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996U - 전기기기의 접지선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전기기기의 접지선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996U
KR20000012996U KR2019980026100U KR19980026100U KR20000012996U KR 20000012996 U KR20000012996 U KR 20000012996U KR 2019980026100 U KR2019980026100 U KR 2019980026100U KR 19980026100 U KR19980026100 U KR 19980026100U KR 20000012996 U KR20000012996 U KR 200000129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ground line
ground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61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일
Original Assignee
이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일 filed Critical 이명일
Priority to KR20199800261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2996U/ko
Publication of KR200000129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996U/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기기의 접지선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원 코드에 연결된 전원선에서 직류전원 공급부를 통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스위칭소자를 거쳐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의 두 전원선에서는 각각 감쇄용 저항과 증폭기를 경유하는 중에 증폭되도록 한 후 증폭된 출력이 양측에 각각 입력되는 비교기의 출력단에서 상기의 제어부에 입력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에서는 전자파 차단부의 접지선과 연결되는 다른 전원선이 접지선인 콜드가 맞는 경우에는 트랜지스터에 제어신호를 하이로 출력하여 스위칭 릴레이를 구동시켜 접지선과 다른 전원선을 연결하는 한편, 전자파 차단부의 접지선과 연결되는 다른 전원선이 접지선인 콜드가 아닌 경우에는 부저에 구동신호를 하이로 출력하여 부저를 울려 전원 코드를 바꿔서 콘센트에 꼽도록 함으로써 전자파 차단부의 접지선을 두 전원선중 접지선에 정확하게 연결하면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기기의 접지선 연결장치
본 고안은 전기기기의 접지선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기매트와 같은 전기기기에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선중 접지선을 정확히 검출하여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 차단부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접지선을 설치하지 않아도 원활히 작동하도록 한 전기기기의 접지선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고안의 전기기기의 접지선 연결장치는 AC전원을 공급하는 두 전원선 중 접지된 전원선을 정확하게 검출하여 유해 전자파 차단부와 자동으로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접지선을 사용하지 않고도 전기매트와 같은 전기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유해 전자파를 차단시켜 인체에 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접지선 연결장치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매트를 비롯한 전기기기에서는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가 다량 방출되는 상태이므로 전열선에 인접된 위치에 전자파 차단부를 설치하여 이를 통하여 수집되는 유해파를 그라운드시키면서 차단시키도록 하였다.
그리고 종래에는 전기매트 등을 이용할 때 단상 110V나 단상 220V의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하게 되고, 이 경우에는 두 개의 전원선 중 어느 것이 접지선인 콜드(cold)인지 확인할 수 없어 별도의 접지선을 전자파 차단부에서 인출하거나 또는 접지선이 일체로 구비된 단상 3선의 전원선을 이용하여야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기기기의 접지방식에 의하여서는 전기매트와 같은 전기기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별도의 접지선을 사용하여 샤시 등의 외부에 연결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음은 물론, 단상 3선의 전원선을 연결하지만 일반 가정의 전원 콘센트에 접지용 접점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유해한 전자파를 그라운드시켜 주지 못하면서 실질적으로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전기매트와 같은 전기기기에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선중 접지선을 정확히 검출하여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 차단부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접지선을 설치하지 않아도 유해파를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전기기기의 접지선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원 코드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에서는 직류전원 공급부로 연결하여 내부의 제어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전원선중 하나는 스위칭소자인 트라이액의 애노드에 연결하면서 이의 캐소드를 거쳐 전기매트와 같은 전기기기의 일측에 연결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 1 제어단을 통하여 출력되는 제어신호가 베이스에 인가되는 상태에 의해 상기의 스위칭소자를 온/오프시키면서 전기기기의 타측에서 전원선의 다른 하나로 연결되는 궤환회로가 이루어져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전원선의 하나에서 감쇄용 저항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은 제 1 증폭기의 반전입력단에 입력되도록 하여 1차 증폭된 후 다시 제 2 증폭기의 반전입력단에 입력되도록 하여 2차 증폭되도록 하며, 상기 전원선의 다른 하나에서 감쇄용 저항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은 제 3 증폭기의 반전입력단에 입력되도록 하여 1차 증폭된 후 다시 제 4 증폭기의 반전입력단에 입력되도록 하여 2차 증폭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및 제 4 증폭기의 출력이 비반전입력단과 반전입력단으로 각각 입력되는 비교기의 출력단에서는 상기의 제어부에 입력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에서는 전자파 차단부의 접지선과 연결되는 다른 전원선이 접지선인 콜드가 맞는 경우에는 트랜지스터에 제어신호를 하이로 출력하여 스위칭 릴레이를 구동시켜 접지선과 다른 전원선을 연결하는 한편, 전자파 차단부의 접지선과 연결되는 다른 전원선이 접지선인 콜드가 아닌 경우에는 부저에 구동신호를 하이로 출력하여 부저를 울려 전원 코드를 바꿔서 콘센트에 꼽도록 함으로써 전자파 차단부의 접지선을 두 전원선중 접지선에 정확하게 연결하면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접지선 연결장치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a, 1b : 전원선 7, 8, 9, 10 : 증폭기
11 : 비교기 12 : 전자파 차단부
13 : 트랜지스터 14 : 스위칭 릴레이
15 : 부저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전원 코드(1)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1a)(1b)에서는 직류전원 공급부(2)로 연결하여 내부의 제어부(3)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제 1 전원선(1a)에서는 전원스위칭 수단의 스위칭소자(4)인 트라이액(TC)의 애노드에 연결하면서 이의 캐소드를 거쳐 전기매트와 같은 전기기기(5)의 일측에 연결하며, 상기 제어부(3)의 제 1 제어단(Con1)을 통하여 출력되는 제어신호가 베이스에 인가되는 상태에 의해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6)가 상기의 스위칭소자(4)를 온/오프시키면서 전기기기(5)의 타측에서 전원선의 제 2 전원선(1b)으로 연결되는 궤환회로가 이루어져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제 1 전원선(1a)에서 감쇄용 저항(R1)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은 접지선 검출수단의 제 1 증폭기(7)의 반전입력단에 입력되도록 하여 1차 증폭된 후 다시 제 2 증폭기(8)의 반전입력단에 입력되도록 하여 2차 증폭되도록 하며, 상기 제 2 전원선(1b)에서 감쇄용 저항(R2)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은 접지선 검출수단의 제 3 증폭기(9)의 반전입력단에 입력되도록 하여 1차 증폭된 후 다시 제 4 증폭기(10)의 반전입력단에 입력되도록 하여 2차 증폭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및 제 4 증폭기(8)(10)의 출력이 비반전입력단과 반전입력단으로 각각 입력되는 접지선 검출수단의 비교기(11)의 출력단에서는 상기의 제어부(3)에 입력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3)에서는 전자파 차단부(12)의 접지선(12a)과 연결되는 다른 전원선(1b)이 접지선인 콜드가 맞는 경우에는 접지선 스위칭 수단의 트랜지스터(13)에 제어신호를 하이로 출력하여 스위칭 릴레이(14)를 구동시켜 접지선과 다른 전원선을 연결하는 한편, 전자파 차단부(12)의 접지선(12a)과 연결되는 다른 전원선(1b)이 접지선인 콜드가 아닌 경우에는 경보수단의 부저(15)에 구동신호를 하이로 출력하여 부저(15)에 의한 경보음을 울려 전원 코드(1)를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콘센트에 위치를 바꿔서 삽입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전기기기의 접지선 연결장치는 콘센트에 전원 코드(1)를 삽입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며, 이에 연결된 전원선(1a)(1b)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직류전원 공급부(2)로 공급되어 내부의 제어부(3)에 필요한 직류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사용자가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작동 스위치를 온시키면 상기 제어부(3)에서 제 1 제어단(Con1)을 통하여 제어신호를 하이로 트랜지스터(6)의 베이스에 출력하여 온되도록 하고, 그에 따라 상기의 제 1 전원선(1a)에 연결된 스위칭소자(4)인 트라이액(TC)도 온되면서 그의 애노드에서 캐소드를 거쳐 흐르는 교류 전원이 전기매트와 같은 전기기기(5)를 경유하여 전원선의 제 2 전원선(1b)으로 흐르는 궤환회로가 이루어져 전원의 공급에 의해 전기기기가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상기 제 1 전원선(1a)에서 감쇄용 저항(R1)을 통하여 공급되는 AC 전원은 제 1 증폭기(7)의 반전입력단에 입력되면서 부귀환에 의한 1차 증폭이 행하여진 후 다시 제 2 증폭기(8)의 반전입력단에 입력되면서 부귀환에 의한 2차 증폭이 행하여지도록 한다.
상기 제 2 전원선(1b)에서 감쇄용 저항(R2)을 통하여 공급되는 AC 전원은 제 3 증폭기(9)의 반전입력단에 입력되면서 부귀환에 의한 1차 증폭이 행하여진 후 다시 제 4 증폭기(10)의 반전입력단에 입력되면서 부귀환에 의한 2차 증폭이 행하여지도록 한다.
상기 제 2 및 제 4 증폭기(8)(10)의 출력이 비반전입력단과 반전입력단으로 각각 입력되는 비교기(11)에서 두 입력을 비교하여 출력단을 통해 비교결과를 상기의 제어부(3)에 입력시킨다.
그러므로 상기의 비교결과를 전달받은 제어부(3)에서는 제 1 전원선(1a)의 전원이 제 2 전원선(1b)의 전원 보다 높아 하이로 입력되는 경우에는 전자파 차단부(12)의 접지선(12a)과 연결되는 다른 전원선(1b)이 접지선인 콜드가 맞는 경우이므로 출력단에서 트랜지스터(13)의 베이스에 제어신호를 하이로 출력하여 온시키면서 스위칭 릴레이(14)가 구동하면서 릴레이 접점을 통해 전자파 차단부(12)의 접지선(12a)을 접지선인 콜드로 판정된 다른 전원선(1b)과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전자파 차단부(12)에서 수집된 유해한 전자파가 그라운드되도록 한다.
한편, 제 2 전원선(1b)의 전원이 제 1 전원선(1a)의 전원 보다 높아 로우로 입력되는 경우에는 전자파 차단부(12)의 접지선(12a)과 연결되는 다른 전원선(1b)이 접지선인 콜드가 아닌 경우이므로 트랜지스터(13)의 베이스로 로우를 출력하면서 부저(15)에 구동신호를 하이로 출력하여 부저(15)를 울려 사용자로 하여금 지금 접지선이 잘못 연결된 상태이므로 전원 코드(1)를 바꿔서 콘센트에 꼽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전기기기의 접지선 연결장치에 의하여서는 전원 코드에 연결된 전원선에서 직류전원 공급부를 통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스위칭소자를 거쳐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의 두 전원선에서는 각각 감쇄용 저항과 증폭기를 경유하는 중에 증폭되도록 한 후 증폭된 출력이 양측에 각각 입력되는 비교기의 출력단에서 상기의 제어부에 입력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에서는 전자파 차단부의 접지선과 연결되는 다른 전원선이 접지선인 콜드가 맞는 경우에는 트랜지스터에 제어신호를 하이로 출력하여 스위칭 릴레이를 구동시켜 접지선과 다른 전원선을 연결하는 한편, 전자파 차단부의 접지선과 연결되는 다른 전원선이 접지선인 콜드가 아닌 경우에는 부저에 구동신호를 하이로 출력하여 부저를 울려 전원 코드를 바꿔서 콘센트에 꼽도록 함으로써 전자파 차단부의 접지선을 두 전원선중 접지선에 정확하게 연결하면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3)

  1. 전원 코드(1)에 연결된 전원선(1a)(1b)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이 직류전원 공급부(2)를 통해 제어부(3)로 공급되도록 하면서 전원스위칭 수단의 스위칭소자(4)를 거쳐 전기기기(5)로 흐르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3)의 제어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6)가 상기의 스위칭소자(4)를 온/오프시키면서 전기기기(5)로 전원의 공급을 조절하도록 한 전기기기의 접지선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원선(1a)에서 감쇄용 저항(R1)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과 상기 제 2 전원선(1b)에서 감쇄용 저항(R2)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비교하면서 접지된 전원선을 검출하는 접지선 검출수단, 상기 접지선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 접지선의 접속이나 경고음을 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 상기 제어부(3)의 제어에 의해 전자파 차단부(12)의 접지선(12a)과 다른 전원선(1b)을 연결하는 접지선 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어부(3)의 제어에 의해 전자파 차단부(12)의 접지선(12a)에 올바른 접지선과 접속하도록 경보음을 발하는 경우수단들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의 접지선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어부(3)는 전자파 차단부(12)의 접지선(12a)과 연결되는 다른 전원선(1b)이 접지선인 콜드가 맞는 경우에는 접지선 스위칭 수단의 트랜지스터(13)에 제어신호를 하이로 출력하면서 스위칭 릴레이(14)를 구동시켜 접지선과 다른 전원선을 연결하고, 전자파 차단부(12)의 접지선(12a)과 연결되는 다른 전원선(1b)이 접지선인 콜드가 아닌 경우에는 경부수단의 부저(15)에 구동신호를 하이로 출력하여 경보음을 울려 전원 코드(1)를 바꿔서 콘센트에 꼽도록 한 전기기기의 접지선 연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접지선 검출수단은 상기 제 1 전원선(1a)에서 감쇄용 저항(R1)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은 제 1 증폭기(7)와 제 2 증폭기(8)에 의해 증폭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전원선(1b)에서 감쇄용 저항(R2)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은 제 3 증폭기(9)와 제 4 증폭기(10)에 의해 증폭되도록 하며, 상기 제 2 및 제 4 증폭기(8)(10)의 출력이 비반전입력단과 반전입력단으로 각각 입력되는 비교기(11)의 비교결과가 출력단에서 상기의 제어부(3)에 입력되도록 구성한 전기기기의 접지선 연결장치.
KR2019980026100U 1998-12-22 1998-12-22 전기기기의 접지선 연결장치 KR2000001299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100U KR20000012996U (ko) 1998-12-22 1998-12-22 전기기기의 접지선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100U KR20000012996U (ko) 1998-12-22 1998-12-22 전기기기의 접지선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996U true KR20000012996U (ko) 2000-07-15

Family

ID=69503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6100U KR20000012996U (ko) 1998-12-22 1998-12-22 전기기기의 접지선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299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252B1 (ko) * 2010-08-12 2013-02-14 ㈜엠지에이치하이테크 차폐판이 없는 전열매트에서의 전기장 자동절환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252B1 (ko) * 2010-08-12 2013-02-14 ㈜엠지에이치하이테크 차폐판이 없는 전열매트에서의 전기장 자동절환회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43016B1 (en) Faulty wiring detection device for air conditioner
CA2342768A1 (en) Control system for bathers with ground continuity and ground fault detection
US20110032111A1 (en) Circuit breaker locator
MXPA05003880A (es) Dispositivo de cableado electrico.
US4843514A (en) Electrical connection sentry system
KR20090027344A (ko) 전기매트의 전자파 차단장치
US20050007712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multi-outlet power strip
KR20000012996U (ko) 전기기기의 접지선 연결장치
KR0120022B1 (ko) 접지선 검지에 의한 유해파 차단장치
KR100373452B1 (ko) 전원차단장치
US10823516B2 (en) Ground-detecting descaler
KR100303469B1 (ko) 전자파흡수용보조콘센트
KR100592730B1 (ko) 접지라인 검출/접지장치 및 접지방법
KR0122820Y1 (ko) 전자파 차폐 장치
KR200205078Y1 (ko) 멀티 탭
KR200193450Y1 (ko) 전원선의 접지점 검출장치
KR200191604Y1 (ko) 전자파 차단 및 음이온 공기 청정기 복합 발열체의온도조절 장치
CN114326867B (zh) 直流负载驱动电路、加热组件及电器设备
KR200205467Y1 (ko) 전자파차단용 콘센트
CN212186300U (zh) 一种淋浴装置
KR200445129Y1 (ko) 온도조절기용 전기장 자동 절환회로
KR200326680Y1 (ko) 정격 전압 감지용 플러그
KR0133418Y1 (ko) 접지전위를 이용한 전자파 차단 누전차단기
KR200342028Y1 (ko) 전기매트용 유해 전류 차단 장치
KR200262655Y1 (ko) 전원 코드용 전자파 방출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