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4116A - Menu service device of satellite broadcast receiver and service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enu service device of satellite broadcast receiver and service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4116A
KR20000004116A KR1019980025517A KR19980025517A KR20000004116A KR 20000004116 A KR20000004116 A KR 20000004116A KR 1019980025517 A KR1019980025517 A KR 1019980025517A KR 19980025517 A KR19980025517 A KR 19980025517A KR 20000004116 A KR20000004116 A KR 20000004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screen
menu
sub
screen data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55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곽창민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25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4116A/en
Publication of KR20000004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116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90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43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via a GHz frequency band, e.g. via satell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PURPOSE: A menu service device of satellite broadcast receiver and service method thereof is provided to easily convert a present menu screen into a main menu screen by one touch. CONSTITUTION: The menu service device of satellite broadcast receiver comprises: a control block(110) generating plural control signals for menu service in response to menu service requiring signal for user interface; a menu generating unit(116) having a main menu screen data comprising plural selection items and plural sub menu screen data comprising plural items, and selectively extracting plural menu screen data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block; the first buffer memory(208) storing a main menu screen data extracted from the menu generating unit; the second buffer memory(210) storing the sub menu screen data extracted from the menu generating unit, and renewing and storing previously stored sub menu screen data into other sub menu screen data whenever other sub menu screen data are extracted; and a unit(212) generating an assistant menu screen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block.

Description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의 메뉴 서비스 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Menu service device and service method thereof in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본 발명은 위성 방송 수신기(일명, 셋탑 박스라 함)에서 메뉴 화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리 구조를 갖는 메뉴 화면의 각종 서브 메뉴 화면상에서 주메뉴 화면으로의 복귀를 원활하게 수행하는 데 적합한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의 메뉴 서비스 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providing a menu screen service in a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also called a set-top box), and more particularly, smoothly returns to the main menu screen on various sub-menu screens of a tree screen menu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nu service apparatus and a service method thereof in a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위성 방송 수신기는 채널 이용의 극대화, 영상 및 음향신호 품질의 개선, 부가 디지탈 서비스 데이터 전송의 용이성 이외에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획기적인 개선을 큰 장점으로 들 수 있다.In addition to maximizing channel utilization, improving video and audio signal quality, and facilitating the transmission of additional digital service data, satellite broadcast receivers can also benefit from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user interface.

또한, 위성 방송 수신기는, 인터넷 셋탑 박스에서 특정 사용자의 인터넷 접속을 제한하는 기법과 같이, 프로그램 시청을 제한할 수 있는 시청 제한 등의 기능을 갖는 데, 여기에서의 프로그램 시청 제한 기법으로서는, 예를들면 등급(rating) 제한 기법, 스펜딩(spending) 제한 기법, 채널 제한 기법, 시청 시간 제한 기법 등이 있으며, 이러한 각종 기능들은 딥(deep) 형태 메뉴 화면을 갖는 기설정된 다수의 메뉴 화면, 예를들면 주메뉴 화면, 관리 옵션 화면, 옵션 메뉴 화면, 등록 시청자 메뉴 화면, 제한 종류 메뉴 화면 등과 같은 각종 메뉴 화면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행된다.In addition, the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has a function such as a parental control that can limit program viewing, such as a technique of restricting a specific user's Internet access in an Internet set-top box. For example, there are a rating limiting technique, a spreading limiting technique, a channel limiting technique, a viewing time limiting technique, and the like. These various functions include a plurality of preset menu screens having a deep menu screen. For example, it is executed through a user interface that provides various menu screens such as a main menu screen, a management option screen, an option menu screen, a registered viewer menu screen, and a limited type menu screen.

여기에서, 딥 형태 메뉴 화면이라는 것은, 다수의 항목을 갖는 특정 메뉴 화면상에서 하나의 항목을 선택할 때 선택된 항목에 상응하는 서브 메뉴 화면이 제공되고, 선택된 서브 메뉴 화면상에서 하나의 항목을 선택할 때 이 선택된 항목에 상응하는 다른 서브 메뉴 화면을 제공하는 등의 방법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형태의 메뉴 화면을 말한다.Here, the dip type menu screen is provided with a sub-menu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tem when selecting one item on a specific menu screen having a plurality of items, and when selecting one item on the selected sub-menu screen. This refers to a menu screen of one type so that the user interface can be performed by providing another sub-menu screen corresponding to the item.

따라서, 종래에는 딥 형태 메뉴 화면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들어 등록된 특정 시청자의 시청 시간을 제한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주메뉴 화면상에 그에 상응하는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면 그에 상응하는 서브 메뉴 화면(이하, 서브#1 메뉴 화면이라 함)이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되고, 다시 사용자가 서브#1 메뉴 화면상에서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면 그에 상응하는 서브 메뉴 화면(이하, 서브#2 메뉴 화면이라 함)이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되며, 이어서 사용자가 서브#2 메뉴 화면상에서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면 그에 상응하는 서브 메뉴 화면(이하, 서브#3 메뉴 화면이라 함)이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형태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Therefore, when a user wants to limit the viewing time of a user interface, for example, a registered registered viewer, using a dip type menu screen, when the user selects one corresponding item on the main menu screen, the corresponding sub screen is displayed. A menu screen (hereinafter referred to as sub # 1 menu screen) is displayed on the monitor, and when the user selects a desired item on the sub # 1 menu screen, the corresponding submenu screen (hereinafter referred to as sub # 2 menu screen) is displayed. ) Is displayed on the monitor. Then, when the user selects a desired item on the sub # 2 menu screen, a corresponding submenu scree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ub # 3 menu screen) is displayed on the monitor. to provide.

상기한 바와같은 과정을 통해 시청 시간 제한을 설정한 후에, 시청 시간 제한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아닌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고자하는 경우, 종래에는 두 가지의 방법, 즉 사용자 조작을 통해 현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종료하고, 다시 조작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주메뉴 화면을 제공받는 방법 또는 상기한 바와같이 현재 디스플레이중인 메뉴 화면이 서브#3 메뉴 화면이라 가정할 때 연속적인 사용자 조작(즉, 이전 화면으로의 복귀 항목 선택)을 통해 서브#3 메뉴 화면 → 서브#2 메뉴 화면 → 서브#1 메뉴 화면 → 주메뉴 화면으로 복귀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After setting the viewing time limit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if a user interface other than the user interface for viewing time restriction is to be performed, conventionally, the present user interface is controlled through two methods, namely, user manipulation. Ending and re-operating to provide the main menu screen for the user interface or as described above, assuming that the menu screen currently being displayed is the sub # 3 menu screen, continuous user operations (ie returning to the previous screen) Select) to return to the sub # 3 menu screen → sub # 2 menu screen → sub # 1 menu screen → main menu screen.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종래 메뉴 화면 서비스 방법중 첫 번째 방법은 비교적 간단한 조작, 즉 현재 진행중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를 종료한 다음 다시 원하는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조작을 통해 주메뉴 화면을 제공받는 과정을 통해 수행, 즉 메뉴 서비스 모드 종료 → 시청 모드 → 메뉴 서비스 모드 실행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 데, 이러한 방법의 경우 사용자 조작은 비교적 간단하지만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의 모드 절환을 필요로 하므로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서비스 모드로의 절환에 불필요하게 과다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first method of the conventional menu screen service method for the user interface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the main menu screen through a relatively simple operation, i.e., exiting the current user interface mode and then again operating for another desired user interface. This is done through the process, that is, exiting the menu service mode → viewing mode → executing the menu service mode. In this method, the user operation is relatively simple, but it requires mode switching in the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There is a problem that unnecessarily excessive time is required for switching to the menu service mode.

또한, 종래의 두 번째 방법은 주메뉴 화면으로의 복귀를 위해 복잡한 사용자 조작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 뿐만 아니라 그를 위해 많은 시간소요가 야기된다는 문제를 갖는다.In addition, the second conventional method has a problem not only of requiring a complicated user operation for returning to the main menu screen but also causing a lot of time for it.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서비스 모드를 수행중일 때 간단한 조작을 통해 임의의 서브 메뉴 화면에서 주메뉴 화면으로 빠르게 전환할 수 있는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의 메뉴 서비스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in the satellite broadcast receiver that can quickly switch from any sub-menu screen to the main menu screen through a simple operation when performing the menu service mode for the user interfac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nu service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서비스 모드를 수행중일 때 간단한 조작을 통해 신속하게 서브 메뉴 화면에서 주메뉴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는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의 메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nu service method in a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which can quickly switch from a sub menu screen to a main menu screen through a simple operation when executing a menu service mode for a user interfa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관점에 따른 본 발명은,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른 제어 블록으로부터의 제어에 의거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서비스 요구신호가 입력되면, 그에 응답하여 메뉴 서비스를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제어 블록; 다수의 선택 항목을 갖는 주메뉴 화면 데이터 및 다수의 항목을 각각 갖는 다수의 서브 메뉴 화면 데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블록으로부터의 제어에 응답하여 다수의 메뉴 화면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인출하는 메뉴 발생 수단; 상기 메뉴 발생 수단으로부터 인출되는 주메뉴 화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 버퍼 메모리; 상기 메뉴 발생 수단으로부터 인출되는 서브 메뉴 화면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의 서브 메뉴 화면 데이터가 기저장된 상태에서 다른 서브 메뉴 화면 데이터가 인출될 때마다 기저장된 서브 메뉴 화면 데이터를 인출된 다른 서브 메뉴 화면 데이터로 갱신하여 저장하는 제 2 버퍼 메모리; 상기 제어 블록으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인출되는 서브 메뉴 화면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간축하여 상기 인출 서브 메뉴 화면보다 적어도 작은 크기를 갖는 보조 메뉴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 및 상기 제어 블록으로부터의 영상 선택 절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인출되는 주메뉴 화면의 일부 영역에 상기 생성된 보조 메뉴 화면을 합성하여 혼합 메뉴 화면을 생성하거나 혹은 인출되는 상기 주메뉴 화면을 전체적으로 투명하게 하고 인출되는 서브 메뉴 화면을 전체적으로 선명하게 합성하여 다른 혼합 메뉴 화면을 생성하는 영상 출력 수단으로 이루어진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의 메뉴 서비스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menu service for a user interface based on a control from a control block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in a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The control block, when a signal is input, generates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s for a menu service in response thereto; Menu generating means having main menu screen data having a plurality of selection items and a plurality of sub-menu screen data each having a plurality of items, and selectively drawing out a plurality of menu screen data in response to a control from the control block; A first buffer memory for storing main menu screen data drawn from the menu generating means; Stores sub-menu screen data drawn out from the menu generating means, and saves the sub-menu screen data pre-stored each time another sub-menu screen data is drawn out while one sub-menu screen data is pre-stored. A second buffer memory to be updated and stored in the memory; Means for selectively reducing the submenu screen data to be drawn out according to the control from the control block to generate auxiliary menu screen data having a size at least smaller than that of the pullout submenu screen; And in response to the image selection switching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block, synthesizes the generated sub-menu screen to a partial region of the main menu screen to be drawn to generate a mixed menu screen or to make the main menu screen to be totally transpar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nu service apparatus in a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comprising image output means for generating a different mixed menu screen by combining the sub menu screens drawn out clear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주메뉴 화면 및 다수의 서브 메뉴 화면 데이터가 구비된 메뉴 발생기를 갖는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 메뉴 서비스 요구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서브 메뉴 화면 각각은, 상기 주메뉴 화면으로의 자동 복귀를 위해 주화면 복귀 항목을 가지며, 상기 메뉴 서비스 방법은: 시청 모드 또는 대기 모드 상태에서 상기 메뉴 서비스 요구가 입력되면, 다수의 항목을 갖는 상기 주메뉴 화면 데이터를 상기 메뉴 발생기로부터 인출하여 버퍼 메모리에 일시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인출된 주메뉴 화면을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1 과정; 상기 주메뉴 화면의 디스플레이중에 상기 주메뉴 화면에 있는 상기 다수의 항목중 어느 한 항목이 메뉴 서비스 진행을 위한 항목으로 선택될 때, 이 선택 항목에 대응하며 다수의 항목 및 상기 주화면 복귀 항목을 갖는 서브 메뉴 화면 데이터를 상기 메뉴 발생기로부터 인출하여 다른 버퍼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버퍼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주메뉴 화면 데이터를 인출하는 제 2 과정; 상기 인출된 주메뉴 화면을 투명하게 하고 상기 인출된 서브 메뉴 화면을 전체적으로 선명하게 합성하여 생성한 혼합 메뉴 화면을 상기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3 과정; 상기 혼합 메뉴 화면의 디스플레이중에 상기 혼합 메뉴 화면내 상기 주화면 복귀 항목이 선택될 때, 상기 모니터상의 화면을 주메뉴 화면으로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다른 버퍼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서브 메뉴 화면 데이터를 클리어시키고, 상기 제 2 과정 및 제 3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제 4 과정; 및 메뉴 서비스의 진행을 위해, 상기 서브 메뉴 화면내 각 항목에 대응하는 다른 서브 메뉴 화면들이 디스플레이될 때마다 상기 제 2 과정 내지 제 4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제 5 과정으로 이루어진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의 메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nu for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 menu service request in a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having a main menu screen used for a user interface and a menu generator having a plurality of sub-menu screen data. In the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each of the plurality of sub-menu screens has a main screen return item for automatic return to the main menu screen, and the menu service method includes: the menu service in a viewing mode or a standby mode; A first step of, when a request is input, fetching the main menu screen data having a plurality of items from the menu generator and temporarily storing the main menu screen data in a buffer memory and displaying the drawn main menu screen on a monitor; 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tems on the main menu screen is selected as an item for proceeding a menu service during display of the main menu screen, it corresponds to this selection item and has a plurality of items and the main screen return item. A second process of extracting sub-menu screen data from the menu generator and storing the sub-menu screen data in another buffer memory and extracting the main menu screen data stored in the buffer memory; A third step of displaying the mixed menu screen generated by transparently synthesizing the drawn out main menu screen and vividly synthesizing the drawn out sub menu screen on the monitor; When the main screen return item in the mixed menu screen is selected during display of the mixed menu screen, the sub-screen screen data stored in the other buffer memory is cleared at the same time as switching the screen on the monitor to the main menu screen, A fourth process of repeating the second process and the third process; And a fifth process of repeatedly performing the second to fourth processes whenever other sub-menu screens corresponding to each item in the sub-menu screen are displayed to proceed with the menu service. Provide a service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의 메뉴 서비스 장치를 적용하는 데 적합한 전형적인 위성 방송 수신기의 블록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exemplary satellite broadcast receiver suitable for applying a menu service apparatus in a satellite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의 메뉴 서비스 장치의 블록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menu service apparatus in a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메뉴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menu service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in a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뉴 서비스를 수행할 때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주메뉴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ain menu screen displayed on a monitor when performing a menu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뉴 서비스를 수행할 때 모니터상에 주메뉴 화면과 간축된 서브 메뉴 화면이 혼합되어 디스플레이되는 혼합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5 illustrates an example of a mixed screen in which a main menu screen and a reduced sub-menu screen are mixed and displayed on a monitor when performing a menu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뉴 서비스를 수행할 때 주메뉴 화면과 선택 메뉴 화면(서브 메뉴 화면)이 겹쳐져서 디스플레이되는 혼합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6 illustrates an example of a mixed screen in which a main menu screen and a selection menu screen (sub-menu screen) are overlapped and displayed when performing a menu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메뉴 서비스를 수행할 때 주메뉴 화면과 다른 선택 메뉴 화면(다른 서브 메뉴 화면)이 겹쳐져서 디스플레이되는 혼합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ixed screen in which a main menu screen and another selected menu screen (another sub-menu screen) are overlapped and displayed when performing a menu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02 : 튜너 및 복조 블록 104 : MPEG 디코딩 블록102: tuner and demodulation block 104: MPEG decoding block

106 : 비디오 엔코딩 블록 108 : 비디오 처리 블록106: video encoding block 108: video processing block

110 : 제어 블록 112 : 메모리110: control block 112: memory

116 : 메뉴 발생 블록 120 : 영상 출력 블록116: menu generation block 120: video output block

202 : 메뉴 발생기 204 : 메모리 블록202: menu generator 204: memory block

206 : 스위칭 블록 208, 210 : 버퍼 메모리206: switching blocks 208, 210: buffer memory

212 : 데이터 간축 블록212 data reduction block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의 메뉴 서비스 장치를 적용하는 데 적합한 전형적인 위성 방송 수신기의 블록구성도를 나타낸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exemplary satellite broadcast receiver suitable for applying a menu service apparatus in a satellite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동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형적인 위성 방송 수신기는 튜너 및 복조 블록(102), MPEG 디코딩 블록(104), 비디오 엔코딩 블록(106), 비디오 처리 블록(108), 제어 블록(110), 메모리(112), 메뉴 발생 블록(116), 제 3 메모리(118) 및 영상 출력 블록(120)을 포함한다.As shown in the figure, a typical satellite broadcast receiver includes a tuner and demodulation block 102, an MPEG decoding block 104, a video encoding block 106, a video processing block 108, a control block 110, and a memory ( 112, a menu generation block 116, a third memory 118, and an image output block 120.

도 1을 참조하면, 튜너 및 복조 블록(102)은, 위성 방송 수신기의 파워가 온되면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전송 스트림상에 삽입된 안내 패킷(즉, 채널 정보, 프로그램 정보 등)를 추출, 즉 각 채널의 프로그램 넘버를 의미하는 N비트의 프로그램 구분자(PID : program identifier) 정보로 된 프로그램 조합 테이블(PAT : program associated table) 정보를 갖는 채널 정보 패킷 데이터와 특정 채널의 오디오, 비디오, 텍스트 등을 의미하는 N비트의 프로그램 구분자(PID) 정보로 된 프로그램 맵 테이블(PMT : program map table) 정보를 갖는 프로그램 정보 패킷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 추출된 패킷 데이터들에 대해 중간주파로의 변환, 복조 및 오류 정정 등의 과정을 거쳐 전송 스트림으로 복원한 다음 라인 L12를 통해 후술하는 제어 블록(110)으로 제공한다.1, the tuner and demodulation block 102 extracts, i.e., channel information, program information, and the like, inserted into a transport stream received through an antenna when the satellite broadcast receiver is powered on. Channel information packet data having program associated table (PAT) information including N-bit program identifier (PID) information representing a program number of each channel, and audio, video, and text of a specific channel. Extract program information packet data having program map table (PMT) information of N-bit program identifier (PID) information, and convert, demodulate and After restoring to the transport stream through the process of error correction, the process is provided to the control block 110 described later through the line L12.

또한, 튜너 및 복조 블록(102)은 라인 L11을 통해 후술하는 제어 블록(110)으로부터 제공되는 튜닝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도시 생략된 방송신호 수신부(즉, 위성 수신 안테나, 케이블 등)를 통해 수신되는 위성 또는 케이블 방송신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채널을 튜닝하고 이 튜닝된 방송 채널 신호를 전송전의 원신호로 복조하는 데, 이때 위성 방송 신호가 튜닝되는 경우 복조된 위성 방송 채널 신호는 라인 L13을 통해 MPEG 디코딩 블록(104)으로 제공한다.Further, the tuner and demodulation block 102 are received via a broadcast signal receiver (i.e., satellite receiving antenna, cable, etc.), not shown, based on the tuning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control block 110 described later via line L11. The tuned broadcast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is tuned to the satellite or cable broadcast signal, and the tuned broadcast channel signal is demodulated to the original signal before transmission. When the satellite broadcast signal is tuned, the demodulated satellite broadcast channel signal is taken from line L13. Through the MPEG decoding block 104.

다음에, MPEG 디코딩 블록(104)에서는 라인 L13을 통해 상술한 튜너 및 복조 블록(102)으로부터 제공되는 선택된 위성 방송 채널의 압축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 예를들면 비디오 신호의 시,공간적인 상관성을 고려하여 압축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를 가변길이 복호화, 역 DCT, 역양자화, 움직임 보상 등의 복호화 기법을 이용하여 부호화 전의 원신호로 복원하며, 여기에서 복원된 디지탈 위성 방송 비디오 신호는 다음단의 비디오 엔코딩 블록(106)으로 제공제고, 복원된 오디오 신호는 라인 L14를 통해 도시 생략된 오디오 신호 처리기로 제공된다.Next, in MPEG decoding block 104 the spatially and spatially of the compressed and encoded audio and video signals, e.g. video signals, of the selected satellite broadcast channel provided from the above-described tuner and demodulation block 102 via line L13. In consideration of the correlation, the compressed coded video signal is restored to the original signal before encoding using a decoding technique such as variable length decoding, inverse DCT, inverse quantization, and motion compensation, and the digital satellite broadcast video signal reconstructed here is Provided to video encoding block 106, the reconstructed audio signal is provided to line audio signal processor, not shown, through line L14.

그리고, 비디오 엔코딩 블록(106)에서는 상술한 MPEG 디코딩 블록(104)에서 제공되는 선택된 위성 채널의 디지탈 방송 비디오 신호를 NTSC 또는 PAL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한 다음 라인 L15를 통해 출력측의 영상 출력 블록(120)으로 제공한다.The video encoding block 106 converts the digital broadcast video signal of the selected satellite channel provided by the MPEG decoding block 104 described above into an NTSC or PAL analog video signal, and then outputs the image output block 120 on the output side through the line L15. )

다른한편, 제어 블록(110)은, 예를들면 수신기의 전반적인 동작제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으로, 수신기의 파워가 온될 때 라인 L11을 통해 안내 패킷의 획득을 요구하는 신호를 발생하고, 라인 L12를 통해 전송 스트림상에서 추출한 가이드 패킷 데이터들이 입력되면 이들 데이터를 메모리(112)에 순차적으로 저장한다. 즉, 메모리(112)에는 위성 방송에 대한 안내 패킷 데이터들이 저장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block 110 includes, for example, a microprocessor for performing overall operational control of the receiver, generating a signal for requesting acquisition of a guide packet via line L11 when the receiver is powered on, When the guide packet data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is input through the line L12, the data are sequentially stored in the memory 112. That is, the memory 112 stores guide packet data for satellite broadcasting.

또한, 제어 블록(110)에서는 사용자가 시청하고자하는 특정 채널(케이블 방송 채널 또는 위성 방송 채널)을 선택할 때 그에 상응하는 튜닝 제어신호를 라인 L11 상에 발생하게 되는 데, 그 결과 전술한 튜너 및 복조 블록(102)에서는 라인 L11 상의 튜닝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위성 채널 혹은 케이블 채널을 튜닝하게 될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channel (a cable broadcasting channel or a satellite broadcasting channel) that the user wants to watch, the control block 110 generates a corresponding tuning control signal on the line L11. As a result, the above-described tuner and demodulation are generated. Block 102 will tune the satellite or cable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in response to the tuning control signal on line L11.

더욱이, 제어 블록(110)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메뉴 서비스 요구가 있을 때, 그에 상응하는 메뉴 발생 제어신호를 라인 L17 상에 발생하여 메뉴 발생 블록(116)으로 제공하고, 메뉴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각종 제어신호(예를들면, 판독 인에이블 신호, 기록 인에이블 신호, 클리어 신호 등)를 발생하여 메뉴 발생 블록(116)으로 제공하며, 또한 사용자 메뉴 서비스 요구 신호가 입력될 때 라인 L19 상에 영상 출력을 선택(또는 합성)하기 위한 절환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영상 출력 블록(120)으로 제공한다.Further, in the control block 110, when there is a user menu service requ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rresponding menu generation control signal is generated on the line L17 and provided to the menu generation block 116, and various kinds of menu services are provided. Generates a control signal (e.g., read enable signal, write enable signal, clear signal, etc.) and provides it to the menu generation block 116, and also outputs an image on line L19 when a user menu service request signal is input. A switching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or synthesizing) is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image output block 120.

한편, 메뉴 발생 블록(116)은, 본 발명에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부분인 것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서비스 모드시에 제어 블록(110)으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모드에 상응하는 메뉴 화면 데이터를 인출하여 라인 L18을 통해 영상 출력 블록(120)으로 제공하는 데, 이러한 메뉴 발생 블록(116)에서 본 발명에 따라 각종 메뉴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구체적인 동작 과정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하기에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nu generation block 116 is a par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nu corresponding to the mode in response to various control signals provided from the control block 110 in the menu service mode for the user interface The screen data is extracted and provided to the image output block 120 through the line L18. In the menu generating block 116, a detailed operation process of generating various menu screen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3.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의 메뉴 서비스 장치의 블록구성도로써, 메뉴 발생기(202), 메모리 블록(204), 스위칭 블록(206), 제 1 버퍼 메모리(208), 제 2 버퍼 메모리(210) 및 데이터 간출 블록(212)을 포함한다.2 is a block diagram of a menu service apparatus in a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nu generator 202, the memory block 204, the switching block 206, and the first buffer memory 208 are shown in FIG. The second buffer memory 210 and the data extraction block 212 are included.

도 2를 참조하면, 메뉴 발생기(20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서비스 모드시에 도 1의 제어 블록(110)으로부터 제공되는 메뉴 화면 인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모드에 상응하는 메뉴 화면 데이터를 메모리 블록(204)에서 인출하여 라인 L20을 통해 제 1 및 제 2 버퍼 메모리(208) 및 스위칭 블록(210)으로 제공하는 데, 이때 인출되는 데이터가 메뉴 서비스 모드의 개시시에 발생하는 주메뉴 화면 데이터일 때, 스위칭 블록(212)의 접점 a-c가 연결되고, 제 1 버퍼 메모리(208)는 도 1의 제어 블록(110)으로부터의 기록 인에이블 신호(WE1)에 따라 기록 인에이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일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은 형태의 주메뉴 화면 데이터는 라인 L23을 통해 도 1의 영상 출력 블록(120)으로 제공됨과 동시에 제 1 버퍼 메모리(208)에 저장된다. 이때, 제 2 버퍼 메모리(210)는 디스에이블 상태를 유지한다.Referring to FIG. 2, the menu generator 202 stores menu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mode in response to a menu screen out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control block 110 of FIG. 1 in a menu service mode for a user interface. It is withdrawn at block 204 and provided via line L20 to the first and second buffer memory 208 and switching block 210, wherein the withdrawn data is generated at the start of the menu service mode. In this case, the contact ac of the switching block 212 is connected, and the first buffer memory 208 is in a write enable state according to the write enable signal WE1 from the control block 110 of FIG. Thus, as an example, main menu screen data of the type shown in FIG. 4 is provided to the image output block 120 of FIG. 1 through a line L23 and simultaneously stored in the first buffer memory 208. At this time, the second buffer memory 210 maintains the disabled state.

여기에서, 메모리 블록(204)에는 메뉴 서비스를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이용될 다수의 그래픽 메뉴 화면, 예를들어 주메뉴 화면(도 4), 관리 옵션 화면(도 6), 옵션 메뉴 화면(도 7) 등에 대한 데이터가 기저장되어 있으며, 이와같이 저장된 각종 메뉴 데이터들은 도 1의 제어 블록(110)으로부터 판독 인에이블 신호(RE)가 제공될 때 인출되어 상술한 메뉴 발생기(202)로 제공된다.Here, the memory block 204 includes a plurality of graphic menu screens to be used for a user interface for performing a menu service, for example, a main menu screen (FIG. 4), a management option screen (FIG. 6), and an option menu screen (FIG. 7). ), And the various menu data stored in this way are extracted when the read enable signal RE is provided from the control block 110 of FIG. 1 and is provided to the menu generator 202 described above.

또한, 제 1 버퍼 메모리(208)에는 메뉴 서비스 모드시에 발생하는 주메뉴 화면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 이와같이 저장된 주메뉴 화면 데이터는 도 1의 제어 블록(110)으로부터 제공되는 판독 인에이블 신호(RE1)에 따라 판독되어 라인 L21을 통해 도 1의 영상 출력 블록(120)으로 제공되고, 도 1의 제어 블록(110)으로부터 제공되는 클리어 신호(CLR1)에 따라 삭제된다.In addition, main menu screen data generated in the menu service mode is stored in the first buffer memory 208. The main menu screen data stored in this manner is a read enable signal RE1 provided from the control block 110 of FIG. ) And is provided to the image output block 120 of FIG. 1 through line L21, and deleted according to the clear signal CLR1 provided from the control block 110 of FIG.

이때, 메뉴 서비스 모드시에 라인 L20을 통해 인출되는 데이터가 주메뉴 화면 데이터가 아닌 서브 메뉴 화면 데이터(예를들면, 옵션 메뉴 화면 데이터, 등록 시청자 메뉴 화면 데이터 등)일 때, 상기와 마찬가지로 스위칭 블록(212)의 접점 a-c가 연결되고, 제 2 버퍼 메모리(210)는 도 1의 제어 블록(110)으로부터의 기록 인에이블 신호(WE2)에 따라 기록 인에이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일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은 형태의 서브 메뉴 화면 데이터(즉, 옵션 메뉴 화면 데이터)는 라인 L23을 통해 도 1의 영상 출력 블록(120)으로 제공됨과 동시에 제 2 버퍼 메모리(210)에 저장된다. 이때, 제 1 버퍼 메모리(208)는 판독 인에이블 상태, 즉 제어 블록(110)으로부터 제공되는 판독 인에이블 신호(RE1)에 따라 기저장된 주메뉴 화면 데이터가 판독되며, 이 판독된 주메뉴 화면 데이터는 라인 L21을 통해 도 1의 영상 출력 블록(120)으로 제공된다.At this time, when the data drawn out through the line L20 in the menu service mode is not the main menu screen data but sub-menu screen data (for example, option menu screen data, registered viewer menu screen data, etc.), the switching block as described above. The contact ac of 212 is connected, and the second buffer memory 210 is in a write enable state according to the write enable signal WE2 from the control block 110 of FIG. 1. Thus, as an example, the sub-menu screen data (that is, the option menu screen data) of the form as shown in FIG. 6 is provided to the image output block 120 of FIG. 1 through the line L23 and simultaneously with the second buffer memory 210. Are stored in. At this time, the first buffer memory 208 reads the pre-stored main menu screen data according to the read enable state, that is, the read enable signal RE1 provided from the control block 110, and the read main menu screen data. Is provided to the image output block 120 of FIG. 1 via line L21.

즉, 제 2 버퍼 메모리(210)에는 메뉴 서비스 모드시에 발생하는 각종 서브 메뉴 화면 데이터가 그 발생 순서에 따라 갱신 저장되는 데, 이와같이 저장되는 서브 메뉴 화면 데이터는 도 1의 제어 블록(110)으로부터 제공되는 판독 인에이블 신호(RE2)에 따라 판독되어 라인 L25를 통해 도 1의 영상 출력 블록(120)으로 제공되고, 또한 도 1의 제어 블록(110)으로부터 제공되는 클리어 신호(CLR2)에 따라 삭제된다.That is, various sub-menu screen data generated in the menu service mode are updated and stored in the second buffer memory 210 according to the order of occurrence. The sub-menu screen data stored in this way is stored from the control block 110 of FIG. Read according to the read enable signal RE2 provided and provided to the image output block 120 of FIG. 1 via line L25, and also erased according to the clear signal CLR2 provided from the control block 110 of FIG. do.

한편, 메뉴 서비스 모드시에 라인 L20을 통해 인출되는 데이터가, 일예로서 도 5에서 참조부호 A로써 표시된 바와같은, 보조 메뉴로 이용될 메뉴 데이터인 경우, 스위칭 블록(212)의 접점 a-b가 연결된다. 여기에서, 보조 메뉴라는 것은 특정 메뉴 화면상에 있는 다수의 항목중 특정 항목에 커서를 위치시킬 때 해당 특정 항목에 상응하는 서브 메뉴 화면에 존재하는 항목만을 편집(또는 간축)하여 구성한 메뉴를 의미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가 주메뉴 화면상에서 커서를 MANAGER 항목에 위치시킬 때 도 6에 도시된 관리 옵션 화면에서 참조부호 A로써 표시된 항목들만을 편집하여 구성한 메뉴를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ata drawn out through the line L20 in the menu service mode is menu data to be used as an auxiliary menu as indicated by reference A in FIG. 5 as an example, the contact ab of the switching block 212 is connected. . Here, the sub-menu refers to a menu configured by editing (or shortening) only the items existing in the sub-menu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tem when the cursor is placed on the specific item among the plurality of items on the specific menu screen. As shown in FIG. 5, when the user places the cursor on the MANAGER item on the main menu screen, it means a menu configured by editing only the item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A in the management option screen shown in FIG. 6.

즉, 데이터 간축 블록(212)에서는 보조 메뉴의 발생이 필요할 때 스위칭 블록(206)의 접접 a-b를 통해 제공되는 서브 메뉴 화면 데이터를 선택 항목들로만 구성된 보조 메뉴 화면 데이터로 재구성, 일예로써 보조 메뉴로써 이용될 서브 메뉴 화면 데이터가 도 6에 도시된 관리 옵션 화면 데이터라고 가정할 때, 도 6의 참조부호 A 부분에 해당하는 보조 메뉴 화면(즉, 도 5의 A부분) 데이터로 재구성하여 라인 L23을 통해 도 1의 영상 출력 블록(120)으로 제공한다.That is, the data reduction block 212 reconfigures the sub-menu screen data provided through the contact ab of the switching block 206 into auxiliary menu screen data composed only of selection items when the auxiliary menu needs to be generated, and serves as an auxiliary menu as an example. Assuming that the sub-menu screen data to be represented is the management option screen data shown in FIG. 6, the sub-menu screen data is reconfigured to sub-menu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A of FIG. Provided to the image output block 120 of FIG.

상기와 같이 보조 메뉴 데이터가 라인 L23을 통해 발생할 때, 주메뉴 화면의 구성을 위해 라인 L21을 통해 주메뉴 화면 데이터가 발생하거나 혹은 투명한 주메뉴 화면과 선명한 서브 메뉴 화면이 합성된 혼합 메뉴 화면의 구성을 위해 라인 L21 및 L25를 통해 주메뉴 화면 데이터 및 서브 메뉴 화면 데이터가 동시에 발생한다.When the auxiliary menu data is generated through the line L23 as described above, the main menu screen data is generated through the line L21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menu screen, or the composition of the mixed menu screen in which the transparent main menu screen and the clear sub-menu screen are combined. For this purpose, the main menu screen data and the sub-menu screen data are generated simultaneously through the lines L21 and L25.

다른한편, 도 1의 영상 출력 블록(120)에서는, 라인 L19를 통해 제어 블록(110)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출력 선택을 위한 절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라인 L15, L18(즉, 도 2의 라인 L21, L23, L25) 상의 영상을 선택적으로 절환하거나 혹은 합성하여 출력한다. 즉, 현재 시청 모드가 방송 모드일 때 라인 L15를 통해 제공되는 튜닝된 위성 채널의 영상을 출력으로 선택하고, 메뉴 서비스 모드일 때 L18 상의 메뮤 화면 데이터(도 4) 또는 합성된 혼합 메뉴 화면 데이터(도 5 내지 도 7)를 출력으로 선택하며, 여기에서 선택되는 방송 채널의 영상 데이터, 메뉴 화면 데이터 또는 혼합 메뉴 화면 데이터는 도시 생략된 디스플레이측으로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image output block 120 of FIG. 1, in response to a switching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an image output provided from the control block 110 via the line L19, the lines L15 and L18 (that is, the line L21 of FIG. 2). , L23, L25) to selectively switch or synthesize the image output. That is, when the current viewing mode is the broadcast mode, the image of the tuned satellite channel provided through the line L15 is selected as an output, and in the menu service mode, the memu screen data on the L18 (FIG. 4) or the synthesized mixed menu screen data ( 5 to 7) is selected as an output, and image data, menu screen data, or mixed menu screen data of the broadcast channel selected here are provided to the display side, not shown.

따라서, 도시 생략된 디스플레이측의 모니터에는 위성 방송 채널의 영상 신호가 디스플레이되거나 또는 일예로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은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것이다.Accordingly, an image signal of a satellite broadcast channel may be displayed on a monitor on the display side, not shown, or a menu screen as shown in FIGS. 4 to 7 may be displayed as an example.

다음에,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메뉴 서비스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메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a process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menu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menu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메뉴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menu service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in a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메뉴 서비스 방법은 위성 방송 수신기에 채용되는 어떤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도 적용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증진을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관리자가 등록 시청자의 시청 시간을 제한하고자하는 경우에 대해 일예로서 설명하고자 한다.First, the menu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user interface employed in the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the purpos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the administrator intends to limit the viewing time of the registered viewer. The cas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3을 참조하면, 위성 방송 수신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위성 방송 프로그램을 방영하는 시청 모드 상태일 때(단계 302), 제어 블록(110)에서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시청 제한을 위한 메뉴 서비스 요구신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데(단계 304), 이 단계(304)에서의 체크결과 메뉴 서비스 요구신호가 입력되면 제어 블록(110)으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도 2의 메모리 블록(204)으로부터 주메뉴 화면 데이터가 인출되며, 이와같이 인출된 주메뉴 화면 데이터는 제 1 버퍼 메모리(208)에 저장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측으로 제공된다(단계 306). 따라서, 모니터상에는, 일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수의 선택 항목(즉, GUIDE 항목, MINI-GUIDE 항목, MANAGER 항목, CALENDER 항목 등)을 포함하는 주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단계 308). 이때, 도 2의 스위칭 블록(206)은 접점 a-c가 연결된 상태이고, 제 2 버퍼 메모리(210)는 디스에이블 상태이다.Referring to FIG. 3, when the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is in a viewing mode in which a satellite broadcasting program selected by a user is broadcasted (step 302), the control block 110 receives a menu service request signal for limiting viewing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Step 304), if the check result menu service request signal is input in step 304, the main menu screen from the memory block 204 of Fig. 2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rol from the control block 110. Data is retrieved, and the extracted main menu screen data is stored in the first buffer memory 208 and provided to the display side (step 306). Thus, on the monitor, as shown in FIG. 4 as an example, a main menu screen including a plurality of selection items (that is, GUIDE item, MINI-GUIDE item, MANAGER item, CALENDER item, etc.) is displayed (step 308). . In this case, the switching block 206 of FIG. 2 is in a state where the contacts a-c are connected, and the second buffer memory 210 is in a disabled state.

이와같이 주메뉴 화면이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되면, 제어 블록(110)에서는 항목 선택에 사용되는 커서가 어떤 항목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데(단계 310), 이 단계(310)에서의 체크 결과 커서가 어떤 항목, 예를들어“MANAGER 항목”에 위치하면, 스위칭 블록(206)의 접점이 a-b로 절환되고 메모리 블록(204)에서 인출된“MANAGER 항목”에 대응하는 서브 메뉴 화면 데이터는 데이터 간축 블록(212)을 통해 보조 메뉴 화면용 데이터로써 간축된 다음 L23을 통해 영상 출력 블록(120)으로 제공된다. 이와 동시에, 제어 블록(110)으로 부터의 판독 인에이블 신호(RE1)에 따라 제 1 버퍼 메모리(208)에서 판독된 주메뉴 화면 데이터는 라인 L21을 통해 영상 출력 블록(120)으로 제공된다.When the main menu screen is displayed on the monitor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block 110 checks whether or not the cursor used to select the item is located (step 310), and the result of the check in this step 310 Is located at an item, for example, a "MANAGER item", the submenu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MANAGER item" switched in the switching block 206 to ab and withdrawn from the memory block 204 is a data reduction block. It is reduced as data for the sub menu screen through 212 and then provided to the image output block 120 through L23. At the same time, the main menu screen data read from the first buffer memory 208 is provided to the image output block 120 via the line L21 in accordance with the read enable signal RE1 from the control block 110.

따라서, 도 1의 영상 출력 블록(120)에서는, 라인 L19를 통해 제어 블록(110)으로부터 제공되는 선택 절환 제어신호에 따라, 라인 L23을 통해 제공되는 보조 메뉴 화면 데이터를 라인 L21을 통해 제공되는 주메뉴 화면의 소정 부분에 합성함으로써, 주메뉴 화면 데이터와 보조 메뉴 화면 데이터가 합성된 혼합 메뉴 화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측으로 전달한다. 그 결과, 도시 생략된 모니터상에는, 일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메뉴 화면의 일부에 보조 메뉴 화면(참조부호 A)이 합성된 혼합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단계 312).Accordingly, in the image output block 120 of FIG. 1,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switching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control block 110 through the line L19, the auxiliary menu screen data provided through the line L23 is provided through the line L21. By combining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enu screen, the mixed menu screen data obtained by combining the main menu screen data and the sub menu screen data is transferred to the display side. As a result, on the monitor not shown, as shown in FIG. 5 as an example, a mixed menu screen on which a submenu screen (reference A) is synthesized is displayed on a part of the main menu screen (step 312).

즉, 본 발명에서는 주메뉴 화면상에서 커서가 각 선택 항목으로 이동될 때마다 커서가 위치하는 해당 항목에 대응하는 보조 메뉴 화면(즉, 해당 항목에 대응하는 서브 메뉴 화면내에 존재하는 선택 항목들로 된 메뉴 화면)이 주메뉴 화면상의 일부분에 합성되어 디스플레이된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ever the cursor is moved to each selection item on the main menu screen, the submenu scree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item on which the cursor is located (that is, the selection items existing in the submenu scree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item) is used. Menu screen) is displayed composited to a part of the main menu screen.

다음에, 제어 블록(110)에서는 주메뉴 화면상에 있는 다수의 항목들중 임의의 어느 항목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데(단계 314), 이 단계(314)에서의 체크 결과, 하나의 항목, 예를들어“MANAGER 항목”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블록(110)으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도 2의 메모리 블록(204)으로부터 선택된“MANAGER 항목”에 대응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은 관리 옵션 화면 데이터가 인출되며, 이와같이 인출된 관리 옵션 화면 데이터는 제 2 버퍼 메모리(210)에 저장됨과 동시에 스위칭 블록(206)의 접점 a-c를 경유하여 디스플레이측으로 제공된다(단계 316). 이와 동시에, 제어 블록(110)으로 부터의 판독 인에이블 신호(RE1)에 따라 제 1 버퍼 메모리(208)에서 판독된 주메뉴 화면 데이터는 라인 L21을 통해 영상 출력 블록(120)으로 제공된다.Next, the control block 110 checks whether any of the plurality of items on the main menu screen is selected by the user (step 314), and the result of the check in this step 314. If one item, for example, a "MANAGER item" is determined to be selected, it is shown in FIG. 6 that corresponds to the "MANAGER item" selected from the memory block 204 of FIG. 2 under control from the control block 110. The management option screen data as described above is extracted, and the extracted management option screen data is stored in the second buffer memory 210 and provided to the display side via the contact ac of the switching block 206 (step 316). At the same time, the main menu screen data read from the first buffer memory 208 is provided to the image output block 120 via the line L21 in accordance with the read enable signal RE1 from the control block 110.

따라서, 도 1의 영상 출력 블록(120)에서는, 라인 L19를 통해 제어 블록(110)으로부터 제공되는 선택 절환 제어신호에 따라, 라인 L23을 통해 제공되는 관리 옵션 화면 데이터와 라인 L21을 통해 제공되는 주메뉴 화면 데이터를 합성, 즉 주메뉴 화면이 투명하게 나타나고 선택된 서브 메뉴 화면인 관리 옵션 화면이 선명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두 화면 데이터를 합성한 다음, 이 합성된 혼합 메뉴 화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측으로 전달한다.Accordingly, in the image output block 120 of FIG. 1,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ion switching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control block 110 through the line L19, the management option screen data provided through the line L23 and the main provided through the line L21. Combining the menu screen data, that is, the two screen data are synthesized so that the main menu screen appears transparent and the management option screen, which is the selected submenu screen, appears clearly, and then transfers the synthesized mixed menu screen data to the display side.

그 결과, 도시 생략된 모니터상에는, 일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메뉴 화면이 투명하게 드러나고 다수의 선택 항목(즉, System test 항목, Equipment Set up 항목, Locks and limits 항목, Mail 항목, Data service 항목)과“To. main menu”(주메뉴 화면으로의 복귀 항목)(6a)을 포함하는 관리 옵션 화면(즉, 서브 메뉴 화면)이 선명하게 드러나는 형태로 합성된 혼합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단계 318).As a result, on the monitor not shown, as shown in FIG. 6 as an example, the main menu screen is displayed transparently, and a plurality of selection items (that is, System test item, Equipment Set up item, Locks and limits item, Mail item, Data service item) and “To. The mixed menu screen synthesized in a form in which the management option screen (ie, the sub-menu screen) including the main menu ”(return item to the main menu screen) 6a is clearly displayed is displayed (step 318).

여기에서,“To. main menu”항목은 사용자가 커서를 이용해 선택할 때 주메뉴 화면으로 바로 전환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항목인 것으로, 이러한“To. main menu”항목은 본 발명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서비스 모드에 관련된 거의 모든 서브 메뉴 화면상에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어떠한 경우의 서브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일지라도 사용자가 해당 서브 메뉴 화면에 있는“To. main menu”항목을 선택하게 되면, 중간 과정(즉, 종래 방법에서와 같이 단계적으로 진행된 이전 서브 메뉴 화면들로의 순차적인 복귀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주메뉴 화면으로 이동(전환)하게 된다.Here, “To. main menu ”is an item that provides a function to switch directly to the main menu screen when the user makes a selection using the cursor. main menu ”item is present on almost all submenu screens related to the menu service mode for the user interfa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sub menu screen is displayed in any case, the user may select “To. main menu ”item, the main menu screen is directly moved (switched) without going through an intermediate process (i.e., a sequential return process to the previous sub-menu screen which is performed step by step as in the conventional method).

따라서, 제어 블록(110)에서는 서브 메뉴 화면, 즉 관리 옵션 화면이 디스플레이중일 때 주메뉴 화면으로의 복귀를 위한“To. main menu”항목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데(단계 320),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To. main menu”항목이 선택되면, 제 2 버퍼 메모리(210)에 저장되어 있는 서브 메뉴 화면 데이터(즉, 관리 옵션 화면 데이터)를 클리어시킨 다음(단계 322), 처리는 전술한 단계(308)로 진행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그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control block 110, when the sub-menu screen, i.e., the management option screen, is being displayed, the "To. main menu ”item is selected (step 320), and the check here shows“ To. main menu ”item is selected, the submenu screen data (ie, management option screen data) stored in the second buffer memory 210 is cleared (step 322), and the processing proceeds to step 308 described above. And the subsequent process is repeat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한편, 제어 블록(110)에서는 상기한“To. main menu”항목의 선택 여부 체크와 병행하여 관리 옵션 화면상에 있는 다수의 항목들중 임의의 어느 항목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데(단계 324), 이 단계(324)에서의 체크 결과, 하나의 항목, 예를들어 도 6에서 사선으로 표시된 바와같은“Locks and limits 항목”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블록(110)으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도 2의 메모리 블록(204)으로부터 선택된“Locks and limits 항목”에 대응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은 옵션 메뉴 화면 데이터가 인출되며, 이와같이 인출된 옵션 메뉴 화면 데이터는 제 2 버퍼 메모리(210)에 저장(즉, 제 2 버퍼 메모리(210)에 기저장된 관리 옵션 화면 데이터가 옵션 메뉴 화면 데이터로 갱신)됨과 동시에 스위칭 블록(206)의 접점 a-c를 경유하여 디스플레이측으로 제공된다(단계 326). 이와 동시에, 제어 블록(110)으로 부터의 판독 인에이블 신호(RE1)에 따라 제 1 버퍼 메모리(208)에서 판독된 주메뉴 화면 데이터는 라인 L21을 통해 영상 출력 블록(120)으로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trol block 110, "To. main menu ”item is checked in parallel with checking whether any item among a plurality of items on the management option screen is selected by the user (step 324). As a result of the check, if it is determined that one item, for example, the "Locks and limits item" as indicated by the diagonal line in FIG. 6, is selected from the memory block 204 of FIG. 2 according to the control from the control block 110. The option menu screen data as shown in FIG. 7 corresponding to the “Locks and limits item” is retrieved, and the extracted option menu screen data is stored in the second buffer memory 210 (that is, the second buffer memory 210). The management option screen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control panel) is updated to the option menu screen data) and provided to the display side via the contact ac of the switching block 206 (step 326). At the same time, the main menu screen data read from the first buffer memory 208 is provided to the image output block 120 via the line L21 in accordance with the read enable signal RE1 from the control block 110.

그런다음, 처리는 전술한 단계(318)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 즉 모니터상에는, 일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메뉴 화면이 투명하게 드러나고 다수의 선택 항목(즉, Lock all limits 항목, Change Password 항목, Edit viewer Limits 항목, Add new viewer 항목, Delete viewer 항목)과“To. main menu”(주메뉴 화면으로의 복귀 항목)(7a)을 포함하는 옵션 메뉴 화면(즉, 서브 메뉴 화면)이 선명하게 드러나는 형태로 합성된 혼합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것이다.The process then returns to step 318 described above and repeats the subsequent process, i.e. on the monitor, as shown in FIG. 7 as an example, the main menu screen is transparent and multiple selection items (i.e., Lock all limits, Change Password, Edit viewer Limits, Add new viewer, Delete viewer) and “To. The mixed menu screen synthesized in such a way that the option menu screen (ie, the sub-menu screen) including the main menu ”(return item to the main menu screen) 7a is clearly displayed will be displayed.

즉, 상술한 단계(318) 내지 단계(326)의 계속적인 반복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해 자신이 원하는 서브 메뉴 화면으로의 접근을 수행하게 되며, 자신이 원하는 최종 서브 메뉴 화면이 제공되면, 등록 시청자의 시청 시간 제한을 위한 각종 조작을 수행하게 될 것이며, 이러한 과정들은 사용자에 의한 서비스 종료가 요구될 때까지 수행될 것이다.That is, through continuous repetition of the above-described step 318 to step 326, access to the desired sub-menu screen for the user interface is performed, and if the final sub-menu screen desired is provided, the registered viewer Various operations for limiting viewing time of the user will be performed, and these processes will be performed until service termination by the user is required.

이때, 전술한 주메뉴 화면에서 임의의 항목에 커서가 위치할 때 해당 항목에 대응하는 서브 메뉴 화면에 대한 보조 메뉴 화면이 주메뉴 화면상에 합성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서브 메뉴 화면(예를들면, 관리 옵션 화면)상의 임의의 항목에 커서가 위치할 때 해당 항목에 대응하는 서브 메뉴 화면(예를들면, 옵션 메뉴 화면)에 대한 보조 메뉴 화면(옵션 메뉴 화면에서 선택 항목들로만 구성된 화면)이 주메뉴 화면상에 합성되어 디스플레이된다.At this time, when the cursor is positioned on any item in the aforementioned main menu screen, the submenu screen (for example, the submenu screen for the submenu scree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item is synthesized and displayed on the main menu screen). When the cursor is positioned on any item on the management option screen, the submenu screen (the screen consisting of only the selection items on the option menu screen) for the submenu screen (e.g., the option menu screen) corresponding to the item is displayed. It is synthesized and displayed on the menu screen.

따라서, 단계(328)에서의 체크 결과,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서비스 요구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처리는 단계(330)로 진행되어 현재 디스플레이중인 메뉴 화면(즉, 서브 메뉴 화면)을 오프시키고 이전의 시청 모드로 자동 절환된다.Therefore, if the service request end signal is input in accordance with the user operation as a result of the check in step 328,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30 to turn off the currently displayed menu screen (i.e., the sub-menu screen) and view the previous view. It automatically switches to mod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메뉴 서비스 방법은, 상기와는 달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서비스의 제공시에 서비스 요구 종료 신호가 입력되지 않더라도 기설정된 소정시간(예를들면, 20초, 30초 등) 동안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진행을 위한 다른 키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메뉴 서비스 모드를 중단하여 현재 디스플레이중인 서브 메뉴 화면을 오프시키고 위성 방송 수신기를 시청 모드로 자동 절환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nu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above, even if the service request termination signal is not input when providing the menu service for the user interface,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20 seconds, 30 seconds, etc.) If no other key signal is input for the progress of the user interface, the menu service mode may be automatically interrupted to turn off the currently displayed submenu screen and to automatically switch the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to the viewing mode.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서비스를 제공할 때 선택적으로 절환되는 각종 서브 메뉴 화면에 주메뉴 화면을 투명 상태로 합성하여 디스플레이시키고, 또한 각종 서브 메뉴 화면상에 주메뉴 화면으로의 직접 복귀를 위한 선택 항목을 구비함으로써, 주메뉴 화면으로의 복귀가 필요할 때마다 어떤 경우의 서브 메뉴 화면에서도 단 한 번의 간단한 사용자 조작을 통해 현재의 서브 메뉴 화면 상태를 주메뉴 화면 상태로 간단하게 전환 할 수 있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이용 편리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provides a menu service for a user interface, a main menu screen is synthesized and displayed in a transparent state on various sub-menu screens that are selectively switched, and on various sub-menu screens. By providing a selection item for direct return to the main menu screen, the submenu screen status can be changed to the main menu by performing one simple user operation on any sub menu screen whenever a return to the main menu screen is required. It can be easily switched to the screen state, further enhancing the usability in the user interface.

Claims (5)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른 제어 블록으로부터의 제어에 의거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An apparatus for providing a menu service for a user interface based on a control from a control block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in a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서비스 요구신호가 입력되면, 그에 응답하여 메뉴 서비스를 위한 다수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제어 블록;The control block, when a menu service request signal for a user interface is input, generates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s for a menu service in response thereto; 다수의 선택 항목을 갖는 주메뉴 화면 데이터 및 다수의 항목을 각각 갖는 다수의 서브 메뉴 화면 데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블록으로부터의 제어에 응답하여 다수의 메뉴 화면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인출하는 메뉴 발생 수단;Menu generating means having main menu screen data having a plurality of selection items and a plurality of sub-menu screen data each having a plurality of items, and selectively drawing out a plurality of menu screen data in response to a control from the control block; 상기 메뉴 발생 수단으로부터 인출되는 주메뉴 화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 버퍼 메모리;A first buffer memory for storing main menu screen data drawn from the menu generating means; 상기 메뉴 발생 수단으로부터 인출되는 서브 메뉴 화면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의 서브 메뉴 화면 데이터가 기저장된 상태에서 다른 서브 메뉴 화면 데이터가 인출될 때마다 기저장된 서브 메뉴 화면 데이터를 인출된 다른 서브 메뉴 화면 데이터로 갱신하여 저장하는 제 2 버퍼 메모리;Stores sub-menu screen data drawn out from the menu generating means, and saves the sub-menu screen data pre-stored each time another sub-menu screen data is drawn out while one sub-menu screen data is pre-stored. A second buffer memory to be updated and stored in the memory; 상기 제어 블록으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인출되는 서브 메뉴 화면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간축하여 상기 인출 서브 메뉴 화면보다 적어도 작은 크기를 갖는 보조 메뉴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 및Means for selectively reducing the submenu screen data to be drawn out according to the control from the control block to generate auxiliary menu screen data having a size at least smaller than that of the pullout submenu screen; And 상기 제어 블록으로부터의 영상 선택 절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인출되는 주메뉴 화면의 일부 영역에 상기 생성된 보조 메뉴 화면을 합성하여 혼합 메뉴 화면을 생성하거나 혹은 인출되는 상기 주메뉴 화면을 전체적으로 투명하게 하고 인출되는 서브 메뉴 화면을 전체적으로 선명하게 합성하여 다른 혼합 메뉴 화면을 생성하는 영상 출력 수단으로 이루어진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의 메뉴 서비스 장치.In response to the image selection switching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block, the generated auxiliary menu screen is synthesized in a partial area of the main menu screen to be drawn to generate a mixed menu screen or to make the main menu screen to be transparent as a whole. A menu service apparatus in a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comprising an image output means for generating a different mixed menu screen by clearly combining the sub menu screens drawn out as a wh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메뉴 화면 데이터는, 상기 주메뉴 화면 또는 서브 메뉴 화면에 있는 다수의 항목중 하나의 항목에 커서가 위치할 때, 커서 위치된 항목에 대응하는 서브 메뉴 화면 데이터에 따라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의 메뉴 서비스 장치.The sub-menu screen data of claim 1, wherein the sub-menu screen data is based on the sub-menu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cursor-located item when the cursor is positioned on one of a plurality of items on the main menu screen or sub-menu screen. And a menu service apparatus in a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 수단은, 상기 제어 블록으로부터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생성된 다른 혼합 메뉴 화면의 일부 영역에 상기 생성된 보조 메뉴 화면을 합성하여 또다른 혼합 메뉴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의 메뉴 서비스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mage output means, in response to the control from the control block, synthesizes the generated auxiliary menu screen to a partial region of the generated other mixed menu screen to generate another mixed menu screen. Menu service device in a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characterized in that.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주메뉴 화면 및 다수의 서브 메뉴 화면 데이터가 구비된 메뉴 발생기를 갖는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 메뉴 서비스 요구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providing a menu service for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 menu service request in a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having a menu generator having a main menu screen and a plurality of sub-menu screen data used for a user interface, 상기 다수의 서브 메뉴 화면 각각은, 상기 주메뉴 화면으로의 자동 복귀를 위해 주화면 복귀 항목을 가지며,Each of the plurality of sub-menu screens has a main screen return item for automatically returning to the main menu screen. 상기 메뉴 서비스 방법은:The menu service method is: 시청 모드 또는 대기 모드 상태에서 상기 메뉴 서비스 요구가 입력되면, 다수의 항목을 갖는 상기 주메뉴 화면 데이터를 상기 메뉴 발생기로부터 인출하여 버퍼 메모리에 일시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인출된 주메뉴 화면을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1 과정;When the menu service request is input in the viewing mode or the standby mode, the main menu screen data having a plurality of items is withdrawn from the menu generator and temporarily stored in a buffer memory, and the displayed main menu screen is displayed on the monitor. A first process of doing; 상기 주메뉴 화면의 디스플레이중에 상기 주메뉴 화면에 있는 상기 다수의 항목중 어느 한 항목이 메뉴 서비스 진행을 위한 항목으로 선택될 때, 이 선택 항목에 대응하며 다수의 항목 및 상기 주화면 복귀 항목을 갖는 서브 메뉴 화면 데이터를 상기 메뉴 발생기로부터 인출하여 다른 버퍼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버퍼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주메뉴 화면 데이터를 인출하는 제 2 과정;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tems on the main menu screen is selected as an item for proceeding a menu service during display of the main menu screen, it corresponds to this selection item and has a plurality of items and the main screen return item. A second process of extracting sub-menu screen data from the menu generator and storing the sub-menu screen data in another buffer memory and extracting the main menu screen data stored in the buffer memory; 상기 인출된 주메뉴 화면을 투명하게 하고 상기 인출된 서브 메뉴 화면을 전체적으로 선명하게 합성하여 생성한 혼합 메뉴 화면을 상기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3 과정;A third step of displaying the mixed menu screen generated by transparently synthesizing the drawn out main menu screen and vividly synthesizing the drawn out sub menu screen on the monitor; 상기 혼합 메뉴 화면의 디스플레이중에 상기 혼합 메뉴 화면내 상기 주화면 복귀 항목이 선택될 때, 상기 모니터상의 화면을 주메뉴 화면으로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다른 버퍼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서브 메뉴 화면 데이터를 클리어시키고, 상기 제 2 과정 및 제 3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제 4 과정; 및When the main screen return item in the mixed menu screen is selected during display of the mixed menu screen, the sub-screen screen data stored in the other buffer memory is cleared at the same time as switching the screen on the monitor to the main menu screen, A fourth process of repeating the second process and the third process; And 메뉴 서비스의 진행을 위해, 상기 서브 메뉴 화면내 각 항목에 대응하는 다른 서브 메뉴 화면들이 디스플레이될 때마다 상기 제 2 과정 내지 제 4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제 5 과정으로 이루어진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의 메뉴 서비스 방법.In order to proceed with the menu service, a menu service in a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comprising a fifth process of repeatedly performing the second to fourth processes whenever other sub-menu screens corresponding to each item in the sub-menu screen are displayed. Wa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서비스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enu service method is: 상기 주메뉴 화면 또는 서브 메뉴 화면내 다수의 각 항목에 커서가 위치할 때마다, 해당 항목에 대응하는 서브 메뉴 화면 데이터를 인출하여 소정 크기로 간축하여 보조 메뉴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Whenever the cursor is located on each of a plurality of items in the main menu screen or sub-menu screen, extracting sub-menu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item and reducing the data to a predetermined size to generate auxiliary menu screen data; 상기 주메뉴 화면 또는 혼합 메뉴 화면상의 일부 영역에 상기 생성된 보조 메뉴 화면을 합성하여 다른 혼합 메뉴 화면을 생성하는 과정; 및Generating another mixed menu screen by synthesizing the generated auxiliary menu screen into a partial region on the main menu screen or a mixed menu screen; And 상기 생성된 다른 혼합 메뉴 화면을 상기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의 메뉴 서비스 방법.And displaying the generated different mixed menu screen on the monitor.
KR1019980025517A 1998-06-30 1998-06-30 Menu service device of satellite broadcast receiver and service method thereof KR2000000411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5517A KR20000004116A (en) 1998-06-30 1998-06-30 Menu service device of satellite broadcast receiver and service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5517A KR20000004116A (en) 1998-06-30 1998-06-30 Menu service device of satellite broadcast receiver and service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116A true KR20000004116A (en) 2000-01-25

Family

ID=19541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5517A KR20000004116A (en) 1998-06-30 1998-06-30 Menu service device of satellite broadcast receiver and service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411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3989A1 (en) * 2015-10-26 2017-05-04 프타 주식회사 Unfoldable power strip storage box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3989A1 (en) * 2015-10-26 2017-05-04 프타 주식회사 Unfoldable power strip storage 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17395B (en) Channel selection methodology in an ATSC/NTSC teleision receiver
JP200151447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a program guide for a broadcast system
JPH08130517A (en) Video-on demanding device
KR19990077887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digital signal demodula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a provision medium
US200302192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video data
KR20000004116A (en) Menu service device of satellite broadcast receiver and service method thereof
KR10030309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enu update in digital tv
KR100283582B1 (en) Menu Service Method in Satellite Broadcast Receiver
KR100285596B1 (en) Menu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in Digital Television
KR100252353B1 (en) Method for deleting channel number in composite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KR19990032224A (en) How to Display Channel Information on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s
KR19990080997A (en) Channel Information Service Method in Satellite Broadcast Receiver
KR19990042295A (en) How to Display Channel Information of Complex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KR100428603B1 (en) Method for displaying graphic data in the digital television
KR20000021878A (en) Apparatus for generating menu of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and method for servicing menu
KR100242883B1 (en) An improved on-screen display controller for composite broadcasting receiver
KR100265276B1 (en) Improved method for displaying channel information in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KR100251235B1 (en) Channel information display method in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KR19990042294A (en) Broadcast Mode Switching Method of Satellite Broadcast Receiver
JP2002185884A (en) Digital television broadcast receiver and its program guide information display method
KR19990033461A (en) How to Display Program Guide Screen of Satellite Broadcast Receiver
KR19990066525A (en) How to Display Notes on a Satellite Broadcast Receiver
KR19990052304A (en) How to Display Program Guide Screen of Satellite Broadcasting Receiver
KR20000034375A (en) Apparatus for printing still picture of digital television
JPH08102928A (en) Help screen image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