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5528A - 고농도 고형 현탁액용 계측기 - Google Patents

고농도 고형 현탁액용 계측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5528A
KR20000005528A KR1019980708324A KR19980708324A KR20000005528A KR 20000005528 A KR20000005528 A KR 20000005528A KR 1019980708324 A KR1019980708324 A KR 1019980708324A KR 19980708324 A KR19980708324 A KR 19980708324A KR 20000005528 A KR20000005528 A KR 20000005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herical tip
specimen
sample
measuring
vertical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8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 비. 돈
노만 씨. 스미스
룽 밍 우
Original Assignee
알프레드 엘. 미첼슨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레드 엘. 미첼슨,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알프레드 엘. 미첼슨
Publication of KR20000005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52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1/00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 G01N11/10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by moving a body within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 G01N3/34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generated by mechanical means, e.g. hammer blow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14Glass frit mixtures having non-frit additions, e.g. opacifiers, colorants, mill-additions
    • C03C8/16Glass frit mixtures having non-frit additions, e.g. opacifiers, colorants, mill-additions with vehicle or suspending agents, e.g. sli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1/00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 G01N11/10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by moving a body within the material
    • G01N11/12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by moving a body within the material by measuring rising or falling speed of the body; by measuring penetration of wedged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40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 G01N3/48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by performing impressions under impulsive load by indentors, e.g. falling bal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의 제로인 전단율로 점성도를 측정하고, 내부의 고농도 고형 현탁액으로 정지 상태의 프리 스탠딩(free-standing) 페이스트의 슬럼프 저항 또는 강도를 예측하기 위한 계측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계측기는 구형상의 팁(40)이 단부에 조여진 이동막대(42)를 갖고, 이동막대는 수용기(C)에 놓인 페이스트 속으로 활주 안내 베어링 레일(20,22)에 장착된 선형적으로 이동가능한 활주부재(16)를 통하여 미리 정해진 일정한 속도로 수직 하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구형 팁이 제어기 모듈(34), 볼 스크류 수단(28) 및 스테퍼 모터(30)에 의해 유지되는 미리 정해진 일정한 속도로 상기 페이스트에 침입한 후 아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이동막대(42)에 부착된 디지탈 응력 게이지(38)는 상기 구형 팁(40)에 가해진 최대응력을 감시, 측정 및 기록하게 된다.

Description

고농도 고형 현탁액용 계측기
고농도 고형 현탁액의 레오로지 유성학은 흥미있으면서도 해볼만 한 것이다. 유동채널 및 디스펜싱 오리피스를 통하여 내부에 고농도 고형 현탁액을 가진 페이스트를 용이하게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고, 상기 페이스트가 기판상에 위치된 이후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하여, 전단율이 거의 제로인 지점과 중간인 지점 모두에서 정확한 점성도 측정이 필요하다. 중간 내지 높은 전단율(이는 페이스트 공급의 용이함을 의미함)에서 이전의 점성도는 브룩필드(brookfield)와 같은 종래의 점도계로도 만족스럽게 측정될 수 있다. 반면에, 거의 제로인 전단율(정지상태인 페이스트의 슬럼프 저항을 의미함)로 점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단순하면서도 생산할 가치가 있는 계측기는 존재하지 않았다.
미립자가 충진된 대부분의 현탁액 유동은 비뉴턴 방식이고, 상기 점성도는 전단율 및/또는 전단시간의 함수이다. 이러한 현탁액은 주로 의소성(pseudoplastic)으로서 전단율이 증가할 때 점성도는 감소하고, 흔히 요변성(thixotropic)으로서 전단시간이 증가할 때 점성도는 감소한다. 의소성의 정도가 매우 높고, 상대적으로 고도의 현탁물질을 가진 페이스트는 크기가 유한한 외부 응력에 저항하는 폴스 바디(false body) 형태로 항복응력을 나타낸다. 상기 외부응력이 이러한 임계치(항복응력)를 초과할 경우에만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대부분의 이용가능한 계측기는 정상상태에서 단지 페이스트 응답, 즉, 토크, 힘, 변위, 각운동 등만을 측정할 수 있고, 실험에서 페이스트의 이러한 폴스 바디는 종종 찢어지거나 심지어는 실험중에 파괴된다. 따라서, 페이스트의 슬럼프 저항의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없게 된다.
종래의 낙하구 점도계는 소정 기간동안 이용가능했으며, 뉴턴유체에 대한 명확한 전단분석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은 모두 뉴턴유동을 다루고, 내부에 고농도의 현탁물질을 가진 페이스트가 나타내는 비뉴턴유동은 다루지 않았다.
종래의 낙하구 계측기는 TV 유리질 페이스트와 같이 높은 현탁물질의 슬럼프 저항을 측정하는데는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하나의 장애는 페이스트가 불투명하다는 사실에 있으며, 이는 낙하구에 대한 시각검사를 불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일부 페이스트는 낙하구가 자중에 의해 페이스트 속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해하는 중요한 항복응력을 갖는다. 구의 후방에서 힘을 증가시키는 시도는 상기 구가 아주 작은 힘으로는 떨어지지 않을 것이고 너무 큰 힘으로는 너무 빨리 떨어져 구의 시간을 식별할 수 없기 때문에 비현실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미국특허번호 제 1,232,782호; 제 1,651,596호; 제 1,748,512호; 제 1,748,513호; 제 5,144,832호 및 제 5,327,778호를 포함하여 다양한 측정장치가 과거에 이용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플런저 또는 구를 하방 실험기판 속으로 밀어넣기 위해 추를 이용하고, 특허 제 1,748,512호 및 제 1,748,513호는 추가 달린 플런저 또는 푸시로드의 하방운동을 조절하기 위해 기름조(oil bath)와 피스톤을 이용한다. 미국특허번호 제 1,894,369호; 제 2,625,034호; 및 제 2,747,399호는 모두 실험표본의 침투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천칭 또는 저울을 이용한다. 또한, 미국특허번호 제 2,638,779호는 표본의 침투에 대한 저항에 관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자기코일로의 전류를 측정한다. 마지막으로, 미국특허번호 제 5,357,786호는 표본에 대한 플런저의 수직침입에 관한 자료 또는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기 천칭을 이용한다. 그러나 전술한 참고문헌중 어느 것도 일정속도로 이동하는 스테이지의 이용과 구가 상기 표본을 통해 이동할 때 구에서의 최대응력 측정을 제안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고농도의 현탁물질을 가진 실험표본 속으로 구가 미리정해진 일정한 속도로 선형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실험표본 속을 구가 이동할 때 구에 생성된 최대 응력을 측정하는 신규하고 개선된 낙하구 계측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실험표본을 통해 일정한 속도로 구가 이동할 때 플런저 또는 구에 가해진 최대 응력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방법과 장치는 TV 유리질 페이스트와 같이 내부에 고농도의 현탁물질을 가진 표본의 슬럼프 저항을 예측하기 위한 이용을 갖는다.
다양한 실험표본간의 의미있는 바람직한 계측을 위하여, 구형상의 팁을 갖는 이동막대가 실험될 페이스트 속으로 바람직한 일정 속도로 선형적으로 운동하는 이동 스테이지상에 제공됨과 동시에, 상기 구가 실험 표본의 일부를 통하여 이동하는 동안 상기 막대에 부착된 응력 게이지가 상기 구에 가해지는 최대 응력을 점검하고 기록한다. 일관성을 갖기 위하여, 상기 구의 선형 또는 하방운동은 소형 CPU에 연결된 전동화된 DC(직류) 색인작성자(indexer)와 ICL(지능-명령-언어) 소프트웨어의 제어하에 조절된다. 상기 페이스트 속으로 구가 미리정해진 일정한 속도로 침강하는 것을 이용하고, 상기 구가 페이스트를 지날 때 구에 가해진 최대 응력을 측정함으로서, 강도 또는 슬럼프 저항에 대한 의미있는 비교가 페이스트간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페이스트는 페이스트를 수용한 동일한 크기의 컵과 동일한 크기의 구로 실험된다.
본 발명은 TV 밀봉 유리질 페이스트(sealing frit paste)와 같은 고농도 고형 현탁액의 슬럼프 저항을 예측하기 위한 신규하고 개선된 계측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선된 계측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개선된 계측기(10)는 바닥판 또는 표본 유지부(14)를 갖는 수직 활주 스탠드 또는 실험 스탠드(12)와, 상기 유지부에 부착된 선형적으로 이동가능한 활주부재(16)로 구성됨을 볼 수 있다. 상기 수직 실험 스탠드(12)는 표본 유지부(14)에 고정된 상부 커버부재(24)와 하부부재(26)사이에 지지판(18)과, 상기 지지판(18)에 고정된 한쌍의 활주 안내레일(20)(22)을 갖는다.
상기 활주부재(16)에는 안내레일(20)(22)을 따라 선형적으로 상하로 이동하기 위하여 볼 스크류 장치(28)와 상보레일이 제공된다. 상기 볼 스크류 수단을 구동시키고 상기 활주부재(16)를 활주안내레일(20)(22)을 따라 선형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스테퍼 모터(30)가 상기 실험 스탠드(12)상에 장착되고, 이는 커넥터 하우징(32)을 통하여 볼 스크류에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아래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 제어기 모듈(34)이 스테퍼 모터(30)의 작동을 조절함에 따라 수직 스탠드(12)의 안내레일(20)(22)을 따라 움직이는 활주부재(16)를 제어하게 된다.
연결부재(36)가 상기 활주부재(16)에 연결되며, 이는 외곽단부에 고정된 디지탈 응력 게이지(38)을 갖는다. 구형상의 팁(40)이 상기 응력 게이지(38) 속에 조여진 막대(42)에 부착된다. 상기 응력 게이지는 실험 측정치를 기록하기 위한 디지틀 판독면(44)를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활주 또는 실험 스탠드(12)의 레일(20)(22)을 따라 활주부재(16)가 수직으로 연장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부 및 하부 한계 스위치(46)(48)가 제공될 수 있다.
계측기(10)는 도 1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수용기(C)에 담긴 페이스트 속으로 활주 안내 베어링 레일(20)(22)상에서 미리정해진 일정한 속도로 수직하방으로 이동하는 구형상의 팁(40)과 이동막대(42)를 혼용하며, 상기 막대(42)가 부착된 응력 게이지(38)는 구가 수용기(C)에 담긴 페이스트 내부로 하방이동하는 동안 상기 구에 가해지는 최대 응력을 검사 및 기록하게 된다. 구(40)의 하방운동은 볼 스크류 수단(28)을 통해 활주부재(16)가 하방이동함으로써 발생되고, 이는 다시 스테퍼 모터(30)에 의해 조절된다. 그러나, 모터(30)는 지능-명령-언어(ICL) 소프트웨어하에서 소형 중앙처리장치(CPU)에 연결되고, 이는 아래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낙하구 이동막대(42) 위에 위치된 응력 게이지(38)는 팁이 수용기(C) 내부의 실험표본을 통과할 때 상기 구형상의 팁(40)을 통해 가해진 최대 압축력을 기록 및 표시할 수 있는 디지탈 응력 게이지이다. 이러한 응력 게이지는 일리노이즈주에 소재한 콘트롤 인터내셔널 오브 시카고사로부터 구할 수 있는 모델 CI-FGE2 응력 게이지일 수 있다.
상기 CPU는 응력 게이지(38)와 구형상의 팁(40)을 장착한 정속 이동 스테이지인 선형적으로 이동가능한 활주부재(16)를 작동시켜 상기 구를 수용기(C)에 담긴 실험표본 또는 페이스트에 삽입하게 된다. 구동 유닛 내부의 CPU는 일정한 속도로 페이스트 또는 실험표본 속으로 구형상의 팁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ICL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DC 스테퍼 모터를 미리 정해진 일정한 속도로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구형상의 팁이 실험물질 내부로 이동할 때, 응력 게이지(38)는 구형상의 팁을 통해 가해진 최대 응력을 탐지하도록 프로그램된다. 바람직하게, 활주부재(16)가 고조파의 진동없이 스탠드(12)를 따라 부드럽게 운동하도록 상기 CPU는 스테퍼 모터를 1/2스텝(half step)으로 조절하게 된다. 원한다면, CPU는 상기 구를 표본 바로 위까지 빠르게 하방으로 이동시킨 다음, 미리정해진 일정한 속도로 구를 표본 속으로 이동시켜 구가 표본 자체 내부를 이동할 때 응력 게이지에 탐지되는 최고 또는 최대 응력을 구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상기 실험 스탠드는 일니노이즈주에 소재한 콜-파머 인스트루먼트 컴파니 오브 베론 힐사에서 생산한 버사테스트(VersaTest) 모델 EP-59880-54일 수 있으며, CPU는 뉴욕주 클라렌스에 소재한 휴지스 인더스트리얼 프로덕츠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카타로그 번호 P/N P261X-M232, American Precision Packaged Microstep System일 수 있다.
사실, 본 발명의 계측기는 비교 측정장비이고, 따라서 페이스트간의 강도 또는 슬럼프 저항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구형상의 팁(40)의 직경과 실험표본 또는 페이스트을 담는 컵(C)의 직경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작동에서, 실험표본 또는 페이스트는 3분동안 Red Devil 원통 교반기와 같은 표준 교반기에서 적절하게 흔들어진다. 그 다음 상기 표본은 실험 스탠드(12)의 표본 유지부(14)상의 수용기(C)안에 위치된다. 구형상의 팁(40)이 상기 페이스트 표면 바로 위에 접촉되지 않고 위치됨으로서 실험이 시작된다. (활주부재(16), 연결부재(36), 응력 게이지(38), 구형상의 팁(40) 및 이동막대(42)를 포함하는) 전동화된 스테이지를 초당 0.02인치와 같이 조절된 일정속도로 수직 스탠드(12)의 활주레일(20)(22)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어기 모듈이 작동된다. 상기 구형상의 팁(40)은 외주면이 수용기(C)의 가장자리로부터 1.5″내지 2″사이가 되도록 표본 속으로 적절하게 삽입된다. 상기 구형상의 팁의 낙하 깊이는 바람직하게는 수용기(C)의 하부로부터 위로 1″에서 종료된다. 상기 구형상의 팁이 페이스트를 통해 이동할 때, 이에 가해진 최대 응력은 디지탈 응력 게이지(38)에 의해 기록된다.
바람직하게, 3회의 실험이 각 표본에 대해 실시되며, 상기 구형상의 팁(40)은 각 실험간에 세척된다. 또한, 각 실험간에 상기 수용기(C)를 90°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력 게이지의 측정값은 3회의 실험에서 각각에 대해 기록되고, 3회 실험의 평균이 계산되어 최종결과를 제공하게 된다. 계측기로부터 얻어진 상기 실험결과는 TV 밀봉 유리질 페이스트와 같이 고농도 고형 현탁액의 슬럼프 저항을 예측하는데 이용된다. 전동화된 스테이지 또는 활주 유닛에 의해 구형상의 팁이 조절된 미리정해진 일정한 속도로 구동됨과 아울러, 상기 구형상의 팁이 받는 최대응력이 디지탈 응력 게이지에 의해 기록된다는 사실 때문에 본 발명으로 의미있는 실험결과가 얻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테퍼 모터를 구동하는데 이용되는 CPU에는 원하는 결과를 이끌어내는 ICL 프로그램이 제공되며, 따라서 다음의 프로그램이 이러한 결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PWRUP"
0:V0=100
1:V1=0
2:V2=V1*VO
3:V3=0
4:V4-V3*V0
5:V5=0
6:V7=10
7:V6=V5*V7
8:MR=5000
9:UR=1
10:A=500
11:D=500
12:B=10
13:H=100000
14:M=50000
15:J=10000
16:MUNITS
17:LA=00000000
18:G=0
19:Q=10
20:R=10
21:S=10
22:U=0
23:T=4
24:SC=20
25:SEND-1|"BS@" ^ TURN OFF SCROLL
26:SEND-1|"1BE" ^ CLEAR SCREEN ON T-120
27:SEND-1|"7" ^ CAUSE BUZZER TO BEEP
28:SEND-1|"1BPT" ^ MAKE LED1 FLASH
29:CURSOR 0 0
30:WAIT 100
31:SEND -1 "SELECT JOG OR SETUP"
32:QUIT
"SET UP"
0:WAIT 100
1:SEND -1|"1BPD" ^ LED1 OFF
2:SEND -1|"1BE" ^ CLEAR SCREEN
3:CURSOR 0 0
4:WAIT 100
5:SEND -1 "SETUP MODE SELECTED"
6:CURSOR 1 0
7:PROMPT "X.XX START TEST POINT" V1
8:SEND -1|"1BE" ^ CLEAR SCREEN
9:WAIT 100
10:CURSOR 0 0
11:PROMPT "X.XX TEST MODE" V3
12:SEND -1|"1BE" ^ CLEAR SCREEN
13:WAIT 100
14:CURSOR 0 0
15:PROMPT ".XXX TEST SPEED IN IPS" V5
16:SEND -1|"1BE" ^ CLEAR SCREEN
17:WAIT 100
18:CURSOR 0 0
19:SEND -1 "PRESS F1 TO RUN TEST"
20:CALL START
21:QUIT
"START"
0:(START) SK=0
1:WAIT 100
2:B=10
3:IF (SK=1) GOOD
4:JUMP START
5:(GOOD) SK=0
6:V2=V1*V0
7:MOVE V2
8:WAIT 100
9:V6=V5*V7
10:M=V6
11:V4=V3*V0
12:MOVE V4
13:WAIT 200
14:M=50000
15:B=5000
16:-HOME
17:JUMP START
18:QUI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기술되었을지라도,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한정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변화과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계의 기술을 가진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Claims (17)

  1. 바닥부를 갖는 수직 스탠드와,
    상기 수직 스탠드를 따라 선형적으로 이동가능한 전동화된 스테이지와,
    상기 응력 게이지에 연결된 구형상의 팁을 갖는 막대와,
    상기 구형상의 팁 아래에 측정될 표본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구형상의 팁이 미리정해진 일정한 속도로 상기 표본의 소정위치를 통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전동화된 스테이지의 하방운동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표본 내부를 구형상의 팁이 일정속도로 이동함으로써 받는 최대 응력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의 제로 전단율로 고농도 고형 현탁액 표본의 점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화된 스테이지는 상기 수직 스탠드상의 활주안내레일을 따라 선형적으로 이동가능한 활주부재와, 상기 활주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볼 스크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의 제로 전단율로 고농도 고형 현탁액 표본의 점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스탠드를 따라 활주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볼 스크류 수단은 스테퍼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의 제로 전단율로 고농도 고형 현탁액 표본의 점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화된 스테이지의 하방 운동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은 수직 스탠드상의 활주 안내레일을 따라 수직으로 상기 활주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볼 스크류 수단을 구동하는 스테퍼 모터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중앙 처리장치를 가진 제어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의 제로 전단율로 고농도 고형 현탁액 표본의 점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 모듈은 활주부재의 하방 운동을 조절하여 상기 구형상의 팁이 미리정해진 일정한 속도로 아래에 위치된 표본의 소정 위치를 통해 이동하도록 프로그램된 중앙 처리장치용 작동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의 제로 전단율로 고농도 고형 현탁액 표본의 점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응력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은 활주부재에 연결된 응력 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응력 게이지는 구형상의 팁이 미리정해진 일정한 속도로 표본의 소정위치를 통해 이동할 때 구형상의 팁에 가해진 최대응력을 기록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의 제로 전단율로 고농도 고형 현탁액 표본의 점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부재는 수직 스탠드를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최대응력 측정수단을 활주부재 자체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의 제로 전단율로 고농도 고형 현탁액 표본의 점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측정될 표본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바닥부상에 유지되는 표본용 수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의 제로 전단율로 고농도 고형 현탁액 표본의 점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화된 스테이지의 하방운동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은 수직 스탠드에 부착된 제어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 모듈은 상기 수직 스탠드를 따라 스테이지를 선형적으로 이동시키는 볼 스크류 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스테퍼 모터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소형 중앙 처리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의 제로 전단율로 고농도 고형 현탁액 표본의 점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 모듈은 상기 스테퍼 모터가 조절된 속도로 구동되어 스테이지를 수직 스탠드를 따라 일정한 원하는 속도로 선형적으로 하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중앙 처리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의 제로 전단율로 고농도 고형 현탁액 표본의 점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11. 바닥부를 갖는 수직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 상에서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활주부재와,
    상기 활주부재에 연결된 응력 게이지와,
    상기 응력 게이지에 연결된 구형상의 팁을 가진 막대와,
    상기 스탠드 상에서 활주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활주레일 및 볼 스크류 수단과,
    상기 볼 스크류 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전기 모터 수단과,
    전동화된 스테이지를 형성하는 구형상의 팁을 가진 막대와 연결된 응력 게이지 및 상기 활주부재와,
    상기 바닥부 상에 측정될 표본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구형상의 팁을 미리정해진 일정한 속도로 표본 내부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조절된 속도로 상기 전동화된 스테이지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모터 수단에 기능적으로 연결된 중앙 처리장치, 및
    상기 구형상의 팁이 일정한 속도로 바닥부상의 측정될 표본의 일부분을 통해 이동할 때 구형상의 팁에 가해진 최대 응력을 기록하기 위한 응력 게이지상의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고형 현탁액을 가진 페이스트성 표본의 움직임에 대한 저항 측정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모터 수단은 볼 스크류 수단에 연결된 스테퍼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고형 현탁액을 가진 페이스트성 표본의 움직임에 대한 저항 측정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장치는 수직 스탠드를 따라 전동화된 스테이지가 부드럽게 운동하도록 스테퍼 모터를 1/2스텝으로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고형 현탁액을 가진 페이스트성 표본의 움직임에 대한 저항 측정장치.
  14. 측정될 표본을 수용기 내부에 위치시키는 단계;
    구형상의 팁이 연결된 막대를 갖는 응력 게이지를 상기 표본 위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구형상의 팁이 연결된 막대와 함께 응력 게이지를 일정한 속도로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구를 미리정해진 일정한 속도로 상기 표본 내부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구가 표본 내부로 일정한 속도로 이동할 때 구에 가해진 최대 응력을 기록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본의 점성도 측정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응력 게이지와 구형상의 팁을 가진 막대를 전동화된 스테이지로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중앙 처리장치를 통해 상기 전동화된 스테이지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본의 점성도 측정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표본 내부에서 구의 일정한 하강 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중앙 처리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본의 점성도 측정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다양한 표본의 측정과정중에 일정한 구 직경 및 수용기 직경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본의 점성도 측정방법.
KR1019980708324A 1996-04-18 1997-04-07 고농도 고형 현탁액용 계측기 KR200000055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56496P 1996-04-18 1996-04-18
US60/015,564 1996-04-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528A true KR20000005528A (ko) 2000-01-25

Family

ID=21772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8324A KR20000005528A (ko) 1996-04-18 1997-04-07 고농도 고형 현탁액용 계측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894258A4 (ko)
JP (1) JP2000508772A (ko)
KR (1) KR20000005528A (ko)
CN (1) CN1216610A (ko)
TW (1) TW344794B (ko)
WO (1) WO19970393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924B1 (ko) * 2019-11-20 2021-03-12 장소연 음식물 점도 측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37673A1 (en) * 1999-03-09 2001-11-08 Liam T. Jackson Solder paste tester
SE0100918D0 (sv) * 2001-03-16 2001-03-16 Global Hemostasis Inst Mgr Ab Rod provided with channel
GB2390434A (en) * 2002-07-02 2004-01-07 John Charles Duncan A sample holding device, or pocket, allowing the containment and subsequent analysis of materials within a dynamic mechanical analyser (DMA)
US8808601B2 (en) 2008-05-30 2014-08-19 Corning Incorporated Method for manufacturing ceramic filter
CN102735588A (zh) * 2011-12-21 2012-10-17 湖北航天化学技术研究所 推进剂药浆加工特性简易测定仪
CN103278378B (zh) * 2013-06-21 2015-07-22 中国皮革和制鞋工业研究院 用于自动测定纵向刚度的检测仪
CN103776736B (zh) * 2014-02-20 2015-11-18 湖州师范学院 一种衬层粘度测量仪
CN105423966B (zh) * 2015-12-09 2018-02-27 华南理工大学 一种调节测量流道间隙的浸入式超声测量装置及测量方法
AT520100A1 (de) * 2017-06-22 2019-01-15 Ifn Holding Ag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Topfzeit
PL239629B1 (pl) * 2019-05-09 2021-12-20 Univ M Curie Sklodowskiej Przyrząd do analizy wosków
CN110320017B (zh) * 2019-07-08 2021-06-08 莆田市烛火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打蛋打发状态检测方法
CN112924330B (zh) * 2021-01-21 2023-03-14 重庆大学 一种油料粘度检测仪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32782A (en) * 1916-03-06 1917-07-10 Hartford Rubber Works Co Machine for testing plastics.
US1540979A (en) * 1923-04-11 1925-06-09 Swift & Co Machine for testing jelly strength of glues, gelatins, and the like
US1651596A (en) * 1923-05-15 1927-12-06 Hall Thomas Method and mechanism for testing gelatinous substances
US1894369A (en) * 1928-02-07 1933-01-17 Duffing Georg Viscometer
US1748513A (en) * 1928-08-18 1930-02-25 Sinclair Refining Co Gear lubricant-testing machine
US1748512A (en) * 1928-08-18 1930-02-25 Sinclair Refining Co Gear lubricant-testing machine
US2625034A (en) * 1950-12-29 1953-01-13 Armstrong Cork Co Rheometer
US2747399A (en) * 1953-08-12 1956-05-29 Standard Oil Co Static yield point measurement
US4103533A (en) * 1977-11-17 1978-08-01 Lubrication Engineers, Inc. Impact grease tester
JPS5719645A (en) * 1980-07-10 1982-02-01 Shimadzu Corp Method and device for viscosity measuring
US4752449A (en) * 1982-10-15 1988-06-21 Hemotec, Inc. Apparatus for coagulation detection by gas flow or plunger sensing techniques
US4612799A (en) * 1985-10-25 1986-09-23 Texac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viscosity
US5144832A (en) * 1991-03-25 1992-09-08 Polysar Rubber Corporation Flow characterization apparatus and process
US5327778A (en) * 1992-02-10 1994-07-12 Park Noh A Apparatus and method for viscosity measurements using a controlled needle viscometer
US5357786A (en) * 1993-08-04 1994-10-25 Valence Technology, Inc. Device for determining mechanical properties of materials
US5510301A (en) * 1994-10-24 1996-04-23 Fink; Kimberly S. Sealing frit past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924B1 (ko) * 2019-11-20 2021-03-12 장소연 음식물 점도 측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7039332A1 (en) 1997-10-23
EP0894258A1 (en) 1999-02-03
CN1216610A (zh) 1999-05-12
JP2000508772A (ja) 2000-07-11
EP0894258A4 (en) 2000-05-10
TW344794B (en) 1998-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05528A (ko) 고농도 고형 현탁액용 계측기
US380390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a fluid
US5269190A (en) Apparatus for the performance of rheological measurements on materials
KR920003532B1 (ko) 진동레오미터장치
Rosencranz et al. Clinical laboratory measurement of serum, plasma, and blood viscosity
US6564618B2 (en) Electrorheological and magnetorheological fluid scanning rheometer
US5357783A (en) Dynamic shear rheometer and method
CA2419128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easuring extensional rheological properties of a material
EP2280266B1 (en) Payout-glide-flakeoff apparatus for characterizing deodorant and antiperspirant sticks
EP1855115B1 (en) Liquid aspirator and analyzer provided with same
US20100139374A1 (en) Methods for rheological testing of multiple samples and systems therefor
US4437337A (en) Viscoelastometer
US20050213427A1 (en) Mixing utility, liquid viscometric apparatus
US6941797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viscosities of liquids by means of the capillary force
CN215339703U (zh) 一种化学计量检测用防漏效果好的滴定仪
DE19510351C1 (de) Meßanordnung zur Bestimmung der Fließgrenze einer Substanz
CN219054307U (zh) 一种平氏毛细管粘度计的垂直度调节夹具装置
CN109900622B (zh) 一种粉末矿物可浮性分析仪
RU2054648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реологических характеристик вязкоупругопластичных систем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19737395U (zh) 一种用于集成电路用电镀溶液测试自动电位滴定仪
CN111982765B (zh) 一种磁流变液再分散性定量测试方法及测试设备
RU2094770C1 (ru) Вискозиметр
EP1029230B1 (en) Instrument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viscosity of a liquid
Roy et al. Fluidization of wet cohesive powder in virtual Couette rheometer
CN113189303A (zh) 智能液限仪及液限测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