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9120U - Brush of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Brush of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9120U
KR20000009120U KR2019980021025U KR19980021025U KR20000009120U KR 20000009120 U KR20000009120 U KR 20000009120U KR 2019980021025 U KR2019980021025 U KR 2019980021025U KR 19980021025 U KR19980021025 U KR 19980021025U KR 20000009120 U KR20000009120 U KR 200000091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connecting pipe
pipe
vacuum cleaner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102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상보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210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9120U/en
Publication of KR200000091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120U/en

Links

Landscapes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브러쉬 네크와 연결 파이프 사이에 플렉시블한 매체를 구성하여 어느 방향이든지 굴절이 자유롭도록 하는 진공청소기의 브러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brush of a vacuum cleaner that forms a flexible medium between the brush neck and the connecting pipe so that the deflection is free in any direction.

이에 따른 본 고안은 상부케이스(11)와 하부케이스(12)가 서로 조합되고, 각 케이스(11)(12) 내부의 유로가이드(13)에 의해 흡입먼지를 안내하는 한편, 브러쉬 네크(15)와 연결 파이프(16)가 서로 연통되게 구성된 진공청소기의 브러쉬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네크(15)와 연결 파이프(16) 사이의 각 끝단에 설치되고 굴절위치가 자유로운 연질의 호스관(17)과; 상기 호스관(17)의 외측에 설치되고 브러쉬 네크(15)와 연결 파이프(16)의 각 끝단에 탄지되어 굴절된 호스관(17)을 원위치시키고 충격을 완화하는 코일 스프링(18)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며, 이를 적용하게 되면 적은 조작력으로 벽면 모서리부분과 같이 청소하기 힘든 곳에서도 간단히 작업을 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청소와중에 브러쉬에 급작스런 충격력이 전해진다 하더라도 코일 스프링에 의해 그 힘을 완화 및 상쇄시키기 때문에 파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ase 11 and the lower case 12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guide the suction dust by the flow guide 13 inside each case 11 and 12, while the brush neck 15 is provided. And a brush of the vacuum cleaner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connecting pipe (16), the brush comprising: a flexible hose pipe (17) installed at each end between the brush neck (15) and the connecting pipe (16) and free of deflection positions; It includes a coil spring (18)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hose pipe (17) and repositioned at each end of the brush neck (15) and the connecting pipe (16) to relieve the bent hose pipe (17) and to alleviate the impact. When applied, it not only makes it easy to work in places that are difficult to clean, such as wall edges, but also reduces and offsets the force by the coil spring even if a sudden impact force is transmitted to the brush during clean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does not break.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브러쉬Brush of vacuum cleaner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의 브러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브러쉬 네크와 연결 파이프 사이에 플렉시블한 매체를 구성하여 어느 방향이든지 굴절이 자유롭도록 하는 진공청소기의 브러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ush of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ush of a vacuum cleaner to configure a flexible medium between the brush neck and the connecting pipe so that the deflection can be free in any direction.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팬모터의 구동에 의한 강한 흡인력으로 바닥의 먼지나 기타 이물질을 집진하는 빗자루나 걸레대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청소도구로써, 이러한 진공청소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In general, a vacuum cleaner is a cleaning tool widely used for a broom or a mop dust collecting dust or other foreign matter on the floor with a strong suction force driven by the fan motor, briefly describe the configuration of the vacuum cleaner as follows.

팬모터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흡인력으로 먼지 및 이물질을 빨아들이면서 포집하는 먼지주머니가 내설되고 전,후로 구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흡입단에 연결되어 흡입되는 이물질을 먼지주머니로 포집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이 마련되는데, 그 가이드수단은 본체의 흡입단에 연결되고 움직임이 자유로워 어느 방향이든지 절환이 가능하게 된 플렉시블 관과, 사용자의 신체여부와 장소에 따라 길이의 조절이 자유롭게 구성된 신축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플렉시블 관과 신축관 사이에는 팬모터를 제어하여 흡인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컨트롤부가 위치되어 있다.A dust bag that collects dust and foreign matters while being suck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fan motor is internally installed and guides the foreign matter sucked in and connected to the suction end of the main body to be collected by the dust bag. The guide means is provided with a flexible tube which is connected to the suction end of the main body and is free to move and can be switched in any direction, and a flexible tube freely adjustable in length depending on the user's body and location. It is configured, and the control unit to control the fan motor to adjust the suction force between the flexible tube and the expansion tube is located.

한편, 상기 신축관의 끝단에는 바닥상태에 따라 이물질이나 먼지를 모으도록 하는 브러쉬가 구비되어 있는데, 종래 브러쉬의 내부구조를 도 1 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end of the expansion pipe is provided with a brush to collect foreign matter or dust according to the floor stat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brus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FIG.

상기 종래의 브러쉬(100)는 크게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의 조합에 의해 그 형태가 이루어지고, 각 케이스(110)(120)의 내부에는 하부케이스(120)의 흡입구(120a)로부터 흡입되는 공기 및 이물질의 흐름을 안내하는 유로가이드(130)가 내설되며, 상기 유로가이드(130)의 끝단에는 롤러(140)의 회전축 역할을 하고 수평상태에서 일정구간 상향되게 리프팅되는 브러쉬 네크(150)가 결합되며, 상기 네크(150)의 후단에는 도시되지 않은 신축관과 연결되는 연결 파이프(160)가 연통결합됨과 함께 회전자재되게 구성되어 있다.The conventional brush 100 is largely formed by a combination of the upper case 110 and the lower case 120, the inlet 120a of the lower case 120 in each case (110) (120). A flow guide 130 for guiding the flow of air and foreign matters sucked from the inside is installed, and a brush neck serving as a rotating shaft of the roller 140 at the end of the flow guide 130 and being lifted upwar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horizontal state. 150 is coupled, the rear end of the neck 15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ipe 160, which is connected to the expansion pipe (not shown) is configured to be rotatably coupled.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브러쉬(100)에서 브러쉬 네크(150) 및 이와 결합하는 연결 파이프(160)가 딱딱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 파이프(16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려고 하는 경우에는 이와 결합되는 신축관을 돌려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하였고, 특히 모서리나 경사진 벽을 청소할 경우에 이러한 문제점이 두드러졌다.However, since the brush neck 150 and the connecting pipe 160 coupled thereto in the conventional brush 100 are made of a hard material, the connecting pipe 160 is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convenient to work because it is necessary to turn the expansion pipe is coupled to this, especially when cleaning the edges or sloped walls were noticeable.

또한, 브러쉬 네크(150)가 딱딱한 재질이기 때문에 청소작업시 모서리에 부딪치면서 쉽게 부러져 버리는 문제점도 제기되었다.In addition, since the brush neck 150 is a hard material, a problem that is easily broken while hitting the corner during the cleaning operation has been raised.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네크와 연결 파이프 사이에 플렉시블한 매체를 구성하여 어느 방향이든지 굴절이 자유롭도록 하는 진공청소기의 브러쉬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brush of the vacuum cleaner to configure a flexible medium between the neck and the connecting pipe to be free to bend in any direc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서로 조합되고, 각 케이스 내부의 유로가이드에 의해 흡입먼지를 안내하는 한편, 브러쉬 네크와 연결파이프가 서로 연통되게 구성된 진공청소기의 브러쉬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is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guide the suction dust by the flow guide inside each case, while the brush neck and the connecting pipe is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of the vacuum cleaner In the brush,

상기 브러쉬 네크와 연결 파이프 사이의 각 끝단에 설치되고 굴절위치가 자유로운 연질의 호스관과; 상기 호스관의 외측에 설치되고 브러쉬 네크와 연결 파이프의 각 끝단에 탄지되어 굴절된 호스관을 원위치시키고 충격을 완화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A flexible hose tube installed at each end between the brush neck and the connecting pipe and having a free refraction position; It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hose pipe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il spring that is tangled at each end of the brush neck and the connecting pipe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to mitigate the impacted hose pipe.

도 1 은 종래 진공청소기 브러쉬의 내부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측단면도.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brush.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 브러쉬를 도시한 평면도.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vacuum cleaner 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도 2 의 A - A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브러쉬, 11: 상부케이스,10: brush, 11: upper case,

12: 하부케이스, 12a: 흡입구,12: lower case, 12a: inlet,

13: 유로가이드, 14: 롤러,13: Euroguide, 14: Roller,

15: 브러쉬 네크, 16: 연결 파이프,15: brush neck, 16: connecting pipe,

15a,16a: 걸림턱, 17; 호스관,15a, 16a: locking jaw, 17; Hose Pipe,

18: 코일 스프링,18: coil spring,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 브러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A - A선 단면도이다.FIG.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vacuum cleaner 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본 고안의 구성은, 상부케이스(11)와 하부케이스(12)가 서로 조합되고, 각 케이스(11)(12) 내부의 유로가이드(13)에 의해 흡입먼지를 안내하는 한편, 브러쉬 네크(15)와 연결 파이프(16)가 서로 연통되게 구성된 진공청소기의 브러쉬에 있어서,In the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ase 11 and the lower case 12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guide the suction dust by the flow guide 13 inside each case 11, 12, while the brush neck 15 In the brush of the vacuum cleaner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connecting pipe 16,

상기 브러쉬 네크(15)와 연결 파이프(16) 사이의 각 끝단에 굴절위치가 자유로운 연질의 호스관(17)을 구비 설치하였다. 상기 호스관(17)의 내경은 브러쉬 네크(15)의 외경 및 연결 파이프(16)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그 호스관(17)의 억지결합시 쉽게 빠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At each end between the brush neck 15 and the connecting pipe 16, a flexible hose tube 17 having a free refraction position was provided. The inner diameter of the hose pipe 17 is preferably formed to be slightly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brush neck 15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ing pipe 16, the reason is that the hose pipe 17 is easily pulled out during separation To prevent this.

또한, 상기 호스관(17)의 외측에 개재되고, 브러쉬 네크(15)와 연결 파이프(16)의 각 걸림턱(15a)(16a)에 탄지되어 굴절된 호스관(17)을 원위치시키고 충격을 완화하는 코일 스프링(18)을 구성하였다. 상기 코일 스프링(18)의 탄성력은 일직선상태를 이루는 호스관(17)의 정위치시 이를 유지시켜 줄 수 있는 힘이면 족하지만, 코일 스프링(18)을 탄지시키도록 하는 각 걸림턱(15a)(16a)을 밀어내는 힘이 크게 작용되어서는 안된다. 그 이유는 호스관(17)이 이탈될 수 있는 힘으로써 작용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hose pipe 17 interposed on the outside of the hose pipe 17 and supported by the brush neck 15 and each of the engaging projections 15a and 16a of the connecting pipe 16 may be repositioned and impacted. The coil spring 18 which loosened was comprised.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18 is sufficient to maintain the force when the hose pipe 17 is in a straight line position, but each latching jaw 15a for holding the coil spring 18 ( The force pushing 16a) should not be large. The reason is that the hose pipe 17 should not be operated by a force that can be detach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진공청소기에 전원을 인가시키면 팬모터의 구동에 의해 청소기 본체내의 압력을 낮추면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은 대기압상태의 외기가 각종 이물질과 함께 브러쉬(10)의 흡입구(12a)를 통해 유입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브러쉬(10)의 흡입구(12a) → 유로가이드(13) → 브러쉬 네크(15) → 연결 파이프(16)를 거치면서 유입된다.When power is applied to the vacuum cleaner, when the pressure in the cleaner body is lowered by the driving of the fan motor, outside air having a relatively high atmospheric pressure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2a of the brush 10 together with various foreign substances. More precisely, it flows in through the suction port 12a → the flow guide 13 → the brush neck 15 → the connecting pipe 16 of the brush 10.

청소작업자는 도시되지 않은 신축관이나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브러쉬(10)를 청소바닥면에 대고 왕복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 와중에서 양 모서리가 있는 부분을 청소할 때 그 모서리에 의해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해 신축관과 브러쉬(10)가 직교되는 정위치가 아니라 90°보다 작거나 큰 위치상태가 될 수 있다.The cleaning worker reciprocates the brush 10 against the cleaning floor while holding a stretch tube or handle (not shown). When cleaning the parts with both corners, the cleaning part is not free to move by the corners. The tube and brush 10 may be in a position that is smaller or larger than 90 ° rather than orthogonal.

이 때의 브러쉬(10)는 벽모서리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받게 되지만 신축관과 연결되는 연결 파이프(16)는 작업자에 수조작이 자유로운 상태이기 때문에 브러쉬 네크(15)과 연결 파이프(16) 사이에 설치된 호스관(17)이 조작력에 의해 굴절된다.At this time, the brush 10 is limited by movement of the wall edge, but the connection pipe 16 connected to the expansion pipe is freely operated by the operator, so that the brush neck 15 and the connection pipe 16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installed hose pipe 17 is refracted by the operating force.

굴절된 상기 호스관(17)은 그 외측의 각 걸림턱(15a)(16a)의 범위에 개재된 코일 스프링(18)도 함께 위치변위시키도록 하는 한편, 갑작스런 모서리의 출현에 의해 부딪히게 되는 충격도 완화 및 상쇄시킨다.The deflected hose pipe 17 also displaces the coil spring 18 interposed in the range of the engaging jaws 15a and 16a on the outside thereof, while being impacted by the sudden appearance of corners. It also eases and offsets.

이러한 상태에서 모서리 부분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되면 굴절된 호스관(17)은 원위치로 복귀할려는 코일 스프링(18)의 탄성력에 의해 환원된다.Upon exiting from the corner portion in this state, the refracted hose tube 17 is reduc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18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who have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게 되면, 적은 조작력으로 벽면 모서리부분과 같이 청소하기 힘든 곳에서도 간단히 작업을 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청소와중에 브러쉬에 급작스런 충격력이 전해진다 하더라도 코일 스프링에 의해 그 힘을 완화 및 상쇄시키기 때문에 파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asily work even in difficult places such as wall edges with little operation force, and to reduce the force by the coil spring even if a sudden impact force is transmitted to the brush during cleaning. And because it cancels out there is an advantage not to break.

Claims (1)

상부케이스(11)와 하부케이스(12)가 서로 조합되고, 각 케이스(11)(12) 내부의 유로가이드(13)에 의해 흡입먼지를 안내하는 한편, 브러쉬 네크(15)와 연결 파이프(16)가 서로 연통되게 구성된 진공청소기의 브러쉬에 있어서,The upper case 11 and the lower case 12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guide the suction dust by the flow guides 13 inside the cases 11 and 12, while the brush neck 15 and the connecting pipe 16 In the brush of the vacuum cleaner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기 브러쉬 네크(15)와 연결 파이프(16) 사이의 각 끝단에 설치되고 굴절위치가 자유로운 연질의 호스관(17)과;A flexible hose tube (17) installed at each end between the brush neck (15) and the connecting pipe (16) and free of deflection positions; 상기 호스관(17)의 외측에 설치되고 브러쉬 네크(15)와 연결 파이프(16)의 각 끝단에 탄지되어 굴절된 호스관(17)을 원위치시키고 충격을 완화하는 코일 스프링(18)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브러쉬.It includes a coil spring (18)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hose pipe (17) and repositioned at each end of the brush neck (15) and the connecting pipe (16) to relieve the bent hose pipe (17) and to alleviate the impact. The brush of th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KR2019980021025U 1998-10-31 1998-10-31 Brush of vacuum cleaner KR20000009120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025U KR20000009120U (en) 1998-10-31 1998-10-31 Brush of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025U KR20000009120U (en) 1998-10-31 1998-10-31 Brush of vacuum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120U true KR20000009120U (en) 2000-05-25

Family

ID=69522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1025U KR20000009120U (en) 1998-10-31 1998-10-31 Brush of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9120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50373A1 (en) Vacuum cleaner
KR20000009120U (en) Brush of vacuum cleaner
KR100767117B1 (en) A vacuum cleaner having a noise absorbing device that can be moved to connect at a different position selectively
JP2008284308A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100762684B1 (en) Electrical Cleaner Suction Port
JP4480625B2 (en) Vacuum cleaner
KR0152798B1 (en) Suction pipe of vacuum cleaner
KR200155820Y1 (en) Remote controller of vacuum cleaner
KR200155816Y1 (en) Structure of connecting pipes in vacuum cleaner
GB0008370D0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 appliances
KR200214599Y1 (en) a sub-inhalator of a vacuum cleaner
RU2004136593A (en) HANDLE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WITH SUCH HANDLE
KR200157823Y1 (en) Suction hose of up-right vacuum cleaner
KR960004679Y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dust from flowing backward in a vacuum cleaner
JP2005161100A (en) Suction tool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KR200157822Y1 (en) Suction hose of up-right vacuum cleaner
KR200160215Y1 (en) Device for adjustment lenght of vacuum cleaner
KR0136326B1 (en) Handle of hose for a vacuum cleaner
KR200144822Y1 (en) Wheel rotating device using exhaust air of vacuum cleaner
KR100237045B1 (en) Suction device for vacuum cleaner
KR100207235B1 (en) Variable brush heads of vacuum cleaner
KR20070019091A (en) Handle for upright type vaccum cleaner
JP2005211674A (en) Suction device for electric vacuum cleaner and electric vacuum cleaner
KR200161647Y1 (en) Inhaler in remote control vacuum cleaner
KR200234442Y1 (en) Multifunctional Brush for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