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9190U -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구조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9190U
KR20000009190U KR2019980021097U KR19980021097U KR20000009190U KR 20000009190 U KR20000009190 U KR 20000009190U KR 2019980021097 U KR2019980021097 U KR 2019980021097U KR 19980021097 U KR19980021097 U KR 19980021097U KR 20000009190 U KR20000009190 U KR 200000091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ct switch
button
monitor
protrusion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10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명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210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9190U/ko
Publication of KR200000091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190U/ko

Link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구조에 관한 것으로, 모니터외함의 전면에는 회로기판(100)에 실장된 택트스위치(110)와 연동되는 버튼(120)이 장착되고, 이 버튼(120)은 모니터외함(130)의 내측벽부에 고정되는 프레임에 가느다란 지지리브에 의해 연결되며, 버튼(120)의 후면에는 상기 택트스위치(110)와 접촉되도록 돌기(122)가 돌출되어 이 돌기(122)가 택트스위치(110)와 접촉되어 택트스위치(110)를 작동시키도록 된 택트스위치 작동구조에 있어서, 상기 버튼(120) 후면의 돌기(122) 측면에 다수개의 리브(10)를 돌기(122)의 선단 외측으로 돌출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여, 버튼의 돌기가 택트스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택트스위치를 정확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한 데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구조(A structure for tacting switch in monitor)
본 고안은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택트스위치에 접촉하는 버튼이 편심되거나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의 전면부에는 명암 조정을 비롯한 여러 가지의 화면 표시(On Screen Display) 조정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다수개의 버튼이 실장되는 있는데, 이들 버튼은 사용자의 조작의 편이성이나 모니터 디자인 상의 미감을 고려하여 일렬로 배열되어 모니터 전면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모니터외함에 설치된 버튼은, 버튼의 후면에 돌출된 돌기를 매개로 하여 모니터외함에 내장된 회로기판의 스위치를 작동시키게 되는데, 모니터외함의 전면측벽부와 회로기판의 스위치 간의 거리가 비교적 멀리 떨어진 경우에는, 상기의 돌출된 돌기의 길이도 길어져야 되므로, 스위치가 실장된 회로기판이 조립과정 중에 모니터외함에 정확하게 조립되지 않을 경우, 또는 스위치 작동중에 버튼이 편심되게 눌러지면서 상기 돌기와 스위치 간의 접촉 지점이 틀려져 돌기가 택트스위치를 정확하게 작동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도 1에는 모니터의 내부에 장착된 회로기판(100)에 실장된 택트스위치(110)와 연동되는 버튼(120)이 모니터외함(130)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상기 버튼(120)은 모니터외함(130)의 내측벽부에 고정되는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에 가느다란 지지리브에 의해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120)의 후면에는 상기 택트스위치(110)와 접촉되도록 돌기(122)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 돌기(122)가 택트스위치(110)와 접촉되어 택트스위치(110)를 작동시키도록 사용자가 버튼(120)을 누른 후, 손을 떼면, 버튼(120)은 상기 지지리브의 탄성력에 의해 누르기 전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기술 구성에 의하면, 버튼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는 단지 버튼의 누름력을 택트스위치에 전달하기 위한 단순한 봉 형태로 이루어져 버튼(120)과 택트스위치(110)의 거리가 일정거리 떨어져 상기 돌기(122)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에는 사출성형불량 등으로 인해 변형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돌기(122)가 택트스위치(110)를 정확하게 작동시키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구나, 상기의 상태에서 택트스위치(110)가 실장된 회로기판(100)이 조립과정 중에 상하로 기울어지게 불량조립될 경우, 상기 돌기(122)와 택트스위치(110)간의 접촉지점이 일치하지 않아 택트스위치(110)가 전혀 작동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버튼을 편심되게 누른 경우 돌기가 택트스위치에서 벗어나게 되어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버튼의 돌기 구조를 개선하여 택트스위치가 정확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한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모니터의 회로기판에 실장된 택트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모니터 외함에 장착된 버튼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후면에 형성된 돌기 외주부에 다수개의 리브가 돌기의 선단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구조는, 돌기에 형성된 리브가 택트스위치의 외측에 위치하여 돌기가 택트스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택트스위치를 정확하게 작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버튼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모니터의 전면에 택트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버튼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브
100 : 회로기판 110 : 택트스위치
120 : 버튼 122 : 돌기
130 : 모니터외함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모니터의 전면에 택트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버튼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모니터외함의 전면에는 회로기판(100)에 실장된 택트스위치(110)와 연동되는 버튼(120)이 장착되고, 이 버튼(120)은 모니터외함(130)의 내측벽부에 고정되는 프레임(140)에 가느다란 지지리브에 의해 연결되며, 버튼(120)의 후면에는 상기 택트스위치(110)와 접촉되도록 돌기(122)가 돌출되어 이 돌기(122)가 택트스위치(110)와 접촉되어 택트스위치(110)를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 돌기(122)가 택트스위치(110)의 접촉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는 것으로 즉, 상기한 버튼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버튼(120) 후면의 돌기(122) 측면에 다수개의 리브(10)를 돌기(122)의 선단 외측으로 돌출형성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구조는, 버튼(120)의 돌기(122)에 형성된 리브(10)가 택트스위치(110)의 외측에 위치하여 돌기(122)가 택트스위치(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바, 버튼(120)을 편심되게 누르는 경우에도 상기 리브(10)가 택트스위치(110)에 걸려 돌기(122)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어 항상 택트스위치(110)를 정확하게 작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리브(10)는 택트스위치(110)가 리브(10) 사이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돌기(122)의 외측면을 따라 3개 또는 4개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택트스위치 작동구조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니터 외함(130)에 장착되어 있는 버튼(120)을 누르게 되면 상기 버튼(120)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122)가 눌려지면서 모니터의 회로기판(100)에 실장되어 있는 택트스위치(110)를 눌러 작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버튼(120)을 편심되게 누른 경우에는 상기 돌기(122)가 택트스위치(110)의 정확한 누름위치에서 벗어나게 되나 이 때 상기 돌기(122)에 형성되어 있는 리브(10)가 택트스위치(110)의 측면에 걸리면서 돌기(122)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버튼(120)의 돌기(122)가 접촉스위치(11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정확하게 택트스위치(110)를 누름으로서 항상 택트스위치(110)를 정확하게 작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버튼(120)을 모니터외함(130)에 장착함에 있어서도, 돌기(122)에 형성되어 있는 리브(10)가 택트스위치(110)에 정확히 안착되게 되어 설치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구조에 의하면, 버튼의 돌기가 택트스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택트스위치를 정확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한 데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모니터외함의 전면에는 회로기판(100)에 실장된 택트스위치(110)와 연동되는 버튼(120)이 장착되고, 이 버튼(120)은 모니터외함(130)의 내측벽부에 고정되는 프레임에 가느다란 지지리브에 의해 연결되며, 버튼(120)의 후면에는 상기 택트스위치(110)와 접촉되도록 돌기(122)가 돌출되어 이 돌기(122)가 택트스위치(110)와 접촉되어 택트스위치(110)를 작동시키도록 된 택트스위치 작동구조에 있어서,
    상기 버튼(120) 후면의 돌기(122) 측면에 다수개의 리브(10)를 돌기(122)의 선단 외측으로 돌출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구조.
KR2019980021097U 1998-10-31 1998-10-31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구조 KR2000000919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097U KR20000009190U (ko) 1998-10-31 1998-10-31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097U KR20000009190U (ko) 1998-10-31 1998-10-31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190U true KR20000009190U (ko) 2000-05-25

Family

ID=69517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1097U KR20000009190U (ko) 1998-10-31 1998-10-31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919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070B1 (ko) * 2005-07-30 201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정 장치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070B1 (ko) * 2005-07-30 201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정 장치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3611B1 (ko) 푸시온스위치
KR20000009190U (ko)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구조
KR20000009189U (ko)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구조
KR19980024480U (ko)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 구조
KR20000000057U (ko) 전자기기의 택트스위치 작동버튼구조
KR19990028850U (ko)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버튼
KR19980018869U (ko)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 구조
KR19980024462U (ko)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 구조
KR200295991Y1 (ko) 모니터 스위치
KR0155649B1 (ko) 중립 복귀 로타리 놉구조
KR0123690Y1 (ko) 가전제품의 버튼장치
KR19980030032U (ko)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 장치
KR19990038136U (ko) 티브이의 컨트롤장치
KR0134393Y1 (ko) 버튼택트
KR19980018877U (ko)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 구조
KR200160560Y1 (ko) 인쇄회로기판 고정구를 구비한 텔레비전용 노브장치
KR200162383Y1 (ko) 전자제품의 파워버튼 작동구조
KR19980065324A (ko) 누름 스위치
KR20060071049A (ko) 점성유체를 이용한 버튼구조
KR19980030067U (ko)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장치
KR19990019098U (ko) 모니터의 텍트스위치 작동구조
KR19980068014U (ko) 전자기기의 택 스위치 스위칭구조
KR20050056709A (ko) 텔레비젼의 버튼장치
KR20020040289A (ko) 영상 표시 기기의 버튼 구조
KR19980018874U (ko) 모니터의 버튼 안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