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7215U - 철제필통의 뚜껑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철제필통의 뚜껑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7215U
KR20000007215U KR2019980018606U KR19980018606U KR20000007215U KR 20000007215 U KR20000007215 U KR 20000007215U KR 2019980018606 U KR2019980018606 U KR 2019980018606U KR 19980018606 U KR19980018606 U KR 19980018606U KR 20000007215 U KR20000007215 U KR 200000072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opening
elastic
pencil cas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86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호
Original Assignee
이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호 filed Critical 이수호
Priority to KR20199800186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7215U/ko
Publication of KR200000072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215U/ko

Link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제필통의 뚜껑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필통의 뚜껑을 닫아주면 탄력적으로 부드럽게 닫혀지고, 닫혀진 상태에서는 필통을 떨어뜨리거나 충격을 받아도 뚜껑이 열리지 않으며, 보턴을 눌러야만 뚜껑이 열리는 새롭고 안정된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통상형의 필통몸체(1)전단의 수직벽체에 형성한 체결고리(12)(13)사이에 한쌍의 구멍(10)(11)을 상하로 형성하고 수직벽체 뒷면에는 걸쇠편(14)과 누름편(15)을 가진 합성수지재질의 탄성개폐구(16)를 착설하여 그 양단의 지지편(17)(18)을 체결고리에 고정하여 상부구멍에는 걸쇠편이, 하부구멍에는 누름편이 끼워져 진퇴될 수 있게하며 평판체로 된 탄성개폐구(16)의 일측에는 지그잭형의 탄성간(19)을 형성하여 유연한 탄동복귀력을 갖게한 것임.

Description

철제필통의 뚜껑 개폐장치
본 고안은 철제필통의 뚜껑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필통의 뚜껑을 닫아주면 탄력적으로 부드럽게 닫혀지고, 닫혀진 상태에서는 필통을 떨어뜨리거나 충격을 받아도 뚜껑이 열리지 않으며, 보턴을 눌러야만 뚜껑이 열리는 새롭고 안정된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종래에는 도1 및 도2와 같이 필통몸체(1)에 걸림돌기(2)를 돌출 형성하고 뚜껑(3)의 하단부에는 내향말림부(4)를 형성하여 뚜껑을 힘을주어 눌러서 닫으면 내향말림부(4)가 걸림돌기(2)를 넘어가서 걸려지고, 이와 반대로 뚜껑을 열어줄때는 역시 힘을주어 뚜껑을 열어주면 내향말림부(4)가 걸림돌기(2)를 억지로 넘어서 뚜껑이 열리도록 구성 되어있다.
걸림돌기와 내향말림부로 이루어진 종래의 필통뚜껑 개폐장치는 오래 사용하면 개폐접속부가 느슨해져서 약간의 충격에도 뚜껑이 쉽게 열려지는 폐단이 있고, 특히 필통을 책상이나 바닥에 떨어뜨리면 그 충격에 의해 뚜껑이 열려져서 내용물이 쏟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문제점은 뚜껑을 힘껏 제쳐서 열어야하므로 힘이약한 저학년층의 어린이는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이에 착안하여 외부충격에 열리지않고 손쉽게 개폐시킬 수 있는 보턴식 개폐장치를 안출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뚜껑 개폐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뚜껑개폐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개폐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뚜껑이 닫힌상태의 측단면도
도 5는 뚜껑이 열린상태의 측단면도
도 6은 개폐보턴을 누르기전의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7은 개폐보턴을 눌러준상태도
도 8은 탄성개폐편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필통몸체 3: 뚜껑 4: 내향말림부
10,11: 구멍 14: 걸쇠편 15: 누름편
16:탄성개폐구 17,18: 체결고리 19: 탄성간
본 고안에서 필통몸체(1)와 뚜껑(3)을 힌지식으로 결속하여 개폐될 수 있게하고 뚜껑(3)하단에 내향말림부(4)를 형성하는 구성은 공지한 바와 같다.
본 고안은 필통몸체(1)전단의 수직벽체에 한쌍의 구멍(10)(11)을 상하로 형성하고 그 양측에는 체결고리(12)(13)를 형성하며, 수직벽체 뒷면에는 걸쇠편(14)과 누름편(15)을 가진 합성수지재질의 탄성개폐구(16)를 착설하되, 그 양단의 지지편(17)(18)을 체결고리(12)(13)에 고정하여 상부구멍(10)에는 걸쇠편(14)이, 하부구멍(11)에는 누름편(15)이 진퇴 가능하게 끼워지게하고 평판체로 된 탄성개폐구(16)의 일측에는 지그잭형의 탄성간(19)을 형성하여 유연한 탄동복귀력을 갖게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탄성개폐구(16)를 약간 구부린상태로 그 양단의 지지편(17)(18)을 필통몸체의 체결고리(12)(13)에 끼워주면 유동이나 이탈우려없이 견고하게 고정되며 이때는 상하부의 구멍(10)(11)에 걸쇠편(14)과 누름편(15)이 끼워져 외부쪽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필통의 뚜껑을 닫아주면 내향말림부(4)가 걸쇠편(14)전단의 경사면(S)을 눌러주므로 걸쇠편(14)이 내측으로 밀려지면서 뚜껑의 닫힘을 허락하며 밀려진 걸쇠편(14)은 내향말림부(4)가 통과하는즉시 자체적인 복귀탄성이 작용하여 전방으로 탄출되어 그 저면부가 내향말림부(4)상단을 잡아주므로 이때부터 뚜껑이 닫힘상태로 있게 된다.
이러한 닫힘상태에서 뚜껑을 열어줄때는 누름편(15)을 눌러주면 이와 일체로된 걸쇠편(14)이 함께 후진하면서 잡고있던 내향말림부(4)를 놓아주므로 그 즉시 뚜껑이 열려지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철제필통으로 기재하였으나 이에 한정한것이 아니며 합성수지필통에 적용하여도 동일효과를 가질수 있다.
본 고안은 필통몸체(1)에 합성수지재질의 탄성개폐구(16)를 설치하므로서 그 걸쇠편과 누름편이 탄력적으로 진퇴됨에 의해 뚜껑의 잠금 및 해제작동을 확실하게 수행하여 임의적 또는 외부충격 등에 의해 뚜껑이 열리는 폐단을 해소할수 있으며,보턴식이므로 저학년층의 어린이가 힘들이지 않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판체형으로 된 탄성개폐구는 자체적인 탄성력을 가지면서 더구나 일측에 탄성간을 지그잭형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유연한 휨탄성력과 복귀탄성력을 발휘하여 정확한 개폐작동을 수행할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탄성약화나 변형의 우려없이 사용할수 있는것이다.

Claims (1)

  1. 통상형의 필통몸체(1)전단의 수직벽체에 형성한 체결고리(12)(13)사이에 한쌍의 구멍(10)(11)을 상하로 형성하고, 수직벽체 뒷면에는 걸쇠편(14)과 누름편(15)을 가진 합성수지재질의 탄성개폐구(16)를 착설하여 그 양단의 지지편(17)(18)을 체결고리(12)(13)에 고정하여 상부구멍(10)에는 걸쇠편(14)이, 하부구멍(11)에는 누름편(15)이 끼워져 진퇴될 수 있게하며, 평판체로 된 탄성개폐구(16)의 일측에는 지그잭형의 탄성간(19)을 형성하여 유연한 탄동복귀력을 갖게 한 철제필통의 뚜껑 개폐장치.
KR2019980018606U 1998-09-29 1998-09-29 철제필통의 뚜껑 개폐장치 KR2000000721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606U KR20000007215U (ko) 1998-09-29 1998-09-29 철제필통의 뚜껑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606U KR20000007215U (ko) 1998-09-29 1998-09-29 철제필통의 뚜껑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215U true KR20000007215U (ko) 2000-04-25

Family

ID=69521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8606U KR20000007215U (ko) 1998-09-29 1998-09-29 철제필통의 뚜껑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721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0954A (en) Holder assembly for cellular phones
KR870000963Y1 (ko) 화장품 케이스
GB2083538A (en) Vanity case
JP2005176911A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CN212173084U (zh) 一种带有锁扣结构的翻盖盒
KR20000007215U (ko) 철제필통의 뚜껑 개폐장치
JPS6214969Y2 (ko)
KR100738735B1 (ko) 가구의 이동부를 폐쇄 및 개방하기 위한 장치
JPS6026728Y2 (ja) コンパクト容器
KR200176782Y1 (ko) 일체형 콤팩트 용기
KR910002692Y1 (ko) 콤팩트의 덮개 열림장치
JP4038235B2 (ja) 容器
KR200356744Y1 (ko) 작동버튼이 구비된 필기구
JPH0536934Y2 (ko)
KR830000435Y1 (ko) 2색 스탬프 대
KR880001326Y1 (ko) 건전지 케이스
JPH0647371Y2 (ja) 化粧品容器
KR940001726Y1 (ko) 콤팩트 뚜껑의 개폐구조
KR200406209Y1 (ko) 작동버튼이 구비된 필기구
KR960005958Y1 (ko) 무전기의 휴대장치
KR820001090Y1 (ko) 가방용 3방 괘정구
JPS6239783Y2 (ko)
KR930005394Y1 (ko) 콤팩트(Compact)뚜껑의 개폐구조
JPH0643786Y2 (ja) カメラの電池室用蓋体の取付け構造
JP2571401Y2 (ja) 袋物の口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