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8970A - 바이패스 전원 절환 개폐기 - Google Patents

바이패스 전원 절환 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8970A
KR20000008970A KR1019980029098A KR19980029098A KR20000008970A KR 20000008970 A KR20000008970 A KR 20000008970A KR 1019980029098 A KR1019980029098 A KR 1019980029098A KR 19980029098 A KR19980029098 A KR 19980029098A KR 20000008970 A KR20000008970 A KR 20000008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s
bts
lever
draw
inter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9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3591B1 (ko
Inventor
유실현
오세철
이승훈
안병쾌
박창일
Original Assignee
장순명
주식회사 광명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순명, 주식회사 광명기전 filed Critical 장순명
Priority to KR1019980029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3591B1/ko
Publication of KR20000008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3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35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assembly, or maintenance of boards or switch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이패스 전원 절환 개폐기는 평상시에 전원을 자동으로 부하측에 접속하기 위한 자동 절환 스위치(ATS)와 상기 ATS의 수리 또는 점검시에 전원을 부하측에 접속하기 위한 바이패스 절환 스위치(BTS)로 이루어진다.
ATS와 BTS는 일체의 구조를 이루지만, BTS는 본체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ATS는 수리나 점검을 위하여 본체로부터 분리되고 조립될 수 있다.
ATS를 개폐기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동안에 부하측의 전원은 BTS에 의하여 연결되기 때문에 부하측에 전원공급을 중단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ATS를 개폐기 본체로부터 분리할 경우에는 각종 록킹 시스템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ATS를 개폐기 본체에 조립하는 경우에도 그 록킹 시스템을 역으로 작동시켜 안전하게 조립할 수 있다.
ATS를 개폐기로부터 분리하거나, 개폐기에 조립하는 경우에 ATS에 연결된 전원과 BTS에 연결된 전원을 서로 동일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바이패스 전원 절환 스위치는 인터록(interlock) 시스템을 갖는다.

Description

바이패스 전원 절환 개폐기
본 발명은 상용(normal) 전원과 비상(emergency) 전원 같은 2개의 서로 다른 전원을 택일적으로 부하측에 접속하기 위한 전원 절환 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원을 택일적으로 부하측에 접속하기 위한 자동 절환 스위치(automatic transfer switch: ATS)와, 이 ATS의 고장점검, 수리 등의 사유가 발생할 경우에 전원을 부하측에 접속할 수 있는 바이패스 절환 스위치(bypass transfer switch: BTS)가 함께 설치된 바이패스 전원 절환 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상용전원과 비상전원 또는 스타결선전원과 델타결선전원 같은 2개의 서로 다른 전원을 택일적으로 부하측에 접속하기 위한 전원 절환 개폐기는 그 용량이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우리 나라 실용신안공고 제87-1383호에는 조작레버, 제어축, 가동접촉자, 포인트판 및 래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원 절환 개폐기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은 상기 실용신안의 고안을 개량한 전원 절환 개폐기를 개발하여 특허출원 제96-32363호(1996. 8. 2출원)로서 출원한 바 있다.
본 출원인은 또한 전원 차단부에 구동부가 직접 연결되어 작동상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통전단자의 전류 통전능력을 높일 수 있고, 토글 절연레버가 한쌍의 동작코일과 스프링에 의하여 작동되는 구조를 갖는 전원 절환 개폐기를 개발하여 특허출원 제98-24896호(1998. 6. 29출원)로서 출원한 바 있으며, 2개의 전원(A, B)을 교대로 절환할 수 있는 것으로서, A전원상태에서 B전원으로 또는 B전원상태에서 A 전원으로만 절환이 가능하고, 전기적인 회로와 기구내부에 설치된 기계적 보조 멈춤 장치에 의하여 1분 이내의 시간 내에서 2개의 전원(A, B) 모두 오프(OFF)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전원 절환 절체 개폐기를 개발하여 특허출원 제98-24897호(1998. 6. 29출원)로서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전원 절환 개폐기는 전원을 택일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기능을 갖지만, 그 전원 절환 개폐기를 수리하거나 점검하는 경우에는 그 시간동안 전원이 접속되지 않는다는 결점이 있다. 특히 항상 전원을 공급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전원 절환 개폐기를 수리하거나 점검하는 일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전원 절환 개폐기를 수리하거나 점검하는 경우에는 전원공급을 중단하지 않고 나아가 동일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부하측의 안전을 기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이패스 전원 절환 개폐기를 개발하기에 이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 절환 개폐기를 수리하거나 점검하는 경우에 부하측에 전원 공급을 중단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ATS와 BTS가 함께 설치된 바이패스 전원 절환 개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TS를 수리하거나 점검하는 경우에 부하측에 공급되는 전원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바이패스 전원 절환 개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ATS를 전원 절환 개폐기로부터 분리시키거나, 분리되었던 ATS를 전원 절환 개폐기에 조립시키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전기적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록킹(locking) 시스템을 갖는 바이패스 전원 절환 개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또는 기타의 목적들은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바이패스 전원 절환 개폐기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바이패스 전원 절환 개폐기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전원 절환 개폐기의 자동 절환 스위치(automatic transfer switch: ATS)를 본체로부터 인출입 하기 위한 메카니즘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4도는 바이패스 절환 스위치가 오픈(open) 상태에서 ATS가 1단계 록킹(locking)상태인 메카니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5도는 BPS가 오픈상태에서 ATS가 1단계 해제(unlocking)상태인 메카니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6도는 ATS가 1단계 해제상태에서 BPS가 비상전원에 연결된 상태의 메카니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7도는 BPS가 비상전원에 연결된 상태에서 ATS가 2단계 록킹 상태인 메카니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8도는 BPS가 비상전원에 연결된 상태에서 ATS가 3단계 해제 상태인 메카니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9도는 BPS가 비상전원에 연결된 상태에서 ATS가 4단계 록킹 상태인 메카니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0도는 ATS와 BPS가 모두 오픈 상태인 인터록(interlock) 메카니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1도는 ATS가 비상전원에 연결되고 BPS가 오픈상태인 인터록 메카니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2도는 ATS와 BPS가 모두 비상전원에 연결된 상태인 인터록 메카니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3도는 BPS가 오픈상태이고 ATS가 상용전원에 연결된 상태의 메카니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4도는 ATS와 BPS가 모두 상용전원에 연결된 상태의 메카니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5도는 BPS에서 상용전원과 비상전원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기구의 사시도이다.
제16도는 BPS에서 상용전원과 비상전원이 오픈상태의 메카니즘과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7도는 BPS가 상용전원에 연결된 메카니즘과 상용전원측 투입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8도는 BPS가 비상전원에 연결된 메카니즘과 비상전원측 투입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1: BPS 핸들 2: ATS 핸들
3: 큰 기어 4: 작은 기어
5: 인출입 로드 6: 인출입 고리
7: 인출입 인터록 가이드 8: 인출입 인터록 로드
9: 인출입 인터록 로드롤러 10: 인출입 내측레일
11: 인출입 외측레일 12: 인출입 롤러
13: 인출입 인터록 레버 14: 인출입 인터록 핸들
15: 인출입 인터록 스프링로드 16: 인출입 인터록 스프링
17: 인출입 록크 로드 18: 인출입 록크 레버
19: 인출입 레버 20: 조작기 스프링
21: 조작기 레버 22: 인출입 록크 로드 스프링
23: 조작 레버 24: 조작 레버 로드
25: 투입 로드 26: 인출입 록크 로드 롤러
27: 스토퍼 핀 28: 절체판 스프링
29: 인출입 인터록 연결로드 30: BPS 인터록판
31: BPS 인터록 연결로드 32: BPS 인터록 레버
33: BPS 인터록 로드 34A: ATS 스위치 레버
34B: BPS 스위치 레버 35: ATS 인터록 레버
36: 인터록 레버(복귀레버) 37: 복귀레버 스프링
38: 복귀레버 가동핀 39: 복귀레버 고정핀
40: BPS 스위치 41: ATS 스위치
50: 절체 레버 50a: 절체 레버핀
51: 투입레버Ⅰ 52: 투입레버Ⅱ
53: 투입 암 54: 절체레버 조작판
55: 투입암 핀 56: 투입암 지지판
57: 절체레버 조작판 비틀림 스프링Ⅰ
58: 절체레버 조작판 비틀림 스프링Ⅱ
59: 조작기 레버 스토퍼 핀 60: 제어레버 A
61: 제어레버 B 62: 가동레버 A
63: 가동레버 B 64: 가동접촉자 A
65: 가동접촉자 B 66: 연결롤러
67: 샤프트 71: 상용전원 단자
72: 비상전원 단자 73: 부하 단자
73a: BPS 부하단자 76: ATS 부하단자
77: ATS 비상전원 단자 78: ATS 상용전원 단자.
본 발명의 바이패스 전원 절환 개폐기는 평상시에 전원을 자동으로 부하측에 접속하기 위한 자동 절환 스위치(ATS)와 상기 ATS의 수리 또는 점검시에 전원을 부하측에 접속하기 위한 바이패스 절환 스위치(BTS)로 이루어진다.
ATS와 BTS는 일체의 구조를 이루지만, BTS는 본체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ATS는 수리나 점검을 위하여 본체로부터 분리되고 조립될 수 있다.
ATS를 개폐기 본체로부터 분리할 동안에 부하측의 전원은 BTS에 의하여 연결되기 때문에 부하측에 전원공급을 중단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ATS를 개폐기 본체로부터 분리할 경우에는 각종 록킹 시스템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ATS를 개폐기 본체에 조립하는 경우에도 그 록킹 시스템을 역으로 작동시켜 안전하게 조립할 수 있다.
ATS를 개폐기로부터 분리하거나, 개폐기에 조립하는 경우에 ATS에 연결된 전원과 BTS에 연결된 전원을 서로 동일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바이패스 전원 절환 스위치는 인터록(interlock) 시스템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바이패스 전원 절환 개폐기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제2도는 측면도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BTS는 개폐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개폐기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인출입되는 ATS는 개폐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며, 중앙부에는 ATS를 인출입시키기 위한 ATS 핸들(2)을 포함하여 BTS와 ATS를 기계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하는 구조가 설치된다. 개폐기 상부의 BTS에는 BTS 핸들(1)이 정면쪽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이패스 전원 절환 개폐기는 상용전원을 접속하기 위한 상용전원 단자(71)가 설치되고, 비상전원을 접속하기 위한 비상전원 단자(72)가 설치되며, 전원을 부하측에 접속하기 위한 부하단자(73)가 설치된다. 비상전원 또는 상용전원은 각각 비상전원 단자(72) 또는 상용전원단자(71)에 연결되어 부하단자(73)에 접속된다. 비상전원 또는 상용전원은 평상시에는 ATS를 통하여 접속된다. 그리고 ATS를 수리하거나 점검하는 경우 ATS를 본체로부터 분리한 경우에는 BTS를 통하여 비상전원 또는 상용전원이 연결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바이패스 전원 절환 개폐기의 ATS와 BTS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개폐기의 상부에는 BTS를 조작하기 위한 BTS 핸들(1)이 설치되고, BTS 핸들의 안쪽으로는 BTS에서 상용전원과 비상전원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조작기구가 장착된다. BTS 핸들(1)의 연장축에는 BTS 인터록판(30)이 결합되고 샤프트(67)가 연결되어 선택조작기구를 조작한다. BTS 핸들(1)의 조작에 의하여 ATS 인터록 레버(35)를 작동시키고, 이로 인하여 ATS의 인출입을 록킹 또는 해제한다. ATS 핸들(2)에 의하여 동일 방향으로 작은 기어(4)를 작동시키고, 작은 기어(4)의 작동에 의하여 그 작동과 90°방향으로 큰 기어(3)가 작동된다. 큰 기어(3)의 운동은 인출입 로드(5)와 인출입 고리(6)에 전달되어 ATS를 인출입하게 한다. ATS는 한쌍의 인출입 인터록 가이드(7)와 일체로 조립되어 개폐기 본체로부터 함께 분리되거나 조립된다. ATS는 한쌍의 인출입 내측레일(10)과 한쌍의 인출입 외측레일(11)로써 출입되며, 각 출입단계에서의 인터록을 록킹 또는 해제하기 위한 한쌍의 인출입 인터록 로드(8)가 설치된다. 인출입 인터록 로드(8)는 한쌍의 인출입 인터록 레버(13)로부터 인출입 인터록 핸들(14)에 연결된다.
제4도 내지 제9도는 개폐기 본체로부터 ATS를 분리시키기 위한 일련의 메카니즘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으로, 각 단계에서의 BTS와 ATS의 접속상태 및 인터록 메카니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4도는 BTS가 오픈상태에서 ATS가 1단계 록킹 상태인 메카니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BTS 핸들(1)은 가동접촉자(64, 65)의 어느 것에도 접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ATS를 통하여 전원이 접속된다. 따라서 ATS는 록킹상태에 있고, ATS 핸들(2)은 작동되지 않는다. ATS 핸들(2)로부터 작은 기어(4), 큰 기어(3), 및 인출입 로드(5)를 통하여 인출입 고리(6)가 작동되며, 제4도에서 인출입 고리(6)는 인출입 내측레일(10)을 고정시킨다. 또한 인출입 내측레일(10)은 인출입 인터록 로드(8)에 의하여 록킹된다. 인출입 인터록 로드(8)는 인출입 인터록 레버(13), 인출입 인터록 스프링 로드(15), 인출입 인터록 스프링(16) 및 인출입 인터록 연결로드(29)에 의하여 작동된다. 인출입 인터록 연결로드(29)는 인출입 인터록 핸들(14)에 의하여 작동된다.
제5도는 BTS가 오픈상태에서 ATS가 1단계 해제(unlocking) 상태인 메카니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4도와 비교할 때 인출입 인터록 로드(8)가 하강하여 인출입 내측레일(10)의 구명으로부터 빠져나온다. 일단 인출입 내측레일(10)은 해제상태가 된다. 인출입 인터록 로드(8)는 인출입 인터록 핸들(14)에 의하여 해제된다. 인출입 인터록 레버(13), 인출입 인터록 스프링로드(15), 인출입 인터록 스프링(16) 및 인출입 인터록 연결로드(29)도 인출입 인터록 로드(8)가 인출입 내측레일(10)의 구멍으로부터 빠져 나오도록 작동된다.
제6도는 ATS가 1단계 해제상태에서 BTS가 비상전원에 연결된 상태의 메카니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5도에서처럼 인출입 인터록 로드(8)가 1단계 해제되면, BTS 핸들(1)을 조작하여 BTS에 전원을 연결한다. 즉 BTS 핸들을 조작하여 상용전원 또는 비상전원에 연결된다. 제6도는 BTS에 의하여 BTS 부하단자(73a)가 가동접촉자 B(65)와 접속됨으로써 BTS 부하단자(73a)가 비상전원에 연결됨을 나타낸다. 이때 BTS에 접속되는 전원은 이미 ATS에 접속된 전원과 동일하여야 한다. 이러한 기술적 구조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BTS에서 2개의 전원 중에 어느 한 전원을 선택하기 위한 구조는 후술되겠지만, BTS 핸들(1)을 작동시키면, 투입 로드(25), 조작레버(23), 조작레버 로드(24), 절체판 스프링(28), 및 조작기 스프링(20)도 작동되고, 비상전원에 접속되는 가동접촉자 B(65)는 BTS 부하단자(73a)에 연결된다.
제7도는 BTS가 비상전원에 연결된 상태에서 ATS가 2단계 록킹 상태인 메카니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6도에서와 같이, BTS가 ATS에 접속된 전원과 동일한 전원에 접속되면, ATS 핸들(2)을 조작하여 ATS를 1단계 밀어낸다. ATS는 한쌍의 인출입 인터록 가이드(7) 및 한쌍의 인출입 내측레일(10)과 일체로 조립된다. ATS 핸들(2)을 조작시키면 작은 기어(4), 큰 기어(3), 인출입 로드(5) 및 인출입 고리(6)가 작동되고, 인출입 고리(6)가 회전하면서 물고 있던 한쌍의 인출입 내측레일(10)을 1단계 밀어낸다. ATS 핸들(2)을 조작하면 BTS와 연결된 인출입 록크 로드(17)와 인출입록크 레버(18)도 함께 작동된다. ATS 핸들(2)에 의하여 ATS를 1단계 밀어내면, 인출입 인터록 로드(8)에 의하여 2단계 록킹된다. 인출입 고리(6)에 의하여 1단계 밀어낸 위치에서, 인출입 내측레일(10)에는 두 번째 구멍이 형성되고, 이 두 번째 구멍 속으로 인출입 인터록 로드(8)가 삽입되어 록킹된다. 다시 ATS를 1단계 더 밀어내기 위하여 우선 인출입 인터록 로드(8)를 해제하여야 한다. 인출입 인터록 로드(8)의 해제는 제5도 또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입 인터록 핸들(14)에 의하여 조작된다.
제8도는 BTS가 비상전원에 연결된 상태에서 ATS가 3단계 해제상태인 메카니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인출입 인터록 로드(8)를 인출입 인터록 핸들(14)로써 해제한 후, ATS 핸들(2)을 돌리면, 인출입 고리(6)가 회전하면서 물고 있던 ATS를 한 단계 더 밀어낸다. ATS가 3단계까지 회전하면, 제7도의 2단계에서와 같이 인출입 인터록 로드(8)에 의하여 록킹된다. 록킹된 인출입 인터록 로드(8)는 인출입 인터록 핸들(14)에 의하여 해제되어 제8도와 같은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록킹 상태와 해제상태는 반복되어 제9도에서는 인출입 내측레일(10)의 4번째 구멍에서 인출입 인터록 로드(8)가 록킹된 상태를 나타낸다. 제9도는 BTS가 비상전원에 연결된 상태에서 ATS가 4단계 록킹상태인 메카니즘을 나타낸다. 제9도에서는 인출입 고리(6)로부터 인출입 내측레일(10), 즉 ATS는 완전히 해제된 상태이지만, 인출입 인터록 로드(8)로부터는 록킹된 상태이다. 따라서 인출입 인터록 핸들(14)로써 인출입 인터록 로드(8)를 해제하고, ATS의 손잡이를 당겨서 개폐기 본체로부터 ATS를 완전히 분리시킨다.
ATS가 분리된 전원 절환 개폐기는 그 상부의 BTS에 의하여 전원이 접속된다. 따라서 ATS를 수리하거나 점검해야 하는 동안에도 부하측에는 전원공급이 중단되지 않고 계속된다. 수리 또는 점검이 완료되어 ATS를 본 발명의 전원 절환 개폐기에 다시 조립시키는 순서는 상기 분리시키는 순서의 역과 같다.
ATS와 BTS는 항상 동일 전원에 연결되어야 한다. 부하측의 안전을 고려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ATS가 비상전원에 연결되어 있으면, BTS도 비상전원에 연결되어야 하고, ATS가 상용전원에 연결되어 있으면 BTS도 상용전원에 연결되어야 한다. 그 반대의 경우도 동일하다.
제10도 내지 제14도는 본 발명에서의 동일 전원 방향 투입 인터록 메카니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0도는 ATS와 BTS가 모두 오픈 상태인 인터록(interlock) 메카니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BTS에서는 BTS 부하단자(73a)와 연결하기 위한 가동접촉자 A(64)와 가동접촉자 B(65)를 갖는다. 가동접촉자 A는 상용전원에 접속되며, 가동접촉자 B는 비상전원에 접속된다. BTS 핸들(1)을 조작하면, BTS 인터록판(30)에 전달되고, 조작레버(23), 조작레버 로드(24), 조작기 레버(21), 스토퍼 핀(27), 조작기 스프링(20) 및 한쌍의 BTS 스위치(40)가 작동되어, BTS 부하단자(73a)에 상용전원 또는 비상전원이 접속된다. 또한 BTS 핸들(1)의 조작에 의하여 BTS 인터록 레버(32)와 BTS 인터록 로드(33)를 작동시키고, 이는 다시 한쌍의 ATS 스위치(41), ATS 인터록 레버(복귀레버)(35), 인터록 레버(36), 복귀레버 스프링(37), 복귀레버 가동핀(38) 및 복귀레버 고정핀(39)에 의하여 ATS 비상전원 단자(77) 또는 ATS 상용전원 단자(78)를 ATS 부하단자(76)에 접속시킨다. 한쌍의 BTS 스위치(40)와 한쌍의 ATS 스위치(41)는 각각 한쌍의 BTS 스위치 레버(34B)와 한쌍의 ATS 스위치 레버(34A)에 의하여 작동된다.
제10도와 같이 ATS와 BTS가 모두 오픈상태에서 ATS에 비상전원이 접속된다. 제11도는 ATS가 비상전원에 연결되고 BTS가 오픈상태인 인터록 메카니즘을 나타낸다. BPS 인터록 연결로드(31)는 상부쪽으로 이동하고, 그 이동거리 만큼 BTS 인터록 로드(33)를 하강시킨다. 이 때 비상전원측 ATS 스위치 레버(34A)는 수평으로 되고, 인터록레버(36)가 복귀레버 스프링(37)에 의하여 그 밑부분이 벌어지면서 ATS 비상전원 단자(77)가 ATS 부하단자(76)에 접속된다. ATS에 의하여 비상전원이 접속된 상태에서 BTS 핸들(1)을 사용하여 BTS에도 비상전원이 접속되어야 한다.
제12도는 ATS와 BTS가 모두 비상전원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메카니즘이다. 제11도에서 ATS에 비상전원이 접속되었기 때문에 BTS 핸들(1)의 조작에 의하여 BTS도 비상전원에 접속되어야 한다.
BTS 핸들(1)을 조작하면, 조작레버(23), 조작레버 로드(24), 조작기 레버(21), 조작기 스프링(20) 및 BTS 스위치 레버(34B)가 제12도와 같이 조작되어 가동접촉자 B(65)가 BTS 부하단자(73a)에 접속된다.
제13도는 BTS가 오픈상태이고 ATS가 상용전원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BTS 인터록 연결로드(31)는 하부쪽으로 이동하고, 그 이동거리만큼 BTS 인터록 로드(33)를 상승시킨다. 이때 상용전원측 ATS 스위치 레버(34A)는 수평으로 되고, 인터록 레버(36)가 복귀레버 스프링(37)에 의하여 그 윗부분이 벌어지면서 ATS 상용전원 단자(78)가 ATS 부하단자(76)에 접속된다. ATS에 의하여 상용전원이 접속된 상태에서, BTS 핸들(1)을 조작하여 BTS에도 상용전원이 접속되어야 한다.
제14도는 ATS와 BTS가 모두 상용전원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메카니즘이다. 제13도에서 ATS에 상용전원이 접속되었기 때문에 BTS 핸들(1)의 조작에 의하여 BTS도 상용전원에 접속되어야 한다. BTS 핸들(1)을 조작하면, 조작레버(23), 조작레버 로드(24), 조작기 레버(21), 조작기 스프링(20) 및 BTS 스위치 레버(34B)가 제14도와 같이 조작되어 가동접촉자 A(64)가 BTS 부하단자(73a)에 접속된다.
제15도는 BTS에서 상용전원과 비상전원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기구의 사시도이다. BTS에서 상용전원과 비상전원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기구는 샤프트(67)에 의하여 BTS 핸들과 연결된다. 샤프트(67)에는 절체판 스프링(28)과 조작레버(23)가 연결되고, 조작레버(23)에는 조작레버 로드(24)가 연결되고, 조작레버 로드(24)에는 조작레버(21)가 연결되고, 조작기 레버(21)에는 조작기 스프링(20)이 연장되어 설치된다. BTS 핸들(1)로부터 조작기 스프링(20)까지 전달된 힘은 투입레버Ⅰ 및 Ⅱ(51, 52)를 작동시킨다. 그럼으로써 BTS에서 가동접촉자A 및 B(64, 65)가 BTS 부하단자(73a)에 접속된다. 제16도 내지 제18도는 BTS의 전원접속 메카니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투입레버Ⅰ(51)는 절체레버(50)에 의하여 각각 제어레버A(60)와 제어레버B(61)에 형성된 좌측 또는 우측의 홈을 따라 이동한다. 제어레버A(60)는 가동레버A(62)와 연결되고, 가동레버A(62)의 작동에 의하여 가동접촉자A(64)가 BTS 부하단자(73a)에 접속 또는 단속된다. 제어레버B(61)는 가동레버B(63)와 연결되고, 가동레버B(63)의 작동에 의하여 가동접촉자B(65)가 BTS 부하단자(73a)에 접속 또는 단속된다. 절체레버(50)는 절체레버핀(50a)를 중심으로 이동한다. 투입레버Ⅰ(51)의 한쪽 단부는 투입레버Ⅱ(52)에 연결되고, 다른쪽 단부는 연결롤러(66)가 취부된다. 조작기구는 그 하부에 투입암(53)이 설치되고, 투입암 핀(55)과 투입암 지지핀(56)에 의하여 고정된다.
제16도는 BTS에서 상용전원과 비상전원이 모두 오픈상태인 메카니즘과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양 전원 오프(OFF) 상태는 상용전원 또는 비상전원에 접속되었다가 BTS 핸들은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조작하면 양 전원이 모두 오프(OFF)된다. 이 상태에서는 연결롤러(66)가 제어레버A 및 B(60, 61)에 형성된 홈의 하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가동접촉자(64, 65)는 모두 BTS 부하단자(73a)로부터 단속된(OFF) 상태이다. 절체레버 조작판 비틀림 스프링Ⅰ 및 Ⅱ(57, 58)가 조작기 스프링(20)과 관련하여 작동된다.
제17도는 BTS가 상용전원에 연결된 메카니즘과 상용전원측 투입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투입레버Ⅱ(52)는 작동하여 투입레버Ⅰ(51)을 작동시키고, 투입레버Ⅰ(51)의 단부에 있는 연결롤러(66)는 제어레버B(61)에 형성된 홈을 따라 이동하고, 그 결과 제어레버A(60)는 가동레버A(62)를 하부 쪽으로 밀고, 가동레버A(62)는 가동접촉자A(64)를 BTS 부하단자(73a)에 접속시킨다.
제18도는 BTS가 비상전원에 연결된 메카니즘과 비상전원측 투입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투입레버Ⅱ(52)는 작동하여 투입레버Ⅰ(51)을 작동시키고, 투입레버Ⅰ(51)의 단부에 있는 연결롤러(66)는 제어레버A(60)에 형성된 홈을 따라 이동하고, 그 결과 제어레버B(61)는 가동레버B(63)를 하부 쪽으로 밀고, 가동레버B(63)는 가동접촉자B(65)를 BTS 부하단자(73a)에 접속시킨다.
본 발명의 바이패스(bypass) 전원 절환 개폐기는 전원 절환 개폐기를 수리하거나 점검하는 경우에 부하측에 전원 공급을 중단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ATS와 BTS가 함께 설치되어 있으며, ATS를 수리하거나 점검하는 경우에 부하측에 공급되는 전원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그리고 ATS를 전원 절환 개폐기로부터 분리시키거나 분리되었던 ATS를 전원 절환 개폐기에 조립시키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전기적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록킹(locking) 시스템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4)

  1. 상용전원 또는 비상전원 같은 2개의 전원을 절환하는 전원 절환 개폐기에 있어서, 평상시에 전원을 자동으로 부하측에 접속하기 위한 자동 절환 스위치(automatic transfer switch: ATS)와 상기 ATS의 수리 또는 점검시에 전원을 부하측에 접속하기 위한 바이패스 절환 스위치(bypass transfer switch: BTS)로 이루어지고, 상기 ATS는 수리 또는 점검을 위하여 개폐기 본체로부터 분리되고 조립되며, ATS를 인출입하기 위하여 ATS 핸들(2), 작은 기어(4), 큰 기어(3), 인출입 로드(5) 및 인출입 고리(6)로 이루어지는 ATS 인출입 시스템과 상기 시스템과 연결되어 ATS 및 BTS에 동일전원을 투입하기 위한 인터록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전원 절환 개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TS가 인출입 인터록 로드(8)에 의하여 4단계로 록킹(locking)되고 각각 록킹된 상태는 인출입 인터록 핸들(14)에 의하여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전원 절환 개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TS는 BTS 핸들(1), BTS 인터록판(30), 조작레버(23), 조작레버 로드(24), 조작기 레버(21), 스토퍼 핀(27), 조작기 스프링(20) 및 한 쌍의 BTS 스위치(40)로 이루어지고, ATS와 동일한 전원에 접속시키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전원 절환 개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TS가 상용전원과 비상전원을 선택하기 위하여 BTS 핸들(1)과 연결된 샤프트(67)에 절체판 스프링(28)과 조작레버(23)가 연결되고, 조작레버(23)에는 조작레버 로드(24)가 연결되며, 조작레버 로드(24)에는 조작기 레버(21)가 연결되고, 조작기 레버(21)에는 조작기 스프링(20)이 설치되어, 투입레버Ⅰ 또는 Ⅱ(51, 52)가 작동되고 가동접촉자 A 또는 B(64, 65)가 작동되어 BTS 부하단자(73a)에 접속 또는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전원 절환 개폐기.
KR1019980029098A 1998-07-20 1998-07-20 바이패스전원절환개폐기 KR100303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9098A KR100303591B1 (ko) 1998-07-20 1998-07-20 바이패스전원절환개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9098A KR100303591B1 (ko) 1998-07-20 1998-07-20 바이패스전원절환개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970A true KR20000008970A (ko) 2000-02-15
KR100303591B1 KR100303591B1 (ko) 2001-11-02

Family

ID=19544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9098A KR100303591B1 (ko) 1998-07-20 1998-07-20 바이패스전원절환개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35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717A (ko) * 2014-12-31 2016-07-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 변압기실의 변압기 위치조절 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664B1 (ko) * 2019-04-11 2021-01-28 엘에스일렉트릭(주) 포지션 잠금 장치를 갖는 배전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717A (ko) * 2014-12-31 2016-07-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 변압기실의 변압기 위치조절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3591B1 (ko) 200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52753B2 (ja) 引き出し型低電圧遮断器
CN101304165B (zh) 空气断路器及用于其中的闭合弹簧的自动卸载装置
EP2339603B1 (en) Interlock apparatus of ground switch for vacuum circuit breaker
US5464954A (en) Safety switch assembly
EP3319189B1 (en) Connecting device for control terminals in withdrawable type circuit breaker
US20100089874A1 (en) Switchgear
KR940001118B1 (ko) 인출형 개폐기
CN101409183A (zh) 用于能量存储机构的联锁组件
WO1990005822A1 (en) Door locking systems for motor vehicles
KR20000008970A (ko) 바이패스 전원 절환 개폐기
US3716684A (en) Portable circuit breaker levering device for metal-clad switchgear
US4419553A (en) Vacuum type circuit breaker
US5652416A (en) Mechanically held electrically or manually operated switch
JP4711726B2 (ja) 開閉装置およびそ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200208223Y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장치
US7091432B2 (en) Power circuit breaker
US3052769A (en) Fusible plug-in device
US6075218A (en) Load-break switch
JP2751690B2 (ja) 電気機器の電動移動操作装置
KR100356513B1 (ko) 자동 부하 전환 개폐기의 조작 기구부 변환장치
KR102633156B1 (ko) 인터록 모듈, 차단기 이동부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KR20020058621A (ko) 진공차단기에 부착된 3-포지션 인출입장치
WO2023141995A1 (en) Dual power transfer switch
CN109682216B (zh) 一种炉门防坠落装置及炉门控制系统
CN106952791A (zh) 一种断路器用联锁装置及具有联锁装置的断路器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