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8275A -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내 호처리 블록과 공통선 신호방식7블록간의 메시지 정합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내 호처리 블록과 공통선 신호방식7블록간의 메시지 정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8275A
KR20000008275A KR1019980028009A KR19980028009A KR20000008275A KR 20000008275 A KR20000008275 A KR 20000008275A KR 1019980028009 A KR1019980028009 A KR 1019980028009A KR 19980028009 A KR19980028009 A KR 19980028009A KR 20000008275 A KR20000008275 A KR 20000008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ipc
block
pdu
cal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8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원종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80028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8275A/ko
Publication of KR20000008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27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30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05Interface circuits for subscriber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76Common channel signaling, CCS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내 공통선 신호방식7(SS7) 블록내에 메시지 정합부를 구현하여 호처리 블록의 IPC 메시지와 SS7 블록의 SS7 메시지를 정합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내 호처리 블록과 SS7 블록간의 메시지 정합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어국의 SS7 블록내에 메시지 정합부를 구현한 후, SS7 블록내에 수신된 호처리 블록의 IPC 메시지를 SS7 메시지로 적합하게 변경하여 SCCP, MTP3 등의 SS7 스택으로 전송하고, 반대로 SS7 스택에 수신된 SS7 메시지를 호처리 블록이 해석할 수 있는 IPC 메시지로 변경하여 호처리 블록으로 전송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SS7 블록 내부에 메시지 정합부를 구현하여 종래의 호처리 블록의 하드웨어 및 메시지 처리 방식을 변경하지 않음은 물론 SS7 블록 내부의 메시지 처리 방식을 변경하지 않고도 IPC 메시지와 SS7 메시지를 정합하여 처리함으로써 시스템 설계 비용을 줄이고 호처리 블록과 SS7 블록이 하드웨어적으로 분리됨에 따라 발생하던 기존의 오류 및 부가적인 문제를 최소화하여 신호 서비스 제공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내 호처리 블록과 공통선 신호방식7 블록간의 메시지 정합방법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내 공통선 신호방식7(Signalling System 7 ; 이하, 'SS7'이라 칭함) 블록내에 메시지 정합부를 구현하여 호처리 블록의 IPC(Inter Process Communication) 메시지와 SS7 블록의 SS7 메시지를 정합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내 호처리 블록과 SS7 블록간의 메시지 정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단순한 음성 서비스만을 제공하던 이동통신 시스템이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등과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이 등장하면서 각종 부가 서비스, 고속 데이터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하고 복잡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때 종래의 하드웨어간 통신 방식인 IPC 통신을 이용한 신호 정보 전송 방식으로는 효율적인 신호 정보 전송과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충분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디지털 통신망 및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내에서의 사용을 목표로 ITU-T에서 권고된 SS7 신호 프로토콜을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과 교환기 간에 적용하여 향후 도래할 다양한 서비스에 대비하고 보다 적용성이 강한 시스템 망을 구축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이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IPC 통신을 이용한 제어국과 교환기 간의 신호 정보 전송으로 ITU-T 권고의 SS7 신호 프로토콜을 이용할 경우에는 제어국내에 종래 제어국의 하드웨어 형상을 변경하지 않고 SS7 신호 프로토콜을 탑재한 새로운 하드웨어, 즉 SS7 블록만을 추가함으로써 비용 절감 및 시스템 설계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SS7 블록은 제어국내 호처리 블록과 하드웨어적으로 분리 구성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내에 호처리 블록과 분리 구성되는 SS7 블록이 추가되는 경우, 호처리 블록을 포함한 하드웨어들은 IPC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IPC 메시지를 처리하고, SS7 블록은 SS7 신호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IS634 메시지, 즉 SS7 메시지를 처리함에 따라 두 블록에서 처리되는 사용자 메시지 구조가 서로 다르고, 특히 종래의 IPC 통신 방식에 의한 제어국에서는 새롭게 추가된 SS7 블록에 의해 발생되는 SS7 메시지 처리시 관련 파라미터(Parameter)들에 대한 해석 및 처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상기 IPC 메시지는 최대 256 바이트(Byte)까지 처리하도록 정의되어 있으며, 이들에 대한 정보는 IPC 헤더(Header)내에 위치하게 되어 있는 반면에, SS7 메시지는 256 바이트 이상의 메시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종래의 호처리 블록이 SS7 스택(Stack)이 올라가는 하드웨어에 탑재될 경우에는 메시지 정합이 필요없게 되나, 이는 현재의 하드웨어 및 CPU가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어 거의 불가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내 호처리 블록의 하드웨어 및 메시지 처리 방식에 대한 변경 없이, 상기 SS7 블록내에 메시지 정합부를 구현하여 호처리 블록의 IPC 메시지를 SS7 메시지로 변환하여 SS7 블록에서의 메시지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SS7 블록의 SS7 메시지를 IPC 메시지로 변환하여 호처리 블록에서의 메시지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내 호처리 블록과 SS7 블록간의 메시지 정합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지 정합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호처리 블록과 공통선 신호방식7 블록을 포함한 제어국의 블록 구성도,
도 2와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내 호처리 블록과 공통선 신호방식7 블록 간의 메시지 정합방법을 보인 신호 흐름도,
도 4의 (가)∼(다)는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지 정합시 필요한 각 메시지의 구조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호처리 블록 11 : BSAP
20 : SS7 블록 21 : SA
22 : SCCP 23 : MTP3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내 호처리 블록과 SS7 블록간의 메시지 정합방법은, 제어국의 SS7 블록내에 메시지 정합부를 구현한 후, SS7 블록내에 수신된 호처리 블록의 IPC 메시지를 SS7 메시지로 적합하게 변경하여 SCCP, MTP3 등의 SS7 스택으로 전송하고, 반대로 SS7 스택에 수신된 SS7 메시지를 호처리 블록이 해석할 수 있는 IPC 메시지로 변경하여 호처리 블록으로 전송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내 호처리 블록과 SS7 블록간의 메시지 정합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지 정합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호처리 블록과 SS7 블록을 포함한 제어국의 블록 구성도로서, 제어국은 IPC 통신 방식에 의해 IPC 메시지를 처리하는 호처리 블록(10)과 SS7 신호 프로토콜에 의해 SS7 메시지를 처리하는 SS7 블록(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호처리 블록(10)에는 호처리 및 이동성 관리 그리고 각종 부가 서비스 등을 수행하기 위한 SS7 응용부인 BSAP(Base Station Application Part)(11)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SS7 블록(20)에는 상기 호처리 블록(10)의 IPC 메시지와 SS7 블록(20)의 SS7 메시지를 정합하여 처리하기 위한 메시지 정합부인 SA(SS7 Application)(21)와 실제 라우팅 기능 및 신호 링크 같은 자원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SCCP(Signaling Connection Control Part)(22) 및 MTP3(Message Transfer Part 레벨 3)이 포함 구성되어 있다.
상기 호처리 블록(10)의 BSAP(11)는 IPC 메시지를 IPC PDU 형태로 하여 SA(21)를 통해 SS7 블록(20)으로 전송하며, 상기 SA(21)는 SS7 스택에서 사용하고 있는 루즐리 커플(Loosely Couple) 방식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SCCP(22)에서 전송되는 SCCP PDU를 수신한다.
상기 SA(21)는 상기 호처리 블록(10)의 IPC PDU와 상기 SS7 블록(20)의 SCCP PDU의 데이터 포맷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를 정합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을 설정해야 한다.
그리고 파라미터에 대한 해석을 통해 메시지 처리 여부를 결정함에 따라 상기 SA(21)는 BSAP(11)에서 발생되는 이벤트(Event)에 따라 인터페이스 프리미티브(Interface Primitive)들을 정의하여 각종 메시지 수신시 이벤트 핸들러(Event Handler)를 처리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의 IPC 메시지와 SS7 메시지 상호간의 변환에 필요한 파라미터로는 목적지 국부 참조 번호(Destination Local Reference Number ; 이하, 'DLR'이라 칭함), 근원지 국부 참조 번호(Source Local Reference Number ; 이하, 'SLR'이라 칭함), 복구 원인(Release Cause), 사용자 데이터(User Data), 거절 원인(Refusal Cause)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메시지 처리시 필수적인 파라미터들을 IPC 메시지의 헤더의 각 필드를 이용하여 구현하고, 헤더 필드에서 구현하기 어려운 파라미터들은 포맷을 확장하여 새롭게 구성된 정보 필드에 삽입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SS7 블록내의 SA에서의 본 발명에 의한 호처리 블록과 SS7 블록간의 메시지 정합방법을 도 2,3의 흐름도와 도 4의 메시지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국내 호처리 블록(10)의 IPC 메시지를 교환기로 전송하기 위한 SA(21)의 메시지 정합 처리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호처리 블록(10)의 BSAP(11)는 도 4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1)와 사용자 데이터(2)로 구성된 IPC 메시지를 도 4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A)와 4바이트의 α(B) 및 사용자 데이터(C)로 구성된 IPC PDU 형태로 변환한다(S1).
즉, IPC 메시지의 헤더(1)에 DLR값 및 SLR값의 파라미터와 전송할 메시지에 해당하는 코드값을 삽입하여 IPC PDU의 헤더(A)를 구현하고, 복구 원인, 거절 원인, 사용자 데이터의 나머지 파라미터의 포함 여부를 표시하기 위해 4바이트 α(B)를 추가한다.
이때, 제어국과 교환기 간의 송수신 신호 메시지로는 연결 요청 메시지(Connection Request ; CR), 연결 확인 메시지(Connection Confirm), 연결 거절 메시지(Connection Refused), 복구 메시지(Released), 제1형 데이터 메시지(Data Form 1), 단위 데이터 메시지(Unit Data)가 있으며, 이러한 메시지에는 각각의 코드값이 정의되어 있다.
이어, 상기 단계(S1)에서 변환된 IPC PDU를 SS7 블록(20)의 SA(21)로 전송한다(S2).
이에 따라, 상기 SA(21)는 IPC PDU를 수신하여 헤더(A)를 검색하고(S3), 이 검색결과 IPC PDU에 오류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4).
상기 단계(S4)에서 IPC PDU에 오류가 없다면, SA(21)는 IPC PDU를 도 4의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SCCP PDU로 변환하여(S5), SCCP(22), MTP3(23)의 SS7 스택을 통해 교환기로 전송하도록 한다(S6).
즉, SA(21)에서는 IPC PDU를 SCCP(22)에서 해석할 수 있는 메시지 형태로 변환하게 되는데, IPC PDU의 헤더(A)에 삽입된 DLR값과 SLR값을 도 4의 DLR(b) 및 SLR(c)에 채워 넣는다.
이에 따라, DLR(b), SLR(c), α(d), 사용자 데이터(e) 부분이 실제 SCCP 데이터가 되며, 이때 Pst(a)는 SS7 소프트웨어에서 사용되는 내부 정보이다.
한편, 상기 단계(S4)에서 IPC PDU에 오류가 있다면, BSAP(11)를 통해 호처리 블록(10)으로 에러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단계(S1) 이하를 수행하도록 한다(S7).
다음으로, 교환기에서 전송되는 SS7 메시지를 제어국내 호처리 블록(10)으로 전송하기 위한 SA(21)의 메시지 정합 처리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SS7 블록(20)의 SA(21)는 SCCP(22), MTP3(23)의 SS7 스택을 통해 교환기로부터의 SS7 메시지, 즉 도 4의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SCCP PDU를 수신한다(S11).
이어, 상기 단계(S11)에서 수신된 SCCP PDU의 헤더를 검색하고(S12), 검색 결과 SCCP PDU에 오류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13).
상기 단계(S13)에서 SCCP PDU에 오류가 없다면, SA(21)는 SCCP PDU를 도 4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IPC PDU로 변환하여 호처리 블록(10)의 BSAP(11)로 전송한다(S14).
즉, 상기 IPC 메시지를 SS7 메시지로 변환하는 과정을 역으로 수행하여 SCCP PDU의 DLR(b), SLR(c)의 DLR값과 SLR값을 IPC PDU 헤더(A)에 삽입함으로써 IPC PDU 형태로 만든다.
이후, 상기 호처리 블록(10)의 BSAP(11)에서는 상기 단계(S14)에서 전송된 IPC PDU를 수신하여 도 4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IPC 메시지로 변환하고, IPC PDU의 헤더(A)에 삽입된 DLR값과 SLR값 및 메시지 코드값을 통해 수신된 메시지가 어떤 메시지인지를 판별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단계(S13)에서 SCCP PDU에 오류가 있다면, SA(21)는 SS7 스택을 통해 교환기로 에러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한다(S16).
이상,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SS7 블록 내부에 메시지 정합부를 구현하여 종래의 호처리 블록의 하드웨어 및 메시지 처리 방식을 변경하지 않음은 물론 SS7 블록 내부의 메시지 처리 방식을 변경하지 않고도 IPC 메시지와 SS7 메시지를 정합하여 처리함으로써 시스템 설계 비용을 줄이고 호처리 블록과 SS7 블록이 하드웨어적으로 분리됨에 따라 발생하던 기존의 오류 및 부가적인 문제를 최소화하여 신호 서비스 제공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과 교환기 간의 신호 정보 전송으로 SS7 신호 프로토콜을 이용할 경우, 제어국내 IPC 통신 방식에 의해 IPC 메시지를 처리하는 호처리 블록(10)과 SS7 신호 프로토콜에 의해 SS7 메시지를 처리하는 SS7 블록(20) 간의 사용자 메시지를 정합하여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SS7 블록(20)에 IPC 메시지와 SS7 메시지를 정합하여 처리하기 위한 SA(21)를 추가로 구현하도록 한 이후, 제어국내 호처리 블록(10)의 IPC 메시지를 교환기로 전송하기 위한 SA(21)의 메시지 정합 처리 동작은, 호처리 블록(10)의 BSAP(11)에서 IPC 메시지를 IPC PDU 형태로 변환하여 SS7 블록(20)의 SA(21)로 전송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전송된 IPC PDU를 수신하여 헤더(A)를 검색하고, 이 검색결과 IPC PDU에 오류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IPC PDU에 오류가 없다면, IPC PDU를 SCCP PDU로 변환하여 SCCP(22), MTP3(23)을 통해 교환기로 전송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IPC PDU에 오류가 있다면, BSAP(11)를 통해 호처리 블록(10)으로 에러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제1단계 이하를 수행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지고;
    교환기에서 전송되는 SS7 메시지를 제어국내 호처리 블록(10)으로 전송하기 위한 SA(21)의 메시지 정합 처리 동작은, SS7 블록(20)의 SA(21)에서 SCCP(22), MTP3(23)을 통해 교환기로부터의 SS7 메시지를 수신하여 헤더를 검색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의 검색 결과 SCCP PDU에 오류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SCCP PDU에 오류가 없다면, SCCP PDU를 IPC PDU로 변환하여 호처리 블록(10)의 BSAP(11)로 전송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전송된 IPC PDU를 수신하여 IPC 메시지로 변환하고, IPC PDU의 헤더(A)에 삽입된 DLR값과 SLR값 및 메시지 코드값을 해석하여 수신된 메시지의 종류를 판별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SCCP PDU에 오류가 있다면, SCCP(22), MTP(23)을 통해 교환기로 에러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내 호처리 블록과 공통선 신호방식7 블록간의 메시지 정합방법.
KR1019980028009A 1998-07-11 1998-07-11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내 호처리 블록과 공통선 신호방식7블록간의 메시지 정합방법 KR200000082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8009A KR20000008275A (ko) 1998-07-11 1998-07-11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내 호처리 블록과 공통선 신호방식7블록간의 메시지 정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8009A KR20000008275A (ko) 1998-07-11 1998-07-11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내 호처리 블록과 공통선 신호방식7블록간의 메시지 정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275A true KR20000008275A (ko) 2000-02-07

Family

ID=19543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8009A KR20000008275A (ko) 1998-07-11 1998-07-11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내 호처리 블록과 공통선 신호방식7블록간의 메시지 정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82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6621B2 (en) 2016-11-14 2018-07-17 Applied Materials, Inc. SiN spacer profile pattern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6621B2 (en) 2016-11-14 2018-07-17 Applied Materials, Inc. SiN spacer profile pattern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55295B1 (en) Messages communication among SS7 signaling points
EP0549127A2 (en) Common channel signaling message intercept system
JP2002513534A (ja) 信号方式ネットワークゲートウェイ装置および信号方式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その使用
US6823061B2 (en) Method and system using SS7 signaling control connection part (SCCP) in a distributed network having shared point codes
US6643709B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nd converting protocol messages from one protocol into another
US2004026467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dentifying, redirecting, and processing messages of different SS7 protocol variations
US7016355B1 (en) Determination of the propagation delay in a packet switched network
US2006009862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ignaling gateways
EP1188324B1 (en) Integration of narrowband and broadband ss7 protocol stacks
EP1111940B1 (en) Signalling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US20020057701A1 (en) Device for Matching Dissimilar Telecommunication Protocols
RU2121223C1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поисковых вызовов в расширенной зоне обслуживания радиосистемы поискового вызова
KR20000008275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내 호처리 블록과 공통선 신호방식7블록간의 메시지 정합방법
EP1885138B1 (en) Signalling gateway
KR100278862B1 (ko)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제어국내 호처리 블록과 브이5.2블록간의 메시지 정합방법
KR100196716B1 (ko) 교환기내의 통신망 연동을 위한 공통선 메세지변환방법
FI106595B (fi) Signallointi telekommunikaatiojärjestelmässä
EP1111847B1 (en) System and method of telecommunications network node ethernet connectivity
EP1095524B1 (en) Signalling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0455878B1 (ko) 어플리케이션층데이터를포함하는신호를통신하는시스템및신호접속제어부분파라미터를변환하는시스템
EP154513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signaling messages
KR100441487B1 (ko) 넘버 세븐 신호망에서의 신호 모니터링 방법
Redmill An Introduction to SS7
EP1066708A1 (en) Communications network
JP2000184410A (ja) ネットワーク呼制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