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8520A - 전기 압력밥솥의 진공 보온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압력밥솥의 진공 보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8520A
KR20000008520A KR1019980028371A KR19980028371A KR20000008520A KR 20000008520 A KR20000008520 A KR 20000008520A KR 1019980028371 A KR1019980028371 A KR 1019980028371A KR 19980028371 A KR19980028371 A KR 19980028371A KR 20000008520 A KR20000008520 A KR 20000008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n
temperature
temperature value
solenoid
se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8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재
서창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28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8520A/ko
Publication of KR20000008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52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압력밥솥의 진공 보온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취사된 밥을 장시간 보온하고자 할 때 오븐 내부의 압력을 일단 대기압 보다 높인 다음 곧바로 대기압 보다 낮게 감압시켜 진공상태로 만들어 줌에 따라 오븐 내부에 존재하는 산소량을 최소화시켜 밥의 품질이 변하지 않은 상태로 장시간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진공 보온모드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진공 보온모드를 인식하는 단계와, 오븐을 가열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용 파이프의 관로를 개방하는 단계와, 오븐의 하부온도를 일차적으로 감지하여 이 감지되는 온도값을 기 입력된 설정온도값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일차적으로 감지되는 온도값이 설정된 온도값보다 높거나 같을 경우 오븐의 가열을 중지하는 단계와, 상기 오븐의 하부온도를 이차적으로 감지하여 이 감지되는 온도값을 기 입력된 설정온도값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이차적으로 감지되는 온도값이 설정된 온도값보다 낮거나 같을 경우 솔레노이드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용 파이프의 관로를 폐쇄하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행하여 진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압력밥솥의 진공 보온방법
본 발명은 전기 압력밥솥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취사가 완료된 밥을 장기간 보온하고자 할 때 오븐 내부를 대기압 보다 낮은 압력으로 감압시켜 진공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전기 압력밥솥의 진공 보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압력밥솥은 전기를 이용하여 열원을 얻고 이 얻어진 열원을 이용하여 오븐 내부를 고온의 압력상태로 유지시키면서 취사를 행하는 기기로서, 크게 본체(1)와, 상기 본체의 상단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뚜껑(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는 도 1과 같이 외부케이스(101)와, 상기 외부케이스 내의 하부에 지지된 지지플레이트(102)와, 외부케이스(101) 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단으로 복수개의 걸림턱(103a)이 외향 절곡형성된 오븐(103)과, 상기 지지플레이트(102)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면서 오븐(103)을 가열시켜 주기 위한 주열원을 제공하는 하부열원부재(104)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02)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오븐(103)의 온도를 직접적으로 감지하는 하부온도센서(105)와, 상기 외부케이스(101)와 지지플레이트(102) 사이에 오븐(103)을 감싼상태로 설치된 측면열판(106)과, 상기 측면열판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면서 오븐(103)을 가열시키기 위한 부열원을 제공하는 측면열원부재(107)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뚜껑(2)은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본체(1)를 구성하는 외부케이스(101)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아웃커버(201)와, 상기 아웃커버의 안쪽에 고정되어 아웃커버(201)의 회동시 본체(1)의 외부케이스(101) 전방에 록킹되거나 록킹해제되는 인너커버(202)와, 상기 인너커버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본체(1)를 구성하는 오븐(103)의 개폐판 역할을 하는 상부열판(203)과, 상기 상부열판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면서 오븐(103)을 가열시켜 주기 위한 부열원을 제공하는 상부열원부재(204)와, 상기 상부열판(203)에 설치되어 오븐(103)의 온도를 상부열판(203)을 통해 간접적으로 감지하는 상부온도센서(205)와, 상기 상부열판(203)의 하부면 가장자리 둘레에 끼워져 뚜껑(2)이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본체(1)의 오븐(103)과 뚜껑(2)의 상부열판(203) 사이 틈새를 밀폐시켜 주는 패킹부재(206)와, 상기 아웃커버(201)에 상단이 지지되고 상부열판(203)에 하단이 지지된 압력추밸브용 파이프(207) 및 솔레노이드밸브용 파이프(208)와,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상기 압력추밸브용 파이프(207)의 상단에 끼워져 압력정도에 따라 상기 압력추밸브용 파이프의 관로를 개폐시켜 주는 압력추(209)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용 파이프(208)에 설치되어 콘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용 파이프의 관로를 개폐시켜 주는 솔레노이드(210)와, 상기 아웃커버(201)의 상부면에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로커핸들(211)과, 상기 상부열판(203)에 둘레부분을 감싼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로커핸들(211)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본체(1)를 구성하는 오븐(103)의 걸림턱(103a)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로커(212)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뚜껑(2)을 열어 본체(1) 내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본체를 구성하는 외부케이스(101) 내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오븐(103)을 분리한 다음 상기 오븐 내부로 취사물을 수납시킨 후 상기 취사물이 수납된 오븐(103)을 다시 외부케이스(101) 내로 결합시킨다.
이후 다시 뚜껑(2)을 회동시켜 닫으면 상기 뚜껑이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힌지부에 설치된 스프링(213)의 탄력을 받으면서 회동하다가 회동이 완료되는 순간 상기 뚜껑(2)의 아웃커버(201) 안쪽에 고정된 인너커버(202)의 전방 끝단이 별도의 수단에 의해 본체(1)의 외부케이스(101)에 록킹된다.
계속해서 상기 뚜껑(2)의 아웃커버(201) 상부면에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 로커핸들(211)를 잡고 일측방향(록킹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부열판(203)의 둘레면을 감싼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로커(212)가 상기 로커핸들(211)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오븐(103)의 상단 걸림턱(103a)에 걸리므로 결국 오븐(103)의 개폐판 역할을 하는 상부열판(203)도 상기 오븐(103)에 록킹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상부열판(203)의 하부면 외측 가장자리 둘레에 끼워져 있는 패킹부재(206)가 상기 오븐(103)의 상단 내측 둘레에 전체적으로 접촉되므로 상부열판(203)과 오븐(103) 사이의 틈새가 완벽하게 밀폐되고, 이에따라 상기 오븐 내부가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뚜껑(2)이 열리고 닫히는 것은, 상기 뚜껑을 구성하는 아웃커버(201)가 본체(1)를 구성하는 외부케이스(101)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으므로 가능하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취사모드를 선택하면 불림→ 가열→ 비등(취사물이 끓는 단계)→ 뜸들이과정이 연속적으로 행하여져 취사가 완료되고, 상기 취사가 완료되면 보온과정이 계속해서 행하여 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취사모드가 선택되면 본체(1)를 구성하는 지지플레이트(102)의 외측면에 설치된 하부열원부재(104)만이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작동하므로 취사물이 수납되어 있는 오븐(103)이 가열되면서 불림과정이 수행되고, 상기 불림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본체(1)의 지지플레이트(102) 중심부에 설치된 하부온도센서(105)가 상기 오븐(103)의 온도를 직접적으로 감지하는데, 이때 하부온도센서(105)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값이 설정온도(약 70℃)에 도달하면 불림과정은 종료되면서 가열과정이 수행되기 시작함과 동시에 콘트롤러는 상기 하부온도센서(105)에서 센싱된 온도값을 가열 초기값으로 하여 이때부터 콘트롤러가 시간을 카운트하기 시작한다.
이와같이 가열과정에서 콘트롤러가 상기 가열과정의 초기값으로 시간을 카운트하기 시작한 후에는 뚜껑(2)을 구성하는 상부열판(203)에 설치된 상부온도센서(205)가 상기 상부열판(203)을 통해 오븐(103)의 온도를 간접적으로 감지하는데, 이때 상부온도센서(205)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값이 설정온도(약 100℃)에 도달하면 불림과정은 종료되면서 비등과정이 수행되기 시작함과 동시에 콘트롤러는 상기 상부온도센서(205)에서 센싱된 100℃의 온도값을 가열 완료값으로 하여 가열 초기에서 부터 가열 완료시까지 걸리는 시간(가열 초기 온도인 70℃에서 부터 가열 완료시 온도인 100℃ 까지 걸리는 시간)비에 따라 취사물의 인분수를 판정한 다음 이후의 비등과정에서 부터는 상기 취사물의 인분수에 맞는 취사 알고리즘으로 취사를 수행한다.
상기에서 취사물의 인분수 판정 과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오븐(103)에 수납된 취사물의 량이 적을 경우에는 가열 초기의 온도인 70℃에서 부터 가열 완료시 온도인 100℃까지 걸리는 시간이 그만큼 짧아 지고 반대로 오븐(103)에 수납된 취사물의 량이 많을 경우에는 가열 초기의 온도인 70℃에서 부터 가열 완료시 온도인 100℃까지 걸리는 시간이 그만큼 길어지므로 결국 콘트롤러가 가열 초기에서 부터 가열 완료시까지 걸리는 시간비에 따라 취사물의 인분수를 판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열과정후 비등과정이 수행되기 시작하면 지지플레이트(102)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하부열원부재(104)는 물론 측면열판(106)에 설치되어 있는 측면열원부재(107)와 뚜껑(2)을 구성하는 상부열판(203)에 설치되어 있는 상부열원부재(204)로도 전원이 선택 공급되므로 오븐(103)의 온도는 가열 종료시의 온도인 100℃를 넘어 약 110℃ 이상으로 올라가게 됨에 따라 상기 오븐 내의 취사물이 끓게되면서 본격적으로 취사가 행하여 지는 비등과정이 수행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오븐(103) 내부에 고온의 증기가 발생되고 이 고온의 증기는 압력을 받아 뚜껑(2)의 압력추밸브용 파이프(207) 및 솔레노이드밸브용 파이프(208)의 관로를 통해 계속해서 외부로 배출되려고 하지만 상기 압력추밸브용 파이프(207)의 관로는 압력추(209)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솔레노이드밸브용 파이프(208)의 관로는 솔레노이드(210)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므로 상기 오븐(103) 내부의 압력이 계속해서 올라가다가 일정압력(압력추밸브용 파이프(207)의 상단에 끼워진 압력추(209)의 무게를 이길 수 있을 정도의 압력)에 도달되면 그 나머지의 압력에 따라 상기 압력추밸브용 파이프(207)의 상단에 끼워진 압력추(209)가 유동되면서 압력추밸브용 파이프(207)의 관로를 개방시키므로 오븐(103) 내부의 증기가 상기 압력추밸브용 파이프(20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이에따라 비등과정시에 오븐(103) 내부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상으로 상승되지 않아 상기 오븐이 지나친 압력 상승으로 인해 폭발하게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일어나지 않게됨은 이해 가능하다.
한편 상기한 비등과정이 수행될 때에는 지지플레이트(102)에 설치된 하부온도센서(105)가 오븐(103)의 온도를 계속해서 직접적으로 감지하는데, 상기 비등과정이 완료되는 시점에서는 취사물중의 수분성분이 상당히 줄어든 상태이지만 상기 취사물이 수납되어 있는 오븐(103)은 각 열원부재(104)(107)(204)의 작동에 의해 계속해서 가열되고 있음에 따라 상기 하부온도센서(105)의 감지에 의한 오븐(103)의 온도가 약 120℃까지 상승하므로 이때에는 각 열원부재(104)(107)(204)로 공급되던 전원이 콘트롤러에 의해 일시적으로 중단되면서 비등과정이 종료됨과 동시에 뜸들이과정이 수행된다.
이와같이 뜸들이 과정이 수행되기 시작하면 초기에는 각 열원부재(104)(107)(204)로 공급되던 전원이 일정시간 동안 중단되어 있음에 따라 오븐(103)이 가열되지 않으므로 상기 오븐의 온도가 100℃ 보다 약간 높은 상태까지 급격이 떨어지다가 이후부터는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일정시간 동안 각 열원부재(104)(107)(204)로 전원이 순간 순간 계속해서 공급되므로 뜸들이과정이 완료될 때까지 오븐(103)의 온도가 100℃에 근접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에서 뜸들이과정이 완료되기 직전에는 솔레노이드밸브용 파이프(208)에 설치된 솔레노이드(210)가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작동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용 파이프(208)의 관로를 개방시키므로 오븐(103) 내부의 압력에 의한 증기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용 파이프(208)를 통해 대부분 외부로 배출되고, 이에따라 오븐(103) 내부에는 압력이 거의 존재하지 않게 되는데, 이는 뜸들이과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보온과정을 거치지 않고 사용자가 취사된 밥을 먹기 위해 뚜껑(2)을 열 때 상기 뚜껑의 열림이 원활하도록 함과 함께 열리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높은 열의 증기가 한꺼번에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계속해서 뜸들이과정이 완료되고 나면 이때부터는 오븐(103)의 온도가 적정 보온 온도인 70℃를 유지하도록 하부온도센서(105)가 상기 오븐(103)의 온도를 감지하는데, 상기 하부온도센서(105)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값이 적정 보온온도인 70℃ 이상이 되면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각 열원부재(104)(107)(204)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고, 하부온도센서(105)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값이 적정 보온온도인 70℃ 이하가 되면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각 열원부재(104)(107)(204)로의 전원 공급이 계속되어 결국 보온단계에서의 오븐(103) 온도가 적정 보온온도인 70℃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보온과정에서는 오븐(103)의 온도가 적정 보온온도인 70℃를 유지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오븐(103)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게 됨에 따라 일정시간 주기를 갖고 솔레노이드밸브용 파이프(208)의 관로를 개방시켜 오븐(103) 내부의 압력을 해제시켜 주어야 하는데, 만약 보온과정에서 오븐 내부의 압력을 일정시간 주기를 갖고 해제하여 주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오븐(103)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 보다 상승하게 되고,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밥을 먹기 위해 뚜껑(2)을 열 때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는한 열리지 않거나 열리더라도 쉽게 열리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한 보온과정에서 솔레노이드밸브용 파이프(208)의 관로를 개방시켜 오븐(103) 내부의 압력이 해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용 파이프(208)에 설치된 솔레노이드(210)에 전원을 공급시켜 상기 솔레노이드가 온되도록 하면 된다.
그럼 여기서 사용자가 취사된 밥을 먹기 위해 뚜껑(2)을 여는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뚜껑(2)을 구성하는 아웃커버(201)의 상부면에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로커핸들(211)을 잡고 다른 일측방향(록킹해제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부열판(203)의 둘레면을 감싼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로커(212)가 상기 로커핸들(211)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오븐(103)의 상단 걸림턱(103a)과의 걸림이 해제되므로 결국 오븐(103)의 개폐판 역할을 하는 상부열판(203)이 상기 오븐(103)에서 록킹 해제되는데, 이 상태에서 본체(1)의 외부케이스(101)에 설치된 버튼(108)을 누르면 별도의 수단에 의해 상기 외부케이스(101)에 록킹되어 있던 뚜껑(2)의 인너커버(202)도 록킹이 해제되므로 결국 상기 뚜껑(2)이 힌지부의 스프링(213) 복원력을 받아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완전히 열리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전기 압력밥솥에는 필요에 따라 진공상태에서 보온을 행할 수 있는 기능이 없으므로 일반적인 보온방법으로만 보온을 행하여야 하고, 상기 일반적인 보온방법으로 보온이 행하여질 때에는 오븐의 온도가 적정 보온온도(통상 70℃)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음에 따라 오븐 내부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상으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솔레노이드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용 파이프의 관로를 일정시간 주기로 개방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이 솔레노이드밸브용 파이프의 관로가 개방되는 과정에서는 오븐 내부로 산소가 공급되므로 인해 취사된 밥의 품질이 산소에 의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한 문제점은 취사된 밥을 보온상태로 장시간 보관할 때 더욱 확대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취사된 밥을 장시간 보온하고자 할 때 오븐 내부의 압력을 일단 대기압 보다 높인 다음 곧바로 대기압 보다 낮게 감압시켜 진공상태로 만들어 줌에 따라 오븐 내부에 존재하는 산소량을 최소화시켜 밥의 품질이 변하지 않은 상태로 장시간 유지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형태에 따르면, 진공 보온모드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진공 보온모드를 인식하는 단계와, 오븐을 가열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용 파이프의 관로를 개방하는 단계와, 오븐의 하부온도를 일차적으로 감지하여 이 감지되는 온도값을 기 입력된 설정온도값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일차적으로 감지되는 온도값이 설정된 온도값보다 높거나 같을 경우 오븐의 가열을 중지하는 단계와, 상기 오븐의 하부온도를 이차적으로 감지하여 이 감지되는 온도값을 기 입력된 설정온도값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이차적으로 감지되는 온도값이 설정된 온도값보다 낮거나 같을 경우 솔레노이드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용 파이프의 관로를 폐쇄하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행하여 진 전기 압력밥솥의 진공 보온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전기 압력밥솥을 참고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진공 보온방법에 의해 진공 보온이 행하여지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3. 오븐 208. 솔레노이드밸브용 파이프
210. 솔레노이드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3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 진공 보온방법에 의해 진공 보온이 행하여지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로써, 본 발명은 진공 보온모드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진공 보온모드를 인식하는 단계와, 각 열원부재(104)(107)(204)에 의해 오븐(103)을 가열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210)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용 파이프(208)의 관로를 개방하는 단계와, 상기 오븐(103)의 하부온도를 하부온도센서(105)에 의해 일차적으로 감지하여 이 감지되는 온도값을 기 입력된 설정온도값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일차적으로 감지되는 온도값이 설정된 온도값보다 높거나 같을 경우 각 열원부재(104)(107)(204)에 의한 오븐(103)의 가열을 중지하는 단계와, 상기 오븐의 하부온도를 하부온도센서(105)에 의해 이차적으로 감지하여 이 감지되는 온도값을 이 입력된 설정온도값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이차적으로 감지되는 온도값이 설정된 온도값보다 낮거나 같을 경우 솔레노이드(210)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용 파이프(208)의 관로를 폐쇄하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행하여 진다.
이와같은 본 발명 진공 보온방법에 의해 취사된 밥이 진공 보온되기 까지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취사가 완료된 직후(뜸들이가 완료된 직후)나 보온과정이 행하여지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기 압력밥솥에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진공 보온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진공 보온모드를 콘트롤러가 인식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곧바로 각 열원부재(104)(107)(204)를 온시키므로 이때 발생된 열원에 의해 오븐(103)이 가열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210)를 작동시키므로 상기 솔래노이드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용 파이프(208)의 관로가 개방된다.
이와같이 오븐(103)이 가열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밸브용 파이프(208)가 개방되면, 상기 오븐(103) 내부는 팽창력을 받게되므로 압력이 대기압 보다 높아지는데, 이때 지지플레이트(102)에 설치된 하부온도센서(105)가 오븐(103)의 하부온도를 일차적으로 감지하여 이 감지되는 온도값을 콘트롤러에 보내주고, 상기 콘트롤러는 감지되는 온도값을 기 입력된 설정온도값과 비교한다.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비교된 상태에서 일차적으로 감지되는 온도값이 설정된 온도값보다 높거나 같을 경우에는 각 열원부재(104)(107)(204)에 의한 오븐(103)의 가열이 중지되고, 일차적으로 감지되는 온도값이 설정된 온도값보다 낮을 경우에는 계속해서 각 열원부재(104)(107)(204)에 의해 오븐(103)을 가열시켜 줌과 동시에 솔레노이드(210)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용 파이프(208)의 관로를 개방한다.
상기에서 하부온도센서(205)가 오븐(103)의 온도를 일차적으로 감지하여 이 감지되는 온도값을 기 입력된 설정온도값과 비교할 때의 상기 설정온도값은 통상 설계조건에 따라 조금씩은 다르겠지만 90∼100℃중 어느 한 온도대면 적당한데, 이는 일차적으로 감지되는 오븐(103)의 온도값과 비교되는 설정온도값이 90℃ 이하일 경우 상기 오븐의 가열온도가 너무 낮음에 따라 내부 팽창력이 떨어지면서 압력상승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후술하는 작용에 의한 감압상태가 완벽해지지 못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일차적으로 감지되는 오븐(103)의 온도값과 비교되는 설정된 온도값이 100℃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오븐의 가열온도가 너무 높음에 따라 보온중인 밥까지도 가열되어 상기 보온중인 밥이 변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각 열원부재(104)(107)(204)에 의한 오븐(103)의 가열이 중지된 후에는 지지플레이트(102)에 설치된 하부온도센서(105)가 오븐(103)의 하부온도를 이차적으로 감지하여 이 감지되는 온도값을 콘트롤러에 보내주고, 상기 콘트롤러는 감지되는 온도값을 기 입력된 설정온도값과 비교한다.
상기 콘트롤러에 의해 비교된 상태에서 이차적으로 감지되는 온도값이 설정된 온도값보다 낮거나 같을 경우에는 솔레노이드(210)가 작동하여 솔레노이드밸브용 파이프(208)의 관로를 폐쇄시키고, 이차적으로 감지되는 온도값이 설정된 온도값보다 높을 경우에는 계속해서 각 열원부재(104)(107)(204)를 오프시켜 오븐(103)의 가열을 중지시킨다.
상기에서 하부온도센서(105)가 오븐(103)의 온도를 이차적으로 감지하여 이 감지되는 온도값을 기 입력된 설정온도값과 비교할 때의 상기 설정온도값은 하부온도센서(105)에 의해 일차적으로 감지되는 온도값을 설정된 온도값과 비교할 때의 상기 설정된 온도값 보다 1∼2℃ 낮은 온도중 어느 하나의 온도대면 적당한데, 이는 이차 감지되는 온도값과 비교되는 설정온도값이 일차 감지되는 온도값과 비교되는 설정온도값보다 낮게 나타난 것만 인식하여 솔레노이드(210)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용 파이프(208)의 관로가 신속히 폐쇄되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이와같이 오븐(103)의 가열이 중지된 상태에서 솔레노이드(210)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용 파이프(208)의 관로가 폐쇄되면, 이때부터는 상기 오븐(103)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 보다 낮은 압력으로 떨어지면서 감압이 되므로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따라 오븐(103) 내부에 존재하는 산소량이 극히 미량만 남게되어 취사된 밥의 품질이 변하지 않은 상태로 장시간 보온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취사된 밥을 장시간 보온하기 위해 사용자가 진공 보온모드를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오븐 내부의 압력을 일단 대기압 보다 높여준 다음 곧바로 대기압 보다 낮은 압력으로 감압시켜 진공상태로 만들어 주므로 보온되는 밥의 품질이 떨어뜨리지 않은 상태로 장시간 보온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진공 보온모드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진공 보온모드를 인식하는 단계와,
    오븐을 가열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용 파이프의 관로를 개방하는 단계와,
    가열되는 오븐의 하부온도를 일차적으로 감지하여 이 감지되는 온도값을 기 입력된 설정온도값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일차적으로 감지되는 온도값이 설정된 온도값보다 높거나 같을 경우 오븐의 가열을 중지하는 단계와,
    상기 오븐의 하부온도를 이차적으로 감지하여 이 감지되는 온도값을 기 입력된 설정온도값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이차적으로 감지되는 온도값이 설정된 온도값보다 낮거나 같을 경우 솔레노이드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용 파이프의 관로를 폐쇄하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행하여 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밥솥의 진공 보온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온도센서가 오븐의 온도를 일차적으로 감지하여 이 감지되는 온도값을 기 입력된 설정온도값과 비교할 때의 상기 설정온도값은 90∼100℃중 어느 한 온도대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밥솥의 진공 보온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부온도센서가 오븐의 온도를 이차적으로 감지하여 이 감지되는 온도값을 기 입력된 설정온도값과 비교할 때의 상기 설정온도값은 상기 하부온도센서가 일차적으로 감지되는 온도값을 설정온도값과 비교할 때의 상기 설정된 온도값 보다 1∼2℃정도 낮은 온도대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밥솥의 진공 보온방법.
KR1019980028371A 1998-07-14 1998-07-14 전기 압력밥솥의 진공 보온방법 KR200000085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8371A KR20000008520A (ko) 1998-07-14 1998-07-14 전기 압력밥솥의 진공 보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8371A KR20000008520A (ko) 1998-07-14 1998-07-14 전기 압력밥솥의 진공 보온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520A true KR20000008520A (ko) 2000-02-07

Family

ID=19544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8371A KR20000008520A (ko) 1998-07-14 1998-07-14 전기 압력밥솥의 진공 보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852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527B1 (ko) * 2006-01-26 2007-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72139B1 (ko) * 2006-11-10 2008-12-08 에펠산업(주) 저온을 활용한 밥의 진공보관법과 이를 이용한 전기밥솥
KR20160111796A (ko) 2015-03-17 2016-09-27 (주)삼미통상 전기밥솥의 저진공 및 진공해제장치
WO2018004226A1 (ko) 2016-06-27 2018-01-04 (주)삼미통상 온도센서 및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전기조리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527B1 (ko) * 2006-01-26 2007-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72139B1 (ko) * 2006-11-10 2008-12-08 에펠산업(주) 저온을 활용한 밥의 진공보관법과 이를 이용한 전기밥솥
KR20160111796A (ko) 2015-03-17 2016-09-27 (주)삼미통상 전기밥솥의 저진공 및 진공해제장치
WO2018004226A1 (ko) 2016-06-27 2018-01-04 (주)삼미통상 온도센서 및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전기조리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7758B1 (ko) 전기압력밥솥
KR20000008520A (ko) 전기 압력밥솥의 진공 보온방법
KR100272600B1 (ko) 전기 압력밥솥의 비등방법
KR100526210B1 (ko) 증기조리장치
KR20000007214A (ko) 전기 압력밥솥의 보온방법
KR20000008025A (ko) 전기 압력밥솥의 오븐 가열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취사방법
KR0128707Y1 (ko) 3중 구조의 내부용기와 상,하부히터를 구비한 전기밥솥
KR20000008522A (ko) 전기 압력밥솥의 취사방법
KR100281061B1 (ko) 전기 압력밥솥의 보온방법
KR20000008521A (ko) 전기 압력밥솥
JP2596632Y2 (ja) 温蔵機能付き蒸し器
JP3757945B2 (ja) 炊飯器
KR20010084034A (ko) 전기 압력밥솥의 가변식 증기배출장치
KR20010084035A (ko) 전기 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20000009355A (ko) 전기밥솥
KR20000007213A (ko)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구조
JPS61280816A (ja) 飲料抽出器
KR100311388B1 (ko) 전기압력밥솥의조리물균일뜸들임방법
JP4107149B2 (ja) 炊飯器
KR20000008287A (ko) 유도가열방식 전기 압력밥솥용 오븐
JP3129376B2 (ja) 炊飯器
JPS6038421Y2 (ja) 電気式圧力調理器
JPH11287445A (ja) 加熱調理器
KR20040063405A (ko) 전자 유도 가열 밥솥용 내솥
JP3855959B2 (ja) 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