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5077U - Integrated tri-tube evaporator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Integrated tri-tube evaporator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5077U
KR20000005077U KR2019980015768U KR19980015768U KR20000005077U KR 20000005077 U KR20000005077 U KR 20000005077U KR 2019980015768 U KR2019980015768 U KR 2019980015768U KR 19980015768 U KR19980015768 U KR 19980015768U KR 20000005077 U KR20000005077 U KR 200000050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pipe
refrigerant
tube
defro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576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봉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800157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5077U/en
Publication of KR200000050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077U/en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의 증발기에 관한 것으로, 열교환효율 및 제상효율의 향상과 소비전력과 제작원가의 절감 그리고 증발실 벽면의 균열이 방지되도록 한 일체형 트라이튜브 증발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vaporator of a refrigerator, and relates to an integrated tritube evaporator structure to improve heat exchange efficiency and defrosting efficiency,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manufacturing cost, and prevent cracking of an evaporation chamber wall.

본 고안에 의한 일체형 트라이튜브 증발기구조는,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관(110)과, 상기 제상관(110)의 양측에 위치하고 냉매가 순환되는 냉매관(120) 그리고 상기 제상관(110)과 냉매관(120)의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핀튜브(130)로 구성되어, 상기 제상관(110), 냉매관(120) 그리고 핀튜브(13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100)가 증발실 벽면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하는 이격수단(140)을 더 구비하며, 상기 이격수단은 냉매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140)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핀튜브(130)는, 제상관(110)을 중심으로 양측에서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도록 하고, 그 배열이 서로 상반되며, 소정각도 경사져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증발기 제작원가의 절감과 공극발생이 저지되어 열교환효율 및 제상효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증발기가 증발실의 벽면에 직접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어 증발실 벽면의 균열이 방지되는 잇점이 있다.The integrated tritube evaporat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frosting pipe 110 for removing frost, a refrigerant pipe 120 located at both sides of the defrosting pipe 110, and a refrigerant circulating therein, and the defrosting pipe 110. Comprising a plurality of fin tubes 130 located between the coolant pipe 120, the defrost pipe 110, the coolant pipe 120 and the fin tube 130 is formed in a technical point. . In addition, the evaporator 100 further comprises a separation means 14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evaporation chamber wall surfac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separation means is composed of a protrusion 140 protruding on one side of the refrigerant pipe, The fin tube 130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defrost pipe 110, the arrangement is opposite to each other, and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refore, the reduction of evaporator manufacturing cost and void generation are prevented to improve heat exchange efficiency and defrosting efficiency, and the evaporator is prevented from coming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wall of the evaporator chamber, thereby preventing cracking of the wall of the evaporator chamber.

Description

냉장고의 일체형 트라이 튜브 증발기구조Integrated tri-tube evaporator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본 고안은 냉장고의 증발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매관, 제상관 그리고 핀튜브를 일체로 형성하고, 증발기실의 내부벽면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증발기를 설치하여 증발기의 열교환효율 및 제상효율의 향상과 소비전력과 제작원가의 절감 그리고 증발실 벽면의 균열이 방지되도록 한 일체형 트라이튜브 증발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vaporator of a refrigerator. More specifically, the refrigerant pipe, the defrost pipe, and the fin tube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evaporator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evaporator chamb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and the defrost efficiency of the evaporator are increa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tritube evaporator structure that improves, reduces power consumption, reduces manufacturing costs, and prevents cracking of the wall of the evaporation chamber.

일반적인 냉장고에서 냉매의 열교환에 의한 냉각작용에 대한 일반적인 원리를 도시한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1 showing a general principle for the cooling action by the heat exchange of the refrigerant in a typical refrigerator as follows.

냉장고에서 냉매는 압축기(미도시), 응축기(미도시) 및 모세관(미도시)을 거쳐 냉동실(1) 후방에 위치한 증발기(10)로 순환되고, 이 증발기(10)에서 주위의 고온냉기와의 열교환작용에 의해 증발된다. 이때, 증발작용에 따른 기화열의 흡수에 의하여 냉장고내의 열이 흡수되고, 이에따라 차가워진 냉기는 송풍팬(1a)의 작동에 의해 냉동실(1) 및 냉장실(4)로 순환되어 냉장고내를 냉각한다.In the refrigerator, the refrigerant is circulated through a compressor (not shown), a condenser (not shown), and a capillary tube (not shown) to the evaporator 10 located behind the freezing chamber 1, and the evaporator 10 is connected to the surrounding hot chiller. Evaporates by heat exchange. At this time, the heat in the refrigerator is absorbed by the absorption of the vaporization heat according to the evaporation action, and the cold air thus cooled is circulated to the freezer compartment 1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4 by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fan 1a to cool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한편, 냉동실(1) 및 냉장실(3)을 순환하는 동안에 더워진 냉기는 다시 증발기(10)가 위치한 증발실(2)의 하부로 유입되어 상부로 유동되면서 증발기(10) 내부를 지나는 냉매와 열교환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냉동실(1) 및 냉장실(3)을 순환한 냉기는 고내의 습기를 함유한 상태에서 귀환덕트(4)를 통하여 증발실(2)의 하부로 복귀하게 되고, 냉기에 함유된 습기는 매우 낮은 온도의 증발기(10)를 거침에 따라, 증발기(10) 표면에 서리의 형태로 달라붙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hot air during the circulation between the freezer compartment 1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3 flows into the lower part of the evaporator chamber 2 in which the evaporator 10 is located and flows upward, thereby exchanging heat with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0. The operation will be repeated. At this time, the cold air circulated through the freezing chamber 1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3 returns to the lower part of the evaporation chamber 2 through the return duct 4 in a state containing moisture in the high temperature, and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cold air is very high. As the evaporator 10 passes through a low temperature, the evaporator 10 sticks to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10 in the form of frost.

이와같은 상태가 누적되면 증발기(10) 표면에 서리가 다량 형성되어, 증발기(10)의 열교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일정시간마다 증발기(10)부에 위치한 제상히터(미도시)를 작동시킴으로써 서리를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을 통칭 제상작용이라 한다.When such a state accumulates, a large amount of frost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10, thereby degrading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of the evaporator 10. Therefore, the frost is removed by operating the defrost heater (not shown) located in the evaporator 10 at a predetermined time. This action is called defrosting.

상기와 같은 냉기생성 및 제상작용이 이루어지는 증발기(10)의 구조를 도시한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With reference to Figures 2a to 2c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evaporator 10 in which the cold air generation and defrosting ac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내부로 저온의 냉매가 지나가는 직선형의 냉매관(12)과, 제상히터(미도시)의 발열에 의한 열을 전달하는 직선형의 제상관(14)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핀튜브(16)를 확관에 의한 방법으로 끼운다.First, a plurality of fin tubes 16 are expan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near coolant tube 12 through which low-temperature coolant passes and the linear defrost tube 14 which transfers heat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defrost heater (not shown). Insert in the way.

상기 핀튜브(16)를 끼움으로서 주위와의 전열면적을 넓혀 냉매관(12)을 통한 냉기의 열교환 또는 재상관(14)을 통한 제상작용의 열교환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함이다.By inserting the fin tube 16, the heat transfer area with the surroundings is widened so as to efficiently perform heat exchange of cold air through the refrigerant pipe 12 or defrosting action through the recorrelation pipe 14.

그리고, 상기의 핀튜브(16)가 결합된 직선형의 냉매관(12)과 제상관(14)을 지그재그형상으로 구부리고, 상기 벤딩된 양측을 지지판(18)에 끼워 냉매관(12)과 제상관(14)을 고정함으로서 증발기(10)를 완성시킨다. 그리고, 지지판(18)의 상단에는 증발실(2) 벽면에 상기 증발기(1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18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나사 등을 이용하여 증발기(10)를 증발실(2) 벽면에 고정하게 된다.Then, the straight refrigerant tube 12 and the defrosting tube 14 to which the fin tube 16 is coupled are bent in a zigzag shape, and both sides of the bent are inserted into the support plate 18 to form the refrigerant tube 12 and the defrosting tube. The evaporator 10 is completed by fixing 14. In addition, a fixing piece 18a for fixing the evaporator 10 to the wall surface of the evaporation chamber 2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late 18. Therefore, the evaporator 10 is fixed to the wall of the evaporation chamber 2 using a screw or the lik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증발기(10)에서, 직선형의 냉매관(12)을 핀튜브(16) 중앙에 형성된 관삽입공(16a)에 삽입되게 한 후, 냉매관(12) 내부를 통해 확관기(미도시)를 이용하여 확관시킴에 따라 냉매관(12)의 외주면이 핀튜브(16)의 관삽입공(16a)의 면에 밀착 접촉되도록 하여 핀튜브(16)를 냉매관(12) 외주면에 설치하는데, 이때 상기 핀튜브(16)와 냉매관(12) 외주면과의 접촉면 사이에는 보통 공극이 생기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evaporator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linear refrigerant tube 12 is inserted into the tube insertion hole 16a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n tube 16, and then expanded through the refrigerant tube 12 inside. As the tube is expanded using a tube (not show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frigerant tube 1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ube insertion hole 16a of the fin tube 16 so that the fin tube 16 is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tube 12. It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t this time, a gap is usually formed between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n tube 16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frigerant tube 12.

그리고, 제상과정동안 발생되는 수분이 상기 공극에 침투되고, 증발기(10)의 냉기 생성과정동안 상기 침투된 수분은 공극에서 착상됨에 따라 부피팽창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다시 제상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성에는 제거되나, 부피팽창이 이루어진 공극은 핀튜브(16)와 냉매관(12) 사이의 열전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한다. 따라서 상기 공극에 의해 증발기(10)의 열교환효율은 매우 나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실지 현재 냉장고의 불량 가운데 많은 부분이 냉기생성을 위하여 냉장고 내부를 순환하여 더워진 순환공기와의 열교환 효율의 저하와 성에제거를 위한 제상효율의 저하가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moisture generated during the defrosting process penetrates the pores, and during the cold air generation process of the evaporator 10, the penetrated water is formed in the pores, thereby causing volume expansion. On the other hand, while the defrosting process is performed again, the castle is removed, but the voids made of the volume expansion prevents heat transfer between the fin tube 16 and the coolant tube 12. Therefor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evaporator 10 is caused to be very bad due to the voids, and in fact, a large portion of the defects of the current refrigerator are lowered in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with the circulated air heated by circulating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to generate cold air. The deterioration of defrosting efficiency for defrosting and defrosting is occupied.

그리고, 상기 종래의 증발기구조는 증발기(10)를 이루는 냉매관(12) 및 제상관(14)과 핀튜브(16)를 따로따로 제작한 후, 상기 핀튜브(16)의 관삽입공(16a)에 냉매관(12)과 제상관(14)을 끼워서 제작하게 되므로 작업이 번거럽고 또한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며, 증발기의 제작비용이 많이드는 문제점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evaporator structure, the refrigerant pipe 12 and the defrost pipe 14 and the fin tube 16 which form the evaporator 10 ar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then the tube insertion hole 16a of the fin tube 16 is formed. Since the production of the refrigerant pipe 12 and the defrost pipe (14) by inserting the) is a cumbersome work, and the work efficiency is low,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roduction cost of the evaporator increases.

또한, 냉장고 내부를 순환한 후, 귀환덕트(4)를 통해 증발실(2)로 유입되는고온의 순환공기는 증발기(10)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면서 증발기(10)와 열교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순환공기의 유동방향과 증발기(10)의 핀튜브(16) 방향이 서로 나란히 수평을 유지하여 증발기(10)를 통과하는 순환공기와 핀튜브(16)와의 충분한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열교환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addition, after circulating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the high temperature circulating air introduced into the evaporation chamber 2 through the return duct 4 is mov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evaporator 10 to the upper part to exchange heat with the evaporator 10. At this time, since the flow direction of the circulating air and the fin tube 16 direction of the evaporator 10 are parallel to each other, sufficient contact between the circulating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0 and the fin tube 16 is not made. Problems with poor performance occur.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냉매관 내부를 지나는 저온냉매와 냉장고 내부를 순환하여 증발실로 유입되는 고온의 순환공기와의 열교환효율 향상과 성에제거를 위한 제상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일체형 드라이튜브 증발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low temperatur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refrigerant pipe and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to improv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high temperature circulating air introduced into the evaporation chamber and the defrosting efficiency for eliminating fros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grated dry tube evaporator structure.

또한 본고안은, 냉매관과 제상관 그리고 핀튜브를 일체로 제작함으로서 작업공수의 감소 및 제작원가의 절감을 도모하고, 냉매관 내부를 지나는 냉매의 냉열이 증발기실 벽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증발실 벽면의 저온균열을 방지한 일체형 트라이튜브 증발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is paper aims to reduce the labor and manufacturing cost by manufacturing the refrigerant tube, the defrosting tube and the fin tube integrally, and to prevent the cooling heat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refrigerant tube directly from the wall of the evaporator chamb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tritube evaporator structure which prevents low temperature cracking of the seal wall.

도 1은 냉기의 순환구조를 보인 종래 냉장고의 측단면도.1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refrigerator showing a circulation structure of cold air;

도 2a는 종래의 증발기구조를 보인 정면도.Figure 2a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vaporator structure.

도 2b는 종래 증발기구조에 사용되는 핀튜브의 정면도.Figure 2b is a front view of the fin tube used in the conventional evaporator structure.

도 2c는 도 2a의 측면도.2C is a side view of FIG. 2A;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증발기구조를 보인 정면도.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vaporat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측면도.4 is a side view of FIG. 3;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증발기 110 : 제상관100: evaporator 110: defrost pipe

120 : 냉매관 130 : 핀튜브120: refrigerant tube 130: fin tube

140 : 돌기 150 : 어큐물레이트140: protrusion 150: accumulate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일체형 트라이튜브 증발기구조는,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관과, 상기 제상관의 양측에 위치하고 냉매가 순환되는 냉매관 그리고 상기 제상관과 냉매관의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핀튜브로 구성되어, 상기 제상관, 냉매관 그리고 핀튜브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따라서 증발기 제작원가의 절감과 공극발생이 저지되어 열교환효율 및 제상효율이 향상되는 잇점이 있다.An integrated tritube evaporat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efrosting tube for removing frost, a refrigerant tub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defrosting tube and the refrigerant circulated between the defrosting tube and the refrigerant tube Comprising a plurality of fin tubes located, the defrosting tube, the refrigerant tube and the fin tub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technical gist. Therefore, the reduction of evaporator manufacturing cost and the prevention of voids have the advantage of improving heat exchange efficiency and defrosting efficiency.

그리고, 상기 증발기가 증발실 벽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게 하는 이격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이격수단은 냉매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로 구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증발기가 증발실의 벽면에 직접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어 증발실 벽면의 균열이 방지되는 잇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vaporator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paration means to b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evaporation chamber wall surface, the separation means is to be composed of a protrusion protruding on one side of the refrigerant pipe. Therefore, the evaporator is prevented from coming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of the evaporation chamber, thereby preventing the evaporation chamber wall from cracking.

또한, 상기 핀튜브는, 제상관을 중심으로 양측에서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도록 하고, 그 배열이 서로 상반되며, 소정각도 경사져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핀튜브와 유동되는 고온냉기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고, 유동흐름이 좋아지는 잇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in tube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defrosting tube, the arrangement is opposite to each other, so that the predetermined angle is formed to be inclined. Therefor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n tube and the hot air that flows is widened, and the flow flow is improved.

다음,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일체형 트라이튜브 증발기구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 3 내지 도 5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tegrated tritube evaporat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FIGS. 3 to 5.

먼저,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은 냉매관, 제상관 및 핀튜브를 일체로 성형하는데 있다. 상기 일체로 이루어진 증발기는, 알루미늄과 같이 그 재질이 비교적 열전달율이 좋고, 사출성형하기 용이한 금속을 사용하여 제작한다. 그리고, 이러한 사출성형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복잡한 금형이 제작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사출성형에 의한 제작과정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rst, the greatest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tegrally form the refrigerant pipe, the defrost pipe and the fin tube. The integrated evaporator is manufactured using a metal having a relatively high heat transfer rate and easy injection molding, such as aluminum. In addition, since various injection molds are manufactured by the injection molding, a descrip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by the injection molding will be omitted.

일체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증발기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관(110)이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제상관(110)의 양측에는 저온의 냉매가 지나가는 냉매관(120)이 위치한다. 상기 제상관(110)과 냉매관(120)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핀튜브(130)가 설치되는데, 상기 핀튜브(130)는 냉매관(120)과 제상관(110)의 전열면적을 넓혀 열교환효율을 향상하기 위한 것이다.In the evaporat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formed, as shown in Figure 4, the defrost pipe 110 for removing the frost is located in the center, the refrigerant pipe passing through the low-temperature refrigerant on both sides of the defrost pipe (110) 120 is located. A plurality of fin tubes 130 are installed between the defrosting pipe 110 and the refrigerant pipe 120, and the fin tubes 130 have a heat exchange area that widens the heat transfer area of the refrigerant pipe 120 and the defrosting pipe 110. It is to improve the efficiency.

상기 핀튜브(130)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 4 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위치한 제상관(110)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핀튜브(130)는 냉매관(120)과 제상관(110)의 사이에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제상관(110) 및 냉매관(120)의 사이에서 수평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서 증발기(10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면서 냉매관(120) 내부의 저온냉매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순환공기가 상기 핀튜브(130)와의 접촉면적이 보다 넓어져 열교환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The fin tube 1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fin tubes 130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efrost pipe 110 located at the center thereof are the refrigerant tubes 120. ) Is formed symmetrically between the defrosting pipe 110 and is installed to be arranged horizontally between the defrosting pipe 110 and the refrigerant pipe (120). A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irculating air that exchanges heat with the low temperature refrigerant inside the refrigerant pipe 120 while flowing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evaporator 100 has a larger contact area with the fin tube 130, thereby improving heat exchange efficiency. Can be.

그리고 증발실로 유입된 순환공기와 접촉하는 상기 핀튜브(130)의 접촉면(132)은 상기 제상관(110) 및 냉매관(120)과 완전히 직각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일정하게 경사져 설치된다. 즉, 상기 핀튜브(130)의 접촉면(132)은 냉매관(120)과 제상관(110)에 대하여 일정한 경사각(약 30°내지 50°)을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접촉면(132)의 경사각에 의해 증발기(100)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되는 순환공기의 유동흐름을 좋아지게 하기 위해서이다. 즉, 상기 핀튜브(130)의 접촉면(132)이 일정하게 경사져 있으므로 유동되는 순환공기는, 상기 경사각에 따라 증발기(100) 하부에서 상부로 일정한 방향으로 흐름을 유지할 수가 있고, 핀튜브(130)의 접촉면(132)에 유동되는 순환공기와의 접촉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ontact surface 132 of the fin tube 130 in contact with the circulating air introduced into the evaporation chamber is not inclined to the defrost pipe 110 and the coolant pipe 120 but is inclined at a constant angle. That is, the contact surface 132 of the fin tube 13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about 30 ° to 50 °) with respect to the refrigerant pipe 120 and the defrost pipe (110), which is of the contact surface 132 This is to improve the flow flow of the circulating air flowing from the bottom of the evaporator 100 to the top by the inclination angle. That is, since the contact surface 132 of the fin tube 130 is inclined at a constant, the circulating air flowing can maintain a flow in a constant direction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evaporator 100 to the upper portion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and the fin tube 130 Contact with the circulating air flowing in the contact surface 132 of can be made more smoothly.

그리고, 상기 핀튜브(130)들 사이의 간격은 유동되는 고온냉기와의 접촉에 의한 열저항과 성애의 착상을 고려하여 적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일예를 들어 상기 핀튜브(130)들 사이의 간격은 약 5-10mm 정도를 유지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pacing between the fin tubes 130 is properly maintained in consideration of the heat resistance and the frost idea due to the contact with the flowing hot and cold. For example, the spacing between the fin tubes 130 is maintained to about 5-10mm.

또한, 중앙에 위치한 제상관(110)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적으로 위치하는 상기 핀튜브(130)들은 각각 교차하도록 배열된다. 즉, 도 4의 좌측냉매관(120)과 제상관(110) 사이에 위치하는 핀튜브(130)들은 정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하고, 중앙의 제상관(110)과 우측냉매관(120) 사이에 위치하는 핀튜브(130)들은 반대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대칭되는 핀튜브(130)들의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됨으로서 증발기(100)의 제작시 전,후면의 뒤바뀜이 방지되고, 또한 유동되는 순환공기가 상기 핀튜브(130)들 사이에서 난류가 형성되어 열교환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in tubes 130, which are symmetrically positioned at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defrosting tube 110 located at the center, are arranged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That is, the fin tubes 130 positioned between the left refrigerant pipe 120 and the defrost pipe 110 of FIG. 4 are position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are located between the center defrost pipe 110 and the right refrigerant pipe 120. The fin tubes 130 are arrang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the directions of the fin tubes 130, which are symmetrical as described above, are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the revers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evaporator 100 is prevented, and the circulating air flows between the fin tubes 130. Turbulence is formed so that heat exchange can be actively performed.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한 제상관(110), 냉매관(120) 및 핀튜브(130)들은, 비교적 열전달이 좋으며 가공성이 좋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일체로서 압출 성형하여 제작하게 된다. 그리고, 일체로 압출성형하여 제작한 후, 적절한 길이마다 벤딩하여 증발기(100)의 제작을 완료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efrost pipe 110, the coolant pipe 120, and the fin tube 130 described above are made of aluminum having good heat transfer and good workability, and are manufactured by extrusion molding as a unit. Then, after integrally extruding and fabricating, bending is performed for each appropriate length to complete the manufacture of the evaporator 100.

즉, 종래의 증발기구조는, 냉매관(12)과 제상관(14) 및 핀튜브(16)를 각각 따로따로 제작한 후, 핀튜브(16)의 관삽입공(16a)에 냉매관(12)과 제상관(14)을 삽입후 확관에 의해 핀튜브(16)를 냉매관(12)과 제상관(14)의 외주면에 밀착시킨 후 벤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하는 종래방법은 작업공수가 많아져 번거럽고 또한 작업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확관에 의한 방법으로는 냉매관(12) 및 제상관(14)의 외주면과 핀튜브(16)와의 접촉부위에 공극이 발생되어 열교환 및 제상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evaporator structure, after the refrigerant pipe 12, the defrost pipe 14 and the fin tube 16 are manufactured separately, the refrigerant tube 12 is inserted into the tube insertion hole 16a of the fin tube 16. ) And the defrosting tube 14 were inserted into the fin tube 16 by the expansion pipe and then bent by closely contact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refrigerant tube 12 and the defrosting tube 14. The conven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the number of labor is increased, and the work efficiency is lowered. In addition, as a method of expansion, air gaps are generated in the contact portions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refrigerant pipe 12 and the defrost pipe 14 and the fin tube 16, thereby degrading heat exchange and defrosting efficiency.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제상관(110)과 냉매관(120) 및 핀튜브(130)들이 일체로 제조가능하게 되어 작업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또한 핀튜브(130)와 냉매관(120) 및 제상관(110)과의 접촉면에 공극의 발생이 저지되어 열교환 및 제상효율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rosting tube 110, the refrigerant tube 120, and the fin tube 130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so that the operation may be more easily performed, and the fin tube 130 and the refrigerant tube 120 may also be manufactured. And the generation of voids in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defrost pipe 110 is prevented it is possible to improve heat exchange and defrosting efficiency.

또한 상기 본 고안에 의한 핀튜브(130)들은, 그 배열이 수평방향으로 이루어져 증발기(100)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는 순환공기와 접촉이 잘 이루어지고, 또한 제상관(110) 및 냉매관(120)과 공극의 발생이 없으므로 유동되는 순환공기와의 열교환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전체적인 열교환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n tube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rrangement is ma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well in contact with the circulating air flowing from the bottom to the upper side of the evaporator 100, and also the defrost pipe 110 and the refrigerant pipe 120 ), And there is no generation of voids, the heat exchange with the circulating air flows actively, so that the overall heat exchange performance can be further improved.

따라서 증발기(100) 전체의 크기를 보다 적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증발기(100) 자체의 구조가 컴팩트화되어 보다 적은 크기로 보다 개선된 열교환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며, 이는 증발기(100) 제조작업에 있어 제조원가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실제 시험제작 결과 제조원가의 약 20%가 절약되는 효과를 보였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form a smaller size of the entire evaporator (100). That is, the structure of the evaporator 100 itself is compacted to have an improved heat exchange effect with a smaller size, which can save manufacturing cost in the evaporator 100 manufacturing operation. As a result of actual trials, about 20% of manufacturing cost was saved.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증발기(100)의 냉매관(120) 일측에는 돌출된 돌기(140)가 형성된다. 이는 상기 증발기(100)가 증발실의 벽면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otruding protrusion 14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frigerant pipe 120 of the evapora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serves to prevent the evaporator 100 from contacting the wall surface of the evaporation chamber.

즉, 완성된 증발기(100)의 설치시, 증발실의 벽면에 밀착하여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증발기(100)의 냉매관(120) 내부를 지나는 냉매에 의한 저온의 열이 증발실의 벽면에 바로 전달되어 증발실 벽면의 균열을 야기할 수가 있다. 또한, 냉매에 의한 저온의 열이 증발실의 벽면에 전달됨에 따라 유동되는 순환공기와의 열효율 저하를 일으킨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증발기(100)가 증발실의 벽면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고안에서 처럼 냉매관(120)의 일측에 돌기(140)를 형성함으로서, 상기 증발기(100)가 증발실에 설치될 때 상기 돌기(140)의 길이만큼 증발실의 벽면과 이격되어 위치하게 되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할 수가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completed evaporator 100 is installed, the evaporator 100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of the evaporator chamber. In this case, low temperature heat by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refrigerant pipe 120 of the evaporator 100 is appli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evaporator chamber. It can be delivered immediately, causing cracks in the walls of the evaporation chamber. In addition, the low temperature heat by the refrigerant is transferr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evaporation chamber, causing a decrease in thermal efficiency with the circulating air flowing.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evaporator 100 is preferably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evaporation chamber. Therefore, by forming the projection 140 on one side of the refrigerant pipe 120, as in the present case, when the evaporator 100 is installed in the evaporation chambe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evaporation chamber by the length of the projection 140. Thus, the above problem can be eliminated.

물론 상기와 같이 증발기(100)의 냉매관(120)에 돌기를 형성하는 대신에 증발기(100)가 설치되는 증발실의 벽면에 일정크기의 돌기를 형성하여 증발기(100)가 증발실의 벽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100)를 증발실의 벽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되게 하는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구조이외에도 여러 가지로 가능할 것이다.Of course, instead of forming a protrusion on the refrigerant pipe 120 of the evaporator 100 as described above, a certain size of protrusion is form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evaporator chamber in which the evaporator 100 is installed, so that the evaporator 100 is form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evaporator chamber. It can also prevent contact. Therefor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evaporator 100 i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evaporation chamb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possible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입되는 좌측냉매관(120)의 상부에는 어큐물레이트(150)가 위치한다. 상기 어큐물레이트(150)는 냉장고의 주위 환경조건별 부하대응을 위한 냉매저장탱크 역할과 일종의 기-액분리기의 두가지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나, 종래의 증발기에도 이와 같은 어큐물레이트(150)는 설치되며, 본 고안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 4, the accumulate 150 is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left refrigerant pipe 120 into which the refrigerant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flows. The accumulate 150 serves as a refrigerant storage tank and a kind of gas-liquid separator for load response according to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refrigerator, but the accumulator 150 is installed in a conventional evaporator. And, since there is no direct relationship with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주로 냉매관(120) 내부를 지나는 냉매와 주위의 고온냉기와의 열교환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제상히터(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생성된 성에를 제거하는 제상작용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것이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증발기구조는 냉기생성 및 제상작용에 있어 동일하게 적용되는 구조인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 description mainly describes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refrigerant pipe 120 and the surrounding high temperature cold, but the same in the defrost action to remove the frost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defrost heater (not shown). Will be applied. In other words, the evaporat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that is applied in the same way in cold air generation and defrosting.

다음,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일체형 트라이튜브 증발기구조에 의한 냉기생성에 따른 열교환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heat exchange process according to the cold air generation by the integrated tritube evaporat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냉장고의 압축기가 구동되어 생성된 저온의 냉매는 약 -30℃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냉매관(120)을 통하여 유입되어 냉매관 내부를 순환하게 된다. 상기 저온의 냉매는 냉매관(120)을 따라 전달되어 순환되면서 증발실로 유입된 고온냉매와 열교환된 후, 다시 압측기측으로 귀환하게 된다.The low temperature refrigerant generated by driving the compressor of the refrigerator maintains a temperature of about −30 ° C. or less, and flows through the left refrigerant pipe 120 to circulate inside the refrigerant pipe as shown in FIG. 4. The low temperature refrigerant is exchanged with the high temperatur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evaporation chamber while being circulated through the refrigerant pipe 120 and then returned to the pressure gauge side.

상기 냉매관(120) 내부를 지나는 저온냉매와 귀환덕트를 통해 증발실의 하부로 유입된 고온냉기와의 열교환과정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heat exchange process with the high temperature coolant introduc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evaporation chamber through the low temperatur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refrigerant pipe 120 and the return duc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일체형 트라이튜브 증발기(100)는, 제상관(110)과 냉매관(120) 사이에 핀튜브(130)들이 위치하므로, 상기 냉매관(120) 내부를 지나는 냉매에 의한 저온의 냉열은 상기 핀튜브(130)들에 전달된다. 즉, 상기 냉매관(120)과 핀튜브(130)들은 일체로 형성되어 직접 접촉하는 구조를 이루므로 열전도에 의해 냉매에 의한 저온의 열이 상기 핀튜브(130)들에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중앙에 위치한 제상관(110) 역시 핀튜브(130)에 의해 냉매관(120)과 연결되어 제상관(110)에도 냉열이 전달된다. 따라서 냉매가 전달되는 동안에는 상기 제상관(110)이 작동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 냉매관(120) 내부의 냉매에 의한 저온의 열은 냉매관(120), 핀튜브(130) 그리고 제상관(110)에 고루 전달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integrated tritube evapora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n tubes 130 are positioned between the defrost pipe 110 and the coolant pipe 120,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coolant pipe 120. Cold heat by low temperature is transmitted to the fin tubes (130). That is, since the refrigerant pipe 120 and the fin tubes 130 are integrally formed to form a direct contact structure, low-temperature heat by the refrigerant is transferred to the fin tubes 130 by heat conduction. Of course, the defrost pipe 110 located in the center is also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pipe 120 by the fin tube 130, the cold heat is also transmitted to the defrost pipe (110). Therefore, since the defrosting pipe 110 is not operated while the refrigerant is being transferred, low temperature heat by the refrigerant inside the coolant pipe 120 is transferred to the coolant pipe 120, the fin tube 130, and the defrost pipe 110. It is delivered evenly.

한편, 냉장고 내부에 보관중인 물품과 열교환되어 고온으로 변한 순환공기는 귀환덕트를 통해 증발실의 하부로 유입된다. 상기 고온의 냉기는 증발실의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되면서 상기 증발기(100)와 열교환을 하게 되는데, 이는 압축기의 구동중에는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증발실의 상부에 위치한 팬이 작동되어 증발실의 하부로 유입된 고온의 순환공기가 상부로 유동되면서 증발기와 열교환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irculating air, which is exchanged with the items stored in the refrigerator and changed to a high temperature, is introduc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evaporation chamber through a return duct. The high temperature cold air flows from the lower part of the evaporation chamber to the upper part to exchange heat with the evaporator 100. While the compressor is driven, a fan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evaporation chamber is operated to the lower part of the evaporation chamber although not shown. As the hot circulating air flows in the upper portion, it can be exchanged with the evaporator.

그러므로, 상기 순환공기가 증발기(100)의 상측으로 유동될 때, 상기 핀튜브(130)들과 서로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핀튜브(130)들은 냉매관(120) 내부를 지나는 저온의 냉매와 열교환되어 상당히 저온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상기 핀튜브(130)들의 배열이 유동되는 순환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보다 크게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순환공기는 증발기(100)의 상부로 유동되면서 핀튜브(130)와 접촉될수록 저온의 냉기로 변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circulating air flows to the upper side of the evaporator 100,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n tubes 130. In this case, the fin tubes 130 are in a state in which heat is exchanged with a low temperatur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refrigerant pipe 120 to maintain a considerably low temperature. In addition, since the arrangement of the fin tubes 130 makes a larger contact area with the circulating air that flows, the circulating air is changed into a cold cooler as it contacts the fin tube 130 while flow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vaporator 100. .

그리고, 상기 제상관(110)을 중심으로 상기 핀튜브(130)들의 배열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동되는 순환공기는 상기 핀튜브(130)들의 배열에 의해 난류가 형성되어 열교환성능이 더욱 촉진된다. 즉, 증발기(100) 상부로 유동되는 순환공기는 상기 핀튜브(130)들의 배열방향이 반대방향이므로 좌측의 핀튜브(130)들 사이로 통과되는 순환공기와 우측의 핀튜브(130)들 사이로 전달되는 순환공기는 유동되는 방향이 서로 어긋나게 된다. 또한 증발기(100) 상부에 위치한 팬의 작동에 의해 순환공기는 상부로 상승되므로 상기 순환공기는 핀튜브(130)들 사이에서 난류가 형성되며, 이는 핀튜브(130)들과의 접촉이 보다 잘 이루어지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열교환성능이 보다 개선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arrangement directions of the fin tubes 130 are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defrosting tube 110, the circulating air flowing therein is formed by the arrangement of the fin tubes 130, so that heat exchange performance is improved. Further promoted. That is, the circulating air flowing in the upper part of the evaporator 100 is transferred between the circulating air passed between the fin tubes 130 on the left side and the fin tubes 130 on the right side because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in tubes 130 is opposite. The circulating air that flows is shifted from each other. In addition, since the circulation air is raised upward by the operation of the fan located above the evaporator 100, the circulation air forms turbulence between the fin tubes 130, which makes contact with the fin tubes 130 better. Since the effect is achieved,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is further improved.

실지 본 고안에 의한 일체형 증발기구조의 시험제작결과 총합 열전달계수가 211%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As a result of the test fabrication of the integrated evaporat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tal heat transfer coefficient was confirmed to be improved by 211%.

그리고, 상기 냉매관(120)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140)에 의해 상기 증발기(100)는 증발실의 벽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므로 증발기(100)의 열교환효율의 향상과 증발실 벽면의 균열을 방지할 수 가 있다. 즉, 냉매관(120) 내부를 지나는 냉매는 약 -30℃이하의 매우 낮은 온도를 유지하는데, 상기 냉매관(120)이 증발실의 벽면과 직접 접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저온의 열이 그대로 증발실의 벽면에 전달된다. 이는 순환공기와 접촉하는 증발기(100)의 열교환성능을 저하시키고, 또한 증발실 벽면은 상기 저온에 의해 균열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돌기(130)에 의해 증발기(100)가 증발실의 벽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므로 상기와 같은 열교환효율 저하와 증발실 벽면의 균열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evaporator 100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evaporation chamber by the protrusion 140 formed at one side of the refrigerant pipe 120,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evaporator 100 is improved and the wall surface of the evaporator chamber is cracked. Can be prevented. That is,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refrigerant pipe 120 maintains a very low temperature of about −30 ° C. or less. When the refrigerant pipe 12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of the evaporation chamber, the low temperature heat remains as it is. Is delivered to the wall. This lowers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of the evaporator 100 in contact with the circulating air, and the wall surface of the evaporation chamber may be cracked by the low temperature. Therefore, since the evaporator 100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evaporation chamber by the protrusion 130, the degradation of heat exchange efficiency and the crack of the evaporation chamber wall surface can be prevent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증발기(100) 상부로 유동되면서 열교환되어 저온의 냉기로 변한 순환공기는 상기 팬의 작동에 의해 냉동실 및 냉장실로 분배되어 냉장고 내부에 보관된 식품을 냉장하게 된다. 그리고, 순화공기와 열교환되어 상기 냉매관(120) 내부를 지나는 냉매는 다소 고온으로 변하여 압축기측으로 전달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irculating air, which is heat-exchanged and changed to low temperature cold as it flows to the upper part of the evaporator 100, is distributed to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by the operation of the fan to refrigerate the food stored in the refrigerator.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refrigerant air and passing through the refrigerant pipe 120 is changed to a high temperature to be delivered to the compressor.

다음은,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일체형 증발기구조에 의한 제상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defrost process by the integrated evaporato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습기를 함유한 순환공기와의 열교환과정 동안에 냉매관(120),제상관(110) 및 핀튜브(130)의 외면 그리고 증발실의 벽면에는 성에가 생성된다. 상기 성에를 제거하기 위하여 수시로 냉장고 내부에 설치된 제상히터(미도시)가 작동하게 되고, 이에 따른 열이 제상관(110)을 통하여 전달되어 증발기(100) 주위의 성에를 녹여 제상수로 변화시키게 된다.During the heat exchange process with the circulating air containing moisture, fros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frigerant pipe 120, the defrost pipe 110 and the fin tube 130, and the wall surface of the evaporation chamber. The defrost heater (not shown) installed inside the refrigerator is often operated to remove the frost, and heat is transferred through the defrost pipe 110 to dissolve the frost around the evaporator 100 to change into defrost water. .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중앙에 위치한 제상관(110)과 양측의 냉매관(120) 사이에는 다수개의 핀튜브들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상히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상관(110)을 통하여 전달된 고온의 열은 상기 핀튜브(130)를 통하여 냉매관(120)과 증발실로 전달되어 성에를 녹이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제상관(110)과 핀튜브(130)들은 직접 접촉하고 있고, 또한 증발기(100)의 구조가 보다 컴팩트하므로 제상관(110)을 통한 열은 핀튜브(130)와 냉매관(120)을 통하여 증발실 전체에 보다 전달이 잘 이루어 질 수 있게되고, 따라서 제상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실지 시험제작 결과에 따르면, 제상효율이 약 50%이상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since a plurality of fin tubes are located between the defrost pipe 110 located in the center and the refrigerant pipes 120 on both sides, the high temperature transmitted through the defrost pipe 1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efrost heater. Heat is transferred to the refrigerant tube 120 and the evaporation chamber through the fin tube 130 to melt the frost. In this case, the defrosting tube 110 and the fin tube 130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and since the structure of the evaporator 100 is more compact, the heat through the defrosting tube 110 is reduced by the fin tube 130 and the refrigerant tube ( Through 120, it is possible to achieve better delivery to the entire evaporation chamber, and thus the defrost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According to the actual test production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defrosting efficiency is improved by about 50% or more.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증발기구조에서는 압축기의 구동에 의한 냉기생성에 따른 열교환효율의 향상과 제상작용에 따른 제상효율이 보다 향상되므로 소비전력 또한 절약될 수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일체형 증발기구조를 시험제작하여 실험한 결과, 냉기생성에 따른 증발기의 열전달계수 향상과 제상효율의 향상에 따른 소비전력은 약 4% 이상 절약되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evaporat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according to the cold air generation by the driving of the compressor and the defrosting efficiency due to the defrosting action are further improved,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As a result of the test fabrication of the integrated evaporat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by about 4%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the evaporator according to the cold air generation and the improvement of the defrosting efficiency.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한 일체형 증발기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In the integrated evaporat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제상관, 냉매관 및 핀튜브가 일체로 성형될 수 있어 증발기의 제작작업이 보다 편리해지고,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defrosting tube, the refrigerant tube and the fin tube can be molded integrally, thus making the evaporator more convenient and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또한, 상기 핀튜브들이 제상관과 냉매관 사이에서 위치되고, 그 배열에 의해 열교환효율과 제상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그에 따른 소비전력의 절감이 이루어지며, 또한 그 구조가 보다 컴팩트화가 가능하므로 제조원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fin tubes are located between the defrosting pipe and the refrigerant pip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and the defrosting efficiency is improved by the arrangement, thereby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and the structure can be more compact. Therefore,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saved.

또 다른 효과로는 상기 증발기가 증발실의 벽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됨으로서 냉매관의 저온 냉열이 증발실 벽면에 직접 전달되지 않아 증발실벽면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nother effect, the evaporator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evaporation chamber so that low temperature cold heat of the refrigerant pipe is not directly transmitted to the evaporation chamber wall, thereby preventing cracking of the wall of the evaporation chamber.

Claims (5)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관과;Defrosting to remove frost; 상기 제상관의 양측에 위치하고, 냉매가 순환되는 냉매관; 그리고Refrigerant pipe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defrost pipe, the refrigerant is circulated; And 상기 제상관과 냉매관의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핀튜브로 구성되고;A plurality of fin tubes positioned between the defrost pipe and the coolant pipe; 상기 제상관, 냉매관 그리고 핀튜브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증발기 구조.Integral evaporato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frost pipe, the refrigerant pipe and the fin tube is formed integral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가 증발실 벽면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하는 이격수단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증발기구조.The unitary evaporator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paration means for allowing the evaporator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all of the evaporation chamb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수단은 냉매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증발기구조.3. The integrated evaporator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eparation means is formed of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refrigerant pipe.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핀튜브는 제상관을 중심으로 양측에서 서로 대응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증발기구조.The unitary evaporator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fin tube is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defrost pip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핀튜브는 그 배열이 서로 상반되며, 소정각도 경사져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증발기 구조.5. The unitary evaporator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fin tubes are arranged opposite each other and ar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KR2019980015768U 1998-08-21 1998-08-21 Integrated tri-tube evaporator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KR20000005077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768U KR20000005077U (en) 1998-08-21 1998-08-21 Integrated tri-tube evaporator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768U KR20000005077U (en) 1998-08-21 1998-08-21 Integrated tri-tube evaporator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077U true KR20000005077U (en) 2000-03-15

Family

ID=69520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5768U KR20000005077U (en) 1998-08-21 1998-08-21 Integrated tri-tube evaporator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5077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11070B (en) Evaporation unit and refrigerator with same
KR100506610B1 (en) Refrigeration apparatus and refrigerator with the refrigeration apparatus
KR20000005077U (en) Integrated tri-tube evaporator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CN1940418B (en) Fixing structure of defrosting heater for refrigerator
WO2021213534A1 (en) Refrigerator
KR100366451B1 (en) Evaporator combined with dual-tube and fins for refrigerator
JPWO2019175965A1 (en) refrigerator
WO2023185609A1 (en) Refrigerator
KR20020038005A (en) Conductible fin for evaporator
KR100377721B1 (en) Integrated evaporator structure for refrigera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20220146155A1 (en) Refrigerator
KR0159713B1 (en) Refrigerator
KR100379165B1 (en) Defrosting apparatus for refrigerator
KR19990032388A (en) Refrigerator and defrost pipe integrated evaporator
KR100309271B1 (en) Condenser
KR100379387B1 (en) Refrigerator with seperational cooling system
KR100377614B1 (en) Refrigerator with efficient air circulation system
KR0124661Y1 (en) Evaporator
JP2006078050A (en) Refrigerator
KR100311370B1 (en) Cold air circulation device for refrigerator
KR20000008566U (en) Heater Fixture for Evaporator in Refrigerator
KR20010009399A (en) Duct of refrigerator
KR20020021912A (en) Conductible tube for evaporator
KR19980017620A (en) Freezer with independent refrigeration, freezing structure
KR20020021913A (en) Conductible fin for evapo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