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9417A - 전극의 열팽창을 감소시키는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 Google Patents

전극의 열팽창을 감소시키는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9417A
KR20000009417A KR1019980029807A KR19980029807A KR20000009417A KR 20000009417 A KR20000009417 A KR 20000009417A KR 1019980029807 A KR1019980029807 A KR 1019980029807A KR 19980029807 A KR19980029807 A KR 19980029807A KR 20000009417 A KR20000009417 A KR 20000009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n gun
ray tube
cathode ray
electron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9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영찬
Original Assignee
김영남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1019980029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9417A/ko
Publication of KR20000009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41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8Schematic arrangements of the electrodes for beam forming; Place and form of the elec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4Cathode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적 컨버젼스 드리프트 현상을 제거하여 화질과 색순도를 개선시킬 수 있고, 컷오프 전압의 편차로 인한 음극선관의 화이트 밸런스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열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의 전자총을 제공한다.
그 전자총은, 삼극관부를 구성하는 캐소우드, G1전극, G2전극 및 G2전극에 대향하는 G3전극을 구비하는 칼라음극선관용 인라인형 전자총에 있어서, 상기 캐소우드내의 히이터로부터의 열에 대한 강도를 증대시키고 열변형을 감소시키도록 G1전극(100), G2전극 및 G3전극중에 적어도 하나의 각 전자비임 관통공(R/G/B)의 인접한 주위에 요철부(rE,rE',gE,gE',bE,bE')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극의 열팽창을 감소시키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본 발명은 전극의 열팽창을 감소시키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캐소우드의 히이터의 발생열에 의한 삼극관부를 구성하는 전극이 열팽창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열적 컨버젼스 드리프트 현상 및 컷오프 전압 특성을 개선시킨 전극의 열팽창을 감소시키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음극선관은 R/G/B 캐소우드에 내장되는 히이터를 통전시킴으로써 R/G/B 캐소우드로부터 열전자들이 방출되고, 방출된 열전자들이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G1전극(100) 전극부(110)에서 주로 제어되어 그 G1전극의 R/G/B 전자비임 관통공(R/G/B)을 통과되고, 그 뒤, G2전극 및 G3전극을 통과하면서 집속 및 가속되어 전자비임을 형성하게 되며, 메인렌즈에서 주집속이 이루어지고 편향요크에 의해 스크린전면에 걸쳐 편향되어 주사되게 된다. 도면 부호(120,120')는 전극의 고정부이다.
이와 같이 주사되는 R/G/B 전자비임은 편향요크에 의해 형광면 전방의 색선별수단인 새도우마스크에서 셀프 컨버젼스가 이루어지게 되나, 화면 전면적에 걸쳐 정확한 컨버젼스를 위해 R/G/B 전자비임들이 가속 및 집속하는 과정에서 이들의 궤도를 개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수정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그러한 인라인형 전자총의 구조에 있어서는, 첫 번째로 열적 컨버젼스 드리프트 현상, 즉, 적, 청의 사이드의 전자비임(R/B)과 녹의 중앙의 전자비임(G)에 가해지는 수평 및 수직자계의 영향은 서로 상이하고 적, 청의 사이드의 전자비임(R/B)이 더 많은 영향을 받게되어 편향시 더 많은 왜곡을 받게 되며 히이터에 인접해 있는 G1전극, G2전극 및 G3전극이 히이터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팽창되어 중앙 전자빔 통과공을 기준으로 사이드 전자빔 통과공은 바깥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전자비임의 경로가 가변됨으로써 화면의 품질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장기간 가열되어 음극물질이 증발, 인접 전극에 부착하게 되어 제어되지 아니한 채, 그 부착된 음극물질로부터 전자들이 방출하게 되어 색순도를 열화시키며, 또한, 두 번째로 컷오프 전압의 편차로 인하여 음극선관의 화이트 밸런스 특성을 열화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열적 컨버젼스 드리프트 현상을 제거하여 화질과 색순도를 개선시킬 수 있고, 컷오프 전압의 편차로 인한 음극선관의 화이트 밸런스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열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의 전자총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구성하는 G1전극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구성하는 G1전극을 도시한 것으로서 전극부의 확대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구성하는 G1전극의 도 2의 선 3-3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G1전극 110: 전극부
110': 요홈부 120,120': 고정부
R,G,B : 전자빔 통과공 rE,rE',gE,gE',bE,bE': 요철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열팽창을 감소시키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은, 삼극관부를 구성하는 캐소우드, G1전극, G2전극 및 G2전극에 대향하는 G3전극을 구비하는 칼라음극선관용 인라인형 전자총에 있어서, 상기 캐소우드내의 히이터로부터의 열에 대한 강도를 증대시키고 열변형을 감소시키도록 G1전극, G2전극 및 G3전극중에 적어도 하나의 각 전자비임 관통공의 인접한 주위에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철부는 전극의 각 전자비임 관통공의 좌,우로 형성되는 I자 형상의 엠보싱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G1전극(100)의 전극부(110)이 도시되고, 도 3에는 도 2의 선 3-3의 단면도가 확대도로서 도시된다.
도 2에서 각 전자비임 관통공(R/G/B)이 인라인형으로 형성되고, 그 각 전자비임 관통공(R/G/B)의 양쪽에 I자 형상의 엠보싱인 요철부(rE,rE',gE,gE', bE,bE')가 형성된다. 도 3에서는 적색의 전자비임 관통공(R)의 주위 전극부(110)만이 도시되나, 다른 전자비임 관통공(G/B)도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전열과정에 따라 서로 상이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각 요철부(rE,rE',gE,gE',bE,bE')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프레스가공시에 엠보싱가공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지 전자비임 관통공(R/G/B)의 좌우 양측에 I자 형상의 엠보싱 요철부(rE,rE',gE,gE',bE,bE')가 형성되는 것이 도시되지만, 이러한 구조와 형상 및 배열에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하고 여러 가지 형상으로 또한, 여러 가지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배열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일예로서, 그 전자비임 관통공(R/G/B)의 주변 전주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고, 좌우에 걸쳐서 형성하더라도, 원호형상일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서 요홈부(110')에 도시가 생략되는 캐소우드가 설치되고, 그 캐소우드의 내부에 히이터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전극부(110)의 전자비임 관통공(R/G/B) 주위에 형성된 I자 형상의 요철부(rE,rE',gE,gE',bE,bE')는 히이터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한 전극부(110)의 팽창을 완화시켜 사이드 전자빔 통과공의 좌,우 이동을 억제해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자비임 관통공(R/G/B) 주위의 열에 의한 변형을 억제시키게 되어, 요홈부(110')에 일정한 틈새를 두고 설치되는 캐소우드와의 틈새를 일정하게 유지해 줄 수 있게 되어 정확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전자비임 관통공(R/G/B)이 인라인으로 배열되게 되어, 그 배열방향, 즉, 전극부(110)의 전자비임 관통공(R/G/B)의 길이방향으로 전극의 길이가 길어 히이터의 열에 의한 팽창이 크게 되기 때문에 더욱 열적 컨버젼스 드리프트 현상의 패턴은 상,하방향보다는 좌,우 방향쪽이 더 큰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비임 관통공(R/G/B)의 좌,우측에 I자 형상의 요철부(rE,rE',gE,gE',bE,bE')를 형성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좌,우 방향으로의 전극 팽창을 흡수할 수 있게 되고, 열에 의한 변형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도 3에 더욱 상세하게 도시되어져 있다. 히이터의 열에 의한 전극의 팽창은 I자 형상의 요철부(rE,rE')가 전자비임 관통공(R/G/B)의 좌,우측에 형성되어 있어 더욱 만곡되어지기 때문에 그 만곡된 부분에 의해 흡수되게 되고, 사이드 전자빔통과공(R/B)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게 되어 열에 의한 전극의 열적 컨버젼스 드리프트 현상을 최대한 극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극의 I자형상의 좌,우 요철부(rE,rE',gE,gE',bE,bE')가 열에 의한 전극의 팽창을 흡수하여 방지할 뿐만 아니라, 강도면에서도 엠보싱에 의해 보강되기 때문에 열에 의한 변형이 최대한 방지되게 되어 요홈부(110')에 설치되는 캐소우드에서 G1전극(110)까지의 틈새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정확하게 전자비임의 방출양을 제어할수 있다.
또한, 전극부(110)의 I자형상의 좌,우 요철부(rE,rE',gE,gE',bE,bE')에 의해 전극부(110)의 강도를 보강되기 때문에 전자총 조립시 전극의 변형도 감소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은 전자총의 열적 컨버젼스 드리프트 현상 및 캐소우드에서 G1간 거리 변화의 발생을 극소화하여 전자비임의 양을 잘 제어할 수 있게 되며, 전자총의 구면수차 및 컷오프전압 특성을 개선하여 화이트 밸런스 특성 등 더욱 선명한 화질의 칼라음극선관을 얻을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의 열팽창을 감소시키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칼라음극선관용 인라인형 전자총은 종래의 전자총에 있어서 야기되는 열적 컨버젼스 드리프트 현상 및 캐소우드에서 G1간 거리 변형 문제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전자총의 구면수차 및 화이트 밸런스 특성이 향상된 인라인형 전자총을 구비한 더욱 선명한 화질의 칼라음극선관을 얻을 수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일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당업자는 통상적인 지식의 범위내에서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삼극관부를 구성하는 캐소우드, G1전극, G2전극 및 G2전극에 대향하는 G3전극을 구비하는 칼라음극선관용 인라인형 전자총에 있어서,
    상기 캐소우드내의 히이터로부터의 열에 대한 강도를 증대시키고 열변형을 감소시키도록 G1전극(100), G2전극 및 G3전극중에 적어도 하나의 각 전자비임 관통공(R/G/B)의 인접한 주위에 요철부(rE,rE',gE,gE',bE,bE')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의 열팽창을 감소시키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rE,rE',gE,gE',bE,bE')는 전극의 각 전자비임 관통공(R/G/B)의 좌,우로 형성되는 I자 형상의 엠보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의 열팽창을 감소시키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19980029807A 1998-07-24 1998-07-24 전극의 열팽창을 감소시키는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000094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9807A KR20000009417A (ko) 1998-07-24 1998-07-24 전극의 열팽창을 감소시키는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9807A KR20000009417A (ko) 1998-07-24 1998-07-24 전극의 열팽창을 감소시키는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417A true KR20000009417A (ko) 2000-02-15

Family

ID=19545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9807A KR20000009417A (ko) 1998-07-24 1998-07-24 전극의 열팽창을 감소시키는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9417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133U (ko) * 1993-09-24 1995-04-24 오리온전기주식회사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50015452A (ko) * 1993-11-30 1995-06-16 엄길용 전자총
KR960012570U (ko) * 1994-09-30 1996-04-17 전자총 캐소드 및 전극 구조체
KR19980059905A (ko) * 1996-12-31 1998-10-07 구자홍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9990002864A (ko) * 1997-06-23 1999-01-15 구자홍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133U (ko) * 1993-09-24 1995-04-24 오리온전기주식회사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50015452A (ko) * 1993-11-30 1995-06-16 엄길용 전자총
KR960012570U (ko) * 1994-09-30 1996-04-17 전자총 캐소드 및 전극 구조체
KR19980059905A (ko) * 1996-12-31 1998-10-07 구자홍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9990002864A (ko) * 1997-06-23 1999-01-15 구자홍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3825B1 (ko) 컬러수상관용 전자총
KR94001098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JPH0510787B2 (ko)
US6144151A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n improved electron gun
KR20000009417A (ko) 전극의 열팽창을 감소시키는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0166017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30007584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77970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147969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3215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69395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13787B1 (ko)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KR200154147Y1 (ko)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KR950002743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34053B1 (ko)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JPH039579B2 (ko)
KR960008108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인라인형 전자총
KR0156522B1 (ko) 칼라 음극선관
KR19990086205A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160128Y1 (ko) 4극자 주렌즈를 지닌 음극선관
KR0131936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492786B1 (ko) 컬러음극선관용전자총
KR950009821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잔자총
KR20020003614A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00008878A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