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7184U - Grain Automatic Weighing Device - Google Patents

Grain Automatic Weigh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7184U
KR20000007184U KR2019980018561U KR19980018561U KR20000007184U KR 20000007184 U KR20000007184 U KR 20000007184U KR 2019980018561 U KR2019980018561 U KR 2019980018561U KR 19980018561 U KR19980018561 U KR 19980018561U KR 20000007184 U KR20000007184 U KR 200000071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tank
weighing
suppor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856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창식
장병래
김현용
Original Assignee
김용현
합명회사 신흥기업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현, 합명회사 신흥기업사 filed Critical 김용현
Priority to KR20199800185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7184U/en
Publication of KR200000071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184U/en

Links

Abstract

건조가 끝난 곡물을 일정량씩 자동적이고 연속적으로 계량하고, 계량이 끝난 곡물 포대를 작업자가 운반하기 용이한 위치까지 승강시킬 수 있는 곡물 자동계량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곡물 자동계량 배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곡물 자동계량 배출장치는 수직하게 연장된 4개의 기둥으로 이루어진 본체 프레임, 본체 프레임 상부에 고정지지되어 건조가 끝난 곡물을 임시로 저장하는 보조탱크를 구비한다. 또한, 보조탱크로부터 곡물을 공급받는 계량탱크, 계량탱크로 공급된 곡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전자저울을 구비하고,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여 계량이 끝난 곡물을 이송하기 위한 승강 장치, 그리고,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컨트롤 박스를 구비한다. 한편, 보조탱크에는 곡물을 단속적으로 계량탱크에 투입하는 투입부와 투입장치를 구비하며, 계량탱크에는 계량된 곡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와 배출장치를 구비한 곡물 자동계량 배출장치는 자동적으로 곡물을 계량할 수 있고, 그리고, 전자저울의 내부에는 로드셀을 구비하여 항상 일정한 중량이 포대에 담기게하기 때문에 소비자에게나 판매자에게 신뢰성을 주며, 또한, 승강 장치를 구비하여 곡물이 담긴 포대를 작업자가 손쉽게 다른 곳으로 이송하기 쉽게하여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in automatic weighing discharg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and continuously weighing dried grains by a predetermined amount, and raising and lowering the weighed grain bag to a position that is easy for a worker to transport. Disclosed is an automatic weighing apparatus. Grain automatic weig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ody frame consisting of four pillars extending vertically, the auxiliary tank for temporarily storing the dried grain is fixed to the top of the body frame. In addition, a weighing tank receiving grain from the auxiliary tank, an electronic balance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grain supplied to the weighing tank,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main frame to lift the lifting device for conveying the weighed grain, and the main body It is provided with a control box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ame. 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tank is provided with an input unit and an input device for intermittently feeding grain into the weighing tank, and the automatic weighing device for automatically dispensing the grain is provided with an outlet and a discharge device for discharging the weighed grain to the outside. It has a load cell inside the electronic balance so that a certain weight is always put in the bag, which gives the consumer or seller reliability. Also, it is equipped with a lifting device so that the worker can easily carry the bag containing the grain. It is easy to transfer to another place, which increases the work efficiency of the worker.

Description

곡물 자동계량 배출장치Grain Automatic Weighing Device

본 고안은 곡물 자동계량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가 끝난 곡물을 일정량씩 자동적이고 연속적으로 계량하고, 계량이 끝난 곡물을 포대를 작업자가 운반하기 용이한 위치까지 승강시킬 수 있는 곡물 자동계량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in automatic weighing discharg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grains capable of automatically and continuously weighing the dried grains by a certain amount, and raising and lowering the weighed grains to a position where the bag can be easily transported by a worker. It relates to an automatic meter discharge device.

건조가 완료된 곡물을 배출하는 종래의 곡물 자동계량 배출장치는 상부에 곡물용기를 구비하며, 곡물용기 하측에는 곡물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탱크와 판수동저울을 구비한다.The conventional automatic grain weighing device for discharging the dried grain is provided with a grain container on the upper side, and a tank and plate manual balance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grain below the grain container.

이와같이 구성된 곡물 자동계량 배출장치는 곡물의 중량이 사전에 설정된 판수동저울에 의해 원하는 양의 곡물을 포대 내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작업자는 판수동저울에 설정된 중량만큼의 곡물이 포대에 담기면 곡물용기로부터 곡물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정량의 곡물이 담긴 곡물포대를 옮기게 된다. 그리고, 다시 새로운 빈 포대를 판수동저울에 안착하여 곡물 배출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The automatic grain dispens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ischarges the desired amount of grain into the bag by the plate manual balance whose weight is set in advance. Therefore, the worker blocks the grain from being discharged from the grain container when the grain of the weight set in the plate manual balance is put in the bag, and moves the grain bag containing the quantitative grain. Then, a new empty bag is placed on the plate manual balance to repeatedly carry out the grain discharge operation.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곡물 배출 장치에서는 판수동저울에 설정된 중량만큼 정확한 양의 곡물을 한번의 작업과정에서 배출시키기는 매우 어렵다. 따라서, 대개는 원하는 중량을 초과하는 양의 곡물을 포대에 담은 후, 다시 작업자가 초과된 중량만큼의 곡물을 포대로부터 덜어내는 부수적인 작업을 수행하여야만 하였다.By the way, in the grain discharg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it is very difficult to discharge the grain of the exact amount by the weight set in the plate manual balance in one operation. Thus, usually the bag had to contain an amount of grain in excess of the desired weight, and then the operator had to carry out additional work of removing the excess weight of grain from the bag.

또한, 판수동저을은 무게추를 사용하기 때문에 곡물의 중량측정에 있어서 오차가 심하여 소비자에게나 판매자에게 불이익을 주어왔다. 그리고, 계량이 끝난 곡물포대를 다른 곳으로 적재 또는 이송하게 위해서는 작업자가 허리를 숙여 곡물포대를 어깨 높이까지 들어야 하였다. 이로인하여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고, 이와 같은 모든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의 노동력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plate manual cutlery uses weights, errors in the weighing of grains are severe and have been disadvantageous to consumers and sellers. In addition, in order to load or transport the finished grain sacks to another place, the worker had to lean his back and lift the grain sacks to shoulder height. Due to this, there is a drawback that the work efficiency of the worker is lowered,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labor of the worker is made because all such work is made by hand.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조가 끝난 곡물을 일정량씩 자동적이고 연속적으로 계량하고, 계량이 끝난 곡물포대를 작업자가 운반하기 용이한 위치까지 승강시킬 수 있는 곡물 자동계량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and continuously weigh the dried grains by a predetermined amount, the position that is easy for the operator to transport the finished grain ba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in automatic weighing discharging device capable of lifting up to.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곡물 자동계량 배출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grain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투입부와 투입장치를 보인 도면,2 is a view showing the input unit and the input device shown in FIG.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출부의 배출장치를 보인 도면,3 is a view showing a discharge device of the discharge unit shown in Figure 1,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보조 탱크에서 계량 탱크로 곡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Figure 4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grain is supplied to the measuring tank in the auxiliary tank shown in FIG.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계량 탱크에서 곡물 포대로 곡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 그리고Figure 4b is a partial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grain is supplied to the grain bag in the weighing tank shown in Figure 1, and

도 4c는 곡물의 배출이 완료된 후 곡물 포대가 승강 장치에 의해서 승강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Figure 4c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ain bag is lifted by the lifting device after the discharge of grain is completed.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곡물 자동계량 배출장치 200 : 보조 탱크100: automatic grain discharging device 200: auxiliary tank

220 : 투입부 250 : 투입장치220: input unit 250: input device

260 : 제 1 솔레노이드 280 : 제 2 솔레노이드260: first solenoid 280: second solenoid

300 : 계량 탱크 320 : 배출구300: measuring tank 320: outlet

350 : 배출 장치 360: 제 3 솔레노이드350, discharge device 360: third solenoid

400 : 전자저울 500 : 승강 장치400: electronic balance 500: lifting device

530 : 리프트 540 : 브레이크 감속모터530: lift 540: brake deceleration motor

550 : 와이어 600 : 컨트롤 박스550 wire 600 control box

L1 : 제 1 리미트 스위치 L2 : 제 2 리미트 스위치L1: first limit switch L2: second limit switch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수직하게 연장된 4개의 기둥으로 이루어진 본체 프레임;A body frame consisting of four pillars extending vertically;

본체 프레임 상부에 고정지지되어 건조가 끝난 곡물을 임시로 저장하는 보조탱크;Auxiliary tank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to temporarily store the dried grain;

보조탱크로부터 곡물을 공급받는 계량탱크;A weighing tank receiving grain from the auxiliary tank;

계량탱크내로 공급된 곡물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자저울;Electronic scales for measuring the weight of grain fed into the weighing tank;

계량이 끝난 곡물을 외부로 반출하기 위한 승강 장치;A lifting device for taking out the weighed grain to the outside;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곡물 자동계량 배출장치를 자동적이고 연속적으로 계량할 수 있게하는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는 곡물 자동계량 배출장치를 제공한다.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frame to provide a grain automatic weighing apparatus including a control box that enables automatic and continuous metering of the grain automatic weighing apparatus.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의 자동계량 배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for the automatic weighing discharge device of the g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곡물 자동계량 배출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grain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곡물 자동계량 배출장치(100)는 수직하게 연장된 4개의 기둥으로 이루어진 본체 프레임(110), 본체 프레임(110) 상부에 고정지지되어 건조가 끝난 곡물을 임시로 저장하는 보조탱크(200), 보조탱크(200)로 부터 곡물을 공급받는 계량탱크(300), 계량탱크(300)내로 공급된 곡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전자저울(400), 계량이 끝난 곡물을 외부로 반출하기 위한 승강 장치(500), 및 곡물 자동계량 배출장치(100)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600)를 구비한다. 컨트롤 박스(600)는 본체 프레임(110) 일측에 설치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automatic grain dispen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main body frame 110, the body frame 110 consisting of four pillars extending vertically, the dried grain temporarily temporary Auxiliary tank 200 to be stored as, the measuring tank 300 to receive grain from the auxiliary tank 200, the electronic balance 400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grain supplied into the weighing tank 300, the finished grain Lifting device 500 for carrying out to the outside, and a control box 600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utomatic grain discharging device 100. The control box 60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main frame 110.

먼저, 본체 프레임(110)은 직립한 4개의 기둥 상단에 고정된 사각형상의 제 1 지지단(112), 제 1 지지단(112) 아래에서 기둥 사이에 고정된 제 2 지지단(114) 및 기둥 하단에 고정된 제 3 지지단(116)을 구비한다. 제 1 지지단(112)의 상부면 양측에는 제 1 와이어 바퀴(112a)와 제 2 와이어 바퀴(112b)가 설치된다. 제 3 지지단(116)의 바닥면에는 4개의 바퀴(118)가 설치된다.First, the body frame 110 is a rectangular first support end 112 fixed to the top of the four pillars upright, the second support end 114 and the pillar fixed between the pillars below the first support end 112 The third support end 116 is fixed to the lower end. First wire wheels 112a and second wire wheels 112b are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end 112. Four wheels 118 ar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hird support end 116.

제 1 지지단에는 건조가 끝난 곡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보조탱크(200)가 고정된다. 보조탱크(200)의 하부에는 보조탱크(200)와 일체로 형성된 투입호퍼(210)가 구비된다. 투입호퍼(210)의 하단에는 보조탱크(200)에 수용된 곡물을 계량탱크(300)에 투입하기 위한 투입부(220)와 투입장치(250)가 설치된다.The first support end is fixed to the auxiliary tank 200, the top of which is open to accommodate the dried grains. A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tank 200 is provided with an input hopper 210 formed integrally with the auxiliary tank 200. An input unit 220 and an input device 250 are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input hopper 210 to input the grains accommodated in the auxiliary tank 200 to the weighing tank 300.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투입부와 투입장치를 보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input unit and the input device shown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투입부(220)의 하부에는 투입문(222)이 설치되고, 투입부(220)의 양측에는 제 1 고정대(230,240)가 각각 형성된다. 투입문(222)은 제 1 힌지(224)에 의해서 투입부(220)의 양측면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투입문(222)의 양측에는 각각의 결합돌기(232,242)가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투입문의 상측에는 결합공(269,289)(도 4a 참조)이 천공된다. 또한, 결합돌기(232,242)의 상측에는 ㄱ자형 고정대(267,287)가 위치한다. 그리고, 결합공(269,289)과 ㄱ자형 고정대는 스프링(261,281)으로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2, an input door 222 is installed below the input unit 220, and first fixing units 230 and 240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input unit 220, respectively. The input door 222 is pivotal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input part 220 by the first hinge 224. Each of the engaging projections 232 and 242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both sides of the input door 222, and coupling holes 269 and 289 (see FIG. 4A) are dri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put door.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engaging projections (232,242) is the 'L-shaped holders (267, 287) are located. And, the coupling holes (269, 289) and the L-shaped guide is connected to the spring (261, 281).

투입장치(250)는 투입부(220)의 양측에 형성된 제 1 고정대(230,240)를 구비하며, 제 1 고정대(230,240)에는 제 1 솔레노이드(260)와 제 2 솔레노이드(280)가 각각 설치된다. 제 1 솔레노이드(260)와 제 2 솔레노이드의 하단에는 레버(268,288)가 연결된다. 레버(268,288)의 하단은 결합돌기(232,242)와 체결된다.The input device 250 includes the first fixing brackets 230 and 240 formed at both sides of the feeding unit 220, and the first solenoid 260 and the second solenoid 280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first fixing brackets 230 and 240. Levers 268 and 288 are connected to lower ends of the first solenoid 260 and the second solenoid. Lower ends of the levers 268 and 288 are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s 232 and 242.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계량탱크(300)는 보조탱크(200)의 투입부(220)를 통해서 낙하하는 곡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다. 계량탱크(300)는 제 2 지지단(114)에 의해서 지지되며, 계량탱크(300)와 제 2 지지단(114) 사이에는 전자저울(400)이 위치한다. 계량탱크(300)의 일측면에는 계량탱크(300)내의 곡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320)가 형성된다. 배출구(320) 근처에는 배출구(320)를 단속적으로 개폐시키는 배출장치(350)가 설치된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metering tank 300 is open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o accommodate grains falling through the inlet 220 of the auxiliary tank 200. The weighing tank 300 is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end 114, and the electronic balance 400 is positioned between the weighing tank 300 and the second support end 114. One side of the weighing tank 300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320 for discharging the grain in the weighing tank 300 to the outside. Near the discharge port 320, a discharge device 350 for intermittently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320 is installed.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출부의 배출장치를 보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discharge device of the discharge unit shown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배출구(320)의 상단에는 상판(332)이 횡방향으로 가로질러서 배치된다. 상판(332) 내측에는 제 1 측판(334)과 제 2 측판(336)이 제 2 힌지(333)에 의해서 선회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1 측판(334)과 제 2 측판(336)사이에는 배출구(320)를 통해서 배출되는 곡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한 문판(340)이 설치된다. 제 1 측판(334)과 제 2 측판(336)의 하부 사이에는 안내판(338)이 설치된다. 안내판(338)의 후방에는 포대걸이 봉(339)이 횡으로 설치된다. 안내판(338)은 배출구(320)를 통해서 배출되는 곡물이 포대걸이 봉(339)에 걸리는 곡물포대 내로 안전하게 배출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3, the upper plate 332 is disposed across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ort 32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side the upper plate 332, the first side plate 334 and the second side plate 336 are rotatably installed by the second hinge 333. A door plate 340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side plate 334 and the second side plate 336 to prevent the grain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32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A guide plate 338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ide plate 334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ide plate 336. At the rear of the guide plate 338, a bag hanging rod 339 is horizontally installed. The guide plate 338 allows the grain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320 to be safely discharged into the grain bag caught by the bag hanger rod 339.

한편, 제 2 측판(336)의 중심부에는 안내공(336a)이 형성된다. 안내공(336a)의 일측면에는 안내 파이프(375)가 부착된다. 그리고, 안내공(336a)의 상측에서 제 2 측판(336)의 외면에는 ㄴ자 형상의 제 2 고정대(336b)가 부착된다. 제 2 고정대(336b)의 자유단부에는 스프링(368)이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the guide hole 336a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side plate 336. The guide pipe 375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guide hole 336a. Then, a c-shaped second fixing table 336b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plate 336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hole 336a. A spring 368 is coupled to the free end of the second fixing base 336b.

제 2 측판(336)의 일측에 배출장치(350)를 구비한다. 배출장치(350)내에는 제 3 솔레노이드(360), 제 3 솔레노이드(360)의 위치를 설정해주며 고정하는 솔레노이드 설치대(380)를 구비한다.The discharge device 35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ide plate 336. The discharge device 350 is provided with a solenoid mount 380 for setting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third solenoid 360 and the third solenoid 360.

제 3 솔레로이드(360)의 끝단 일측에는 스프링(368)의 다른 타단이 결합된다. 그리고, 스프링(368)이 결합된 하측으로는 안내 파이프(375)를 따라 활주하여 안내공(336a)지나 문판(340)을 개폐하는 개폐봉(370)을 구비한다.The other end of the spring 368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third solenoid 360. In addition, the spring 368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and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rod 370 that slides along the guide pipe 375 to open and close the guide hole 336a or the door plate 340.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전자저울(400)은 정방형으로 형성되고, 계량탱크(300)와 제 2 지지단(114) 사이에 위치한다. 전자저울(400)은 로드셀(도시되지 않음)을 내장하고, 전자저울 상단과 하단에서 로드셀을 보호하는 설치판(410,420)을 구비한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electronic balance 400 is formed in a square shape and is located between the metering tank 300 and the second support end 114. The electronic balance 400 includes load plates (not shown) and mounting plates 410 and 420 for protecting the load cells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electronic balance.

승강 장치(500)는 본체 프레임(110)의 일측에 위치한다. 승강 장치(500)는 본체 프레임(110)의 외부에서 제 1 지지단(112)으로 부터 제 3 지지단(116)까지 수직하게 연장된 제 1 안내 레일(520) 및 제 2 안내 레일(522)을 구비한다. 그리고, 승강 장치(500)는 제 1 안내 레일(520)과 제 2 안내 레일(522)을 따라서 수직하게 이동할 수 있는 리프트(530)를 구비한다.The elevating device 500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body frame 110. The elevating device 500 includes a first guide rail 520 and a second guide rail 522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first support end 112 to the third support end 116 outside the body frame 110. It is provided. In addition, the elevating device 500 includes a lift 530 that can vertically move along the first guide rail 520 and the second guide rail 522.

리프트(530)는 안내 레일(520,522)에 각각 장착되어 수직방향으로 안내 레일(520,522)을 따라 안내되는 제 1 가이드 부재(536) 및 제 2 가이드 부재(538)를 구비한다. 제 1가이드 부재(536)와 제 2 가이드 부재(538) 사이에는 제 1 지지대(530a), 제 2 지지대(530b) 및 제 3 지지대(530c)가 횡방향으로 연장하여 위치된다.The lift 530 includes a first guide member 536 and a second guide member 538 mounted to the guide rails 520 and 522, respectively, and guided along the guide rails 520 and 522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guide member 536 and the second guide member 538, a first support 530a, a second support 530b, and a third support 530c extend laterally.

또한, 제 2 지지대(530b)와 제 3 지지대(530c)의 외면 상에는 ㄴ자 형상으로 만곡된 보조 프레임(532)이 부착된다. 보조 프레임(532)의 하단에는 곡물포대를 안치시키기 위한 평판형상의 안치대(534)가 용접설치된다.In addition,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second support 530b and the third support 530c, an auxiliary frame 532 curved in a b-shape is attached. At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frame 532, a flat plate-shaped support 534 for welding the grain bag is installed.

한편, 제 2 안내 레일(522)의 상단과 하단에는 제 1 리미트 스위치(L1)와 제 2 리미트 스위치(L2)가 설치된다. 제 1 리미트 스위치(L1)는 제 1 안내 레일(520)과 제 2 안내 레일(522)을 따라서 수직운동하는 리프트의 최저 한계위치를 설정한다. 반면에, 제 2 리미트 스위치(L2)는 제 1 안내 레일(520)과 제 2 안내 레일(522)을 따라서 수직운동하는 리프트(530)의 최상 한계위치를 설정한다.Meanwhile, first and second limit switches L1 and L2 are install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cond guide rail 522. The first limit switch L1 sets a minimum limit position of the lift that vertically moves along the first guide rail 520 and the second guide rail 522.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limit switch L2 sets the upper limit position of the lift 530 which vertically moves along the first guide rail 520 and the second guide rail 522.

한편, 본체 프레임(110)의 제 3 지지단(116) 내측에는 브레이크 감속모터(540)가 설치되며, 브레이크 감속모터(540)의 일측에는 와이어(550)의 끝단이 연결된다. 와이어(550)는 제 1 와이어 바퀴(112a), 제 2 와이어 바퀴(112b)를 지나 리프트(530)의 제 1 지지대(530a)까지 연장되고, 브레이크 감속모터(540)로부터 동력을 받아서 승강 장치(500)를 이동시킨다.Meanwhile, the brake deceleration motor 540 is installed inside the third support end 116 of the main body frame 110, and one end of the wire 55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rake deceleration motor 540. The wire 550 extends through the first wire wheels 112a and the second wire wheels 112b to the first support 530a of the lift 530 and receives power from the brake reduction motor 540 to lift and lower the lifting device ( Move 500).

하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 자동계량 배출장치의 작동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The following briefly describes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grain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보조 탱크에서 계량 탱크로 곡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Figure 4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grain is supplied to the metering tank in the auxiliary tank shown in FIG.

도 4a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곡물 자동계량 배출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먼저 보조탱크(200)내에 곡물을 투입한다. 보조탱크(200)내의 곡물을 계량탱크(300)로 배출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컨트롤 박스(600)(도 1참조)의 계량조작버튼을 작동한다. 계량조작버튼을 작동시키면 투입부(220)에 장착된 투입장치(250)의 제 1 솔레노이드(260)와 제 2 솔레노이드(280)가 작동한다. 제 1 솔레노이드(260)와 제 2 솔레노이드(280)의 하단에 체결된 레버(268,288)를 상측으로 올린다. 그러면, 투입문(222)은 제 1 힌지(224)를 중심으로 레버(268,288)를 따라서 배면측으로 회동하고, 그 결과 곡물이 보조탱크(200)로부터 계량탱크(300)내로 배출된다.이때, 투입문(222)이 배면으로 회동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계량탱크(300)내로 투입되는 곡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4a, in order to drive the automatic grain discharg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rst put grain in the auxiliary tank (200). In order to discharge the grain in the auxiliary tank 200 to the weighing tank 300, the operator operates the weighing operation button of the control box 600 (see FIG. 1). When the metering operation button is operated, the first solenoid 260 and the second solenoid 280 of the input device 250 mounted on the input unit 220 operate. The levers 268 and 288 coupled to the lower ends of the first solenoid 260 and the second solenoid 280 are raised upward. Then, the input door 222 is rotated to the rear side along the levers 268 and 288 around the first hinge 224, and as a result, the grain is discharged from the auxiliary tank 200 into the weighing tank 300. Since the door 222 is rotated to the rear, the operator can visually check the grain introduced into the weighing tank (300).

계량탱크(300) 내로 투입된 곡물이 작업자가 사전에 설정한 중량과 일치하면 제 1 솔레노이드(260)와 제 2 솔레노이드(280)가 자동적으로 차단된다. 이때, 투입문(222)은 결합공(269,289)과 ㄱ자형 고정대(267,287)에 결합되어 있던 스프링(261,281)의 복원력에 의해서 폐쇄된다.The first solenoid 260 and the second solenoid 280 are automatically shut off when the grain introduced into the weighing tank 300 matches the weight set by the operator. At this time, the input door 222 is clos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s 261 and 281 that ar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s (269, 289) and the L-shaped holder (267, 287).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계량 탱크에서 곡물 포대로 곡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4B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grain is supplied to the grain bag in the weighing tank illustrated in FIG. 1.

도 4b를 참조하면, 계량탱크(300)의 곡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포대걸이 봉(339)에 포대를 끼움결합한다. 그리고, 컨트롤 박스(도시되지 않음)의 배출조작버튼을 작동시킨다. 배출조작버튼을 조작하면 제 3 솔레노이드(360)가 작동한다. 그러면, 개폐봉(370)은 제 2 측판(336)의 안내공(336a)과 안내 파이프(375)을 따라 제 3 솔레노이드 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개폐봉(370)에 의해 고정되어 있던 문판(340)은 곡물의 자중에 의해 개방되고, 그결과 곡물은 곡물포대에 투입된다.Referring to FIG. 4B, in order to discharge the grain of the weighing tank 300 to the outside, the bag is first fitted to the bag hanger rod 339. Then, the discharge operation button of the control box (not shown) is operated. When the discharge operation button is operated, the third solenoid 360 operates. Then, the opening and closing rod 370 moves to the third solenoid side along the guide hole 336a of the second side plate 336 and the guide pipe 375. At this time, the door plate 340 fix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rod 370 is opened by the weight of the grain, and as a result, the grain is put into the grain bag.

곡물포대에 곡물의 투입이 완료되면 ㄴ형 제 2 고정대(336b)에 연결된 스프링(368)의 복원력에 의해서 개폐봉(370)이 안내 파이프(375)와 안내공(336a)을 따라 문판(340)측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문판(340)이 고정된다.When the input of grain into the grain bag is complet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368) connected to the b-shaped second holder (336b) opening and closing rod 370 along the guide pipe 375 and the guide hole (336a) toward the door plate 340 side And the door plate 340 is fixed as a result.

도 4c는 곡물의 배출이 완료된 후 곡물 포대가 승강 장치에 의해서 승강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Figure 4c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ain bag is lifted by the lifting device after the discharge of grain is completed.

도 4c를 참조하면, 곡물이 곡물포대에 투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상승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상승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제 3 지지단(116)에 설치된 브레이크 감속모터(540)에 전원이 인가되어 작동한다. 그 결과 브레이크 감속모터(540)로 부터 연장되어 제 1 와이어 바퀴(112a)와 제 2 와이어 바퀴(112b) 및 리프트(530)의 제 1 지지대(530a)까지 연장된 와이어(550)가 브레이크 감속모터(540)에 감기게 된다. 그러면, 리프트(530)는 제 1 안내 레일(520)과 제 2 안내 레일(522)을 따라서 상승한다. 리프트(530)는 상승 스위치를 뗄 때까지 상승하게 된다. 한편, 리프트(530)는 제 1 안내 레일(520)에 설치된 제 2 리미트 스위치(L2)(도 1참조)에 의해서 감지되면 상승을 중지한다. 이때, 브레이크 감속모터(540)가 정지하면, 작업자는 곡물이 담긴 포대를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다시 하강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브레이크 감속모터(540)가 반대방향으로 작동하여 리프트(530)는 하강 스위치를 뗄 때까지 하강한다. 한편, 리프트(530)는 제 1 리미트 스위치(L1)(도 1참조)에 의해서 감지되면 하강을 중지한다.Referring to Figure 4c, when the grain is finished into the grain bag, the operator operates the lift switch. When the lift switch is operated, power is applied to the brake deceleration motor 540 installed in the third support end 116 to operate. As a result, the wire 550 extending from the brake reduction motor 540 and extending to the first wire wheel 112a and the second wire wheel 112b and the first support 530a of the lift 530 is a brake reduction motor. 540 is wound. The lift 530 then rises along the first guide rail 520 and the second guide rail 522. The lift 530 will ascend until the lift switch is released. Meanwhile, the lift 530 stops rising when detected by the second limit switch L2 (see FIG. 1) installed in the first guide rail 520. At this time, when the brake deceleration motor 540 stops, the worker moves the bag containing the grain to another place. When the lower switch is operated again, the brake deceleration motor 540 oper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lift 530 descends until the lower switch is turned off. On the other hand, the lift 530 stops falling when sensed by the first limit switch L1 (see FIG. 1).

이렇게 리프트(530)가 하단으로 위치하면 작업자는 다시 계량조작버튼을 작동시켜서 곡물의 계량 및 배출작업을 계속적으로 수행하게 된다.When the lift 530 is located at the bottom, the operator operates the weighing operation button again to continuously carry out the weighing and discharging work.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곡물 자동계량 배출장치는 제 1 솔레노이드, 제 2 솔레노이드 및 제 3 솔레노이드를 제어 할 수 있는 컨트롤 박스를 구비하여 자동적으로 곡물을 계량할 수 있다. 또한, 로드 셀을 구비하여 항상 일정한 중량의 곡물을 포대에 담기 때문에 소비자에게나 판매자에게 신뢰성을 준다. 게다가, 승강 장치를 구비하여 곡물이 담긴 포대를 작업자가 손쉽게 다른 곳으로 이송할 수 있게 하므로,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grain dispen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ntrol box that can control the first solenoid, the second solenoid and the third solenoid can automatically measure the grain. In addition, a load cell is provided so that a constant weight of grain is always contained in the bag, thereby providing reliability to consumers and sellers. In addition, the lifting device is provided so that the worker can easily transport the bag containing the grain to another plac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of the worker.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can be changed.

Claims (10)

수직하게 연장된 4개의 기둥을 구비하는 본체 프레임;A main body frame having four pillars extending vertically; 상기 본체 프레임 상부에 고정지지되며, 건조가 끝난 곡물을 임시로 저장하는 보조탱크;An auxiliary tank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frame to temporarily store dried grains; 상기 보조탱크로부터 곡물을 공급받는 계량탱크;A metering tank receiving grain from the auxiliary tank; 상기 계량탱크내로 공급된 곡물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자저울;Electronic balance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grain supplied into the weighing tank; 계량이 끝난 곡물을 외부로 반출하기 위한 승강 장치; 및A lifting device for taking out the weighed grain to the outside; And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곡물 자동계량 배출장치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곡물 자동계량 배출장치.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frame, automatic grain discharging device including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utomatic grain discharg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기 기둥의 상단에 고정된 사각형상의 제 1 지지단, 상기 제 1 지지단 아래에서 상기 기둥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계량 탱크를 지지하는 제 2 지지단 및 상기 기둥의 하단에 고정된 제 3 지지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지지단의 상부면 양측에는 제 1 와이어 바퀴와 제 2 와이어 바퀴가 설치되고, 상기 제 3 지지단의 바닥면에는 4개의 바퀴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자동계량 배출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frame is a first support end of the squar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column, the second support end and the pillar fixed between the pillars below the first support end to support the metering tank It is provided with a third support end fixed to the lower end, the first wire wheels and the second wire wheel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end, four wheels ar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hird support end Grain automatic metering dischar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저울은 정방형으로 형성되고 로드셀을 내장하며, 상기 계량탱크와 상기 제 2 지지단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로드셀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저울의 상단과 하단에 설치판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자동계량 배출장치.The electronic balance of claim 2, wherein the electronic balance is formed in a square shape, has a load cell therein, and is disposed between the weighing tank and the second support end, and provided with mounting plates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electronic balance to protect the load cell. Grain automatic weig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 프레임의 외부에서 상기 제 1 지지단으로 부터 상기 제 3 지지단까지 수직하게 연장된 제 1 안내 레일과 제 2 안내 레일을, 상기 제 1 안내 레일과 상기 제 2 안내 레일을 따라서 수직하게 이동할 수 있는 리프트를 구비하며, 상기 리프트는 상기 제 1 안내 레일과 상기 제 2 안내 레일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제 1 안내 레일과 상기 제 2 안내 레일을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안내되는 제 1 가이드 부재와 제 2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 사이에는 제 1 지지대, 제 2 지지대 및 제 3 지지대가 횡방향으로 연장하여 위치하며, 상기 제 2 지지대와 상기 제 3 지지대의 외면 상에는 ㄴ자 형상으로 만곡된 보조 프레임이 부착되고, 상기 보조 프레임의 하단에는 곡물포대를 안치시키기 위한 평판형상의 안치대가 용접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자동계량 배출장치.The first guide rail and the second guide of claim 2, wherein the elevating device is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frame and extends vertically from the first support end to the third support end outside the main body frame. And a lift capable of moving the rail vertically along the first guide rail and the second guide rail, wherein the lift is mounted to the first guide rail and the second guide rail, respectively; And a first guide member and a second guide member guided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second guide rail, wherein a first support, a second support, and a third support are provided between the first guide member and the second guide member. It is positioned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auxiliary frame curved in the shape of the c-shap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and the third support is attached, At the bottom of the grain any automatic discharge weig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ed cost of the weld laid flat plate placed for the grain bag.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내 레일의 하단에는 상기 리프트의 최저 한계위치를 설정하는 제 1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안내 레일의 상단에는 상기 리프트의 최상 한계위치를 설정하는 제 2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되며, 상기 제 3 지지단의 내측에는 브레이크 감속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브레이크 감속모터의 일측에는 와이어의 끝단이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 1 와이어 바퀴와 상기 제 2 와이어 바퀴를 지나서 상기 제 1 지지대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자동계량 배출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first limit switch is set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guide rail to set the lowest limit position of the lift, and a second limit is set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guide rail. A limit switch is installed, a brake deceleration motor is installed inside the third support end, and a wire e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rake deceleration motor, and the wire connects the first wire wheel and the second wire wheel. Automatic grain dischar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xtended to the first support pas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탱크의 하부에는 상기 보조탱크와 일체로 형성된 투입호퍼가 구비되고, 상기 투입호퍼의 하단에는 상기 보조탱크에 수용된 곡물을 상기 계량탱크내로 단속적으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부와 투입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자동계량 배출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part of the auxiliary tank is provided with an input hopp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auxiliary tank, the lower end of the input hopper and the input unit for intermittently feeding the grain contained in the auxiliary tank into the weighing tank; Grain automatic dischar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device is install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의 하부에는 투입문이 제 1 힌지에 의해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투입부의 양측에는 제 1 고정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투입문의 양측에는 결합돌기가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1 고정대에 의해서 제 1 솔레노이드와 제 2 솔레노이드가 각각 부착되며, 상기 제 1 솔레노이드와 상기 제 2 솔레노이드의 하단에는 레버가 연결되며, 상기 레버의 하단은 상기 결합돌기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자동계량 배출장치.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put portion is the input door is rotatably installed by the first hinge, both sides of the input portion is formed with a first fixing rod, both sides of the input door to the engaging projection protrudes to the outside And a first solenoid and a second solenoid are attach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fixing rod, and a lower end of the first solenoid and the second solenoid is connected to a lever, and a lower end of the lever is engaged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Grain automatic weighing discharg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탱크는 상기 보조탱크로부터 배출되는 곡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된 상부를 구비하며, 상기 계량탱크의 일측면에는 상기 계량탱크내의 곡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 근처에는 상기 배출구를 단속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배출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자동계량 배출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eighing tank has an upper portion open to accommodate the grain discharged from the auxiliary tank, the discharge tank for discharging the grain in the weighing tank to one side of the weighing tank is formed outside And a discharge device for intermittently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near the discharge por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상단에는 상판이 횡방향으로 가로질러서 배치되고, 상기 상판 내측에는 제 1 측판과 제 2 측판이 제 2 힌지에 의해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측판과 상기 제 2 측판사이에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곡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문판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측판과 상기 제 2 측판의 하부 사이에는 안내판이 설치되며, 상기 안내판의 후방에는 포대걸이 봉이 횡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자동계량 배출장치.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upper plate is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ort, the first side plate and the second side plate inside the upper plate is rotatably installed by a second hinge, the first side plate and the A door plate is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side plates to prevent leakage of grain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to the outside, and a guide plate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side plate and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ide plate, and a bag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guide plate. Grain automatic dischar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rod is installed laterall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측판의 중심부에는 안내공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공의 일측에는 안내 파이프가 부착되며, 상기 안내공의 상측에서 상기 제 2 측판의 외면에는 ㄴ자 형상의 제 2 고정대가 부착되고, 상기 ㄴ자 형상의 제 2 고정대의 일측에는 제 3 솔레로이드가 위치하며, 상기 제 3 솔레노이드의 위치를 설정, 지지하는 솔레노이드 설치대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솔레노이드의 끝단에는 상기 안내 파이프를 활주하여 상기 안내공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문판을 고정하는 개폐봉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자동계량 배출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guide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side plate, the guide pipe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guide hole, the c-shaped second fixing ro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plate from the upper side of the guide hole A third solenoid is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second fixing rod having a b-shaped shape, and having a solenoid mount for setting and supporting the position of the third solenoid, and sliding the guide pipe at an end of the third solenoid. Automatically weig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rods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guide hole to secure the door plate.
KR2019980018561U 1998-09-29 1998-09-29 Grain Automatic Weighing Device KR20000007184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561U KR20000007184U (en) 1998-09-29 1998-09-29 Grain Automatic Weigh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561U KR20000007184U (en) 1998-09-29 1998-09-29 Grain Automatic Weigh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184U true KR20000007184U (en) 2000-04-25

Family

ID=69516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8561U KR20000007184U (en) 1998-09-29 1998-09-29 Grain Automatic Weigh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7184U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441B1 (en) * 2007-10-15 2008-05-1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A device for carrying grains
KR100886013B1 (en) * 2007-06-27 2009-02-26 (주)나라기술 Apparatus Using Pressure For Moving Liquid
KR101158722B1 (en) * 2011-04-04 2012-06-22 이찬호 Grain ejector
KR101444902B1 (en) * 2014-06-03 2014-09-29 진영기계(주) Ton bag weighing machine
KR20200006328A (en) 2018-07-10 2020-01-20 김오호 Apparatus for filling of granule or powder
CN116654341A (en) * 2023-08-02 2023-08-29 安徽金粮机械科技有限公司 Continuous alternate weighing equipment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013B1 (en) * 2007-06-27 2009-02-26 (주)나라기술 Apparatus Using Pressure For Moving Liquid
KR100829441B1 (en) * 2007-10-15 2008-05-1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A device for carrying grains
KR101158722B1 (en) * 2011-04-04 2012-06-22 이찬호 Grain ejector
KR101444902B1 (en) * 2014-06-03 2014-09-29 진영기계(주) Ton bag weighing machine
KR20200006328A (en) 2018-07-10 2020-01-20 김오호 Apparatus for filling of granule or powder
CN116654341A (en) * 2023-08-02 2023-08-29 安徽金粮机械科技有限公司 Continuous alternate weighing equipment
CN116654341B (en) * 2023-08-02 2023-10-13 安徽金粮机械科技有限公司 Continuous alternate weighing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1360A (en) Metering pallet
US2802603A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US20010041117A1 (en) Catalytic reactor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KR20000007184U (en) Grain Automatic Weighing Device
KR200389429Y1 (en) Grain weighing machine
US4720232A (en) Parts handler
CN208233404U (en) A kind of rye plate machining device of automatic subpackaging discharging
WO1998014392A1 (en) Catalytic reactor charging system and method
US6012891A (en) Parts handling apparatus
JPH11115901A (en) Grain weighing and bagging machine
KR200387891Y1 (en) Grain weighing machine
JPS6127846Y2 (en)
JP2517924Y2 (en) Rice polishing equipment
JPH0484390A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CN213620675U (en) Bagging supporting structure
KR200233855Y1 (en) Grain Automatic Lifting Device
US3841523A (en) Dispenser for feed grains and the like
JPS58824Y2 (en) Automatic weighing device for flexible container bags
US11440686B1 (en) High speed bag filler
CN217074876U (en) Weighing device is used to methyl benzoic acid packing between
GB2133303A (en) Cement mixing tower
JPS6077804A (en) Cereal metering bagging device
JPS58825Y2 (en) Flexible container bag automatic weighing device
JPH0126588Y2 (en)
KR200158266Y1 (en) Outlet apparatus for measuring meter of gr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