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4159U - Fireproof Damper - Google Patents

Fireproof Damper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4159U
KR20000004159U KR2019990019033U KR19990019033U KR20000004159U KR 20000004159 U KR20000004159 U KR 20000004159U KR 2019990019033 U KR2019990019033 U KR 2019990019033U KR 19990019033 U KR19990019033 U KR 19990019033U KR 20000004159 U KR20000004159 U KR 200000041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fire
shaft
blocking plate
dam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903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75167Y1 (en
Inventor
이운하
Original Assignee
이운하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9980014222U external-priority patent/KR19980059672U/en
Application filed by 이운하 filed Critical 이운하
Publication of KR200000041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15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1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167Y1/en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화재의 발생시 댐퍼의 유로를 차단시키기 위한 차단판이 원활하게 작동되면서 차단판의 차단시 유로가 완벽한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발생되어진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방화용 댐퍼의 유입구 및 유출구 별도의 캡을 각각 부착시켜 방화용 댐퍼의 최초 설치시점에서 천정마감공사가 완료되는 싯점까지 댐퍼본체의 내부로 먼지, 시멘트분진 및 콘크리트 잔유물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댐퍼의 설치후에 그 기능을 안정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방화용 댐퍼에 관한 것으로, 이는 원통체로 구성되어진 댐퍼본체(10)의 유입구(12) 및 유출구(14)의 선단 외주면에 이를 밀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캡(50)이 각각 부착되도록 하고, 상기 댐퍼본체(10) 내부에는 유로를 차단시키기 위한 원판형태의 차단판(20)이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 상기 차단판(20)이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서 축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샤프트(22)는 그 양단이 댐퍼본체(10)의 내주면(16)에 내장 설치된 비철금속재의 부시(24)에 의해 축 고정되어 댐퍼의 설치후 수분에 의한 부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smoothly operate the blocking plate to block the flow path of the damper during the occurrence of fire, and can effectively prevent the spread of the fire generated by the flow path can be maintained effectively when the blocking plate is blocked, and also the damper for fire protection Separate inlets and outlets are attached to the caps to prevent dust, cement dust and concrete residues from entering the damper body from the initial installation of the fire damper to the point where the ceiling finishing work is completed. It relates to a fire damper that can exhibit a stable function, which is a cap 50 for sealing it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12 and outlet 14 of the damper body 10 consisting of a cylindrical body Each of the damper body 10 has a disc-shaped block plate 20 for blocking the flow path in the damper body 10 The shaft 2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haft 22 so that the blocking plate 20 can be axially rotat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and both ends thereof are bushes of non-ferrous metals install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6 of the damper body 1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ft is fixed by (24) to prevent corrosion by moisture after installation of the damper.

Description

방화용 댐퍼{Fireproof Damper}Fire damper {Fireproof Damper}

본 고안은 평상시에는 건물의 환기구 기능을 수행하면서 화재발생시에는 발생되어진 화재가 확산되는 것과 유독가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화(防火)용 댐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방화용 댐퍼의 구조를 개량하여 화재의 발생시 댐퍼의 유로를 차단시키기 위한 차단판의 작동을 원활하게 함과 아울러 댐퍼본체의 유,출입구에 별도의 캡을 부착시켜 댐퍼본체내로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방화용 댐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mper for fire prevention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generated fire and the toxic gas outflow in the event of a fire while performing the ventilation function of the building in normal times, and more specifically for the fire protection The structure of the damper is improved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blocking plate to block the flow path of the damper in the event of a fire, and to attach various caps to the oil inlet and the inlet of the damper body to prevent various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damper body. It is related with the damper for fire prevention.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을 건축하는데 있어서는 화재의 발생시 이를 신속하게 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소화용 스프링클러(Sprinkler)나 소화전과 같은 시설물외에도, 발생되어진 화재가 옆집으로 번져 대형화재로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방화시설물이 의무적으로 시공(소방법규상 20가구이상)되어 지게 된다.In general, in the construction of a multi-unit house, in addition to facilities such as a fire sprinkler or a fire hydrant, which can quickly extinguish a fire when it occurs, the fire that occurs is prevented from spreading to the next door and spreading to a large fire. Certain fire protection facilities will be mandatory construction (more than 20 households in accordance with fire regulations).

상기와 같이 발생되어진 화재가 옆집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화시설물로는 건축물에 배치되어진 화장실이나 욕실등의 환기통로에 설치되는 방화용 댐퍼가 한 예이다.An example of a fire damper installed in a ventilation passage such as a bathroom or a bathroom disposed in a building is an example of a fire prevention facility for preventing the fire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from spreading to the next house.

상기 화장실이나 욕실등에 설치되는 환기통로는 화장실이나 욕실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나 수분등을 외부로 배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기도 하지만 예컨데, 화재의 발생시에는 상기 환기통로를 통하여 화재시 발생되어진 연기나 화염이 전파되면서 불길이 번져 대형화재를 일으키게 되거나 혹은 환기통로를 통하여 유독가스인 연기가 전파되므로 인체에 치명적인 질식사를 일으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Ventilation passages installed in the toilets and bathrooms may also function to discharge odors or moisture generated in the toilets or bathrooms to the outside, for example, in the event of a fire, smoke generated during a fire through the ventilation passages. B. The flame spreads and causes a fire to cause a large fire, or a toxic gas is transmitted through a ventilation passage, which causes fatal asphyxiation.

이러한 문제점에 따라 최근에 들어서는 공동주택을 시공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에서도 열거한 바와같이 건축물에 설치되는 환기통로의 소정위치에 화재시 발생된 화염 및 연기가 옆집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방화용 댐퍼를 설치하게 된다.In order to prevent the propagation of flames and smoke generated in a fir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ventilation passage installed in a building, as mentioned above, in the case of constructing a multi-unit house in recent years, the fire prevention The damper will be installed.

상기 방화용 댐퍼는 그 설치위치가 아파트와 같은 공동건물에 배치되어진 화장실이나 욕실의 천정면에 설치된 환기통로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지게 되는데, 방화용 댐퍼의 설치 방법은 건축물의 천정면을 콘크리트 타설시키는 경우에 매설하게 된다.The fire damper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ventilation passage installed on the ceiling surface of a bathroom or a bathroom in which the installation position is installed in a common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In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fire damper, the ceiling of the building is placed in concrete. It is buried if it is made.

그런데, 상기 건축물의 천정부를 시공할때 방화용 댐퍼를 동시에 매설한후 최종적으로 천정마감공사를 완료하는 시간과의 시차가 대략 6-12개월정도 소요됨으로서, 상기 천정의 콘크리트 타설시 매설되어진 방화용 댐퍼의 유.출입구를 통하여 천정의 마감공사가 완료되는 싯점까지 그 내부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지속적으로 유입됨은 물론, 시멘트나 콘크리트의 잔유물이 댐퍼의 내부로 축적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constructing the ceiling of the building,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of laying the fire damper at the same time and finally completing the finishing of the ceiling is about 6-12 months. Through the oil entrance and exit of the damper,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continuously flow into the interior of the ceiling until the finishing work of the ceiling is completed, as well as the residue of cement or concrete accumulates inside the damper.

또한, 댐퍼본체의 표면에 형성되어진 도장면이 습기등에 의해 쉽게 부식되거나 댐퍼의 내주면을 차단시키기 위한 차단판의 회전축에 부식이 쉽게 발생되어 예컨데, 댐퍼를 설치한 후 화재가 발생되었을 경우 댐퍼의 작동이 불안정하게 이루어져 댐퍼의 유로를 완벽하게 밀폐시켜 주지 못하게 되므로 화배발생시 방화용 댐퍼로서의 기능을 완벽하게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paint surfac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amper body is easily corroded by moisture or corrosion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blocking plate to block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amper. For example, the damper operates when a fire occurs after the damper is installed. Since this is unstable, it is not possible to completely seal the damper flow path,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perform a complete function as a fire damper when a fire occurs.

이밖에도, 방화용 댐퍼의 운반이나 보관시 건축물현장의 콘크리트바닥면에 상기 방화용 댐퍼를 그대로 방치시켜 놓게 됨으로서 댐퍼본체의 도장면이 쉽게 손상되어 발청의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nother problem that when the transport or storage of the fire damper is left as it is on the concrete floor of the building site as it is, the paint surface of the damper body is easily damaged to provide a cause of rusting.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방화용 댐퍼의 구조를 개량하여 화재의 발생시 댐퍼의 유출입구를 관통하는 유로를 차단시키기 위한 차단판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화재의 발생시에 댐퍼의 유로가 완벽한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발생되어진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화용 댐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damper for fire protection so that the blocking plate for blocking the flow path through the outlet inlet of the damper in the event of fire can operate smoothly. 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amper for fire prevention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generated fire by maintaining a complete sealed state of the damper flow path in the event of a fir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화용 댐퍼의 유,출입구에 별도의 캡을 각각 부착시켜 댐퍼의 최초 설치시점에서 천정마감공사가 완료되는 싯점까지 먼지, 시멘트 분진 및 콘크리트 잔유물등이 댐퍼본체의 유.출입구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댐퍼의 설치후에 그 기능을 안정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방화용 댐퍼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ttach a separate cap to the oil inlet and the inlet of the fire damper, respectively, dust, cement dust and concrete residues from the initial installation of the damper to the point where the ceiling finishing work is completed It is to provide a fire damper that does not flow into the oil inlet and outlet so that the function can be stably exhibited after the damper is installed.

상기의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방화용 댐퍼는, 댐퍼본체의 유,출입구선단 외주면에 이를 밀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캡이 각각 부착되도록 하고 상기 댐퍼의 본체 내부에는 유로를 차단시키기 위한 차단판이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 상기 차단판이 소정의 각도범위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샤프트가 그 양단이 댐퍼본체의 내주벽에 내장 설치된 비철금속재의 부시에 의해 축 고정되어 수분에 의한 부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Fire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ap is attached to each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amper main body, the inlet and the outer end of the damper is attached to the blocking plate for blocking the flow path inside the body of the damper The shaft is coupled to be rotatable, the shaft which allows the blocking plate to be rotat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is axially fixed by the bush of the non-ferrous metal material installed at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damper body to prevent corrosion by moistu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prevent.

도 1 - 본 고안에 따른 방화용 댐퍼의 일부절개사시도,1-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fire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 본 고안에 따른 방화용 댐퍼의 결합단면도,Figure 2-combin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damper for fire pro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댐퍼본체 12: 유입구10: damper main body 12: inlet

14: 유출구 16: 내주면14: outlet 16: inner circumference

18: 받침부재 20: 차단판18: support member 20: blocking plate

22: 샤프트 24: 부시22: shaft 24: bush

26,28: 연결고리 30: 스프링26,28: Hook 30: Spring

40: 연결부재 50: 캡40: connecting member 50: cap

100: 방화용 댐퍼100: fire damper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방화용 댐퍼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ire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방화용 댐퍼의 일부절개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방화용 댐퍼의 결합단면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댐퍼본체(10)의 유입구(12), 및 유출구(14)의 선단 외주면에 이를 밀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캡(50)이 각각 부착되어진 것이고, 상기 댐퍼본체(10)의 내부에는 유로를 차단시키기 위한 차단판(20)이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 상기 차단판(20)이 소정의 각도범위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샤프트(22)는 그 양단이 댐퍼본체(10)의 내주면(16)에 내장 설치된 비철금속재의 부시(24)에 의해 축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22)의 양단이 수분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것이다.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fire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ed damper for the fire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let 12 of the damper body 10 And a cap 50 for sealing it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p 14 of the outlet 14 are provided, and the blocking plate 20 for blocking the flow path is axially rotatable inside the damper body 10. The shaft 22, which is coupled to each other and allows the blocking plate 20 to be rotat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has both ends of the non-ferrous metal bush 24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6 of the damper body 10. The shaft 22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corrosion of both ends of the shaft 22 by moisture in advance.

상기 댐퍼본체(10)는 그 내부가 중공부로 구성된 원통체로 구성되어진 것이고, 이 원통체로 구성되어진 댐퍼본체(10)내에는 그 내주면(12)을 차단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원판형태의 차단판(20)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이 차단판(20)은 댐퍼본체(10)의 내주면(16)에 수평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어진 샤프트(22)에 대해 일체로 결합되면서, 상기 차단판(20)의 최초 장착방향은 댐퍼본체(10)의 내주면(16)을 밀봉시키는 수평상태가 아닌 댐퍼본체(10)의 길이방향(수직방향)을 따라 배치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차단판(20)의 일측과 댐퍼본체(10)의 내주면(16)으로부터 각각 연결되어진 연결고리(26)(28)가 일정온도(72도)이상이면 상호 분리되도록 구성되어진 연결부재(4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진 형태로 구성되어진 것이다.The damper body 10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body having a hollow portion inside, the damper body 10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block plate 20 to block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 to be blocked The blockage plate 20 is rotatably installed, and the blockage plate 20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shaft 22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6 of the damper body 10. The first mounting direction of the damper body 10 is not in a horizontal state to seal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6 of the damper body 10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of the damper body 10, the side of the blocking plate 20 and the damper The connecting rings 26 and 28 respectively connect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6 of the main body 10 a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40, which are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72 degrees) or more. will be.

또한, 상기 차단판(20)의 일단과 댐퍼본체(10)의 내주면(16)으로부터 연결되어진 연결고리(28)간에는 스프링(30)이 팽창되어진 상태로 결합됨으로서 화재의 발생시 발생되는 불꽃이 상기 연결부재(40)를 가열시키게 되면, 두 개의 부재로 구성되면서 그 접촉면이 상호 납땜되어진 형태로 구성되어진 연결부재(40)의 납땜부위가 녹아내려 상기 두부재가 각각 분리되면서 스프링(30)인 장력에 의해 수평상태로 조립되어진 상기 차단판(20)이 화재발생시 댐퍼본체(10)의 내주면(16)에 수평상태로 위치변환되면서 댐퍼본체(10)의 유로를 차단시키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between the one end of the blocking plate 20 and the connecting ring 28 connect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6 of the damper body 10 is coupled to the spring 30 in an expanded state, so that a spark generated when a fire is generated is connected. When the member 40 is heated, the soldering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40, which is composed of two members and the contact surfaces are soldered to each other, melts and the two members are separated, respectively, by the tension of the spring 30. When the blocking plate 20 assembled in a horizontal state is positioned in a horizontal stat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6 of the damper body 10 when a fire occurs, the flow path of the damper body 10 is blocked.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연결부재(40)의 단락으로 스프링(30)의 장력에 의해 위치변환 되어지는 차단판(20)이 댐퍼본체(10)의 내주면(16)을 차단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댐퍼본체(10)의 내주면(16)에 ㄱ자형태로 절곡되어진 받침부재(18)가 위치가 상호 뒤바뀐 상태로 180도의 배치간격을 두고 견고하게 용접 결합되어진 구조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blocking plate 20 which is converted by the tension of the spring 30 in the short circuit of the connecting member 40 to block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6 of the damper body 10 The support member 18, which is bent in an L-shap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6 of the damper body 10, is welded firmly at a 180-degree interval with a position of inverted posi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에 따른 방화용 댐퍼는, 그 설치시기가 건축물의 천정면을 콘크리트 타설할 때 동시에 설치되게 되는데 이때 본 고안은 댐퍼본체(10)의 유입구(12) 및 유출구(14)에 캡(50)이 씌우져 있어 콘크리트 타설시 및 콘크리트의 타설이 완료되어 최종적으로 천정의 마감공사가 완료될 때 까지 댐퍼본체(10)의 내부가 외부로 부터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서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지가 않게 된다.Fire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installation time is to be installed at the same time when the concrete ceiling of the building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inlet 12 and the outlet 14 of the damper body (10) The cap 50 is covered on the inside of the damper main body 10 to keep the interior sealed from the outside until concrete finishing and concrete finishing are completed and the finishing work of the ceiling is completed. This will not flow.

또한, 방화용 댐퍼(100)의 시공이 완전하게 완료된 후에도 본 고안은 차단판(20)이 회전될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샤프트(22)의 양단에 비철금속재로 구성된 부시(24)가 댐퍼본체(10)의 내주면(16)상에 내장되어져 있어 상기 연결부위에 부식발생이 없어 실질적으로 화재가 발생되었을 경우 연결부재(40)의 단락과 동시에 상기 샤프트(22)가 부시(24)를 매개로 원활하게 축회전되어지게 됨으로서 이와 일체로 연결되어진 차단판(20)이 신속하게 댐퍼본체(10)의 내주면(16)에 용접결합되어진 받침부재(18)와 밀착되어져 댐퍼본체(10)의 유로를 차단시키게 된다.In addition, even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fire damper 100 is completely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amper body 10 having a bush 24 made of a non-ferrous metal at both ends of the shaft 22 to allow the blocking plate 20 to be rotated. Is built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6 of the shaft so that the shaft 22 smoothly shafts through the bush 24 at the same time as the short circuit of the connecting member 40 when there is no corrosion in the connecting portion and a fire occurs substantially. As it is rotated, the blocking plate 20 integrally connected thereto is quick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member 18 weld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6 of the damper body 10 to block the flow path of the damper body 10. .

이와같이 화재의 발생시 차단판(20)의 위치변동으로 댐퍼본체(100)의 유로가 차단되어지게 됨으로서 화재시 발생되게 되는 화염 및 유독가스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As such, when the fire occurs, the flow path of the damper main body 100 is blocked by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blocking plate 20,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the spread of flame and toxic gas generated during the fire.

아울러 본 고안에 다른 방화용 댐퍼(100)는 댐퍼본체(10)의 유입구(12) 및 유출구(14)의 외주면에 캡(50)이 결합되어 댐퍼본체(10)의 유,출입구(12)(14)를 보호하게 됨으로서 그 부분의 도장면이 유통과정 및 설치과정에서 벋겨지지 않게 되고 또한, 유통 및 보관시에 그 취급이 편리해지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ire damp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ap 50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12 and the outlet 14 of the damper body 10, the oil inlet and outlet 12 of the damper body 10 ( 14), the painted surface of the part is prevented from falling off during distribution and installation, and the handling is convenient during distribution and storage.

본 고안이 최종적으로 설치완료되게 되면 상기 댐퍼본체(10)의 유입구(12) 및 유출구(14)를 밀폐시켰던 캡(50)을 분리하여 배관을 연결시킴으로서 화장식이나 욕실 등의 환기구에 본 고안에 장착완료 시키게 되는 것이다.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finally installed, by separating the cap 50 that sealed the inlet 12 and the outlet 14 of the damper body 10 by connecting the pipe to the ventilator such as cosmetic or bathroo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will be completed.

본 고안에 따른 방화용 댐퍼는 댐퍼본체의 유입구 및 유출구의 선단 외주면에 이를 밀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캡이 각각 부착되도록 하고 상기 댐퍼본체의 내부에는 유로를 차단시키기 위한 원판형태의 차단판이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 상기 차단판이 소정의 각도범위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샤프트는 그 양단이 댐퍼본체의 내주면에 내장 설치된 비철금속재의 부시에 의해 축 고정되어 수분에 의한 부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서, 방화용 댐퍼의 설치후에 화재가 발생되어질 경우 상기 방화용 댐퍼의 유로를 차단시키기 위한 차단판이 샤프트의 양단이 부식되지 않아 신속하게 작동되어 발생된 화재의 확산방지효과를 기대할수 있고, 아울러 화재의 발생시에 차단판이 받침부재에 긴밀하게 밀착됨으로서 댐퍼의 유로가 우수한 밀폐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서 화재시 발생되는 유독가스의 확산을 최대한으로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Fire d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ttached to each of the caps to seal the inlet and outlet of the front end of the damper main body and the disk-shaped blocking plate for blocking the flow path inside the damper body to enable the shaft rotation The shaft, which is coupled to allow the blocking plate to be rotat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is fixed at both ends thereof by a bush of a non-ferrous metal install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amper body to prevent corrosion due to moisture. Therefore, if a fire occurs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fire damper, the blocking plate for blocking the flow path of the fire damper is expected to operate quickly because the both ends of the shaft do not corrode, and the fire can be prevented from spreading. In the event of a block, the blocking plat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By being kept closed when the suhan is that you can reduce the spread of toxic gases generated during a fire in full effect.

또한, 상기 방화용 댐퍼의 유입구 및 유출구의 외주면에는 합성수재재로 구성되는 캡이 각각 결합됨으로서 방화용 댐퍼가 천정면에 최초 매설된후 천정마감공사가 완료되는 싯점까지 상기 댐퍼의 유,출입구에 먼지와 같은 각종 이물질이나 시멘트분진 및 콘크리트 잔유물이 유입되지 않아 댐퍼의 시공후에 차단판이 완전하게 작동될수 있으므로 방화용 댐퍼의 완전한 작동을 보장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동시에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inlet and outlet of the fire damper are combined with a cap made of synthetic resin, respectively, so that the fire damper is first embedded in the ceiling, and then to the oil entrance and exit of the damper until the point where the ceiling finishing work is completed. Various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cement dust, and concrete residues are not introduced, so that the barrier plate can be fully operate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damper, thereby providing the effect of ensuring the complete operation of the fire damper.

Claims (1)

댐퍼본체(10)의 유입구(12) 및 유출구(14)의 선단 외주면에 이를 밀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캡(50)이 각각 부착되도록 하고, 상기 댐퍼본체(10) 내부에는 유로를 차단시키기 위한 원판형태의 차단판(20)이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 상기 차단판(20)이 소정의 각도범위내에서 축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샤프트(22)는 그 양단이 댐퍼본체(10)의 내주면(12)에 내장 설치된 비철금속재의 부시(24)에 의해 축 고정되어 수분에 의한 부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댐퍼.A cap 50 for attaching the cap 50 to the inlet 12 and the outlet 14 of the damper body 10 so as to seal it is attached, and a disc shape for blocking the flow path inside the damper body 10. The blocking plate 20 of the shaft 22 is coupled to be axially rotatable, the shaft 22 to allow the blocking plate 20 to be rotat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of both ends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amper body 10 ( 12) A damper for fire pre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ft is fixed by the bush (24) of the non-ferrous metal material installed in the built-in to prevent corrosion by moisture in advance.
KR2019990019033U 1998-07-30 1999-09-07 Fireproof damper KR200175167Y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222U KR19980059672U (en) 1998-07-30 1998-07-30 Fire damp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222U Division KR19980059672U (en) 1998-07-30 1998-07-30 Fire damp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159U true KR20000004159U (en) 2000-02-25
KR200175167Y1 KR200175167Y1 (en) 2000-03-15

Family

ID=195365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222U KR19980059672U (en) 1998-07-30 1998-07-30 Fire damper
KR2019990019033U KR200175167Y1 (en) 1998-07-30 1999-09-07 Fireproof damper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222U KR19980059672U (en) 1998-07-30 1998-07-30 Fire damp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80059672U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704Y1 (en) * 2010-01-26 2011-09-21 (주)디.에스.인더스트리 Fire Damper for Air Duct
KR101700089B1 (en) 2016-05-02 2017-01-26 주식회사 남일이엔지 A damper for fire prote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1475A (en) Fire stop device
US8029345B2 (en) Fire stop outlet for small duct, high velocity air distribution systems
KR101597891B1 (en) Water film forming fire protecting doorfram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4928408B2 (en) Drainage piping members and drainage piping structure
JP5350457B2 (en) Drainage piping components and drainage piping structure
JP2007056536A (en) Drain piping structure, drain collecting pipe, and fire-resistant auxiliary member for drain pipe
KR200175167Y1 (en) Fireproof damper
JP5380133B2 (en) Refractory material for piping
KR20000004159U (en) Fireproof Damper
US20070017738A1 (en) Damper with rotary valve
JP5014450B2 (en) Drainage piping structure
JP2007056537A (en) Drain piping structure and resin drain piping joint
JP4942964B2 (en) Drainage piping structure
US20230057561A1 (en) Temporary Protective Device for Fire Protection Sprinklers
KR102231652B1 (en) Fire-fighting firewall system operation system of apartment houses in case of fire
US20060249142A1 (en) Pipe coupling for a venting system
KR101331157B1 (en) Heat collector for head of sprinkler
JP2001161852A (en) Protective cap for sprinkler head
KR20200015430A (en) Sprinkler head for extinguishing fire
JPH07119856A (en) Fire prevention cover for vent valve
JPH06241352A (en) Fire resistant structure of air conditioning pipe passing part of structural body
KR102273405B1 (en) Smoke control system for fire fighting in apartment houses
WO2002090811A9 (en) Device at a fire valve and/or giregas valve
KR101448381B1 (en) Sprinkler head
JP3094704U (en) Fire extinguisher and water discharge member for fire extinguis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