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7216U - Billboard - Google Patents

Bill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7216U
KR20000007216U KR2019980018607U KR19980018607U KR20000007216U KR 20000007216 U KR20000007216 U KR 20000007216U KR 2019980018607 U KR2019980018607 U KR 2019980018607U KR 19980018607 U KR19980018607 U KR 19980018607U KR 20000007216 U KR20000007216 U KR 200000072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pattern
display unit
display
emit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860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광우
Original Assignee
송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광우 filed Critical 송광우
Priority to KR2019980018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7216U/en
Publication of KR200000072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216U/en

Links

Landscapes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표시되는 소정의 문자, 도형, 그래픽, 또는 달리 나타나는 모든 패턴이 선명하게 표시됨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고 소비전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광고판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llboard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predetermined letter, figure, graphic, or any other pattern that is displayed clearly, as well as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본 고안의 광고판 장치는, 지지체 또는 이동체에 고정설치되는 지지판과, 그 지지판 상에 설치되는 절연체와, 절연체상에 배치되는 투명시트 및 소정의 형태 및 색깔로 표시되며 문자, 도형 또는 패턴형상에 따라 투명시트상에 배설되는 발광소자로 구성되는 표시부와, 표시부상에 배설된 각각의 발광소자의 점등시간 및 점등순서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와, 표시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투명 커버로 구성된다. 또한 표시부와 커버사이에는 상기 표시부의 발광소자에 의해 형성되는 문자, 도형 또는 패턴형상에 따라 절취되는 패턴부와, 상기 문자, 도형 또는 패턴부를 제외한 다른 부분을 차폐하는 바탕부를 구비하는 패턴층이 삽설되며, 표시부의 발광소자는 EL(Electro Luminescence)소자로 형성된다.The billboard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pport plate fixed to a support or a movable body, an insulator provided on the support plate, a transparent sheet disposed on the insulator, and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color, and according to a character, figure or pattern shape. And a display portion composed of light emitting elements disposed on the transparent sheet,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time and the order of lighting of each light emitting element disposed on the display portion, and a transparent cover for protecting the display portion from the outside. Also,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the cover, a pattern layer including a pattern part cut according to a character, a figure, or a pattern shape formed by a light emitting element of the display unit, and a base part for shielding other portions except the character, figure, or pattern part is inserted.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display unit is formed of an EL (Electro Luminescence) device.

Description

광고판 장치Billboard device

본 고안은 광고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되는 소정의 문자, 도형, 그래픽, 또는 달리 나타나는 모든 패턴이 선명하게 표시됨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고 소비전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광고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llboard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llboard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a predetermined letter, figure, graphic, or any other pattern that is displayed clearly, as well as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

공지된 바와 같이, 특정 상품 또는 내용을 광고하기 위해서는 텔레비젼과 같은 대중매체를 이용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특정 지역 또는 특정 시간대에 소정의 상픔 또는 내용을 집중적으로 광고 또는 홍보하기 위해 고정식 광고장치를 이용하고 있으며 또한 광고차량을 이용하여 이동식으로 광고 및 홍보를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광고장치의 예로는 다양한 형태를 취하는 고정체(판) 또는 이동체에 페인팅 또는 인쇄기법으로 인새된 소정의 광고내용을 선전하거나 또는 광고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네온사인 형식 또는 전광판 형식이 이용되기도 하며, 특히, 최근에는 램프, LCD, VFD, PDP 등을 이용한 광고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As is known, a media such as a television is used to advertise a specific product or content, but recently, a fixed advertisement device is used to intensively advertise or promote a certain heartache or content in a specific region or a specific time period. It also uses advertising vehicles to advertise and promote mobile. As an example of such an advertisement device, a neon sign format or an electronic signboard format may be used to promote a predetermined advertisement content imprinted with a painting or printing technique on a fixed body (plate) or a mobile body having various forms, or to maximize the advertising effect. In particular, recently, advertising apparatuses using lamps, LCDs, VFDs, and PDPs have been used.

이와 같은 종래의 광고 장치들중 한국 실용신안공고 제 97-0229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광고용 디스플레이판은 회로와 외부의 메인콘트롤러로부터 전기 접속되는 접속조인트가 내장된 상태로 그 외부를 감싸도록 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전방으로 위치되어 메인콘트롤러의 신호에 따라 점멸되는 복수의 램프와, 얇은 판상의 차단편들이 지지틀로부터 램프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햇빛을 차양하는 차양부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판은 햇빛의 입사를 방지하여 소정의 광고효과를 최대로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용적이 큰 다수의 램프를 사용함으로 인해 그 구조가 복잡하고 특히 두께가 두꺼움은 물론 비교적 전력소모가 큰 램프를 사용함으로 인해 소비전력이 과도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mong such conventional advertising devices, the display panel for advertisement a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97-02290 includes a housing for enclosing a circuit and a connection joint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from an external main controller. And a plurality of lamps positioned in front of the housing and blinking in response to a signal from the main controller, and a shading portion in which thin plate blocking pieces protrude from the support frame to the front of the lamp to shade sunlight. Despit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incidence of sunlight to provide a predetermined advertising effect, the use of a large number of relatively large volume of the lamp,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especially thick and relatively high power consumption lamp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ower consumption is excessively consumed by using.

또한, 일본 실용신안공고 실공평6-8621에 개시된 칼라 표시장치는 특정파장 영역에 피크(peak)를 갖는 띠형상의 스펙트럼광을 발하는 표시부와, 상기 특정파장 영역의 투과율이 다른 영역에 비해 작은 필터와, 그 필터의 투과율이 작은 영역의 광을 포함하는 광을 투과하는 게스트호스트액정셀과, 상기 표시부와 액정셀을 구동하는 구동부로 구성된 것으로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문자, 도형 또는 다른 패턴들의 선명도를 향상시킨다는 효과는 있으나 형광표시관(VFD)과 같은 표시부, 뉴트럴 편광판, 게스트호스트액정셀과 같은 구성요소는 비교적 고가이고 소비전력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또한 표시부와 게스트호스트액정셀을 각각 별도로 제어해야 함에 따른 구성의 복잡성 및 곤란성이 여전히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In addition, the color display devic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6-8621 has a display portion for emitting band-shaped spectral light having a peak in a specific wavelength region, and a filter having a smaller transmittance in the specific wavelength region than other regions. And a guest host liquid crystal cell that transmits light including light in a region having a small transmittance of the filter,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display unit and the liquid crystal cell. Although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components such as a display unit such as a fluorescent display tube (VFD), a neutral polarizer, and a guest host liquid crystal cell are relatively expensive, have a relatively high power consumption, and need to control the display unit and the guest host liquid crystal cell separately. Complexity and difficulty of construction are still present problems.

한편, 최근에는 저렴한 대면적의 풀칼라 표시장치의 실현을 위해 EL(Electro Luminescence)소자에 대한 관심이 제고되고 있다. 이 EL 소자는 형광성 유기화합물을 함유하는 박막이 음극과 양극사이에 협지된 구성을 지니며, 그 박막에 전자 및 정공을 주입하여 재결합시켜 여기자(excitons)를 생성시키고 그 여기자가 실활(deactivation)할 때 광의 방출을 이용하여 발광하는 소자로서, 10V이하의 저전압에서도 100-100,000㏅/㎡의 고휘도의 면발광이 가능하고 또한 형광물질의 종류를 선택함에 따라 청색으로부터 적색까지의 발광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어 상술된 바와 같은 표시장치에 이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interest in EL (Electro Luminescence) devices has been raised to realize low cost large area full color display devices. The EL device has a structure in which a thin film containing a fluorescent organic compound is sandwiched between a cathode and an anode, and electrons and holes are injected into the thin film to recombine to generate excitons, and the excitons are deactivated. It is a device that emits light by emitting light, and it is possible to emit light with high brightness of 100-100,000 ㏅ / ㎡ even at low voltage of 10V or less, and it is possible to emit light from blue to red according to the type of fluorescent material. There is a trend that the research to use for the display device as described above is being actively conducted.

이에 본 고안은 상술된 문제점들 및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구조 및 구성이 간단하고 선명도 및 인식성이 우수하며 소비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 광고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blems,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llboard device that is simple in structure and configuration, excellent in clarity and recognition, and can save power consumption. hav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발광소자로서 EL소자를 이용한 광고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llboard device using an EL element as a light emitting element to achieve the main purpos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광고판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billboar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광고판 장치의 각각의 구성요소가 조립된 것으로서, 표시상태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isplay state in which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billboard apparatus of FIG. 1 are assembled.

도 3은 도 1의 선 Ⅲ - Ⅲ 에 따라 취한 단면도.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1;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 지지판 20 : 절연체10: support plate 20: insulator

30 : 표시부 32 : 투명시트30: display unit 32: transparent sheet

34 : 발광소자 34a : 반사층34 light emitting element 34a reflective layer

34b : 제 1투명 도전성막 34c : 수송층34b: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film 34c: transport layer

34d : 발광층 34e : 금속층34d: emitting layer 34e: metal layer

34f : 제 2투명 도전성 막 40 : 콘트롤러34f: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40: controller

42 : 점등제어부 44 : 타이밍제어부42: lighting control unit 44: timing control unit

50 : 패턴층 52 : 패턴부50: pattern layer 52: pattern portion

54 : 바탕부 60 : 커버54: base 60: cover

이와 같은 목적들은 지지체 또는 이동체에 고정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상에 설치되는 절연체와, 상기 절연체상에 배치되는 투명시트, 및 소정의 형태 및 색깔로 표시되며 문자, 도형 또는 패턴형상에 따라 상기 투명시트상에 배설되는 발광소자로 구성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상에 배설된 각각의 발광소자의 점등시간 및 점등순서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와, 상기 표시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투명 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판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se objects are supported by a support plate fixed to a support or a mobile body, an insulator installed on the support plate, a transparent sheet disposed on the insulator, and a predetermined shape and color. And a display portion composed of light emitting elements disposed on the transparent sheet,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time and the order of lighting of each light emitting element disposed on the display portion, and a transparent cover for protecting the display portion from the outside. It can be achieved by a billboar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표시부와 커버사이에는 그 표시부의 발광소자에 의해 형성되는 문자, 도형 또는 패턴형상에 따라 절취되는 패턴부와, 그 문자, 도형 또는 패턴부를 제외한 다른 부분을 차폐하는 바탕부를 구비하는 패턴층이 삽설되는 것이다.According to one fea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display portion and the cover shields the pattern portion cut out according to the character, figure or pattern shape formed by the light emitting element of the display portion, and other portions except the character, figure or pattern portion A pattern layer having a base portion to be inserted is inserted.

본 고안의 또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표시부의 발광소자는 EL(Electro Luminescence)소자인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display unit is an EL (Electro Luminescence) device.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광고판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illboar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중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광고판 장치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광고판 장치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로서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가 도시되어 있다.1 is a block diagram of a billboar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as a billboar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lly coupled.

도 1 및 2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광고판 장치는 예컨대 건물 또는 지지체의 소정의 위치 또는 광고용 자동차와 같은 소정의 이동차량에 지지 또는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광고판 장치 전체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지지판(10)을 포함한다. 이 지지판(10)은 자체 또는 광고판 장치 전체의 강성을 유지함은 물론 설치의 용이함을 위해 경량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성 재료 또는 아크릴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According to FIGS. 1 and 2, the billboar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pported o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building or a support or at a predetermined moving vehicle such as an advertisement vehicle, and also may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entire billboard apparatus. And a support plate 10. The support plate 10 is preferably formed of a metallic material such as aluminum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acrylic so as to maintain the rigidity of itself or the entire billboard device as well as to be kept lightweight for ease of installation.

이 지지판(10) 상에는 상세히 후술되는 표시부에서 발생될 수 있거나 또는 지지체나 차량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열 또는 전기를 차단하기 위한 절연체(20)가 제공된다. 이 절연체(20)는 실제로 후술되는 표시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매우 미비하므로 절연성이 우수한 비닐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고무 또는 합성수지와 같은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On this support plate 10 there is provided an insulator 20 for blocking heat or electricity which can be generated in the display section described below in detail or which can be generated from a support or a vehicle. Since the insulator 20 is actually insignificant in heat generated by the display unit described la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ulator 20 is formed of vinyl having excellent insulating properties, bu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or synthetic resin.

그 절연체(20) 상에는 표시부(30)가 설치되는 바, 그 표시부(30)는, 특히 각각 소정의 색깔을 발광할 수 있는 다수의 발광소자가 입자 또는 픽셀 형태로 분포되어 있는 시트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lay unit 30 is provided on the insulator 20, and the display unit 30 is particularly formed in a sheet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capable of emitting a predetermined color are distributed in the form of particles or pixels. desirabl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와 같은 발광소자를 이용한 표시부(30)는 도 3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글래스 기판 또는 투명 플라스틱등으로 될 수 있는 투명시트(32)를 최하부에서 포함한다. 그 투명시트(32)상에는 다수의 발광소자(34)가 소정의 분포 상태로 부착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바, 특히 그 발광소자(34)는 상술된 바와 같이 작은 소비전력으로도 고휘도의 발광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EL(Electro Luminescence)소자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각각의 발광소자(34)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투명시트(32)상에는 반사층(34a), 제 1투명 도전성막(34b), 수송층(34c), 발광층(34d), 금속층(34e) 및 제 2투명 도전성막(34f)이 순차적으로 적층형성되어 있다. 물론, 이들중 반사층(34a)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박막으로 형성되며, 발광층(34d) 상에 적층된 금속층(34e)은 극히 얇은 박막형태로 형성되어 음극역할을 하며 발광층(34d)으로부터 소정의 색깔로 발광될 수 있는 발색광을 투과시킨다. 여기서, 발광층(34d)의 고저항으로 인해 음극으로서 충분한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2투명 도전성막(34f)이 그 위에 도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발광소자(34)는 그 전체적인 두께가 매우 얇게 됨으로써 표시부 전체의 두께가 극히 얇은 막막 또는 시트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그 작용모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상세히 후술되는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전류가 발광층(34d)에서 광으로 변환되며 그 광은 제 2투명 도전성막(34f)을 통해 발광되는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은 EL 소자의 구성 및 그 기능은 최근 일반적으로 공지된 사항이므로 명확성을 위해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detail, the display unit 30 using such a light emitting device includes a transparent sheet 32, which may be, for example, a glass substrate or a transparent plastic, as shown in detail in FIG. 3. On the transparent sheet 32,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34 are attached or integrally formed in a predetermined distribution state. In particular, the light emitting elements 34 have high luminance and light emission characteristics even with small power consump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red to be formed of an EL (Electro Luminescence) element capable of exhibiting.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each light emitting device 34 as described above, on the transparent sheet 32, the reflective layer 34a, the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film 34b, the transport layer 34c, the light emitting layer 34d, the metal layer 34e And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34f are sequentially formed. Of course, the reflective layer 34a is formed of a metal thin film such as aluminum, and the metal layer 34e stacked on the light emitting layer 34d is formed as an extremely thin thin film to serve as a cathode and has a predetermined color from the light emitting layer 34d. It transmits the colored light which can be emitted. Here,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34f is applied thereon to prevent the high resistance of the light emitting layer 34d from being able to exert sufficient function as the cathode. The light emitting element 34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formed in a thin film or sheet form with the total thickness of the display part being extremely thin, and the mode of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3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urrent injected from the electrode is converted into light in the light emitting layer 34d, and the light is emitted through the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34f. Of course,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such an EL element is a matter generally known recently, and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for clarity.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이 각각 소정의 색깔을 발광하는 각각의 발광소자(34)는 투명시트(32)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이들 각각의 발광소자(34)는 사용자가 원하는 표시형태별로 또는 색상별로 투명시트(32)를 구획하여 각각의 발광영역을 설정한 후 각각의 구역에 해당하는 색깔을 발광하는 발광소자를 해당영역에 배설하여 발광소자군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각각의 발광소자를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투명시트(32)상에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패턴을 미리 설정하여 그 패턴에 해당하는 색깔을 발광하는 소정의 발광소자들을 패터닝하는 방식으로 배설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s 34 emitting a predetermined color may be uniform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transparent sheet 32, wherein each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s 34 is a user The transparent sheet 32 may be partitioned by the desired display form or by the color to set each light emitting area, and then a light emitting device that emits a color corresponding to each area may be disposed in the corresponding area to form a light emitting device group. Of course, each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disposed in a manner of presetting a predetermined pattern desired by the user on the transparent sheet 32 and patterning predetermined light emitting devices that emit a color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have.

선택적으로, 그 표시부(30)전체는 투명재료를 이용하여 그 자체를 보호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코팅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은 발광소자를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서 표시부의 시트의 구성을 달리할 수 있다. 즉, 시트 자체를 전류가 인가되면 상호 충돌할 수 있는 유동성 분자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하여 전류의 인가시 각각의 분자입자들의 충돌로 인해 발광되게 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entirety of the display portion 30 may be entirely coated to protect itself using a transparent material. In addition, as a replacement for the light emitt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sheet of the display unit may be different. That is, the sheet itself may be formed in a shape including fluid molecules that may collide with each other when an electric current is applied so that the sheet may emit light due to the collision of respective molecular particles when the electric current is applied.

그리고, 표시부(30)에는 콘트롤러(40)가 연결되어 있어 실제로 그 표시부(30),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발광소자(34) 또는 발광소자군(group)의 발광을 제어한다. 그 콘트롤러(40)는 실제로 상기 각각의 발광소자(34) 또는 발광소자군에 와이어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그 콘트롤러(40)에는 기본적으로 점등제어부(42) 및 타이밍제어부(44)를 내장하고 있는 바, 여기서 점등제어부(42)는 표시부(30) 전체를 즉, 각각의 발광소자(34)를 전체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시키거나 각각의 발광소자(34)를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시킬 수 있도록 전류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타이밍제어부(44)는 각각의 발광소자(34) 또는 발광소자군의 점등시간뿐 아니라 각각의 발광소자 또는 발광소자군의 순차적인 점등 시이퀀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각각의 제어부에 의해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대로 해당하는 각각의 발광소자의 점등시간 및 점등순서를 자동으로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그 콘트롤러(40)에는 도시되지 않은 전원공급부로부터 전류가 공급되는 바, 예컨대 광고판이 건물에 대형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전원을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광고 또는 홍보용 자동차와 같은 이동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그 차량의 전원 또는 별도의 소형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는 바, 이는 발광소자의 사용전력이 매우 작기 때문에 가능한 것으로 이해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40 is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30 to actually control the light emission of the display unit 30, more specifically, each light emitting element 34 or a group of light emitting elements. The controller 40 is actually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s 34 or the light emitting element group through a wire. In addition, the controller 40 basically includes a lighting controller 42 and a timing controller 44, where the lighting controller 42 includes the entire display unit 30, that is, each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s 34 as a whole. 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supply of electric current so as to turn on or turn off or to turn on or turn off each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s 34 independently or partially. On the other hand, the timing controller 44 is configured to control not only the lighting time of each light emitting element 34 or the light emitting element group, but also the sequential lighting sequence of each light emitting element or the light emitting element group. Each control uni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automatically perform the lighting time and the lighting sequence of each corresponding light emitting device in a manner desired by an operator or a user. Of course, the controller 40 is supplied with electric current from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for example, when a billboard is installed in a large building, a general power source can be used. The power source can be supplied using the vehicle's power source or a separate small battery, which is understood to be possible becaus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very small.

또한 상기 표시부(30)상에는 패턴층(50)이 형성되는 바, 이 패턴층(50)은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도형 또는 패턴을 형성하는 표시부의 각각의 발광영역에 표시되는 문자, 도형 또는 패턴 부분을 노출시키도록 절취되는 패턴부(52)와, 상기 표시부에 형성된 문자, 도형 또는 패턴 이외의 부분을 차폐하는 바탕부(54)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패턴층에 구조에 따라 해당 문자, 도형 또는 패턴이 그 주변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욱 선명하게 됨으로써 해당 표시가 더욱 명확히 인식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 pattern layer 50 is formed on the display unit 30. The pattern layer 50 is a character, figure, or pattern part displayed in each emission area of a display unit forming a character, figure, or pattern desired by a user. And a pattern portion 52 cut out to expose the portion, and a base portion 54 shielding portions other than letters, figures, or patterns formed on the display portion.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pattern layer, the corresponding letters, figures, or patterns become relatively clearer than the surroundings, so that the display can be recognized more clearly.

그리고 패턴층(50)의 외측에는 그 패턴층(50), 표시부(30) 및 광고판 장치 전체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커버(60)가 제공된다. 물론 그 커버(60)는 표시부(30)로부터의 발광을 간섭없이 투과시킬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외부의 충격에 내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다소의 강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cover 60 is provided outside the pattern layer 50 to protect the pattern layer 50, the display unit 30, and the entire billboard device from the outside. Of course, the cover 60 is preferably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as to transmit the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unit 30 without interference, and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some rigidity so as to maintain resistance to external impact.

이와 같이 구성된 광고판 장치의 작용모드에 의하면, 먼저 사용자는 콘트롤러(40)에 내장된 점등제어부(42) 및 타이밍제어부(44)를 각각 또한 상호 연계적으로 조절하여 표시부(30)의 각각의 발광소자 또는 발광소자군의 점등여부, 점등시간 및 점등순서를 적절하게 설정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제어부(42,44)를 임의로 설정함에 따라 그 콘트롤러(40)는 표시부(30)의 각각의 발광소자(34) 또는 발광소자군에 설정된 점등시간 및 점등순서에 따라 전류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0)의 제 1영역(A), 제 2영역(B), 제 3영역(C), 제 4영역(D), 제 5영역(E)을 차례로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발광하도록 콘트롤러를 설정하였다면, 각각의 영역이 설정된 순서대로 점등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은 점등방식은 단지 하나의 프로세스에 불과하며 표시부의 각각의 영역들의 점등은 다양한 프로세스로 실행될 수 있음은 물론 이들 각각의 프로세스를 연속적으로 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소정의 표시를 동시에 전체적으로 점등시키거나 또는 원하는 표시만을 점등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각각의 표시의 점등순서를 임의로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billboard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user controls the lighting controller 42 and the timing controller 44 built in the controller 40 to be linked to each other, respectively, so that each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display unit 30 can be controlled. Alternatively, whether the light emitting element group is turned on, the lighting time and the lighting sequence are set appropriately. As such, as the controllers 42 and 44 are arbitrarily set, the controller 40 supplies current according to the lighting time and the lighting sequence set for each light emitting element 34 or the light emitting element group of the display unit 30. Will b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user may display the first area A, the second area B, the third area C, the fourth area D, and the fifth area E of the display unit 30. If the controller is set to emit light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in turn, each area may be turned on in the set order. Of course, such a lighting method is only one process, and the lighting of each area of the display unit can be performed by various processes, and of course, each of these processes can be performed continuously. Accordingly, the user can turn on a predetermined display as a whole or light only a desired display as well as change the lighting order of each display in various ways.

또한 이와 같은 표시부(30)의 발광소자 또는 발광소자군의 발광으로 인한 문자, 도형 또는 패턴이 점등될 때, 그 표시부(30)상에 제공된 패턴층(50)에 의해 상기 각각의 발광영역(A,B,C,D,E)의 문자, 도형 또는 패턴만을 노출시키고 반면에 그 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차폐시킴으로써 각각의 문자, 도형 또는 패턴이 상대적으로 더욱 선명하게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광에 의해 표시되는 문자, 도형 또는 패턴의 선명도 및 인식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letters, figures, or patterns caused by light emission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or the light emitting device group of the display unit 30 are turned on, the respective light emitting regions A are provided by the pattern layer 50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30. By exposing only letters, figures, or patterns of B, C, D, and E, while shielding portions other than those parts, each character, figure, or pattern can be made relatively clearer, and thus displayed by light emission. Sharpness and recognition of the letters, figures, or patterns may be improved.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콘트롤러(40)를 이용하여 설정한 프로세스에 의해 실행되는 표시부(30)의 각각의 발광소자(34) 또는 발광영역(A-E)으로부터 소정의 문자, 도형 또는 패턴형태로 발광되는 광은 투명커버(60)를 통해 외부로 선명하게 발광되어 소정의 광고 또는 홍보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light emitted from each light emitting element 34 or the light emitting area AE of the display unit 30 executed by a process set by the user using the controller 40 in a predetermined character, figure or pattern form. The light is vividly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ransparent cover 60 to achieve a predetermined advertising or promotional effect.

물론, 표시부에 발광소자에 의해 형성되는 문자, 도형 또는 패턴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으로 한정됨이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취해질 수 있음은 자명한 것으로 이해된다.Of course, it is understood that characters, figures, or patterns formed by the light emitting elements in the display unit may be taken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a user's desired purpose without being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본 고안의 광고판 장치는 그 전체적인 두께가 매우 얇고 경량이며 콤팩트하기 때문에 설치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설치영역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Billboar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detail above is very thin, light weight and compact the overall thickness can be easily installed regardless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also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installation area.

또한 발광능이 우수한 EL소자와 같은 발광소자를 채용함으로써 선명도 및 인식성이 증대될 수 있음은 물론 소비전력을 최적으로 절약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In addition, by adopting a light emitting device such as an EL device having excellent light emitting ability, the clarity and recognition can be increased, and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optimally saved.

Claims (3)

지지체 또는 이동체에 고정설치되는 지지판과,A support plate fixed to the support or the moving body, 상기 지지판상에 설치되는 절연체와,An insulator provided on the support plate; 상기 절연체상에 배치되는 투명시트, 및 소정의 형태 및 색깔로 표시되며 문자, 도형 또는 패턴형상에 따라 상기 투명시트상에 배설되는 발광소자로 구성되는 표시부와,A display unit comprising a transparent sheet disposed on the insulator, and a light emitting element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color and disposed on the transparent sheet according to a character, a figure, or a pattern shape; 상기 표시부상에 배설된 각각의 발광소자의 점등시간 및 점등순서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와,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time and the lighting sequence of each light emitting element disposed on the display unit; 상기 표시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투명 커버로 이루어지는 광고판 장치.A billboard device comprising a transparent cover for protecting the display from the outs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와 커버사이에는 상기 표시부의 발광소자에 의해 형성되는 문자, 도형 또는 패턴형상에 따라 절취되는 패턴부와, 상기 문자, 도형 또는 패턴부를 제외한 다른 부분을 차폐하는 바탕부를 구비하는 패턴층이 삽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판 장치.The display unit of claim 1, wherein a pattern portion cut out according to a character, a figure, or a pattern formed by a light emitting element of the display portion, and a base portion shielding other portions except the character, figure, or pattern portion are formed between the display portion and the cover. A billboard layer comprising a pattern layer to be inserted.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발광소자는 EL(Electro Luminescence)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판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or 2, wherein the light emitting element of the display unit is an EL (Electro Luminescence) element.
KR2019980018607U 1998-09-29 1998-09-29 Billboard KR20000007216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607U KR20000007216U (en) 1998-09-29 1998-09-29 Bill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607U KR20000007216U (en) 1998-09-29 1998-09-29 Billbo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216U true KR20000007216U (en) 2000-04-25

Family

ID=69521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8607U KR20000007216U (en) 1998-09-29 1998-09-29 Bill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7216U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730A (en) * 1999-06-15 1999-09-06 성필호 Cover glass used to plat display
KR20020010017A (en) * 2000-07-28 2002-02-02 사공영활 Sign panel using electro luminescent lamp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730A (en) * 1999-06-15 1999-09-06 성필호 Cover glass used to plat display
KR20020010017A (en) * 2000-07-28 2002-02-02 사공영활 Sign panel using electro luminescent lam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32788C (en) Display device
US8136278B2 (en) Electroluminescent one-way vision panel
US6252356B1 (en) Dispersed multicolor electroluminescent lamp and electroluminescent lamp unit employing thereof
US20010035716A1 (en) Electroluminescent multiple segment display device
US6683417B2 (en)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isplay device
US11273710B2 (en) Graphical display assembly for depicting a straight gate vehicle shifter position
KR20000007216U (en) Billboard
CA2373840C (en) Signboard us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CN114822420A (en) Display modul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KR200395821Y1 (en) Advertising information board
JPH1187055A (en) Sheet-form luminous display device and luminous display device
JP2002132192A (en) Back light type display device for traffic sign
KR200363132Y1 (en) Signboard using flexible EL-sheet
WO2011041889A1 (en) Digital video poster
WO2004081635A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WO1999049447A1 (en) Electroluminescent lamp including thermochromic shutters
KR100765079B1 (en) Advertising system and manufactoring method thereof
KR200260780Y1 (en) blinking billboard using EL sheet
KR200269042Y1 (en) Electroluminescence element Display Apparatus
KR200356922Y1 (en) EL panel for multiple linear advertising and Display device using it
GB2329743A (en) Displays Using Electro-Luminescent Material
AU2011100402A4 (en) Illuminated display assembly
KR20050012317A (en) back light and advertisement system utilizing the same
WO2001016644A1 (en) Display arrangement
TW200515359A (en) Color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