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0026U - 음경(陰莖)발기 확대장치 - Google Patents

음경(陰莖)발기 확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0026U
KR20000010026U KR2019980022156U KR19980022156U KR20000010026U KR 20000010026 U KR20000010026 U KR 20000010026U KR 2019980022156 U KR2019980022156 U KR 2019980022156U KR 19980022156 U KR19980022156 U KR 19980022156U KR 20000010026 U KR20000010026 U KR 200000100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enis
cap
cylind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21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태우
Original Assignee
구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태우 filed Critical 구태우
Priority to KR20199800221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0026U/ko
Publication of KR200000100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026U/ko

Link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경을 신장관에 삽입하고 신장관과 일체로 연결된 펌핑장치를 작동시켜 신장관에 있는 공기압을 흡입배출시켜서 음경의 혈압을 높여줌으로서 음경이 확대발기 되도록 된 그러한 장치(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신장관(2)과 연결되는 실린더관(3)의 펌프부의 구조가 간단하므로 고장이 발생할 염려가 전혀없고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으며,
특히, 음경 또는 귀두가 삽입되는 신장관(2)과 튜브캡(6-1)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음경 또는 귀두의 발기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운동을 반복적으로 실시 할 수 있으므로 발기 능력이 떨어진 사람은 자가적인 물리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Description

음경(陰莖)발기 확대장치
본 고안은 음경을 발기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음경을 신장관에 삽입하고 신장관과 일체로 연결된 펌핑장치를 작동시켜 신장관에 있는 공기압을 흡입배출시켜서 음경의 혈압을 높여 줌으로서 음경이 확대 발기 되도록 된 그러한 장치(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음경의 발기부전현상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발기 능력을 물리적으로서 향상시켜줄 수 있도록 하고 음경의 크기를 확대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물리적인 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음경의 발기부전(勃起不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의학적으로 알려진 것으로는 주사약을 사용하는 것과, 탄성보형물을 음경의 몸체에 수술로서 삽입시켜주는 것과, 액상물질이 채워지는 관현상의 보형물을 음경의 몸체에 끼워주도록 하는 것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시술에 의해 발기 부전을 해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는 국내특허 공고 번호 제96-15796호의 음경기상기가 알려져 있다.
이 음경기상기는 스테이레스받침대에 고정된 지지봉이 실리콘링의 캡술에서 삽입되어 입출되도록 된 것으로서 인체의 하복부와 음경의 피하(皮下)에 수술로서 지지고정시키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음경거상기는 시술에 의해서만 설치가 가능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고, 항상 신체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착용에 따른 거북함이 있으며, 특히 인위적으로 음경을 거상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음경의 신경이나 운동능력을 발전시키기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물리적인 기구에 의해 치료할 수 있는 것으로는 국내특허공고번호 제97-1820호 음경발기장치가 제안되어 있으며,
튜브의 외주선단부에서는 부싱이 레버의 작동에 의해 튜브의 선단에 끼워져 있는 탄성링을 이탈 시킬 수 있도록 하고 튜브의 타단에는 헤드를 착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헤드에는 공기를 흡입배출 시키기 위한 진공튜브와 벨로우즈와 연결된 필터와 외기를 주입시키기 위한 푸시버튼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물리기구인 음경발기장치는 음경을 튜브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스프링에 의해 탄발되는 진공튜브를 작동시키면 튜브에 있던 공기는 필터를 통과하고 흡입체크밸브를 통해 진공튜브를 유입된 후 배출체크밸브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지며, 튜브의 내부는 진공상태로 된다. 튜브의 내부가 진공상태로 되면 튜부의 내부로 삽입된 음경은 혈압이 높아지면서 발기하게 되고, 음경이 완전히 발기된 후 레버를 작동시켜 부상을 밀어주게 되면 탄성링은 부싱에 의해 밀리면서 튜브의 선단을 벗어나 음경의 내측에 끼워지면서 발기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켜 주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물리기구 음경발기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단점으로 지적된다.
구조가 너무 복잡하여 제조가 용이치 못하고 제조원가가 많이 소요되어 보급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너무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고장발생율이 높고 작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못하게 될 우려가 있으며, 고장이 발생할 경우 수리도 용이하게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된 음경발기 확대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물리적으로 실시 할 수 있도록 하되, 음경이 삽입되는 신장관과 신장관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구조가 간단한 실린더관을 결합·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음경발기 확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조를 간단히 하여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제조원가도 절감하여 보급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며, 구조를 간단히 함으로서 고장이 발생할 염려가 거의 없고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으며, 수리도 간단히 실시 할 수 있도록 된 음경발기확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목적은,
신장관(2)과 압력조절밸브(20)가 구비된 실린더관(3)을 상호간의 나사부(5)에 의해 결합·해제시킬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신장관(2)의 선단에 캡(6)또는 튜브캡(6-1)을 삽입 장착하는 것과, 실린더관(3)의 내부에는 로드(11)의 선단에 장착되는 피스톤(12)을 삽입시키고 실린더관(3)의 상단에는 중앙에 유통공(7-1)이 뚫어지고 일측편에 에어배출공(8)이 뚫어진 캡(7)을 나사결합 시키되 로드(11)를 유통공(7-1)에 삽입시킨 후 캡(7)의 외측에서 핸들(10)을 장착하는 것과,
압력조절밸브(20)는 밸브하우징(21)의 내부중간부에 중앙이 뚫어진 개폐고정판(22)을 형성하여 내외축으로 내실린더(23)와 외실린더(24)가 형성되도록 하고 개폐고정판(22)에는 양단에 개폐작동판(26)과 개폐고정판(22)의 당접면중에서 어느일면에 패킹(27)을 장착시키고 푸시버튼(25)의 내측의 작동봉(25-1)에는 스프링(28)을 끼워주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경발기 확대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되어있으므로 캡(6)이 결합된 신장관(2)에 음경을 삽입시키거나 신장관(2)에 결합된 튜브캡(6-1)에 귀두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핸들(10)을 작동시켜주면 피스톤(12)이 실린더관(3)에서 작동되면서 신장관(2)과 실린더관(3)에 있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진공상태로 만들어 주며, 따라서 신장관(2) 또는 튜브캡(6-1)에 삽입된 귀두의 혈압이 상승하게 되므로 음경 또는 귀두는 발기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신장관(2) 또는 튜브캡(6-1)에서 음경 또는 귀두를 이탈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내부가 진공상태이므로 용이하게 이탈 시킬 수 없게 되며, 따라서 압력조절밸브(20)의 푸시버튼(25)을 눌러주게 되면 외기가 급속히 흡입되어 충진되면서 진공상태가 해제 되어 평행 상태로 되므로 용이하게 이탈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음경발기 확대장치의 각기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음경발기 확대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압력조절밸브를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발기확대장치 2 : 신장관
3 : 실린더관 4 : 접속캡
5, 9 : 나사부 6 : 실리콘캡
6-1 : 실리톤 튜브 7 : 캡
8 : 에어배출공 10 : 핸들
11 : 피스톤 12, 15 : 금속판
13 : 상패킹 14 : 하패킹
16 : 고정너트 20 : 압력조절밸트
21 : 밸브하우징 22 : 개폐고정판
23 : 내실린더 24 : 외실린더
25 : 푸시버튼 26 : 개폐작동관
27 : 패킹 28 : 스프링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목적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1a 내지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발기 확대장치의 구체적인 구현예를 보인 예시도로서,
도 1a 및 도 1b는 신장관(2)과 실린더관(3)이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된 발기확대장치(1)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2는 실린더관(3)에 구비되는 압력조절밸브(20)의 구조를 보인 예시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귀두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된 발기확대장치(1)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발기확대장치(1)는 신장관(2)과 실린더관(3)을 일체형으로 한 것이다. 신장관(2)의 선단에는 실린콘으로 제조되는 캡(6)을 씌워주되 상기 캡(6)을 결합·분리 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실린더관(3)은 피스톤(2)과 핸들(10)을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절곡형으로 형성하여 일단에는 접속캡(4)을 일체로 하고 그 내주연에 나사부(5)를 형성하여 신장관(2)의 나사부(5)를 나사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타단의 외주에는 나사부(9)를 형성하여 캡(7)을 나사결합 시킬 수 있도록 하되 캡(7)의 중앙에는 유통공(7-1)을 뚫어주어서 차후에 설명되는 피스톤(12)의 로드(11)를 삽입 시켜주도록 하였으며, 상기 유통공(7-1)의 외측으로는 에어배출공(8)을 뚫어주었다.
실린더관(3)에 내부에는 로드(11)의 선단에 장착되는 피스톤(12)을 삽입시켜 주었다. 피스톤(12)은 유통공(14-1)이 뚫어진 하패킹(15)의 위에 상측패킹(14)을 얹고 상패킹(14)과 하패킹(15)을 상·하측에서 금속판(13)(16)으로 억류시키되 볼트부(11-1)에 고정너트(7)를 결합하여 고정시켜 주었으며, 로드(11)를 유통공(7-1)으로 삽입시켜 캡(7)의 외측에서 핸들(10)을 결합시켜 주었다.
또한 실린더관(3)에는 피스톤(12)의 전방측에는 압력조절밸브(20)를 장착하였다. 상기 압력조절밸브(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은 구조로 되어있으며 실린더관(3)과는 나사부(29)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밸브하우징(21)의 내부중앙에 유통공이 뚫어진 개폐고정판(22)을 일체로 형성하여 그 내·외측으로 내실린더(23)와 외실린더(24)가 형성되도록 하였고, 상기 개폐고정판(22)의 유통공에는 내·외측으로 개폐작동판(26)과 푸시버튼(25)이 구비된 작동봉(25-1)을 삽입시키되 개폐작동판(26)과 개폐고정판(22)의 당접면 중에서 어느 일면에 밀폐용패킹(27)을 결합시켜주고 푸시버튼(25)의 내측의 작동봉(25-1)에는 스프링(28)을 끼워주어서 푸시버튼(25)이 탄발되어지도록 하였다.
특히, 푸시버튼(25)의 외주연과 개폐고정판(22)의 유통공의 내주연과 개폐작동판(26)의 외주연에는 유통홈(25-1)(22-1)(26-1)을 각각 형성하여 공기가 용이하게 유통되어지도록 하였다.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발기확대장치(1)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예시도이다. 도 1b의 실시예는 도 1a의 실시예 중에서 신장관(2)과 실린더관(3)을 분리형으로 하여 분해 결합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으로서, 신장관(2)에서 캡(6)이 끼워지는 반대단 외주연과 실린더관(3)의 접속단에 일체로 형성된 접속캡(4)의 그 내주연에 나사부(5)를 각각 형성하여 나사결합 또는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 외는 도 1a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하였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발기확대장치(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b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신장관(2)의 선단에 장착되는 캡(6)을 대신하여 주로 실리콘 재질로 되는 튜브캡(6-1)을 장착하여서 된 것으로서, 튜브캡(6-1)에 귀두만을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 튜브캡(6-1)은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도 1a에 도시된 바와같이 신장관(2)과 실린더관(3)이 일체형으로 된 발기확대장치(1)에서 신장관(2)의 선단에 장착되는 캡(6)을 대신하여 튜브캡(6-1)을 씌워줄 수 있다.
도 3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로서 신장관(2)의 길이를 짧게 하고 그 신장관(2)의 선단에 튜브캡(6-1)을 씌워서 된 것이며 나머지는 도 3a와 동일한 구조로 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도 1a 또는 도 1b에 예시된 발기확대장치(1)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 신장관(2)에 음경을 삽입시켜 주되 신장관(2)을 당겨서 캡(6)이 밀착되어지도록 하여 밀폐상태가 되도록 하여주고, 도 3a 또는 도 3b에 예시된 발기확대장치(1)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튜브캡(6-1)에 귀두를 삽입시켜 주면 되는 것으로서 튜브캡(6-1)에 귀두를 삽입시켜주면 신축성이 있는 튜브캡(6-1)은 표피에 밀착되어진다.
이와같이 신장관(2) 또는 튜브캡(6-1)에 음경 또는 귀두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핸들(10)을 도시된 바와같이 상하로 움직여 피스톤(12)을 작동시켜준다. 피스톤(12)이 상측상태에서 하향될 때 피스톤(12)의 하측에 있는 공기는 압력을 받게 되므로 하패킹(15)의 유통공(15-1)을 통과하여 상패킹(14)을 이기고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하향되어 있던 피스톤(12)이 상향하게 되면 피스톤(12)의 상측으로 이동되어있던 공기는 피스톤(12)에 의해 압축되어지는데, 이때 캡(7)에는 에어배출공(8)이 뚫어져 있으므로 압축되려던 공기는 에어배출공(8)을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수회 반복적으로 실시하게되면 신장관(2)의 내부와 피스톤(12)의 하측 실린더관(3)의 내부에 있던 공기가 배출되어 그 내부는 진공상태로 되며, 신장관(2)과 피스톤(12)의 하측의 실린더관(3)의 내부가 진공상태로 되면 삽입되어 있던 음경 또는 귀두는 혈압이 높아지면서 발기 되어진다.
음경 또는 귀두가 발기된 상태를 적정한 수분동안 유지시킨 상태에서 음경 또는 귀두를 이탈 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내부의 진공상태로 인하여 이탈이 용이하지 못하므로 내부압력을 외부압력과 동일하게 유지시켜 줌으로서 가능하다.
신장관(2)을 좌우 흔들어 캡(6)과 표피와의 밀착 상태를 해제 시켜 줄수도 있겠으나 음경에 무리가 있을 염려가 있으므로 압력조절밸브(20)를 통하여 외기가 흡입되어지도록하여 진공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은 상태에서 푸시버튼(25)을 눌러주게 되면, 푸시버튼(25)은 스프링(28)을 압축시키면서 외실린더(24)로 유입되어지고 작동봉(25-1)과 함께 개폐작동판(26)도 이동하게 되므로 패킹(27)은 개폐고정판(22)과의 밀폐상태를 해제하게 되며, 이때 외기는 푸시버튼(25)의 유통홈(25-1)과 개폐고정판(22)의 유통홈(22-1) 및 개폐작동판(26)의 유통홈(26-1)을 급속하게 통과하여 실린더관(3)의 내부와 신장관(2)의 내부로 유입되어진다. 진공상태가 해제되면 푸시버튼(25)에서 압력을 제거하여 스프링(28)의 탄발력에 의해 개폐작동판(26)이 복귀하면서 패킹(27)에 의해 밀폐상태로 되어지며, 이후 음경 또는 귀두를 신장관(2) 또는 튜브캡(6-1)에서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실시함으로서 음경 또는 귀두를 반복적으로 발기시키는 운동을 실시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음경 또는 귀두의 운동신경을 발달시켜 발기 능력을 점진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신장관(2)과 연결되는 실린더관(3)의 펌프부의 구조가 간단하므로 고장이 발생할 염려가 전혀없고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으며,
특히, 음경 또는 귀두가 삽입되는 신장관(2)과 튜브캡(6-1)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음경 또는 귀두의 발기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운동을 반복적으로 실시 할 수 있으므로 발기 능력이 떨어진 사람은 자가적인 물리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Claims (1)

  1. 신장관(2)과 압력조절밸브(20)가 구비된 실린더관(3)을 상호간의 나사부(5)에 의해 결합·해제 시킬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신장관(2)의 선단에 캡(6)또는 튜브캡(6-1)을 삽입 장착하는 것과, 실린더관(3)의 내부에는 로드(11)의 선단에 장착되는 피스톤(12)을 삽입시키고 실린더관(3)의 상단에는 중앙에 유통공(7-1)이 뚫어지고 일측편에 에어배출공(8)이 뚫어진 캡(7)을 나사결합시키되 로드(11)를 유통공(7-1)에 삽입시킨 후 캡(7)의 외측에서 핸들(10)을 장착하는 것과,
    압력조절밸브(20)는 밸브하우징(21)의 내부중간부에 중앙이 뚫어진 개폐고정판(22)을 형성하여 내외축으로 내실린더(23)와 외실린더(24)가 형성되도록 하고 개폐고정판(22)에는 양단에 개폐작동판(26)과 개폐고정판(22)의 당접면중에서 어느일면에 패킹(27)을 장착시키고 푸시버튼(25)의 내측의 작동봉(25-1)에는 스프링(28)을 끼워주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경발기확대장치.
KR2019980022156U 1998-11-14 1998-11-14 음경(陰莖)발기 확대장치 KR2000001002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156U KR20000010026U (ko) 1998-11-14 1998-11-14 음경(陰莖)발기 확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156U KR20000010026U (ko) 1998-11-14 1998-11-14 음경(陰莖)발기 확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026U true KR20000010026U (ko) 2000-06-15

Family

ID=69514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2156U KR20000010026U (ko) 1998-11-14 1998-11-14 음경(陰莖)발기 확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002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04610A1 (en) * 2002-07-09 2004-01-15 Kyung-Sam Byon A portable electronic penile aneurysm enhancer
KR200486275Y1 (ko) * 2017-06-02 2018-06-04 손승근 성감 촉진기구 세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04610A1 (en) * 2002-07-09 2004-01-15 Kyung-Sam Byon A portable electronic penile aneurysm enhancer
KR200486275Y1 (ko) * 2017-06-02 2018-06-04 손승근 성감 촉진기구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76516C (en) Surgical appliance for stimulating an erection
US4829990A (en) Implantable hydraulic penile erector
US7572218B2 (en) Implantable muscle closing prosthesis system, in particular in the anal channel area
KR970001820B1 (ko) 음경(陰莖)발기장치
BR0108141B1 (pt) aparelho para tratamento de impotência com um dispositivo de transformação de energia
US7118527B2 (en) Portable electronic penile aneurysm enhancer
KR20000010026U (ko) 음경(陰莖)발기 확대장치
US20210113424A1 (en) Apparatus for manual haptic stimulation of male organ
CA1317703C (en) Flat coil spring penile prosthesis
US5997470A (en) Penile tube and constrictor ring removal guide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2405218B1 (ko) 신체 말단부위의 혈관 확장장치
US9039598B2 (en) Penile rigidity device
WO2015138302A1 (en) Penile prosthesis cylinder having an expandable tip
KR200492611Y1 (ko) 의료용 수동식 진공압력 발생기
KR20000053814A (ko) 음경 발기 기구
RU218580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иления сексуальной способности мужчины
KR100430620B1 (ko) 휴대용 전자식 음경 동맥 혈류 증진 운동장치
KR200386104Y1 (ko) 음경 확대 및 발기 보조 팽창형 보형물
US20220183875A1 (en) Disposable penile erection device
KR200478736Y1 (ko) 남성용 성기능 개선기구
WO2015134720A1 (en) Penile prosthesis cylinder having an adjustable stiffener rod
KR200259542Y1 (ko) 여성 가슴 교정기구
RU55582U1 (ru) Вакуумный эректор
KR101119668B1 (ko) 해면체 확대 장치
SU109995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 емой колостом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