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4676U - 삼륜자전거 - Google Patents

삼륜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4676U
KR20000004676U KR2019980015206U KR19980015206U KR20000004676U KR 20000004676 U KR20000004676 U KR 20000004676U KR 2019980015206 U KR2019980015206 U KR 2019980015206U KR 19980015206 U KR19980015206 U KR 19980015206U KR 20000004676 U KR20000004676 U KR 200000046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axle
chain
freewheel
whee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52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50472Y1 (ko
Inventor
권영수
Original Assignee
권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수 filed Critical 권영수
Priority to KR20199800152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472Y1/ko
Publication of KR200000046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6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4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472Y1/ko

Links

Landscapes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삼륜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뒤축에 두 개의 바퀴를 두어서 사람이나 짐 등을 실을 수 있도록 한 삼륜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삼륜자전거는 일측 뒷바퀴축부은 공회전수단을 구비하고 타측 뒷바퀴축부은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양 뒷바퀴를 지탱하는 차축과, 프리휠과 브레이크휠을 구비하여 차축에 삽입한 후 프리휠의 위치를 차체의 축선상에서 체인휠과 일직선상에 위치시켜 볼트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단관을 마련한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차축선상에 프리휠과 브레이크휠을 구비한 단관을 결합하여서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체인휠에서 전달받은 동력의 손 실없이 바로 자축에 구비된 뒷바퀴에 전달할 수 있는 것이며, 프리휠과 체인휠을 일직선상에 위치시키는 장홈을 마련한 단관은 프리휠과 체인휠에 연결되어 있는 체인의 이탈 및 늘어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삼륜자전거
본 고안은 삼륜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뒤축에 두 개의 바퀴를 두어서 사람이나 짐 등을 실을 수 있도록 한 삼륜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종래의 자전거 대해서‘도5’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앞바퀴(110)와 연결되어서 좌우로의 회전으로 움직임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핸들(100), 체인휠(200)의 중심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크랭크(210)와 상기 크랭크(210)의 선단에 고정된 페달(220)과, 상기 체인휠(200)의 외측과 연결되며 뒷바퀴(120)의 중심축에 고정된 프리휠(230)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진 체인(240)을 갖는 구동부, 상기 앞바퀴(110)와 뒷바퀴(120) 그리고 구동부와 안장(130)과 핸들(100)등를 연결하여 지탱하는 프레임(140)으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앞바퀴테(111)와 뒷바퀴테(121)에는 핸들(100)의 일측부의 브레이크레버(101)에 연장된 브레이크케이블(102)로 연결되어진 브레이크(103),(104)가 각각 구비되어서 브레이크레버(101)의 작동에 의해 자전거의 뒷바퀴(120)를 제동할 수 있도록 한 제동부로 되어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페달(220)에 올려진 발바닥을 지지점으로 한 대퇴부의 왕복 각운동으로 크랭크(210)와 체인휠(200) 그리고 체인(240)으로 이어지는 동력이 뒤축에 연결되어진 프리휠(230)에 동력을 전달시켜서 자전거의 뒷바퀴(120)를 구동시키도록 한 것이다.
특히, 마운틴 바이크나 로드 레이스와 같이 급한 언덕길을 올라가거나 고속으로 주행해야 하는 상황이 필요없는 농,어촌 지역이나 부피가 큰 일정이상의 짐들을 실어 나르는 사용자에게 있어서의 짐받이 부분은 소량의 짐만을 싣도록 되어 있어서 사용하기에는 미흡한 부분이 아닐 수 없다.
그래서, 후륜부에 리어커등을 연결시켜 사용하는 예가 있으며, 그 문제점으로는 중량의 화물적재부로 인한 구동바퀴의 공회전과, 내리막길 등에서의 불안정한 제동으로 인하여 교통사고가 많이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노년층도 보다 쉽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일정기준이하의 물건이나 사람 등을 실어 나를 수 있도록 하는 삼륜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삼륜자전거의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삼륜자전거의 구동부를 나타낸 부분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삼륜자전거의 차축부분의 결합상태 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삼륜자전거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종래 자전거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삼륜자전거 2-화물적재부
3-프레임 4-고정베어링
10-핸들 11-브레이크레버 12-브레이크케이블 13,14-브레이크 20-앞바퀴 21-체인휠 22-크랭크 23-페달 24-체인 30-일측뒷바퀴 31-일측바퀴축 32-베어링 40-타측뒷바퀴 41-타측바퀴축 42-키이 50-차축 51-저널부 55-고정홈 60-단관 61-프리휠 62-브레이크휠 63-장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앞바퀴를 좌우로 회전시켜 움직임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핸들과, 화물적제부와 안장등을 지탱하는 프레임의 저면에는 체인에 의해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서 일측의 뒷바퀴가 구동하는 두 개의 뒷바퀴를 갖는 삼륜자전거에 있어서,
프레임의 하측면에 차폭만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고정된 두 개의 고정베어링에 양측의 저널부가 각각 삽입되며 일측바퀴축부은 공회전수단을 구비하고 타측바퀴축부은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양 뒷바퀴를 지탱하는 차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체인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프리휠과 제동할 수 있는 브레이크휠을 각각 양측끝부분의 외주면에 구비하고 차축의 외경을 관통하는 내경을 구비하여 차축을 삽입하고 측면에는 장공을 차축의 외주면에는 고정홈을 두어서 프리휠의 위치를 차체의 축선상에서 체인휠과 일직선상에 위치시켜 볼트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단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도1’,‘도2’그리고,‘도3’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본 고안에 따른 삼륜자전거(1)는 이들에 도시한바와 같이, 앞바퀴(20)와 연결되어서 좌우로의 회전으로 움직임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핸들(10)과 핸들(10)의 끝부분에 구비되어 브레이크케이블(12)에 연결된 브레이크(13),(14)에 제동을 걸 수 있도록 조작할 수 있는 브레이크레버(11)를 구비한 조향부와,
체인휠(21)의 양측면 중심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크랭크(22)와, 상기 크랭크(22)의 양쪽 선단에 연결된 페달(23)과, 상기 체인휠(21)의 외측과 연결되며 단관(60)에 구비된 프리휠(61)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진 체인(24)을 갖는 구동부와,
상기 조향부와 구동부와 화물적재부(2)를 연결, 지지하는 프레임(3)으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이때에, 상기 구동부에 대해서 좀더 자세히 설명하여 보이겠다.
페달(23)과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크랭크(22)를 구비한 체인휠(21)과, 체인휠(21)의 외측면을 감고서 동력을 뒷바퀴(30),(40)에 구동할 수 있도록 전달하는 체인(24)과, 프레임(3)의 하측면에 차폭만큼 일정간격으로 이격 되어져 평행하게 고정된 두 개의 고정베어링(4)에 양측의 저널부(51)가 각각 삽입되며 일측뒷바퀴축부(31)는 공회전수단을 구비하고 타측뒷바퀴축부(41)는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양 뒷바퀴(30),(40)를 지탱하는 차축(50)을 구비하였다.
이때에 상기 공회전수단은 일측바퀴(30)의 중심부에 있는 일측바퀴축(31)과 차축(50)의 일측바퀴축부(52)에 베어링(32)을 삽입하여 일측바퀴(30)를 공 회전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타측바퀴(40)의 중심부에 있는 타측바퀴축(41)과 차축(50)의 타측바퀴축부(53)에 키홈(54)을 두고 키이(42)로 결합하여서 차축(50)에 전달받은 동력을 타측바퀴(40)에 전달하여 구동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고정수단에는 미도시된 것으로서 키이 뿐만아니라 스플라인과 세레이션 또는 핀등으로도 대체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차축(50)의 양끝부분에는 와셔(33),(43)와 너트(34),(44)로 조립하여서 양측바퀴(30),(4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인(24)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프리휠(61)과 제동할 수 있는 브레이크휠(62)을 각각 양측끝부분의 외주면에 구비하고 차축(50)의 외경을 관통하는 내경을 구비하여 차축(50)을 삽입하고 측면에는 장공(63)을 차축(50)의 외주면에는 고정홈(55)을 두어서 프리휠(61)의 위치를 차체의 축선상에서 체인휠(21)과 일직선상에 위치시켜 볼트(64)로 고정하도록 한 단관(60)과,
화물적재부(2)의 하측에 구비되어 브레이크휠(62)의 측면을 마찰시켜 제동시키는 브레이크(14)를 구비하였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을 ‘도 4’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페달(23)을 발로 구동시키면 그와 연결된 크랭크(22) 및 체인휠(21)이 회전되고, 상기 체인휠(21)의 외주면에 감겨있는 체인(24)이 동력을 전달받아 프리휠(61)에 전달하여 주는 것이다.
이때, 프리휠(61)은 단관(60)과 결합되어 지고 단관(60)은 차축(50)의 고정홈(55)에 볼트(64)로서 결합되어져 있어서 프리휠(61)과 차축(50)이 동일하게 회전되는 것이다.
또한, 차축(50)에 연결되어 있는 일측바퀴축(31)은 공회전수단에 의해서 공회전 되는 것이며, 타측바퀴(40)는 차축(50)에 전달받은 동력과 동일하게 회전되어 삼륜자전거(1)의 타측바퀴(40)를 구동시킴으로서 삼륜자전거의 특성상 회전시에 뒷바퀴의 회전비가 서로 다른데에 따른 것이다.
또한 단관(60)에 구비된 장공(63)은 체인휠(21)과 프리휠(61)에 감겨있는 체인(24)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체인휠(21)과 프리휠(61)을 일직선상에 맞추어 차축(50)의 고정홈(55)에 장공(63)을 구비한 단관(60)을 볼트(64)로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핸들(10)의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브레이크레버(11)를 작동시키면 브레이크케이블(12)에 연결되어 있는 브레이크(14)가 단관(60)과 결합되어 있는 브레이크휠(62)의 측면을 마찰시켜 차축(50)과 연결되어 있는 뒷바퀴를 제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삼륜자전거(1)는 하나의 차축(50)선상에 프리휠(61)과 브레이크휠(62)을 구비한 단관60)을 결합하여서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체인휠(21)에서 전달받은 동력의 손실없이 바로 차축(50)에 구비된 뒷바퀴(30),(40)에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프리휠(61)과 체인휠(21)을 일직선상에 위치시키는 장공(63)을 마련한 단관(60)은 프리휠(61)과 체인휠(21)에 연결되어 있는 체인(24)의 이탈 및 늘어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노년층도 보다 쉽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일정 기준 이하의 물건이나 사람 등을 실어 나를 수 있는 것으로서 인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귀중한 에너지자원인 휘발류등을 사용치 않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르는 연소 시 발생하는 유해가스등을 배출하지 않아 더 나아가서는 대기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앞바퀴를 좌우로 회전시켜 움직임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핸들과, 화물적제부와 안장등을 지탱하는 프레임의 저면에는 체인에 의해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서 일측의 뒷바퀴가 구동하는 두 개의 뒷바퀴를 갖는 삼륜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의 하측면에 차폭만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고정된 두 개의 고정베어링(4)에 양측의 저널부(51)가 각각 삽입되며 일측바퀴축부(52)은 공회전수단을 구비하고 타측바퀴축부(53)은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양 뒷바퀴(30),(40)를 지탱하는 차축(5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자전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회전수단은 일측바퀴(30)의 중심부에 있는 일측바퀴축(31)과 차축(50)의 일측바퀴축부(52)에 베어링(32)을 삽입하여 일측바퀴(30)를 공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자전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타측바퀴(40)의 중심부에 있는 타측바퀴축(41)과 차축(50)의 타측바퀴축부(53)에 키홈(54)을 두고 키이(42)로 결합하여서 차축(50)에 전달받은 동력을 타측바퀴(40)에 전달하여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자전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24)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프리휠(61)과 제동할 수 있는 브레이크휠(62)을 각각 양측끝부분의 외주면에 구비하고 차축(50)의 외경을 관통하는 내경을 구비하여 차축(50)을 삽입하고 측면에는 장공(63)을 차축(50)의 외주면에는 고정홈(55)을 두어서 프리휠(61)의 위치를 차축(50)선상에서 체인휠(21)과 일직선상에 위치시켜 볼트(64)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단관(6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자전거.
KR2019980015206U 1998-08-13 1998-08-13 삼륜자전거 KR2002504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206U KR200250472Y1 (ko) 1998-08-13 1998-08-13 삼륜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206U KR200250472Y1 (ko) 1998-08-13 1998-08-13 삼륜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676U true KR20000004676U (ko) 2000-03-06
KR200250472Y1 KR200250472Y1 (ko) 2002-02-19

Family

ID=69516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5206U KR200250472Y1 (ko) 1998-08-13 1998-08-13 삼륜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47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182B1 (ko) * 2007-01-03 2007-11-30 김현옥 삼륜 또는 사륜 자전거용 이륜구동형 구동구조
KR100830346B1 (ko) * 2007-01-10 2008-05-20 김현옥 광고홍보용 이륜구동형 삼륜 자전거
KR100869180B1 (ko) * 2007-02-28 2008-11-18 김현옥 자전거용 이륜구동형 구동구조
KR100879236B1 (ko) * 2007-03-07 2009-01-20 김현옥 자전거용 이륜구동형 구동구조
KR100968763B1 (ko) * 2008-02-19 2010-07-08 김현옥 자전거용 이륜구동형 구동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297B1 (ko) 2008-07-31 2010-11-12 김현옥 체인구동형 차동 구동축
KR101973606B1 (ko) * 2018-08-20 2019-09-02 주식회사 트라익스 1개의 구동 휠을 포함한 2개의 뒷바퀴를 구비한 틸팅 삼륜자전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182B1 (ko) * 2007-01-03 2007-11-30 김현옥 삼륜 또는 사륜 자전거용 이륜구동형 구동구조
KR100830346B1 (ko) * 2007-01-10 2008-05-20 김현옥 광고홍보용 이륜구동형 삼륜 자전거
KR100869180B1 (ko) * 2007-02-28 2008-11-18 김현옥 자전거용 이륜구동형 구동구조
KR100879236B1 (ko) * 2007-03-07 2009-01-20 김현옥 자전거용 이륜구동형 구동구조
KR100968763B1 (ko) * 2008-02-19 2010-07-08 김현옥 자전거용 이륜구동형 구동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472Y1 (ko) 2002-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0979B1 (en) Reverse drive system for a three-wheeled vehicle
EP0198297A2 (en) Device for direct driving of wheels
JP2906023B2 (ja) アシストモータ付き自転車における踏力検出装置
CN102216152A (zh) 改进的踏板车和踏板驱动组件
US20020084134A1 (en) Add-on disc assembly for bicycle hub
US6446985B1 (en) Two-wheel-drive bicycle
US3834721A (en) Twin chain drive for tricycles
KR200250472Y1 (ko) 삼륜자전거
US3756338A (en) Gyro-controlled motorcycle
EP0700826A1 (en) Method of controlling assisting motor for bicycle
JP2001515567A (ja) シャフトにより選択的にロックされる歯車を有する歯車装置
KR850005811A (ko) 비엠엑스(bmx) 자전거류의 다단변속장치
US20030188906A1 (en) Swing-steering system for three-wheeled vehicles
US20080115995A1 (en) Anti-lock brake
US4715246A (en) Three speed chainless planetary transmission for pedal-powered vehicles
CN1085860A (zh) 自行车储能制动器
KR100968763B1 (ko) 자전거용 이륜구동형 구동구조
KR100781182B1 (ko) 삼륜 또는 사륜 자전거용 이륜구동형 구동구조
US6983948B2 (en) Human powered device with removable flywheel power unit
US9650106B1 (en) Two wheel drive bicycle with a dual chain-and-sprocket drive mechanism driven by a two-sided paddle-sprocket system
KR860002136B1 (ko) 펀심허브를 이용한 승강 구동 주행식 자전거
GB2246985A (en) Bicycle chain transmission
US9327798B1 (en) Drive system for vehicles
EP4074588A1 (en) A utility vehicle
CN219857505U (zh) 一种自行车脚踏助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