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6979U -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with memory for chorus data storage - Google Patents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with memory for chorus data stor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6979U
KR20000006979U KR2019980018278U KR19980018278U KR20000006979U KR 20000006979 U KR20000006979 U KR 20000006979U KR 2019980018278 U KR2019980018278 U KR 2019980018278U KR 19980018278 U KR19980018278 U KR 19980018278U KR 20000006979 U KR20000006979 U KR 200000069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mory
chorus
so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827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재환
Original Assignee
윤재환
태진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환, 태진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재환
Priority to KR20199800182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6979U/en
Publication of KR200000069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979U/en

Links

Landscapes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개시된 노래반주장치는 코러스 데이터를 노래반주 데이터, 자막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와는 별도의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코러스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를 갖는 노래반주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disclosed song accompaniment device relates to a song accommodating device having a chorus data storage memory for storing chorus data in a storage medium separate from the song accompaniment data, subtitle data, and image data.

본 고안에 따른 코러스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를 갖는 노래반주장치는 노래반주 데이터, 자막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코러스 데이터가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으며, 키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신호 및 반주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미디음원모듈은 노래반주 데이터를 악기음으로 변환하여 신호 합성부로 출력하고, 오디오신호 처리부는 코러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 합성부로 출력하며, 신호 합성부는 미디음원모듈 및 오디오신호 처리부의 출력신호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신호를 합성하여 앰프로 출력하고, 자막/영상 처리부는 자막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모니터로 출력하는 노래반주장치에 있어서, 노래반주 데이터, 자막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는 제 1 메모리에 저장되고, 코러스 데이터는 별도의 제 2 메모리에 저장되며, 제 2 메모리의 코러스 데이터는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제 2 메모리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읽혀져 오디오신호 처리부로 출력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having a chorus data storage mem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ng accompaniment data, subtitle data, image data, and chorus data are stored in a predetermined storage medium, and a key signal and an accompaniment program input by a user through a key input unit.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unit corresponding to the MIDI sound source module converts the song accompaniment data to the instrument sound and outputs to the signal synthesis unit, the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converts the chorus data into an audio signal and outputs to the signal synthesis unit, the signal synthesis unit MIDI The output signal of the sound source module and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and the user's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are synthesized and output to the amplifier, and the caption / image processing unit converts the caption data and the image data into the video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monitor. Song accompaniment data, subtitle data and image data 1 is stored in the memory, the chorus data is stored in a separate second memory, the chorus data of the second memory is read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memory controller operating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ler and output to the audio signal processor do.

따라서, 본 고안의 노래반주장치는 코러스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함으로써 코러스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매체가 오동작하거나 동작을 하지 않더라도 노래반주 데이터, 자막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만으로도 정상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song accompaniment data, subtitle data, and image data can be normally operated even if the storage medium storing the chorus data is malfunctioning or does not operate by storing the chorus data separately.

Description

코러스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를 갖는 노래반주장치Song accompaniment apparatus with memory for chorus data storage

본 고안은 노래반주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ng accompaniment device.

보다 상세하게는 코러스 데이터를 노래반주 데이터, 자막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이하‘노래반주 데이터 등’이라 한다)와는 별도의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코러스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매체가 오동작하거나 동작을 하지 않더라도 노래반주 데이터 등 만으로도 노래반주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코러스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를 갖는 노래반주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chorus data is stored in a separate storage medium from song accompaniment data, subtitle data, and image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song accompaniment data, etc.) so that the chorus data is not malfunctioned or opera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ng accommodating device having a chorus data storage memory capable of operating the song accommodating device normally only with song accompaniment data.

일반적으로 노래반주장치는 미디(MIDI)규격에 따라 조음된 여러 가지 악기음에 맞춰 사용자가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이며, 최근에는 사람의 육성에 의해 녹음된 코러스음을 혼성한 조음을 함으로써 보다 자연스럽고 흥겨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게 되었다.In general, a song accompaniment device is a device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sing in accordance with various musical instruments that are tuned according to the MIDI standard, and more recently, by combining a chorus sound recorded by human development, It is possible to produce a natural and exciting atmosphere.

그러나 이러한 코러스음은 곡 당 크게는 수 MByte의 큰 기억용량을 차지하므로 소정의 데이터 형식으로 압축하여 저장한다 하더라도 노래반주장치가 가지는 수많은 곡을 감안한다면 매우 큰 기억용량을 가진 저장매체가 필요하게 되며, 이를 위해 자성저장매체인 하드디스크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However, this chorus sound occupies a large memory capacity of several MBytes per song, so even if it is compressed and stored in a predetermined data format, considering a large number of songs that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has, a storage medium having a very large memory capacity is required. For this reason, there is a tendency to use a hard disk which is a magnetic storage medium.

도 1은 이와 같은 코러스음을 얻을 수 있도록 안출된 종래의 노래반주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song accompaniment device devised to obtain such chorus sounds.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노래반주장치는 키입력부(10), 시스템 메모리(11), 제어부(12), 자성저장매체 제어부(14), 오디오신호 처리부(15), 미디음원모듈(16) 및 자막/영상 처리부(18)가 각각 시스템 버스(19)에 접속되어 필요한 어드레스,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주고받는 구성으로 되어있다.As illustrated, the conventional song accommodating device includes a key input unit 10, a system memory 11, a control unit 12, a magnetic storage medium control unit 14, an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15, a MIDI sound source module 16, and a subtitle. Each of the video processing units 18 is connected to the system bus 19 to exchange necessary addresses, data, and control signals.

한편, 자성저장매체(13)는 자성저장매체 제어부(14)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신호 합성부(17)는 오디오신호 처리부(15)와 미디음원모듈(16)의 출력신호 및 마이크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으로 받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gnetic storage medium 13 is configured to be controlled by the magnetic storage medium control unit 14, the signal synthesizing unit 17 is the output signal and the microphone of the audio signal processor 15 and the MIDI sound source module 16 It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voice signal of the user through the input.

이러한 구성요소를 갖춘 종래의 노래반주장치 각 부분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each part of the conventional song accompaniment device having such a component is as follows.

먼저, 키입력부(10)는 사용자의 선곡명령을 입력할 뿐만 아니라 노래반주장치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키신호를 입력하는 수단이다.First, the key input unit 10 is a means for not only inputting a user's selection command but also inputting a key signal for controlling various functions of the song accommodating apparatus.

즉, 음량조절, 선곡예약, 하모니, 코러스 등과 같은 기능을 의미하며, 키입력부(10)는 원격조정기 또는 노래반주장치 전면 패널에 구비된 키버튼부로 구성된다.That is, it means a function such as volume control, music selection, harmony, chorus, etc., the key input unit 10 is composed of a key button unit provided on the front panel of the remote controller or song accompaniment.

시스템 메모리(11)에는 노래반주장치의 시작 프로그램 및 노래반주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실행 프로그램인 반주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The system memory 11 stores an accompaniment program which is a start program of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and an execution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제어부(12)는 시스템 메모리(11)에 저장되어 있는 반주 프로그램 및 사용자에 의한 선곡명령에 따라 노래반주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2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accompaniment program stored in the system memory 11 and a selection command by the user.

일반적으로 하드디스크가 사용되는 자성저장매체(13)는 노래반주 데이터, 자막 데이터, 코러스 데이터 그리고 그 외 정지화상 등과 같은 노래반주장치의 동작에 있어서 필요한 관련 영상 데이터를 모두 저장하며, 제어부(12)의 제어명령에 따라 선곡된 노래에 대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자성저장매체 제어부(14)의 제어를 받아야 한다.In general, the magnetic storage medium 13 in which a hard disk is used stores all image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a song accompaniment device such as song accompaniment data, subtitle data, chorus data, and other still images. In order to output the data about the song selected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magnetic storage medium control unit 14 must be controlled.

여기서 코러스 데이터는 각각의 노래에 대해 사람, 예를 들면 합창단의 코러스음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직접 또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소정의 포맷으로 압축하여 자성저장매체(13)에 저장시킨 것인데, 이 데이터는 단지 사용자가 노래할 때 흥겨운 분위기를 연출해주는 역할을 할뿐이므로 실제적으로 노래반주 데이터나 자막 데이터와는 달리 사용자가 노래반주장치를 이용하여 노래를 부르고자 하는 경우 꼭 필요한 데이터는 아니며, 없어도 무방하다.Here, the chorus data is a chorus sound of a person, for example, a choir, for each song,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directly or digitally, and then compressed into a predetermined format and stored in the magnetic storage medium 13. Data only plays a role in creating a pleasant atmosphere when a user sings. Unlike song accompaniment data or subtitle data, data is not necessarily necessary when a user wants to sing a song using a song accompaniment device. It's okay.

오디오신호 처리부(15)는 자성저장매체(13)의 코러스 데이터를 입력으로 받아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 합성부(17)로 출력한다.The audio signal processor 15 receives chorus data of the magnetic storage medium 13 as an input, converts the chorus data into an audio signal,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to the signal synthesizer 17.

미디음원모듈(16)은 자성저장매체(13)로부터 입력되는 노래반주 데이터에 해당하는 악기음 신호를 발생시켜 신호 합성부(17)로 출력한다.The MIDI sound source module 16 generates an instrument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ong accompaniment data input from the magnetic storage medium 13 and outputs it to the signal synthesizer 17.

신호 합성부(17)는 오디오신호 처리부(14)에서 오디오 신호로 변환된 코러스음과 미디음원모듈(15)로부터 생성되어 입력되는 악기음과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합성하여 오디오 앰프로 출력하는데, 오디오 앰프에서 증폭된 신호는 스피커를 통해 최종 출력된다.The signal synthesizing unit 17 synthesizes the chorus sound converted from the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14 into the audio signal, the instrument sound input from the MIDI sound source module 15 and the user's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and the audio amplifier. The amplified signal from the audio amplifier is finally output through the speaker.

자막/영상 처리부(18)는 자성저장매체(13)에 저장된 자막 데이터 및 관련 영상 데이터를 입력으로 받은 후, 이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발생하여 영상 디스플레이장치인 모니터로 출력한다.The caption / image processing unit 18 receives caption data and related image data stored in the magnetic storage medium 13 as input, generates a corresponding video signal, and outputs the corresponding video signal to a monitor, which is an image display apparatus.

상술한 것과 같은 작용을 하는 종래의 노래반주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song accompaniment device having the sam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사용자가 키입력부(10), 즉 노래반주장치의 패널에 구비된 키버튼부 또는 원격조정기를 사용하여 부르고자하는 노래를 선곡하면 제어부(12)의 제어 및 시스템 메모리(11)에 저장된 반주 프로그램의 수행에 따라 자성저장매체 제어부(14)가 동작하게 되고, 이어 자성저장매체(13)에 저장된 데이터가 읽혀지기 시작한다.When the user selects a song to sing using the key input unit 10, i.e., a key button unit or a remote controller provided in the panel of the song accommodating apparatus,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 and the accompaniment program stored in the system memory 11 are performed. As the magnetic storage medium control unit 14 operates, data stored in the magnetic storage medium 13 starts to be read.

이처럼 읽혀진 데이터 중 사용자가 선곡한 노래에 대한 반주 데이터는 미디음원모듈(16)로 출력되고, 미디음원모듈(16)은 입력되는 데이터에 해당하는 악기의 음색에 맞는 악기음을 생성하여 신호 합성부(17)로 출력한다.The accompaniment data for the song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read data is output to the MIDI sound source module 16, and the MIDI sound source module 16 generates an instrument sound corresponding to the sound of the instrument corresponding to the input data and generates a signal synthesizer. Output to (17).

만약 사용자가 선곡한 노래에 대한 코러스 데이터가 존재한다면, 코러스 데이터는 자성저장매체 제어부(14)의 제어하에 자성저장매체(13)로부터 오디오신호 처리부(15)로 출력되어 오디오 신호로 변환된 후 신호 합성부(17)로 출력된다.If the chorus data for the song selected by the user exists, the chorus data is output from the magnetic storage medium 13 to the audio signal processor 15 under the control of the magnetic storage medium control unit 14 and converted into an audio signal before the signal. It is output to the combiner 17.

신호 합성부(17)는 악기음과 코러스음 그리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합성시켜 오디오 앰프로 출력한다.The signal synthesizing unit 17 synthesizes a voice signal of a user input through a musical instrument, a chorus sound, and a microphone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to the audio amplifier.

또한 사용자가 선곡한 노래에 대한 자막 데이터 또는 관련 영상 데이터는 자막/영상 처리부(18)를 거치면서 영상신호로 변환되어 모니터로 출력된다.In addition, the caption data or related image data of the song selected by the user is converted into a video signal through the caption / image processing unit 18 and output to the monitor.

이때 관련 영상은 자성저장매체(13) 외에도 외부 영상출력기기로부터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동영상을 입력으로 받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case, the related video may be input from an external image out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magnetic storage medium 13, and in this case, the video may be received as an input.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하는 종래의 노래반주장치에서 통상적으로 충분한 용량을 가진 하드디스크에 코러스 데이터뿐만 아니라 노래반주 데이터 등까지를 모두 저장함으로 인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 following problems may occur due to storing not only chorus data but also song accompaniment data on a hard disk having a sufficient capacity.

즉, 노래반주장치가 장시간 빈번하게 사용되는 경우 노래반주장치는 사용자가 선곡한 노래에 해당하는 대용량의 코러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하여 하드디스크를 계속 판독하여야 하므로 하드디스크 및 하드디스크 제어부에는 지속적으로 과부하가 걸리게 되고, 이로 인해 하드디스크가 오동작을 하거나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That is, if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is frequently used for a long time,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must continuously read the hard disk in order to output a large amount of chorus data corresponding to the song selected by the user. This can cause the hard disk to malfunction or not work.

이 경우 노래반주 데이터 등을 판독할 수 없게 되며, 결국은 노래반주장치 전체가 사용불능 상태에 빠지게 된다.In this case, the song accompaniment data and the like cannot be read, and eventually the entire song accompaniment device becomes unusable.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노래반주장치에서 큰 데이터 용량을 차지하는 코러스 데이터만을 별도의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노래반주 데이터 등과는 분리하여 저장함으로써 코러스 데이터 저장매체가 오동작하거나 동작을 하지 않더라도 그 외의 데이터만으로도 노래반주장치는 정상적으로 동작될 수 있는 코러스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를 갖는 노래반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ore chorus data occupying a large data capacity in a song accommodating device separately from song accompaniment data by using a separate storage medium, even if the chorus data storage medium malfunctions or does not operate. The song accommodating device provides a song accommodating device having a memory for storing chorus data that can be normally operated.

도 1은 종래의 노래반주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song accompaniment device,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코러스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를 갖는 노래반주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song accompaniment device having a chorus data storage mem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used in the main part of the drawing *

20 : 키입력부 21 : 시스템 메모리20: key input unit 21: system memory

22 : 제어부 23 : 제 1 메모리22: control unit 23: first memory

24 : 제 2 메모리 25 : 제 2 메모리 제어부24: second memory 25: second memory control unit

26 : 오디오신호 처리부 27 : 미디음원모듈26: audio signal processor 27: MIDI sound source module

28 : 신호 합성부 29 : 자막/영상 처리부28: signal synthesizing unit 29: caption / image processing unit

30 : 시스템 버스30: system bu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코러스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를 갖는 노래반주장치의 특징은 노래반주 데이터 등은 제 1 메모리에 저장하고, 코러스 데이터는 별도의 제 2 메모리에 저장하며, 제 2 메모리의 코러스 데이터는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제 2 메모리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읽혀져 오디오신호 처리부에서 오디오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되는 것에 있다.A feature of the song accommodating device having a memory for chorus data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at the song accompaniment data is stored in a first memory, and the chorus data is stored in a separate second memory. The chorus data of the memory is read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memory controller which operates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ler, and is converted into an audio signal by the audio signal processor and output.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코러스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를 갖는 노래반주장치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2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ong accommodating device having a chorus data storage mem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코러스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를 갖는 노래반주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로서, 키입력부(20), 시스템 메모리(21), 미디음원모듈(27), 자막/영상 처리부(29)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을 하는 구성요소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song accompaniment device having a chorus data storage mem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input unit 20, system memory 21, MIDI sound module 27, subtitles / images The processor 29 is a component that operate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따라서 전술한 동일작용을 하는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종래 기술과 다른 본 고안 특유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and only the components unique to the present invention different from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먼저, 제 1 메모리(23)는 노래반주 데이터 등을 저장하며 제어부(22)의 제어 하에 시스템 메모리(21)에 저장되어 수행되는 반주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자가 선곡한 노래에 해당하는 데이터들을 출력한다.First, the first memory 23 stores song accompaniment data and the like and outputs data corresponding to a song selected by a user according to an accompaniment program that is stored and executed in the system memory 2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2.

또한, 영상 데이터도 저장하고 있으므로 외부 영상이 입력되지 않더라도 관련 영상을 모니터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In addition, since the image data is also stored, the related image is output through the monitor even if no external image is input.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을 하는 제 1 메모리(23)는 저장되는 프로그램의 용량으로 미루어 통상 롬(ROM) 또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반도체 기억소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하드디스크나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성저장매체나 CD나 DVD와 같이 광에 의해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광 기록재생매체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그 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매체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할 것이다.The first memory 23 which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may use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uch as a ROM or a flash memory due to the capacity of a program to be stored, and may be a hard disk or a magnetic tape. A magnetic recording medium or an optical recording / reproducing medium that reads data stored by light such as a CD or a DVD may be used, and any storage medium capable of storing data may be used.

제 2 메모리(24)는 제 1 메모리(23)에 저장된 노래에 대응하는 코러스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후술할 제 2 메모리 제어부(25)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의해 코러스 데이터를 오디오신호 처리부(26)로 출력한다.The second memory 24 stores chorus data corresponding to a song stored in the first memory 23, and the chorus data is input to the audio signal processor 26 by a command input from the second memory controller 2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ll output

오디오신호 처리부(26)는 제 2 메모리(24)로부터 입력되는 코러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Decoding)하여 출력하다.The audio signal processor 26 decodes the chorus data input from the second memory 24 into an audio signal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이때, 제 2 메모리(24)에는 일반적으로 코러스 데이터가 소정의 디지털 데이터 포맷에 따라 인코딩(Encoding)되어 저장되게 되며, 압축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chorus data is generally encoded and stored in the second memory 24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igital data format, and may be compressed and stored.

제 2 메모리 제어부(25)는 사용자가 선곡한 노래의 코러스 데이터가 제 2 메모리(24)로부터 오디오신호 처리부(26)로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부(22)의 제어 하에 제 2 메모리(24)를 직접 제어한다.The second memory controller 25 directly controls the second memory 24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2 so that chorus data of a song selected by the user can be output from the second memory 24 to the audio signal processor 26. To control.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메모리(23)와는 별개로 동작되도록 구비되는 데이터 저장매체인 제 2 메모리(24) 역시 제 1 메모리(23)와 마찬가지로 반도체 기억소자 또는 자성저장매체 또는 광에 의해 저장된 데이터가 읽혀지는 광 기록재생매체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자성저장매체로는 흔히 사용되는 하드디스크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memory 24, which is a data storage medium provided to operate separately from the first memory 23, also has data stored by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 magnetic storage medium, or light like the first memory 23. The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medium to be read may be configured, and in this case, a hard disk commonly used as a magnetic storage medium may be used.

이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하는 본 고안에 따른 코러스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를 갖는 노래반주장치의 동작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having a chorus data storage mem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nd operation in more detail as follows.

사용자가 부르고자하는 노래를 선곡하기 위해 키입력부(20)를 통해 키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22)는 이를 인식하여 제 1 메모리(23)와 제 2 메모리(24)를 판독하기 시작한다.When the user inputs a key signal through the key input unit 20 to select a song to be sung, the controller 22 recognizes this and starts reading the first memory 23 and the second memory 24.

즉, 노래반주 데이터 등은 제 1 메모리(23)로부터 그리고 선곡된 노래에 대한 코러스 데이터가 존재하면 이는 제 2 메모리 제어부(25)를 제어하여 제 2 메모리(24)로부터 판독한다.That is, the song accompaniment data and the like are read from the first memory 23 and from the second memory 24 by controlling the second memory controller 25 if there is chorus data for the selected song.

제 1 메모리(23)로부터 판독된 데이터 중 노래반주 데이터는 미디음원모듈(27)로 출력되어 악기음을 생성시키고, 자막 데이터와 관련 영상 데이터는 자막/영상 처리부(29)로 출력되어 대응되는 영상신호로 변환된다.Song accompaniment data among the data read from the first memory 23 is output to the MIDI sound source module 27 to generate the instrument sound, and the caption data and related image data are output to the caption / image processor 29 to correspond to the image. Is converted into a signal.

한편, 제 2 메모리(24)로부터 판독된 코러스 데이터는 오디오신호 처리부(26)로 출력되어 오디오 신호로 변환된다.On the other hand, the chorus data read from the second memory 24 is output to the audio signal processing section 26 and converted into an audio signal.

이처럼 오디오신호 처리부(26)에서 오디오 신호로 변환된 코러스 데이터와 미디음원모듈(27)의 악기음 출력, 그리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신호 합성부(28)에 의해 합성되어 출력되며, 신호 합성부(28)의 출력신호는 앰프를 거쳐 증폭된 후 스피커를 통해 최종 출력된다.As such, the chorus data converted from the audio signal processor 26 to the audio signal, the instrument sound output of the MIDI sound source module 27, and the user's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are synthesized and output by the signal synthesizer 28. The output signal of the signal synthesizing unit 28 is amplified through an amplifier and finally output through a speaker.

자막/영상 처리부(29)는 제 1 메모리(23)로부터 입력되는 자막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영상신호로 변환한 후, 모니터로 출력한다.The caption / image processor 29 converts the caption data and the image data input from the first memory 23 into a video signal so that the caption data and the video data can be visually displayed, and then outputs them to the monito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코러스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를 갖는 노래반주장치에 의하면, 노래반주장치에 노래반주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코러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별도로 구비시켜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하게 함으로써 노래반주장치를 장시간 사용할 경우 코러스 데이터 저장매체가 오동작을 하거나 동작하지 않더라도 별도로 구비된 메모리로부터 노래반주 데이터, 자막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는 정상적으로 판독하여 출력함이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코러스음의 출력이 없더라도 노래반주장치는 정상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ong accommodating device having a memory for storing chorus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ng accommodating device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song accompaniment data and the like and a memory for storing chorus data to operate independently. If you use the song accompaniment device for a long time, even if the chorus data storage medium malfunctions or does not work, the song accompaniment data, subtitle data, and video data can be read and output from the separately provided memory, even if there is no chorus sound output. Song accommodating device has the effect that can be operated normally.

Claims (4)

노래반주 데이터, 자막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코러스 데이터가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으며, 키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신호 및 반주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미디음원모듈은 상기 노래반주 데이터를 악기음으로 변환하여 신호 합성부로 출력하고, 오디오신호 처리부는 상기 코러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 합성부로 출력하며, 신호 합성부는 상기 미디음원모듈 및 오디오신호 처리부의 출력신호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신호를 합성하여 앰프로 출력하고, 자막/영상 처리부는 상기 자막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모니터로 출력하는 노래반주장치에 있어서,Song accompaniment data, caption data, image data and chorus data are stored in a predetermined storage medium, and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a control unit corresponding to a key signal and an accompaniment program input by a user through a key input unit, the MIDI sound source module generates the song. The accompaniment data is converted into musical instrument sound and output to the signal synthesizing unit. The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converts the chorus data into an audio signal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signal synthesizing unit. In the song accommodating device for synthesizing the user's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amplifier and the caption / image processing unit converts the caption data and the image data into a video signal and outputs to the monitor, 상기 노래반주 데이터, 자막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는 제 1 메모리에 저장되고;The song accompaniment data, the caption data, and the image data are stored in a first memory; 상기 코러스 데이터는 별도의 제 2 메모리에 저장되며;The chorus data is stored in a separate second memory; 상기 제 2 메모리의 코러스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제 2 메모리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읽혀져 상기 오디오신호 처리부로 출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러스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를 갖는 노래반주장치.Chorus data of the second memory is a song accommodating device having a memory for chorus data stor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d out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memory control unit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모리는;The memor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memory comprises; 반도체 기억소자 또는 자성저장매체 또는 광에 의해 저장된 데이터가 읽혀지는 광 기록재생매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코러스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를 갖는 노래반주장치.A song accommodating device having a memory for chorus data storag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r a magnetic storage medium or an optical recording / reproducing medium on which data stored by light is rea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저장매체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agnetic storage medium; 하드디스크임을 특징으로 하는 코러스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를 갖는 노래반주장치.Song accommodating device having a memory for chorus data stor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hard dis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모리는;The memor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memory comprises: a first memory; 반도체 기억소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코러스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를 갖는 노래반주장치.Song accompaniment device having a memory for chorus data stor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19980018278U 1998-09-24 1998-09-24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with memory for chorus data storage KR20000006979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278U KR20000006979U (en) 1998-09-24 1998-09-24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with memory for chorus data stor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278U KR20000006979U (en) 1998-09-24 1998-09-24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with memory for chorus data stor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979U true KR20000006979U (en) 2000-04-25

Family

ID=69516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8278U KR20000006979U (en) 1998-09-24 1998-09-24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with memory for chorus data stor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6979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340B1 (en) * 2001-08-17 2004-03-24 태진미디어 주식회사 Managing apparatus for storage media in karaoke system and managing method for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340B1 (en) * 2001-08-17 2004-03-24 태진미디어 주식회사 Managing apparatus for storage media in karaoke system and managing method for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7386A (en) CD player for reproducing signals from CD-OK and video CD
US4614144A (en) Music card system
KR960700510A (en) Multi-language recording media and playback device
JP2655806B2 (en) Audio signal recording method for recording audio signal and audio signal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JP2901845B2 (en) Karaoke performance equipment
KR0121696Y1 (en) Music accompaniment system with video
KR0129964B1 (en) Musical instrument selectable karaoke
KR20000006979U (en)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with memory for chorus data storage
JP2000029472A (en) Karaoke machine
KR20010002804A (en) Karaoke system having a Digital Versatile Disk and operation method for the same
KR0129982B1 (en) Unification television with compact disk player and picture memory and musical image play
JP2797644B2 (en) Karaoke device with vocalization function
KR100765803B1 (en) Video music accompaniment apparatus having real time saving and playing function
KR20000020849U (en) Karaoke apparatus having a MPEG compression and recording function
KR0119894B1 (en) Laser disc player with function of music video accompaniment
KR0184392B1 (en) Total song titles showing method of cdg player
KR0141208B1 (en) Television with a video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KR20000073402A (en) Karaoke system having a function for reproducing MPEG data and the method thereof
JP2000330574A (en) Karaoke having effect sound generating function
JP2569384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KR100343667B1 (en) Digital karaoke system having voice control function
KR950015200B1 (en) Karaoke apparatus with bar code & control method
JP2005189535A (en) Voice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KR100282270B1 (en) How to Display Singing Scores for a Musical Accompaniment Video Compact Disc System
KR0141209B1 (en) Television with a video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