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7561U - Connecting device between vehicle's hand free box and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Connecting device between vehicle's hand free box and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7561U
KR20000007561U KR2019980018973U KR19980018973U KR20000007561U KR 20000007561 U KR20000007561 U KR 20000007561U KR 2019980018973 U KR2019980018973 U KR 2019980018973U KR 19980018973 U KR19980018973 U KR 19980018973U KR 20000007561 U KR20000007561 U KR 200000075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vehicle
hand
free box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897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82612Y1 (en
Inventor
차종호
Original Assignee
조정남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남,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정남
Priority to KR20199800189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612Y1/en
Publication of KR200000075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56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6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612Y1/en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1.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본 고안은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와 이동 전화기 간의 연결 장치에 관한 것임.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device between a handfree box of a vehicle and a mobile phone.

2. 고안이 해결하고자하는 기술적 요지2. The technical gist that the invention seeks to solve

본 고안은 이동 전화기내의 이어 마이크로폰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를 연결하므로써, 차량의 ICC를 통신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모든 이동 전화기의 기종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vehicle's hand-free box via the ear microphone interface in the mobile phon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use the vehicle's ICC exclusively for communication and to provide a connection device that can be used in common for all mobile phone models. There is a purpose.

3. 고안의 해결 방법의 요지3. Summary of solution of design

본 고안은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와 이동 전화기를 연결하여, 상기 핸드프리 박스와 상기 이동 전화기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수단; 및 상기 이동 전화기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핸드프리 박스와 상기 이동 전화기 간에 송수신 되는 신호를 접속하는 접속수단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hand-free box and the mobile phone of the vehicle, connecting means for transmitting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hand-free box and the mobile phone; And connection means provided in the mobile telephone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ans for connecting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hand-free box and the mobile telephone.

4. 고안의 중요한 용도4. Important uses of the devise

본 고안은 이동 전화기와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를 연결하는데 이용됨.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connect a mobile phone with a hand free box of a vehicle.

Description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와 이동 전화기 간의 연결 장치Connecting device between vehicle's hand free box and mobile phone

본 고안은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Handfree Box)와 이동 전화기 간의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어 마이크로폰(Ear Microphone)을 이용하는 이동 전화기와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device between a handfree box of a vehicle and a mobile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a mobile phone using an ear microphone and a handfree box of a vehicle.

일반적으로, 이동전화 사용자들이 운전 중에 전화를 안전하게 사용하게 하는 기능과 이동전화를 충전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거치대(Cradle)는 크게 회로부분이 집약된 핸드프리 박스와 이동 전화기가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거치대은 이동 전화기를 고정하여 주면서 전기적으로 ICC(In Car Connector)와 컬 케이블(Curl Cable)로 연결을 제공해준다. 이를 통해 음성신호와 전원이 공급된다.In general, a cradle that provides mobile phone users with the ability to use the phone safely while driving and charges the mobile phone allows the mobile phone to be connected to a hand free box that is largely circuit-intensive. The cradle provides a connection to the ICC (In Car Connector) and curl cable (Curl Cable) while fixing the mobile phone. This provides a voice signal and power.

그리고, 종래의 거치대는 굵고 투박한 컬 케이블 및 ICC를 통해 이동 전화기와 연결되어 있고, 배터리의 충전기능은 대부분 ICC를 통해서 충전하는 것으로 구현되어 있다. 그리고, 음성신호는 그 출력 형태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이라도 모두 ICC를 통해 출력되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radle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through a thick and crude curl cable and ICC, and the charging function of the battery is implemented by charging through most of the ICC. In addition, the audio signal is designed in such a way that the output form is analog or digital, and is output through the ICC.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거치대의 경우, 외관상 투박한 컬 케이블로 인해 차량 내부에 정돈되지 않은 인상을 주고, 음성신호가 디지털로 출력되는 경우 음성 데이터 이외에 제어용으로 별도의 신호들을 처리하야 하기 때문에 컬 케이블의 굵기가 굵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radle as described above, the curling cable gives an uneven appearance inside the vehicle due to the seemingly clunky cable, and when the audio signal is digitally output, the signals must be processed for control other than the voice data.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thickness of the cable is thick.

또한, 거치대와 이동 전화를 설계하는 설계자 입장에서는 핸드프리 박스와 거치대을 사용하여 이동 전화기가 거치대에 장착되고 ICC가 연결되면, 이동 전화기가 거치대의 모드로 처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ICC의 전기적 규격 설정 및 이동전화기 내부에서 소프트웨어로 처리되어져야 하는 부분들이 많이 필요하게 되고, 또한 이동 전화기의 기종에 따라 ICC 규격이 다르게 설계되므로, 거치대는 비록 그 기능은 같더라도 각 이동 전화기의 기종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이동 전화기의 기종을 변경하게 되면 부가적으로 거치대를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from the standpoint of the designer designing the cradle and the mobile phone, when the mobile phone is mounted on the cradle and the ICC is connected to the cradle using the hands-free box and the cradle, the electrical specifications of the ICC are set so that the mobile phone can be processed in the cradle mode. Since many parts that need to be processed by software inside the mobile phone are required, and the ICC standard is desig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mobile phone, the cradle cannot be used in common for each mobile phone model even though its function is the same. For this reason, when the user changes the model of the mobile phon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older must be additionally replaced.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어 마이크로폰의 사용이 가능한 이동 전화기내의 이어 마이크로폰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를 연결하므로써, 차량의 ICC를 통신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모든 이동 전화기의 기종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connecting the handfree box of the vehicle through the ear microphone interface in the mobile phone capable of using the ear microphone, so that the ICC of the vehicle can be used for communication only. In addition,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ion device that can be used in common for all mobile phone model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와 이동 전화기 간의 연결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connection device between a handfree box and a mobile phon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거치대 111: 음성 조절부110: holder 111: voice control unit

112: 폰 장착 감지부 120: 핸드프리 박스112: phone mounting detection unit 120: hand free box

121, 122, 132: 신호 변환부 123: 반향 음성 제거부121, 122, and 132: signal converter 123: echo speech canceller

124: 증폭부 125: 제어부124: amplification unit 125: control unit

130: 이동 전화기 131: 접속부130: mobile phone 131: connection

133: 송수신 처리부 134: 안테나133: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ssing unit 134: antenna

140: 연결선 150: 스피커140: connection line 150: speaker

160: 마이크160: microphon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Handfree Box)와 이동 전화기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드프리 박스와 상기 이동 전화기를 연결하여, 상기 핸드프리 박스와 상기 이동 전화기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수단; 및 상기 이동 전화기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핸드프리 박스와 상기 이동 전화기 간에 송수신 되는 신호를 접속하는 접속수단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a handfree box of a vehicle and a mobile phone, wherein the handfree box and the mobile phon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connect the handfree box and the mobile phone. Connecting means for transmitting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mobile phones; And connection means provided in the mobile telephone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ans for connecting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hand-free box and the mobile telephon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와 이동 전화기 간의 연결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connection device between a hand-free box and a mobile phon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와 이동 전화기 간의 연결 장치는, 차량의 거치대(110)와, 차량의 거치대(110)에 연결되어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120)와 이동 전화기(130)를 연결하는 연결선(140)을 구비한다.As shown in Figure 1, the connection device between the hand-free box and the mobile phone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cradle 110 of the vehicle, the cradle 110 of the vehicle and the hand-free box 120 of the vehicle and It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line 140 for connecting the mobile phone 130.

여기서, 연결선(140)에는 이어 마이크로폰을 꽂기 위한 이동 전화기(130)의 소켓(socket)에 꽂을 수 있는 플러그(plug)(도시되지 않았음)가 부착되어 있다.Here, the connection line 140 is attached to a plug (not shown) that can be plugged into the socket (socket) of the mobile phone 130 for plugging the microphone.

거치대(110)는 음성 조절부(111)와, 폰 장착 감지부(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radle 110 includes a voice adjusting unit 111 and a phone mounting detecting unit 112.

핸드프리 박스(120)는 신호 변환부(121, 122)들과, 반향(echo) 음성 제거부(123)와, 증폭부(124)와, 제어부(125)를 구비한다.The hand free box 120 includes signal converters 121 and 122, an echo voice remover 123, an amplifier 124, and a controller 125.

이동 전화기(130)는 접속부(131)와, 신호 변환부(132)와, 송수신 처리부(133)와, 안테나(134)를 구비한다.The mobile phone 130 includes a connection unit 131, a signal conversion unit 132, a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ssing unit 133, and an antenna 134.

여기서, 접속부(131)는 연결선(140)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는 소켓(도시되지 않았음)과, 이 소켓에 연결되어 연결선(140)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이동 전화기(130)와 접속시키기 위한 이어 마이크로폰 인터페이스(도시되지 않았음)을 구비한다.Here, the connection unit 131 is a socket (not shown) for plugging in the connection line 140 and a signal connected to the socket and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ion line 140 to the mobile phone 130. It is then equipped with a microphone interface (not shown).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와 이동 전화기 간의 연결 장치에 대한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nection device between the hand-free box and the mobile phone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as follows.

거치대(110)의 음성 조절부(111)는 스피커(150)를 통해 전달되는 음성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음성 조절부(111)를 통해 음성 크기를 조절하면 핸드프리 박스(120)의 제어부(115)가 증폭부(124)를 조절하여 스피커(150)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 크기를 조절하게 된다.The voice controller 111 of the cradle 110 is for adjusting the voice volume transmitted through the speaker 150. When the user adjusts the voice volume through the voice controller 111, the hand free box 120 is provided. The controller 115 adjusts the amplifier 124 to adjust the volume of the voice output through the speaker 150.

거치대(110)의 폰 장착 감지부(112)는 이동 전화기(130)가 거치대(110)에 장착되면, 이를 감지하여 핸드프리 박스(120)의 제어부(125)로 전달한다.The phone mounting detector 112 of the cradle 110 detects the mobile phone 130 when the mobile phone 130 is mounted on the cradle 110 and transmits the detected signal to the controller 125 of the hand free box 120.

핸드프리 박스(120)의 신호 변환부(121)는 이동 전화기(130)로부터 연결선(140)을 통해 전달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반향 음성 제거부(123)로 전달하고, 반향 음성 제거부(123)로부터 전달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연결선(140)을 통해 이동 전화기(130)로 전달한다.The signal converter 121 of the hand-free box 120 converts an analo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phone 130 through the connection line 140 into a digital signal, and transmits the analog signal to the echo sound canceller 123 and performs echo sound agent. The digit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jection 123 is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phone 130 through the connection line 140.

핸드프리 박스(120)의 신호 변환부(122)는 증폭부(124)로부터 전달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반향 음성 제거부(123)로 전달하고, 반향 음성 제거부(123)로부터 전달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증폭부(124)로 전달한다.The signal converter 122 of the hand-free box 120 converts an analo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mplifier 124 into a digital signal and transmits the analog signal to the echo voice remover 123 and transmits it from the echo voice remover 123. The digital signal is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and transferred to the amplifier 124.

핸드프리 박스(120)의 반향 음성 제거부(123)는 신호 변환부(121)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신호 간에 발생되는 반향 현상을 제거하여 신호 변환부(122)로 전달하고, 신호 변환부(122)로부터 전달된 음성 신호 간에 발생되는 반향 현상을 제거하여 신호 변환부(121)로 전달한다.The echo speech removing unit 123 of the hand-free box 120 removes the echo phenomenon generated between the speech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signal converting unit 121 and transmits the echo phenomenon to the signal converting unit 122 and the signal converting unit 122. The reflection phenomenon generated between the voic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signal is removed and transmitted to the signal converter 121.

핸드프리 박스(120)의 증폭부(124)는 제어부(125)의 제어를 받아, 신호 변환부(122)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150)로 출력하고, 마이크(16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신호 변환부(122)로 전달한다.The amplifier 124 of the hand-free box 12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25 to amplify and output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converter 122 to the speaker 150 and input from the microphone 160. The amplified voice signal is amplified and transferred to the signal converter 122.

이동 전화기(130)의 접속부(131)는 연결선(140)을 통해 핸드프리 박스(12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신호 변환부(132)로 전달하고, 신호 변환부(132)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연결선(140)을 통해 핸드프리 박스(120)로 전달한다.The connection unit 131 of the mobile phone 130 transmit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hand free box 120 to the signal conversion unit 132 through the connection line 140, and transmit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conversion unit 132 to the connection line. Transfer to handfree box 120 through (140).

이동 전화기(130)의 신호 변환부(132)는 접속부(131)로부터 전달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송수신 처리부(133)로 전달하고, 송수신 처리부(133)로부터 전달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접속부(131)로 전달한다.The signal conversion unit 132 of the mobile phone 130 converts the analo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nection unit 131 into a digital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ssing unit 133, and transmits the digit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ssing unit 133 to the analog signal. Converted to and transmitted to the connection unit 131.

이동 전화기(130)의 송수신 처리부(133)는 안테나(134)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복조하여 신호 변환부(132)로 전달하고, 신호 변환부(132)로부터 전달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변조하여 안테나(134)를 통해 외부로 송신한다.The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ssor 133 of the mobile phone 130 converts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134 into a digital signal, demodulates it, and transmits the demodulated signal to the signal converter 132. The signal is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and then modulated and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ntenna 134.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of limita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와 이동 전화기 간의 연결 장치는, 기존의 컬 케이블(Curl Cable)을 사용하지 않고, 플러그가 연결된 연결선을 사용하여 이어 마이크로폰의 사용이 가능한 이동 전화기내의 이어 마이크로폰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와 연결하므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device between the hand-free box and the mobile phone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phone in which a microphone can be used by using a connection cable connected to a plug, without using a conventional curl cable. Then, by connecting to the hand-free box of the vehicle through the microphone interface, it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차량의 ICC를 데이터 통신 전용으로만 쓸 수 있게 되어 음성신호 및 기타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회로 부분이 필요 없어지기 때문에, 제조 원가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회로의 크기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First, since the ICC of the vehicle can be used only for data communication, there is no need for a circuit portion for processing voice signals and other control signals,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and significantly reducing the size of the circuit. .

둘째, 이어 마이크로폰이 장착된 경우와 ICC 통해 거치대가 연결된 경우 각각에 대하여 이동 전화기 내부의 별도의 소프트웨어가 필요하였으나, ICC가 연결된 경우 핸드프리 기능을 처리하는 소프트웨어가 필요하지 않게 되어 원가 절감 및 개발 기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다.Second, separate software inside the mobile phone was required for each microphone and the cradle connected through ICC.However, when ICC is connected, no software is needed to handle the hands-free function. Can be significantly shortened.

셋째, 이어 마이크로폰이 내장된 이동전화기를 장착하는 거치대만 해당 모델로 교체하여 주면 어떠한 이동 전화기라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이다.Third, it is very economical because only the mobile phone equipped with a built-in microphone can be replaced with the corresponding model so that any mobile phone can be connected and used.

Claims (2)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Handfree Box)와 이동 전화기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에 있어서,In the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a handfree box of a vehicle and a mobile phone, 상기 핸드프리 박스와 상기 이동 전화기를 연결하여, 상기 핸드프리 박스와 상기 이동 전화기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수단; 및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hand-free box and the mobile phone to transfer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hand-free box and the mobile phone; And 상기 이동 전화기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핸드프리 박스와 상기 이동 전화기 간에 송수신 되는 신호를 접속하는 접속수단Connection means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ans for connecting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hand-free box and the mobile phone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와 이동 전화기 간의 연결 장치.Connection device between the hand-free box and the mobile phone of the vehicl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결수단은,The connecting means, 상기 핸드프리 박스와 상기 이동 전화기를 연결하는 유선이며, 상기 접속수단에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plug)A wire for connecting the hand-free box and the mobile phone, and a plug for connecting to the connecting means.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와 이동 전화기 간의 연결 장치.Connection device between the hand-free box and the mobile phone made of a vehicle.
KR2019980018973U 1998-10-01 1998-10-01 Connecting apparatus between vehicle handfree box and mobile phone KR20028261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973U KR200282612Y1 (en) 1998-10-01 1998-10-01 Connecting apparatus between vehicle handfree box and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973U KR200282612Y1 (en) 1998-10-01 1998-10-01 Connecting apparatus between vehicle handfree box and mobile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561U true KR20000007561U (en) 2000-05-06
KR200282612Y1 KR200282612Y1 (en) 2002-09-19

Family

ID=69521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8973U KR200282612Y1 (en) 1998-10-01 1998-10-01 Connecting apparatus between vehicle handfree box and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612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072A (en) * 2002-09-02 2004-03-10 (주)포스퍼전자 Universal hands fre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612Y1 (en) 200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9590B2 (en) Mobile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 detection and communication of voice and digital data
US7574239B2 (en) Handsfree car mounting kit
WO2001029979A1 (en) Docking station for cellular telephone
US20100081486A1 (en)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30054784A1 (en) Infrared full-duplex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0282612Y1 (en) Connecting apparatus between vehicle handfree box and mobile phone
KR19990087732A (en) Mobile Phone Adapter
KR200247585Y1 (en) Wireless hands free Apparatus using Bluetooth module
WO1998058454A3 (en) A docking station
KR200309139Y1 (en) Headphone set connected to Personal Computer via USB port and having mobile phone hands-free function
KR200243840Y1 (en) A howling preventing apparatus in a handsfree unit
KR200243501Y1 (en) A howling preventing apparatus in a handsfree unit
KR200226768Y1 (en) Mobile phone hands-free device for vehicle
KR200366861Y1 (en) Earphone for handfree
KR100343157B1 (en) Cradle for serving speaker-phone function
KR100633049B1 (en) Earphone for handfree
KR200366860Y1 (en) Earphone for handfree
JP2004147266A (en) Bluetooth adapter for telephone set
KR100323283B1 (en) Apparatus for receiving mobile phone call
KR19990038905A (en) Hand-free signal conversion circuit
JP2003324517A (en) Vehicle-mounted hands-free communication device
KR200221529Y1 (en) A device of handfree earmic for couple
KR20010000437U (en) A mobile hands-free device which is available of an earphone or speaker phone
KR101211502B1 (en) Gend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1345929A (en) Method for connecting portable telephone and op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0201

Effective date: 200204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