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374U - 히터가 장착된 에어컨용 실내기 - Google Patents

히터가 장착된 에어컨용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374U
KR20000012374U KR2019980025325U KR19980025325U KR20000012374U KR 20000012374 U KR20000012374 U KR 20000012374U KR 2019980025325 U KR2019980025325 U KR 2019980025325U KR 19980025325 U KR19980025325 U KR 19980025325U KR 20000012374 U KR20000012374 U KR 2000001237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heater
indoor unit
roo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3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연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253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2374U/ko
Publication of KR200000123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374U/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컨의 실내기에 히터부를 장착하여 여름의 장마철과 같이 습도가 높아 제습이 필요한 경우 상기 히터를 통해 토출되는 냉풍의 온도를 상승시켜 제습기능을 수 행하며, 또한 겨울철에는 이 히터를 보조열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히터가 장착된 에어컨용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즉 증발기를 통해 열교환된 냉풍을 실내로 토출시키는 토출구를 갖는 통상의 에어컨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실내기의 토출구 내측으로 열선이 내장된 히터부를 장착하여 에어컨의 냉방운전 실시중 장마철이나 비가오게 되어 실내의 습도가 높아지면, 에어컨의 히터부를 작동시켜 토출구를 지나는 냉풍이 이 히터부를 통과하면서 열교환 되어 온도가 상승된 상태로 실내로 토출되므로서, 실내온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실내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작용을 수 행하며, 또한 겨울철에는 히터부를 통해 열을 얻을 수 있으므로서, 겨울철에는 보조열원으로서의 기능도 함께 수행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Description

히터가 장착된 에어컨용 실내기(a indoor part of air conditioner with a heate)
본 고안은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컨의 실내기에 히터부를 장착하여 여름의 장마철과 같이 습도가 높아 제습이 필요한 경우 상기 히터를 통해 토출되는 냉풍의 온도를 상승시켜 제습기능을 수 행하며, 또한 겨울철에는 이 히터를 보조열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히터가 장착된 에어컨용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열을 흡수하여 실내에 냉풍을 공급하는 증발기는 차단벽을 사이에 두고 실내에 설치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방출열을 외부로 내보내는 응축기와 이 응축기로 부터 나오는 냉매의 압력을 감압시켜 상기의 증발기로 보내주는 모세관은 차단벽의 외부 즉 실외에 설치되어 지며, 그 기능에 따라 실내기와 실외기가 일체로 형성된 창문형 에어컨과, 별도로 분리되는 분리형 에어컨 및 패키지형 에어컨으로 크게 구분되어 진다.
도2는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 행하는 종래의 창문형 에어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전.후방이 실내 및 실외로 노출되는 본체(10)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10) 내부는 실내차단벽체(11)와 실외차단벽체(12)에 의해 실내공간부와 실외공간부로 나누어지고, 실내외차단벽체(11)(12)에는 중앙에서 양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20)가 설치된다.
또한, 실내공간부내에 주위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30)와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40)가 설치되며, 이 후방으로 상기 압축기(40)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를 액화시켜 상온으로 응축하는 응축기(50)가 설치되며, 상기 응축기(50)는 냉매가 흐르는 냉매관이 지그재그 형태로 다수개 배열되어 있으며, 각 냉매관의 외주연에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방열핀(미도시됨)이 형성되어 지며, 실외공간부의 양측판에 실외흡입구(13)가 형성되고, 응축기(50)의 후방에 실외토출구(미도시됨)가 형성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어컨은 사용자의 온신호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면, 구동모터(20)가 구동을 시작하고, 상기 구동모터(20)의 회전축(21)(22)에 끼워져 설치된 냉각팬(60)과 송풍팬(70)이 동시에 회전을 시작하며, 또한 압축기(40)에서 냉매가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다음 응축기(50)로 순환되면 냉각팬(60)의 회전으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공냉되어 진다.
즉, 냉각팬(60)이 회전되면서 실외공기가 실외흡입구(13)를 거쳐 실외공간부로 흡입된 다음 후방의 응축기(50)를 통과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응축기(50)에 강한 바람이 통과하면서 응축기(50)의 열을 외부로 방열시켜 냉각시킨 다음 이 바람은 실외토출구를 따라 실외로 배출되어 진다.
또한, 응축기(50)에서 저온.저압으로 액화되어 응축된 냉매가 미도시된 모세관을 거치면서 팽창되고, 따라서 팽창된 기체액체 혼합냉매가 실내공간부의 증발기(30)로 순환되어 이중 액체상태의 냉매가 증발하여 외부의 열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구동모터(20)의 구동으로 송풍팬(70)이 회전되면서 실내공간부 내부로 흡입된 후 증발기(30)를 거치면서 냉각되며, 이 냉각된 실내공기가 토출부(14)를 거쳐 실내로 토출되어 실내가 냉방되어 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에어컨을 사용하다 보면 여름의 장마철이나 비오는날의 경우 습도가 높아 제습을 필요로 하게 되나, 실내의 온도가 낮아 에어컨을 구동하는 경우 실내온도는 더욱 낮아지는 반면 습도는 여전히 높아져 제습기능을 원할하게 수 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에어컨의 실내기에 히터를 장착하여 여름의 장마철과 같이 습도가 높아 제습이 필요한 경우 상기 히터를 통해 토출되는 냉풍의 온도를 상승시켜 실내온도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제습기능을 수 행하도록 하며, 겨울철은 이 히터를 보조열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히터가 장착된 에어컨용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증발기를 통해 열교환된 냉풍을 실내로 토출시키는 토출구를 갖는 통상의 에어컨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실내기의 토출구 내측으로 열선이 내장된 히터부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수단이 구비된 창문형 에어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는 일반적인 창문형 에어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04 : 토출구
105 : 흡입구 130 : 증발기
200 : 히터부 201 : 열선
이하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단이 구비된 창문형 에어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전.후방이 실내 및 실외로 노출되는 본체(10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00) 내부는 실내차단벽체(101)와 실외차단벽체(102)에 의해 실내공간부와 실외공간부로 나누어져 있으며, 실내외차단벽체(101)(102)에는 중앙에서 양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1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내공간부내에 주위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130)와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140)가 설치되며, 이 후방으로 상기 압축기(140)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를 액화시켜 상온으로 응축하는 응축기(150)가 설치되며, 실외공간부의 양측판에 실외흡입구(103)가 형성되고, 응축기(150)의 후방에 실외토출구(미도시됨)가 형성되어 진다.
한편, 상기 에어컨 본체(100)의 전면으로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05)와 이 흡입구(105)의 일측으로는 상기 증발기(130)에서 열교환된 냉풍을 실내로 토출시키는 토출구(10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토출구(104)의 내측으로는 열선(201)이 내장된 히터부(20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어컨은 사용자가 정상적인 냉방운전을 실시하게 되면, 송풍팬(170)이 회전되면서 흡입구(105)를 통해 실내공간부 내부로 흡입된 실내공기가 증발기(130)를 거치면서 냉각되고, 이 냉각된 실내공기는 토출부(104)를 거쳐 실내로 토출되어 실내를 냉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냉방운전을 실시중 장마철이나 비가오게 되어 실내의 습도가 높아지게 되면, 에어컨의 제습운전을 선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외부의 전원이 열선(201)으로 인가되면서 히터부(200)에서 열을 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히터부(200)가 작동되면, 토출구(104)를 지나는 냉풍이 이 히터부(20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 되어 온도가 상승된 상태로 실내로 토출되어져 실내온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실내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작용을 수 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에어컨을 여름철에만 사용하지 않고, 겨울철에도 히터부(200)를 통해 열을 얻을 수 있으므로 겨울철에는 보조열원으로서의 기능도 함께 수행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에어컨의 냉방운전 실시중 장마철이나 비가오게 되어 실내의 습도가 높아지면, 에어컨의 히터부를 작동시켜 토출구를 지나는 냉풍이 이 히터부를 통과하면서 열교환 되어 온도가 상승된 상태로 실내로 토출되므로서, 실내온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실내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작용을 수 행하며, 또한 겨울철에는 히터부를 통해 열을 얻을 수 있으므로서, 겨울철에는 보조열원으로서의 기능도 함께 수행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 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증발기(30)를 통해 열교환된 냉풍을 실내로 토출시키는 토출구(14)를 갖는 통상의 에어컨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실내기의 토출구(104) 내측으로 열선(201)이 내장된 히터부(200)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가 장착된 에어컨용 실내기.
KR2019980025325U 1998-12-17 1998-12-17 히터가 장착된 에어컨용 실내기 KR2000001237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325U KR20000012374U (ko) 1998-12-17 1998-12-17 히터가 장착된 에어컨용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325U KR20000012374U (ko) 1998-12-17 1998-12-17 히터가 장착된 에어컨용 실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374U true KR20000012374U (ko) 2000-07-05

Family

ID=69507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325U KR20000012374U (ko) 1998-12-17 1998-12-17 히터가 장착된 에어컨용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237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486B1 (ko) * 2005-12-30 2007-07-0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패키지 에어컨의 이슬 맺힘 방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486B1 (ko) * 2005-12-30 2007-07-0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패키지 에어컨의 이슬 맺힘 방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66016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덕트
KR20000012374U (ko) 히터가 장착된 에어컨용 실내기
KR100332774B1 (ko) 에어컨 실외기
KR200178068Y1 (ko) 패키지 에어콘
KR200171604Y1 (ko)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KR200148716Y1 (ko) 환풍기가 구비된 창문형 에어컨
KR200215772Y1 (ko) 독립 구동모터를 갖는 에어컨용 블레이드
KR20010002319U (ko) 소음저감형 송풍팬
KR200159701Y1 (ko) 실외흡입부제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KR20000000624U (ko) 창문형 에어컨
KR200171602Y1 (ko) 패키지 에어컨의 실외기
KR100390221B1 (ko) 토출측 소음 저감이 향상된 공기조화기
KR200148712Y1 (ko) 창문형 에어컨의 강제배기장치
KR19990004453A (ko) 에어컨 증발기의 동결방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10002320U (ko) 창문형 에어컨의 소음저감 장치
KR20000008524U (ko) 에어컨의 구동모터 회전축
KR20000000211U (ko) 에어컨용 응축기
KR19990018683U (ko) 창문형 에어컨용 냉각팬
KR200148706Y1 (ko)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
KR20000014322U (ko) 에어컨용 모터 브라켓
KR20000008077U (ko) 에어컨의 분리형 응축기
KR20000074819A (ko) 창문형 에어컨의 압축기 냉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21353U (ko) 가습기가 설치된 창문형 에어컨
KR20000014305U (ko) 에어컨용 냉각팬
KR20000065578A (ko) 에어컨디셔너의 흡음 오리피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