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3534U - Small wireless relay system - Google Patents

Small wireless relay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3534U
KR20000013534U KR2019980026732U KR19980026732U KR20000013534U KR 20000013534 U KR20000013534 U KR 20000013534U KR 2019980026732 U KR2019980026732 U KR 2019980026732U KR 19980026732 U KR19980026732 U KR 19980026732U KR 20000013534 U KR20000013534 U KR 200000135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ceiver
radio
mobile communication
earphon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673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해중
Original Assignee
문해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해중 filed Critical 문해중
Priority to KR20199800267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3534U/en
Publication of KR200000135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534U/en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형 무선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어폰에 소형의 송수신기를 달아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현재 다수의 소비자가이용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카세트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라디오 등에 소형 송수신기를 달고 하나의 주 무선 송수신기로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이용하고자 하는기기는 주 무선 송수신기의 조작만으로 자유로이 선택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ll wireless relay system, in particular, to enable a free movement by attaching a small transceiver to the earphone. More specifically, a small transceiver is attach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assette player, a CD player, and a radio, which are currently used by many consumers, and connected to one main wireless transceiver. At this time, the device to be used is to be freely selectable only by the operation of the main wireless transceiver.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기 사용시에 음악이나 방송을 이어폰 등으로 듣고 있을 경우그 발신음을 사용자가 듣지 못하여 통화를 못 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각 이어폰에 연결된 선은 사용자가 자유로이 움직이는데 지장을 준다.If the user is listening to music or broadcasting with earphones or the like whe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may not hear the dial tone and often cannot make a call. In addition, the wires connected to each earphone interfere with the user's freedom of movement.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기존의 이어폰에 소형 무선중계 시스템을 연결하여 무선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연결하여 사용하는 기기(무선통신 단말기, 라디오, 카세트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등)에 송수신기로 전파를 전달하여 주는 소형의 착, 발신장치를 달아 이동 중이나 움직임에도 불편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연계사용 시에는 음악, 방송 등을 듣는 중에도 전화가 걸려온 수신음을 들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전화의 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동통신 송수신용으로 사용 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하는 기기에 라디오 청취 기능을 부가하여 이어폰 착용시 방송을 들을 수 있도록 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평상시에는 Radio의 기능으로 방송을 청취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신호가 전송되면 자동으로 Radio가 off 되면서 단말기의 신호를 주 무선 송수신기에 전송시켜주고 통화가 끝남과 동시에 같은 주파수대의 방송이 자동으로 on 하는 기능을말하는 것이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a small wireless relay system to an existing earphone so that it can be used wirelessly, and transmits a radio wave to a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radio, cassette player, CD player, etc.) connected and used as a transceiver. It is equipped with a small wearing and sending device so that it can be used without any inconvenience while moving or moving. In addition, when used in conjunc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receive a call by allowing the user to hear an incoming call received while listening to music, broadcasting, and the like. When use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it adds a radio listening function to the device attach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listen to the broadcast when wearing earphones. In detail, the radio is normally listened to by the function of the radio, and when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radio is automatically turned off, the signal of the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main radio transceiver, and the broadcast of the same frequency band is automatically performed at the end of the call. It is the function to turn on.

본 고안은 상기의 무선중계 시스템을 사용하여 음악이나 방송을 수신하는 중에 걸려오는 전화나 호출을 빠짐없이 수신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한 개의 이어폰에 주 무선 송수신기를 연결하고 다양한 착, 발신장치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활용범위를 넓힐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wireless relay system so that all incoming calls or calls can be received while receiving music or broadcasts. In addition, it is designed to expand the range of applications by connecting the main wireless transceiver to one earphone and using it with various callers and transmitters at the same time.

Description

소형 무선중계 시스템Small wireless relay system

본 고안은 현재의 이동통신 단말기, 카세트 플레이어 등의 재생장치, 라디오 등에연결하여 사용하는 이어폰에 소형의 무선 중계 시스템을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서 이어폰을 무선으로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안되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use the earphone freely wirelessly by connecting a small wireless relay system to the earphone used to connect to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ssette player, such as a playback device, radio.

상세하게는 기존에 사용하던 기기(이동통신 단말기, 카세트 플레이어 등의 재생장치, 라디오 등)에 전파 송수신장치를 달아주고, 이를 통해 무선 이어폰에 연결되어있는 주무선 송수신기로 전파를 주고받음으로서 간단한 스위치만으로 여러 기기들을 병행하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detail, a radio switch is attached to an existing devic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layback device such as a cassette player, a radio, etc.), and a simple switch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wave to a main wireless transceiver connected to a wireless earphone through the device. Only by using multiple devices can be used in parallel.

이는 기존에 음악, 방송 등을 듣기 위하여 주로 이용하던 이어폰에 소형의 무선 중계 시스템을 연결하는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된 무선 송수신기기를 통하여 동시에 무선통신의 송수신까지도 가능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하여 이용범위를 넓혀주는 것이다.This is to connect a small wireless relay system to the earphones that are used mainly for listening to music, broadcasting, etc., and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wireless transceiver attach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will widen.

기존의 이어폰은 음악, 방송 등을 듣기 위한 기기용 이어폰과 무선통신 단말기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통신용 이어폰 등의 기능이 구분되어 있었으며, 특정 카세트 플레이어내부에 장착된 기기를 이용한 전용 무선 이어폰 외의 모든 이어폰에는 기기와의 연결선이필요하다. 이 선을 사용함으로 주위에 지장을 받지 아니한 상태에서 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그러나 가방, 책상위 등에 기기를 놓고 이어폰을 사용할 경우 선의 길이에 따른 활동범위의 한계와 불편함이 있었다.Existing earphones are divided into functions such as earphones for listening to music and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earphones used in connection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ion to the device is required. By using this line, the sound could be heard without being disturbed around. However, when using earphones on a bag or desk, there were limitations and inconveniences in the range of activity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line.

이를 위하여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 라디오, 카세트 플레이어 등의 기기에 별도의디자인을 첨가하는 것이 아니라, 기기 소형의 송수신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를 통하여 이어폰과 기기를 선으로 연결하였을 때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To this end, rather than adding a separate design to the existing device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radios, cassette players, it is used by connecting a small transceiver devic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when connecting the earphone and the device by wir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상용되고 있는 이어폰의 기능에 무선의 송수신장치를 달아서 이어폰과 기기가 선으로 연결되어 사용될 때의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inconvenience when the earphone and the device is connected to the wire by attaching a wireless transceiver to the function of the earphone currently availabl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이를 위하여 기존의 카세트 플레이어, 라디오,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송수신장치를 달아줌으로서 이어폰에 연결된 주 무선 송수신기 한가지로 모든 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To this end, by attaching a transceiver that can be used by connecting to a conventional cassette player, radio, 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l devices can be operated by one main wireless transceiver connected to the earphone.

또한, 주 무선 송수신기, Audio 송신기, 단말기용 송수신기로 기기를 구분한다. 이는 소비자의 필요에 따른 구입을 할 수 있도록 선택의 폭을 넓혀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is classified into a main radio transceiver, an audio transmitter, and a terminal transceiver. This can give you more choices to buy according to your needs.

이어폰 연결잭은, 기존의 이어폰잭의 표준 규격에 맞는 잭을 사용함으로서 기 사용하고 있는 이어폰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Earphone connection jack, by using a jack that meets the standard specifications of the existing earphone jack to be used to connect the earphones in use.

도 1은 주 무선 송수신기와 Audio 송신기, 단말기용 송수신기의 연계사용을 보여주는 설명도.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combined use of a main wireless transceiver, an audio transmitter, and a transceiver for a terminal;

도 2는 'Audio 기기의 Earphone Jack에 연결하여 주 무선 통신기기와 무선으로 소리를 전달하는 매체'(Audio 송신기) 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 다이어그램.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al configuration of a 'media for transmitting sound wirelessly with a mai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y connecting to an earphone jack of an audio device' (audio transmitter). FIG.

도 3은 '주 무선 통신기기 및 Earphone과의 연결장치'(주 무선 송수신기)의 전기적구성을 예시한 블록 다이어그램.Figure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electrical configuration of the 'mai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connection device with the earphone' (main wireless transceiver).

도 4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하여 기지국에서 들어온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를거쳐 무선으로 주 무선 송수신기로 보내주는 연결장치'(단말기용 송수신기)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 다이어그램.Figure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electrical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 for mounting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nds a signal from a base station to a main wireless transceiver wirelessly via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transceiver).

무선 중계 시스템은 이어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무선의 송수신 장치인 주 무선 송수신기, 카세트 플레이어, 라디오 등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송신전용 Audio 송신기,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송수신기인 단말기용 송수신기로 구분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wireless relay system can be classified into a main radio transceiver which is a wireless transceiver used by connecting to an earphone, a transmission-only audio transmitter which is used by connecting to a cassette player, a radio, etc., and a transceiver for a terminal which is used as a transceiver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When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도 1은 주 무선 송수신기와 Audio 송신기, 단말기용 송수신기의 연계사용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cooperative use of a main wireless transceiver, an audio transmitter, and a transceiver for a terminal.

A는 Cassette Player, CD Player, Radio같은 음향기기에 Audio 송신기를 결합한 모습, B는 주 무선 송수신기와 Earphone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모습 : Audio 송신기를 통하여 주무선 송수신기로 들어온 음악을 수신 중에 단말기용 송수신기에서 전화가 수신되었다는신호가 들어온 경우 주 무선 송수신기로 전화수신 기능 선택 가능. C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단말기용 송수신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모습.A is a combination of audio transmitter and audio device such as Cassette Player, CD Player and Radio, B is connected to main wireless transceiver and earphone.It is used to receive music from main transceiver through audio transmitter. If you receive a signal that a call has been received, you can use the primary radio transceiver to select the incoming call feature. C shows the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transceiver for the terminal.

a는 Cassette Player, CD Player, Radio등의 음향기기, b는 Audio 송신기, c는 Earphone, d는 주 무선 송수신기, e는 이동통신 단말기, f는 단말기용 송수신기, g는 Audio 송신기에서 주 무선 송수신기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도식화 한 모습, h는 주 무선 송수신기와 단말기용 송수신기 사이에 신호의 송수신을 도식화 한 모습.a is Cassette Player, CD Player, Radio, etc., b is Audio Transmitter, c is Earphone, d is Primary Radio Transceiver, e i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 is Cellular Transceiver, and g is Audio Transmitter. Figure h shows the transmission of signals, h show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between the main radio and the transceiver for the terminal.

도 2는 'Audio 기기의 Earphone Jack에 연결하여 주 무선 송수신기와 무선으로 소리를 전달하는 매체'(Audio 송신기) 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al configuration of a 'media for transmitting sound wirelessly with a main wireless transceiver by connecting to an earphone jack of an audio device'.

A는 Audio Earphone Jack과 연결시키기 위한 잭, B는 Audio에서 들어온 소리를 수신하는수신부, C는 Audio에서 수신된 소리를 주 무선 송수신기로 전송시켜주는 RF Unit송신부,D는 주 무선 통신기기와의 주파수 범위를 맞추기 위한 Frequency Control Block, E는 수신부, RF Unit, Frequency Block등 에 전원을 공급해 주는 전원 공급부.A is a jack for connecting with Audio Earphone Jack, B is a receiver for receiving sound from Audio, C is an RF unit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sound from Audio to main radio transceiver, D is frequency with mai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requency Control Block, E, is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power to the receiver, RF Unit, and Frequency Block.

도 3은 '주 무선 통신기기 및 Earphone과의 연결장치'(주 무선 송수신기)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electrical configuration of the 'mai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connection device with the earphone' (main wireless transceiver).

A는 Audio 송신기 및 단말기용 송수신기에서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Antenna, B는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를 무선으로 처리하고, Earphone Jack에서 오는 신호 및 Function Key에서오는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용 송수신기로 보내주는 역할을 담당하는 회로인 RF Unit, C는 전송신호를 Amp1ifier하는 역할을 하는 AMP Unit, D는 수신된 신호는 Earphone으로, 송신된 신호는 RF Unit로 구분하여 보내주는 회로인 송수신 Control부, E는 Audio 송신기 와 단말기용 송수신기의 주파수 범위를 맞추어 서로 다른 기기들 사이의 신호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회로인 Frequency Control Block, F는 Function Key, Volume Control부 및 Frequency ControlBlock에서 입, 출력된 신호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회로인 m Block, G는 전원이 필요한 모든 회로에 전원을 공급해 주는 전원부, H는 주 무선 송수신기와 Earphone을 연결시키기 위한 Earphone Jack, I는 입, 출력된 신호의 Volume을조절할 수 있는 Volume Control Block, J는 단말기용 송수신기에서 들어온 신호를 통한통화기능과 Audio 에서 오는 신호의 수신기능을 선택할 수 있게 해 주는 Function Key, K는 Microphone.A is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from an audio transmitter and a transceiver for a terminal, and B is a radio processing signal received from an antenna, and sends a signal from an earphone jack and a signal from a function key to a transceiv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F unit, which is a circuit in charge, C is an AMP unit that plays a role in Amp1ifier, D is a transmission / reception control unit, which is a circuit that separates the received signal into earphone, and the transmitted signal into RF unit, and E is audio. Frequency Control Block, F, a circuit that enable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between different devices by adjusting the frequency range of the transmitter and the transceiver for a terminal, controls input and output signals from the Function Key, Volume Control, and Frequency Control Block. M Block, G, is a power circuit that supplies power to all the circuits that need power, and H is the main wireless transceiver and earphone. Earphone Jack, I is a Volume Control Block that can control the volume of input and output signals, J is a Function Key that allows you to select the call function through the signal from the terminal transceiver and the function of receiving the signal from Audio. , K is the Microphone.

도 4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작하여 기지국에서 들어온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를거쳐 무선으로 주 무선 송수신기로 보내주는 연결장치'(단말기용 송수신기)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 다이어그램.Figure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electrical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 for transmitting the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main wireless transceiver via the mobile terminal by mounting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ceiver for the terminal).

A는 단말기용 송수신기 와 주 무선 송수신기 사이에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Antenna, B는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로인 RF Unit, C는 전송신호를 Amplifier하는 역할을 하는 AMP Unit, D는 Earphone에서 수신된 신호를 RF Unit를 통하여 주 무선 송수신기로 전송하거나, Antenna를 통하여 들어온 신호를 RF Unit를 거쳐 Earphone으로 송신하도록 조절하는 송수신 Control부, E는 주 무선 송수신기와의 상호 통신을 위하여 주파수의 범위를 조정하는 회로인 Frequency Contrd Block, F는 기기의 사용시 전원을 공급해 주는전원부, G는 주 무선 송수신기와 Earphone을 연결시켜주는 Earphone Jack, H는 Radio,I는 Radio선국 기능을 가진 Function Key.A is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between a terminal transceiver and a main wireless transceiver, B is an RF unit which is a circuit for enabling wireless communication, C is an AMP unit that amplifies a transmission signal, and D is received from an earphone.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main wireless transceiver through the RF unit, or to transmit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to the earphone via the RF unit, E adjusts the frequency range for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main wireless transceiver Frequency Contrd Block, which is a circuit, F is a power supply that supplies power when the device is used, G is an Earphone Jack that connects the main radio transceiver with the earphone, H is a Radio, and I is a function key with Radio tuning function.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무선 중계 시스템으로 카세트 플레이어, 라디오,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사용시 불편하던 이어폰의 선을 없애고 무선으로 사용할 수있도록 함으로써 편리한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 방법으로 기기들을 작동할 수있으므로 기존의 이어폰 사용시에 길게 연결된 선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relay system, which enables convenient operation by eliminating the wires of earphones, which are inconvenient when using a cassette player, a radi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like. In this way, the devices can be operated,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caused by long wires when using existing earphones.

Claims (3)

같은 주파수대를 공유한 외부 송수신기와 Earphone과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중간 Adaptor역할을 하는 무선 송, 수신기에 있어서, Audio에서 전송된 신호를 받아 Earphone으로 연결시켜주는 회로(도3의 A:Antenna, B:RF Unit, C:Amp Unit, D:송수신 Control부)를 포함하고 Earphone이나 외부기기 혹은 자체 Function Key에서 입력된 신호를 단말기용 송수신기로 보내주고 음악을 듣는 중에 전화가 걸려오면 우선적으로 전화 밸을 울리게 하고 동시에 이용중인 음향기기의 Volume이 OFF되도록 조절하는 회로(도3의 D:송수신Control부, E:Frequency Control Block, B:RF Unit)와, Volume을 조절하고 기기 선택의 기능과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 중에 음향기기의 내용을 통화중인 상대방에게 송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회로(도3의 F:micom Block,I:Volume Control, J:Function Key), 통화음 전달을 위한 마이크가 내장되어있으며( K:Microphone),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부(도3의G:전원부)로 구성되어있어서, 기존에 유선으로 사용하던 이어폰에 이를 달아줌으로서 이어폰과 기기간에 무선으로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주 무선 송, 수신기.In a wireless transmitter and receiver serving as an intermediate adapter that enables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n external transceiver sharing the same frequency band and an earphone, a circuit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udio and connecting it to the earphone (A: Antenna of FIG. 3). B: RF Unit, C: Amp Unit, D: Transmission / Reception Control Unit), and the signal input from the earphone, external device or its own function key is sent to the transceiver for handset, and the call is given priority when the call is received while listening to music. And a circuit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sound equipment in use (D: transmission / reception control section, E: frequency control block, B: RF unit) in FIG. Built-in circuit (F: micom Block, I: Volume Control, J: Function Key in Fig. 3) that has the function to transmit the contents of the audio device to the other party during the call to the terminal, and a microphone for transmitting the sound (K: Microphone), it is composed of a power supply unit (G: power supply unit in Figure 3) to supply power, by attaching it to the earphone used in the existing wire to enable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earphone and the device Radio, receiver. 상기 1번 항목에서 사용하는 주 무선 송수신기와 Audio 기기간의 송, 수신이 가능할 수 있도록 전파를 보내주는 송신기에 있어서, Audio에서 들어온 소리는 수신부(도 2의B)를 거쳐 주 무선 송수신기로 송신하는 RF Unit(도 2의 C)를 통하여 전송되며, 이때 주무선 송수신기와의 주파수를 맞추어줌으로 Audio 기기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도 2의D:Frequency Control Block)기능을 가진 Audio 송신기.In the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radio waves to enabl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main radio transceiver and the Audio device used in item 1, the sound from the audio is transmitted to the main radio transceiver via the receiver (B in Fig. 2) Transmitted through a unit (C of FIG. 2), the audio transmitter having a function (D: Frequency Control Block (D) of Figure 2) can b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audio device by adjusting the frequency with the main wireless transceiver. 상기 1번 항목에서 사용하는 주 무선 송수신기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에 무선으로송수신이 가능할 수 있도록 전파를 보내주는 장치, 주 무선 송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는RF Unit(도 4의 B)를 거쳐 이동통신 단말기로 원하는 신호 및 통신이 가능하도록 조절되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들어온 신호는 접속단자를 통하여 송수신부(도 4의 D)로 전송되며, 이때 전송된 신호는 RF Unit(도 4의 B)를 통하여 주 무선 송수신기로 전송되고,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시에는 내부에 있는 Radio(도 4의 H)가 자동으로 OFF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 후 통화가 끊어지면 자동 혹은 수동으로 다시 Radio를 on 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Radio기능이 포함된 단말기용 송수신기.Apparatus for transmitting radio waves between the main radio transceiv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d in the first item to enabl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radio transceiv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via the RF unit (B in Fig. 4) The desired signal and communication is adjusted to enable, and the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transceiver unit (D of FIG. 4)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and the transmitte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ain radio through the RF unit (B of FIG. 4). Transmitted to the transceiver, when using the mobile terminal has a function that automatically turns off the radio (H in Fig. 4) and if you do not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disconnected after using the radio automatically or manually again Transceiver for a terminal that includes a radio function for use in connec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ability to turn on.
KR2019980026732U 1998-12-28 1998-12-28 Small wireless relay system KR20000013534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732U KR20000013534U (en) 1998-12-28 1998-12-28 Small wireless rela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732U KR20000013534U (en) 1998-12-28 1998-12-28 Small wireless relay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534U true KR20000013534U (en) 2000-07-15

Family

ID=69503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6732U KR20000013534U (en) 1998-12-28 1998-12-28 Small wireless relay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3534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4466B1 (en) Cellular telephone with simultaneous radio and cellular communication
US8867748B2 (en) Wireless personal listening system and method
MX2007002142A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with internal antennas.
US20080139255A1 (en) Blue tooth hand free transmission assembly
US20060258411A1 (en) Multifunction audio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and wireless earphone
KR20000013534U (en) Small wireless relay system
KR200244953Y1 (en) Two channel wireless transmission hands-free and wireless receiver having multipurpose function
KR100257202B1 (en) Cellular Phone within Radio Receiver
US20040052382A1 (en) Automatic switching bi-directional vehicle-used speaker
KR100469847B1 (en) Multi-function signal video/audio phone
KR200254411Y1 (en) Automatic switching radio on the phone's earphone
KR100381698B1 (en) Analogue/Digital radio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JPH10200990A (en) Earphone set for portable acoustic equipment
EP1722593A1 (en) Multifunction audio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and wireless earphone
KR200300774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n external audio system with a communication device
KR20050122437A (en) Mobile handset with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fuction
KR100900619B1 (en) Wireless communication headset having a broadcasting receiving fuction
KR100469846B1 (en) Hands-free For Halmet Radio
KR200255751Y1 (en) Hand Carry/ Halmet Radio hands free
KR200302575Y1 (en) A wireless speaker for audio and video
JPH09247249A (en) Portable telephone set
RU2465738C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internal antennae
KR200375494Y1 (en) frequency modulation transmitter for mobile phone
KR20090092086A (en) Digital radio sending, a radio transmission reception and earphone system
KR20010074285A (en) Remote handset used telephone and microphone for computer of speech recogn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