킷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스택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T11, MT12 : 이동 단말기 UDT11, UDT12 : 데이터 단말기
BS11-BS13 : 기지국 RNC11, RNC12 : 무선 네트웍 제어기
MSC : 이동 교환국 PDGN :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
PDSN1-PDSN3 :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VLR/HLR : 방문자 위치 등록기/홈 위치 등록기
100 : PSTN/PCS/PLMN/ISDN/B-ISDN
200 : IMT-2000 이동통신망
300 : 인터넷/PPD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패킷망 접속을 위한 시스템 네트웍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패킷망 접속을 위한 시스템 네트웍은 다수의 무선 네트웍 제어기(RNC11,RNC12)와, 무선 네트웍 제어기(RNC11,RNC12)와 연결된 이동 교환국(MSC)과, 이동 교환국(MSC)과 각각 연결된 방문자 위치 등록기/홈 위치 등록기(VHR/HLR)와,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와, 공중 교환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개인 휴대통신 시스템(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 PCS), 육상 이동통신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 PLMN), 종합정보 통신망(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 ISDN), 광대역 종합정보 통신망(broadband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 B-ISDN)으로 이루어진 통신망(100), 이동 통신망(200)과,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에 연결된 인터넷망(300)으로 구성되어, 임의의 데이터 단말기와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사이의 데이터 경로는 직렬 통신회선의 연결이 제공되며, 또한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로 도착되는 모든 이동 데이터 단말기의 착신호는 이동 교환국(MSC)으로 연결되고, 이동 교환국(MSC)에서 이동 데이터 단말기의 위치 확인을 수행하여 패킷 경로를 설정한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200)의 네트웍은 자체적으로 광대역 통신망을 구축한 무선 네트웍이라고 할 수 있으나, 인터넷/패킷망(300)과의 연동 측면에서는 무선 엑세스 네트웍(ACCESS NETWORK)의 특징을 가지며, 데이터 단말기(UDT)와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사이의 데이터 경로는 단말 대 단말(END-TO-END)의 직렬 통신회선 연결만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패킷망 연동 시스템을 구성 할 수 있으며, 도 2에서 보여 주는 바와 같이 네트웍의 구성이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고, 방문자 위치 등록기/홈 위치 등록기(VLR/HLR)의 신호 트래픽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로 도착하는 모든 이동데이터 단말 착신호는 이동 교환국(MSC)으로 연결되고, 이동 교환국(MSC)에서 이동데이터 단말기의 위치 확인을 수행하여 패킷 경로를 설정하므로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가 직접 방문자 위치 등록기/홈 위치 등록기(VLR/HLR)에 연결될 필요가 없다.
또한, 하나의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가 다수의 이동 교환국(MSC)에 접속하거나 다수의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가 하나의 이동 교환국(MSC)에 접속하여도 용이하게 네트웍을 운용할 수 있다.
인터넷망(300)의 임의의 유선 가입자가 이동 데이터 단말을 호출 할 때, 이동 데이터 단말기는 시스템 네트웍에서 할당한 데이터용 부가 식별자 번호(Supplementary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 SMIN)로만 호출이 되므로,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는 SMIN을 갖는 데이터 단말기들이 속한 데이터 네트웍을 대표하는 서브네트웍이 되거나 패킷 네트웍 노드로서 인식되며, 데이터 단말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SMIN주소로 대표하는 서브 네트웍 주소를 갖는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가 연결된 이동 교환국(MSC)이 데이터용 홈 네트웍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안한 시스템 네트웍의 구성에서는 단말기의 기본 식별자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이 등록된 방문자 위치 등록기/홈 위치 등록기(VLR/HLR)에서 SMIN를 동시에 관리하게 되므로 데이터 용 홈 네트웍과 음성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용 홈 네트웍은 항상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동통신 시스템(200)에서 고려하고 있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가 인터넷 접속 및 X.25 패킷망 연동 접속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여 유선 망에서 가능한 다양한 응용서비스를 무선 망에서도 똑같이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는, 기본 음성 통화 및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에 사용될 것으로 보이는 회선 교환 방식의 호 접속을 위한 단말기 식별자와 기존 인터넷 패킷망과의 연동 호 접속을 위한 데이터 단말기 식별자가 있어야만 된다. 즉, 통상의 회선 교환 망에서 적용하는 단말기 식별자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을 기본 단말기 식별자로 할당받고, 인터넷 IP주소 또는 X.25 패킷망의 패킷 주소를 단말기의 데이터용 부가적 식별자 SMIN(SUPPLEMENTARY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로서 선택적으로 할당받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웍의 기본 서비스 기능은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 지정 서비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다수의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가 제공된 시스템 네트웍에서 데이터 단말기의 사용자가 직접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를 지정하여 원하는 가입자를 호출할 수 있는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 지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서비스는 도 1과 도2에 무관하게 다수의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가 구비된 시스템 네트웍에서는 모두 가능하다. 즉, 도 1 또는 도 2에서 다수의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가 연결되었다고 가정하면, 무선 네트웍 제어기(RNC1,2,11,12)와 이동 교환국(MSC)이 각각의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에 대해 이동통신망에서 구분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 의해 지정 호출할 수 있는 고유주소를 부여하여 임의의 데이터 단말기(UDT1,UDT11)가 패킷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 원하는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를 지정할 수 있다.
이때,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를 지정하여 패킷 서비스를 실시할 경우,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가 지정된 후 사용자의 비밀번호와 사용자명을 입력하도록 하고, 정확한 비밀번호와 사용자명을 입력한 사용자에 한하여 상기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시스템 네트웍을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절차로 패킷 서비스가 실시중인 상태에서 데이터 단말기가 해당 이동 교환국 또는 다른 이동 교환국 영역으로 이동하여 핸드오프 또는 로밍(roaming)되어도 시스템 네트웍에 구비된 기지국(BS), 무선 네트웍 제어기(RNC), 이동 교환국(MSC)의 연동제어에 의해 데이터 단말기와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의 경로는 계속 유지되기 때문에 패킷 데이터 서비스는 계속 제공된다.
따라서, 다수의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를 ISP의 접속장비로 운용할 경우에 많은 가입자들이 다양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인터넷/패킷망 접속 서비스
이동 데이터 단말기로부터 인터넷과 패킷 데이터 통신망을 원격으로 호출 접속하여, 인터넷 서버 및 패킷망 호스트 컴퓨터의 데이터 베이스를 접속하는 범주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서비스 기능은 유선망에서의 다이얼 업 피피피(DIAL-UP PPP)서비스 기능과, 패드(packet assembly de-assembly : PAD) 서비스 기능에 상응하는 무선 데이터 전달기능 및 게이트웨이(gateway)기능을 제공함으로서 가능하다.
이와 같은 서비스는 단말기가 데이터 망내의 호스트 또는 서버를 호출하는 것이므로 임시의 IP주소를 할당받아 통화가 가능하며 단말기 고유의 SMIN용 IP주소는 필요하지 않다.
이동 단말기의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
이동 데이터 단말기가 이동 중에도, 고유의 데이터 단말기 식별자인 SMIN용 IP주소를 가지고, 인터넷을 호출하여 서버를 접속하고 다양한 응용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이동 데이터 단말기가 호스트로서도 가능하여 인터넷 사용자가 영구적으로 할당된 단말기 SMIN IP주소를 호출하여 응용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서비스 기능은 IMT-2000 이동통신 시스템(200)이 이동 단말기의 IP 이동성을 지원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서 가능하다.
이동 단말간 패킷 서비스
상기한 두 종류의 서비스는 이동데이터 단말기와 고정 데이터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통신이 되는데, 실제 무선 데이터 통신과 IMT-2000 이동통신 서비스가 활성화되면, 이동 데이터 단말기 사이의 무선 데이터 통신이 필연적으로 요구되며 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이 지원되어야 한다.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 호출은 SMIN을 사용하도록 하며 회선 교환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패킷 교환 방식을 사용하면 기지국의 무선 가입자 수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호 프로토콜과 데이터 프로토콜에 대한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킷루트 제어 신호의 프로토콜 스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네트웍 연동 구성에서 인터넷/패킷 데이터의 루트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 프로토콜은 도 3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와 인터넷/패킷망의 연결은 에써넷(Ethernet), 프레임 릴레이, x.25 등 상황에 맞게 연결할 수 있으며,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와 이동 교환국(MSC)의 연결은 B-ISDN의 사용자 네트웍 인터페이스(User Network Interface : UNI)로 연결한다. 도 3에 도시된 RNC/MSC 요소는 RNC 측면의 기지국이 생략된 것으로, 이동 단말기(MT)와 무선 엑세스 네트웍 사이의 무선 패킷 제어는 이동 단말기(MT)와 RNC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와 이동 교환국(MSC)사이의 신호방식 PKTS(Packet signaling)은 UNI 가 되어 Q.2931이 사용되는데, 사용자 데이터가 호가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특정시간 존재하지 않는 경우 무선 구간 및 이동 교환국(MSC)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도먼트(Dormant) 상태의 회선 해제 기능을 추가하고, 인터넷/패킷망 발신 이동 데이터 단말의 착신호의 경우 SMIN번호를 사용한 착신 식별자 구분 기능을 추가한다.
무선 구간의 패킷제어프로토콜 RPKTS(Radio Packet Signaling)는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 제어 에이젼트 기능(Packet Service Control Agent Function :PSCAF)과 RNC의 패킷 서비스 제어 기능(Packet Service Control Function :PSCF)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본다. 도 3에서 MT/UDT의 AI(Application Interface)는 다이얼 업 방식에 의한 사용자의 인터넷/패킷 접속 서비스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고유한 SMIN을 가지지 않는 가입자가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의 AI를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계층이되며, 인터넷 접속이나 패킷망 접속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도 지원한다.
도 3에서 MT/UDT의 APPL 계층은 인터넷 응용 서비스 또는 패킷 응용계층이 될 수 있는데, SMIN을 가진 이동 데이터 단말기에서 인터넷 IP 또는 패킷 호스트를 접속하고자 하면, 전달 계층사이에서 이미 등록된 서비스를 호출하는 것으로 판정하여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로 호를 연결하도록 한다. 역으로, 도 3의 인터넷/PPDN망(300)의 APPL은 유선망의 사용자가 이동 데이터 단말에 할당된 SMIN 데이터 주소를 호출할 때의 요소로서 이해할 수 있다.
RNC와 이동 교환국(MSC)은 핸드오프 및 로밍시 루팅 테이블을 갱신하여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와 이동 데이터 단말의 경로를 보장한다. 로밍된 이동 데이터 단말기가 인터넷/패킷망을 접속하고자 할 때, 다이얼 업 방식으로 접속할 때는 해당 방문 네트웍의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를 경유하여 접속되나 단말기의 SMIN을 사용하는 경우는 방문 네트웍의 이동 교환국(MSC)과 홈 네트웍의 이동 교환국(MSC)을 경유한 후 홈 네트웍의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를 통해서 접속할 수 있다. 이동 데이터 단말기 사이의 무선 데이터 통신호출 및 접속은 도 3의 MT/UDT의 APPL 또는 AI를 이용하여 SMIN이나 MIN을 호출함으로써 가능하다. 여기서,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는 관여하지 않고 RNC와 이동 교환국(MSC) 그리고 착신 단말기가 위치한 RNC와 이동 교환국(MSC)만이 관여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패킷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스택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상에서 설명한 신호 프로토콜에 의해 직렬통신 경로가 설정되면 이동 데이터 단말기와 인터넷 서버 또는 패킷 호스트 사이의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은 도 4와 같이 구성된다. 여기서, 이동 교환국(MSC)의 요소는 ATM 계층에서의 릴레이 연결만 하므로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이동 데이터 단말기간의 패킷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은 도 5와 같이 구성된다.
도 4에서 이동 데이터 단말기와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사이의 데이터 측면에서 본 계층구분으로서 Relay Layer는 RLP/MAC와 ATM/AAL이 되고, Link Layer는 PPP가 되며, 나머지 상위 계층이 Network Layer와 Transport Layer로서 자리한다. Network layer는 사용자 서비스 내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SMIN을 사용하는 인터넷 접속과 무선 X.25 단말형태의 접속 시에는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의 Network Layer는 릴레이 기능만 남고 사용되지 않으며, MT/UDT의 Network Layer와 Peer Part로서 동작한다.
피피피(Point to oint Internet Protocol:PPP)는 RFC 1661 직렬 링크 통신에 사용되는 방식을 의미하는데, 이동 데이터 단말과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 사이의 통신이나 이동 데이터 단말기간이 통신 등 IMT-2000 네트웍 내에서의 데이터 통신은 LAN이나 패킷 교환망 내에서의 단말간 통신과는 다른 단말 대 단말 (Point to Point) 단일 경로 방식을 사용하는 직렬통신이므로, 양단의 링크를 연결하는 Link Layer Protocol 로서는 최적이라 판단된다. 또한, 다이얼 업 방식에서 IP 할당을 수행하는 IPCP(PPP Internet Protocol Control Protocol)을 사용하고, 이동 데이터 단말기와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사이의 link Layer 설정에는 LCP(PPP Link Control Protocol) 등을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서 피피피가 적절한 프로토콜이 된다.
도 5에서 피피피 프레임을 전달하는 AAL(ATM Adaption Layer)는 상위 계층에서 에러 정정 등을 수행하므로 재전송 기능이나 에러 정정기능이 필요없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으나, 무선 구간의 대응되는 무선 링크 프로토콜 계층(RLP)이 재전송 기능을 가진다고 할 때 , 무선 구간의 프레임 에러 발생시 버퍼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흐름제어(Flow Control)기능을 갖도록 하는 방식을 채택하는 것 이 더 효과적일 것이다.
도 5의 이동 데이터 단말기간의 패킷 데이터 통신은 이동 교환국(MSC)을 중심으로 상호 대응되는 Peer 프로토콜 계층이 동작함으로써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진다. 피피피 하위 계층은 단 대 단 데이터 링크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피피피 상위 계층은 흐름제어 및 에러 정정을 수행하고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능으로 구분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가 제공된 시스템 네트웍에서 사용자가 직접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를 지정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실행 할 수 있기 때뭉에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를 ISP의 접속장비로 운영할 경우 많은 사용자에게 매우 다양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종래의 인터넷/패킷망 접속을 위한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를 제거하고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를 이동 교환국(MSC)에 접속하여 신호링크와 패킷 데이터를 위한 타 네트웍 연동 회선을 최소화시킨 인터넷/패킷망 접속을 위한 시스템 네트웍을 제공한다.
또한, 이동 단말간 패킷 서비스, 이동 단말기의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 인터넷/패킷 망 접속 서비스의 기본 무선 데이터 접속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사용자는 현재 유선 망에서 제공하는 모든 종류의 데이터 통신 응용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의 이동성 제공의 효과를 추가로 얻게 된다.

Claims (4)

  1. 다수의 무선 네트웍 제어기(RNC)와,
    상기 무선 네트웍 제어기와 연결된 이동 교환국(MSC)과,
    상기 이동 교환국과 연결된 다수의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로 구성되어,
    상기 무선 네트웍 제어기와 이동 교환국이 상기 각각의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에 대해 이동통신망에서 구분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 의해 지정 호출할 수 있는 고유주소를 부여하여 임의의 데이터 단말기가 패킷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 임의의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패킷망 접속을 위한 시스템 네트웍.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를 지정하여 패킷 서비스를 실시할 경우, 사용자의 비밀번호 또는/및 사용자명을 입력한 사용자에 한하여 상기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패킷망 접속을 위한 시스템 네트웍.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서비스실시중에 상기 데이터 단말기가 해당 이동 교환국 또는 다른 이동 교환국 영역으로 이동하어 핸드오프 또는 로밍(roaming)되어도 상기 데이터 단말기와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의 경로는 계속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패킷망 접속을 위한 시스템 네트웍.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단말기와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의 경로는 유지는 상기 시스템 네트웍에 구비된 기지국, 무선 네트웍 제어기(RNC), 이동 교환국의 연동제어에 의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패킷망 접속을 위한 시스템 네트웍.
KR10-1998-0032614A 1997-11-26 1998-08-11 인터넷/패킷망 접속을 위한 시스템 네트웍 KR100447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2614A KR100447158B1 (ko) 1998-08-11 1998-08-11 인터넷/패킷망 접속을 위한 시스템 네트웍
US09/348,828 US6876634B1 (en) 1997-11-26 1999-07-08 Architecture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network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acket data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2614A KR100447158B1 (ko) 1998-08-11 1998-08-11 인터넷/패킷망 접속을 위한 시스템 네트웍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642A true KR20000013642A (ko) 2000-03-06
KR100447158B1 KR100447158B1 (ko) 2004-10-14

Family

ID=19546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2614A KR100447158B1 (ko) 1997-11-26 1998-08-11 인터넷/패킷망 접속을 위한 시스템 네트웍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71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954B1 (ko) * 1999-12-08 2006-07-13 주식회사 케이티 비동기전달모드/광대역종합정보통신망 신호방식을 이용한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에서의 발신가입자 인증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441A (ko) 2020-03-13 2021-09-27 주식회사 코밸 탈황장치와 연계되는 삼방향 제어밸브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5689A (en) * 1990-12-06 1995-12-12 Hughes Aircraft Company Cellular telephone with datagram and dispatch operation
SE9304119D0 (sv) * 1993-12-10 1993-12-10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 Apparatuses and mobile stations for providing packet data communication in digital TDMA cellular systems
DE4438522C2 (de) * 1994-10-31 1997-08-21 Ibm Einrichtung zur Übertragung von Datenströmen in Datenkommunikationsnetzen
US5577029A (en) * 1995-05-04 1996-11-19 Interwave Communications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intelligent switching nodes
KR970031972A (ko) * 1995-11-02 1997-06-26 구자홍 영상 이퀄라이징 방법 및 장치
US5774695A (en) * 1996-03-22 1998-06-30 Ericsson Inc. Protocol interface gateway and method of connecting an emulator to a network
KR100237394B1 (ko) * 1997-07-10 2000-01-15 곽치영 패킷 서비스 제공을 위한 씨디엠에이 채널 구조
KR100272567B1 (ko) * 1997-12-31 2000-11-15 서평원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 인터넷
KR100400719B1 (ko) * 1998-08-11 2003-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네트워크를이용한이동인터넷및이를이용한통신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954B1 (ko) * 1999-12-08 2006-07-13 주식회사 케이티 비동기전달모드/광대역종합정보통신망 신호방식을 이용한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에서의 발신가입자 인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7158B1 (ko) 200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1621B1 (en) Mobil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IP packet communications and method for routing IP packets
US64904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cket-switched telephony
US631428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transparency for mobile terminating calls within an H.323 system
TWI565256B (zh) 爲無線傳送/接收單元提供無線電信服務的伺服器及其方法與無線傳送/接收單元及其方法
EP1469637B1 (en) Notifying during active data session of incoming voice session from a different network
EP1118234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ity management for an internet telephone call to a mobile terminal
CA2341935C (en) Method and system enabling communications between a switched telephone network and a wireless network
KR19990060517A (ko)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JP4418136B2 (ja) 通信システム
US7301935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ial-up data sessions with distributed service
JP2002543677A (ja) 異種ネットワーク間の相互動作用仮想番号計画
US6876634B1 (en) Architecture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network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acket data using the same
EP1161106B1 (en) Interworking function for cellular wireless systems
US7054636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data from wireline terminals to mobile terminals
US7403516B2 (en) Enabling packet switched calls to a wireless telephone user
WO2000035151A1 (en) Handover in a communication system
FI101184B (fi) Digitaalisen matkaviestinverkon suora dataliityntä dataverkkoihin
CA2315496A1 (en) Architecture to support service features for wireless calls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US7127235B2 (en) Multiple protocol database
KR100447158B1 (ko) 인터넷/패킷망 접속을 위한 시스템 네트웍
KR100469234B1 (ko) 인터넷/패킷망접속을위한시스템네트웍
WO2001047312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calls in a hybrid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JP3847574B2 (ja) パケットネットワークを用いてゲートウェイ移動交換局で呼制御を維持するための装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0570898B1 (ko) 패킷 기반의 이동전화 구내 교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처리 방법
US6876855B1 (en) Use of land-based unit to provide delivery path optimization to wireless mobile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