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3959U - 시스템의 문개폐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시스템의 문개폐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3959U
KR20000003959U KR2019980014308U KR19980014308U KR20000003959U KR 20000003959 U KR20000003959 U KR 20000003959U KR 2019980014308 U KR2019980014308 U KR 2019980014308U KR 19980014308 U KR19980014308 U KR 19980014308U KR 20000003959 U KR20000003959 U KR 200000039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ght
opening
board
en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3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143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3959U/ko
Publication of KR200000039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959U/ko

Links

Abstract

시스템의 문개폐 감지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장치는, 시스템의 경보를 처리하는 처리보드와, 함체의 문 개폐를 감지하여 처리보드에게 전달하는 센서보드 및 보드들을 감싸고 있으며 몸체와 문으로 구성된 외부함체를 포함한다. 센서보드는 함체의 문 쪽을 향하여 설치되며 개구부를 가지는 전면 패널부와, 개구부를 통해 빛을 감지하여 문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는 회로부를 포함한다. 빛 감지센서는 전면 패널부의 개구부에 고정된다. 빛 감지센서가 열린 문을 통해 들어온 빛을 감지하면, 감지회로는 함체의 문이 열렸음을 알리는 신호를 생성하여 처리보드에게 전달한다.

Description

시스템의 문개폐 감지장치
본 고안은 시스템의 문개폐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 시스템에서 빛 감지센서(light sensor)를 이용하여 시스템 앞문(front door)의 개폐를 감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잡한 전자 시스템은, 다수의 보드(Board)와 보드를 감싸고 있는 함체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에서, 이동 전화기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 시스템(Base Station System)은 그 특성상 실외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기지국 시스템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보드와, 보드를 보호하기 위한 함체로 구성된다. 함체는 몸체와 문으로 구성된다. 필요한 경우, 시스템의 운영자는 함체의 문을 직접 열고, 기지국 시스템의 내부 보드의 상태를 유지보수한다.
이때 환경상의 이유(바람 또는 충격 등)로 인하여 시스템의 문이 열린 경우, 기지국 시스템의 중앙 처리보드는 이를 감지하고, 케이블을 통하여 원거리에 위치하는 시스템의 운영자에게 경보를 보고하여야 한다. 종래 기술에 의한 기지국의 문 개폐 감지 회로는 함체의 문과 함체의 몸체에 각각 부착된 2개의 접점을 사용한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 개폐 감지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의 문(10)에 설치된 제 1 접합기(110)와, 함체의 몸체(20)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접점(110)과 접합하는 제 2 접합기(120); 제 1 접합기과 제 2 접합기의 접합 여부를 감지하여 함체 내부의 중앙 처리보드에게 보고하는 제어기(130) 및 상기 제 1 및 2 접합기와 상기 제어기를 연결하는 커넥터(140)로 구성된다.
제 1 접합기와 제 2 접합기가 접합되어 있으면, 제어기는 함체의 문이 닫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반대로 제 1 접합기와 제 2 접합기가 접합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기는 함체의 문이 열려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개폐 감지장치는, 상기 접합기와 제어기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커넥터를 필요로 한다. 또한, 제어기와 내부의 중앙 처리보드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외부적인 연결방식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종래 기술에 의한 문 개폐 감지회로는 접합기와 제어기 및 외부의 커넥터 등으로 구성된 별도의 회로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복잡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의 회로를 시스템의 함체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제 1 접합기와 제 2 접합기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해야 하며, 제 2 접합기를 부착한 이후 별도의 커넥터를 사용하여 제 2 접합기를 제어기와 연결해야 하고, 또한 제어기를 내부의 중앙 처리보드와 연결해야 한다. 그러므로 설치상에 기구적인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외부의 회로 없이 함체 내부의 보드에서 함체의 문 개폐를 감지하는, 시스템의 문개폐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함체 내부에 빛을 감지하는 센서 보드를 설치하여 함체의 문 개폐를 감지하는, 시스템의 문개폐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함체 내부에 빛을 감지하여 함체 문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시스템의 문개폐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과 장점은 하기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 개폐 감지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시스템의 보드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센서보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감지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함체의 문 20 : 함체의 몸체
110,120 : 접합기 130 : 제어기
140 : 커넥터 210,220,240 : 주변 처리보드
230 : 주 처리보드 250 : 센서보드
252 : 전면패널 254 : 홀
300 : 감지회로 310 : 빛 감지기
320,340 : 저항 330 : 인버터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안된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의 문개폐 감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몸체와 몸체에 연결된 문으로 구성된 외부함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부에 위치하며, 시스템의 경보를 처리하는 처리보드와;
상기 몸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문 개폐를 감지하여 상기 처리보드에게 알리는 센서보드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보드는, 함체의 문 쪽을 향하여 설치되며, 개구부를 가지는 전면 패널부과;
상기 개구부를 통해 빛을 감지하여 문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는 감지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감지 회로부는, 상기 전면 패널부의 개구부에 고정되며, 빛을 감지하는 빛 감지기와;
상기 빛 감지기가 빛을 감지하면 함체의 문이 열렸음을 알리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처리보드에게 전달하는 경보 처리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빛 감지기는, 빛을 감지할 수 있는 반도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빛 감지기는, 빛의 양의 변화에 따라 내부 저항값이 변화하는 전도성 셀 반도체(CdS)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의 문개폐 감지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는, 시스템 회로부와, 시스템 회로부를 감싸고 있는 몸체 및 몸체와 연결된 문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회로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빛을 감지하면 상기 문이 열렸음을 알리는 신호를 생성하는 문개폐 감지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문개폐 감지수단은, 상기 회로부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문을 통해 들어오는 빛을 감지하는 빛 감지기와;
상기 빛 감지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빛 감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빛 감지기는, 빛을 감지하는 반도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빛 감지기는, 빛의 양의 변화에 따라 내부 저항값이 변화하는 전도성 셀 반도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 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은 다수의 보드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각종 경보를 처리하는 센서 보드를 추가한다. 상기 센서보드는 시스템 함체의 문 개폐를 감지하기 위하여, 빛을 감지한다. 문이 닫혀 있으면, 센서보드는 빛을 감지하지 못한다. 문이 열려 있으면, 센서보드는 빛을 감지한다. 센서보드는 빛의 감지여부에 따라서 문 개폐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위의 관리자에게 보고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시스템의 보드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의 주된 동작을 수행하는 주 처리보드(230)와; 시스템의 보조 동작을 수행하는 주변 처리보드(210)(220)(240) 및 시스템의 각종 경보를 처리하는 센서보드(25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보드는 빛을 감지하는 감지 회로부를 전면부에 포함하고 있다. 감지 회로부는 빛의 변화량을 감지하여 센서보드로 전달하며, 센서보드는 빛의 량이 많으면 문이 열린 것으로 판단하고, 빛의 양이 적으면 문이 닫힌 것으로 판단한다.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센서보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회로부(300)는 센서보드(250)의 전면 패널부(Front Panel)(252)의 홀(hole)(254)을 통해서 빛을 감지한다. 센서보드의 전면패널부는 함체의 문 쪽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함체의 문이 열리면 감지 회로부는 빛을 감지한다. 감지 회로부가 빛을 감지하면, 센서보드는 문이 열린 것으로 판단한다. 센서보드는 판단된 문의 상태를 다른 보드(240)로 전달하고, 다른 보드는 문의 개폐 상태에 따른 경보를 처리한다.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감지 회로부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패널부(252)의 홀(254)에 고정된 빛 감지기(310)와, 빛 감지기와 연결된 인버터(Inverter)(330), 빛 감지기의 입력 전압을 올리는 가변저항(340) 및 저항(3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빛 감지기(310)는 빛의 양에 따라 전도도가 변화되어 내부 저항값이 변화하는 전도성 셀 반도체(Conductive cell Semiconductor: CdS)로 구성된다.
상기 인버터는 입력신호가 '로우'(low), 즉 전압범위가 0 ~ 2.5 V 이면 '하이'(high)를 출력하고, 입력신호가 '하이', 즉 전압범위가 2.5 ~ 5 V 이면 '로우'를 출력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감지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함체의 문이 닫혀 있으면 전도성 셀 반도체의 전도도가 급격히 하락되어, 내부 저항값은 상당히 큰 값(수 MΩ)이 된다. 그러면 인버터(330)의 입력은 '로우'(low)가 되고, 인버터는 '하이'(high)를 출력한다. 센서보드(250)는 센서회로(300)로부터 '하이'의 문개폐 감지신호를 전달받으면, 함체의 문이 닫혀 있다고 판단한다.
반대로 함체의 문이 열리면 전도성 셀 반도체의 전도도가 상승되어, 내부 저항값은 매우 작은 값(1 KΩ이하)이 된다. 그러면 인버터는 '하이'의 신호를 입력받아, '로우'의 신호를 출력한다. 센서보드는 센서회로로부터 '로우'의 문개폐 감지신호를 전달받으면, 함체의 문이 열려 있다고 판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다른 보드와 별도로 구성된 센서보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센서보드는 다른 보드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센서보드가 다른 보드에 포함되면, 센서 회로는 그 보드의 전면부(전면패널)에 부착된다.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고안은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고안에 있어서, 개시되는 고안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간단한 구조의 회로를 추가함으로써, 함체로 둘러싸인 시스템에서 함체 문의 개폐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의 함체에 센서를 장착하지 않고 전면부에 감지회로가 고정된 센서보드를 사용함으로써, 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한다.
그러므로 센서보드를 시스템의 다른 보드들과 같이 함체의 내부에 꽂음으로써 간단하게 문개폐 감지장치를 시스템에 설치할 수 있다.

Claims (10)

  1. 내부 보드를 감싸고 있는 몸체와 몸체에 연결된 문으로 구성된 외부함체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부에 위치하며, 시스템의 경보를 처리하는 처리보드; 및
    상기 몸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문 개폐를 감지하여 상기 처리보드에게 알리는 센서보드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문개폐 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보드는,
    빛을 감지하면 시스템의 문이 열린 것으로 판단하는, 시스템의 문개폐 감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보드는,
    함체의 문 쪽을 향하여 설치되며, 개구부를 가지는 전면 패널부과;
    상기 개구부를 통해 빛을 감지하여 문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는 감지 회로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문개폐 감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회로부는,
    상기 전면 패널부의 개구부에 고정되며, 빛을 감지하는 빛 감지기와;
    상기 빛 감지기가 빛을 감지하면 함체의 문이 열렸음을 알리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처리보드에게 전달하는 경보 처리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문개폐 감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빛 감지기는, 빛을 감지할 수 있는 반도체로 구성되는, 시스템의 문개폐 감지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빛 감지기는, 빛의 양의 변화에 따라 내부 저항값이 변화하는 전도성 셀 반도체(CdS)로 구성되는, 시스템의 문개폐 감지장치.
  7. 시스템 회로부와, 시스템 회로부를 감싸고 있는 몸체 및 몸체와 연결된 문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빛을 감지하면 상기 문이 열렸음을 알리는 신호를 생성하는 문개폐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문개폐 감지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문개폐 감지수단은,
    상기 회로부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문을 통해 들어오는 빛을 감지하는 빛 감지기와;
    상기 빛 감지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빛 감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기로 구성되는, 시스템의 문개폐 감지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빛 감지기는, 빛을 감지하는 반도체로 구성되는, 시스템의 문개폐 감지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빛 감지기는, 빛의 양의 변화에 따라 내부 저항값이 변화하는 전도성 셀 반도체로 구성되는, 시스템의 문개폐 감지장치.
KR2019980014308U 1998-07-31 1998-07-31 시스템의 문개폐 감지장치 KR2000000395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308U KR20000003959U (ko) 1998-07-31 1998-07-31 시스템의 문개폐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308U KR20000003959U (ko) 1998-07-31 1998-07-31 시스템의 문개폐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959U true KR20000003959U (ko) 2000-02-25

Family

ID=69502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308U KR20000003959U (ko) 1998-07-31 1998-07-31 시스템의 문개폐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395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9976A (ko) * 2019-06-05 2020-12-1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9976A (ko) * 2019-06-05 2020-12-1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8053B2 (en) One time operating state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CN210922986U (zh) 一种具有异常震动检测功能的压力测量装置
CN208079318U (zh) 移动设备及其麦克风装置
WO2005094154A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n external antenna
US6492908B1 (en) Light indication showing functional status or operational condition through light-transmissible enclosure case
KR20200006916A (ko) 무선형 활선경보장치
KR20000003959U (ko) 시스템의 문개폐 감지장치
JPH11148880A (ja) 圧力発信器
US6256128B1 (en) Electricity meter data source identification circuit
US20100246080A1 (en) Intelligent fuse-holder
CN115931171A (zh) 一种具有测温功能的电能表检定装置
US6653843B2 (en) Battery acid level alarm
US4096466A (en) Underwater switching
CN107402234B (zh) 对终端中安装有sim卡的卡座进行杂质检测的方法及终端
CN206619903U (zh) 浪涌电流保护装置
CN112945987A (zh) 导光组件及导光组件的检测方法
CN113690748A (zh) 配电柜部件
CN1940795B (zh) 流体控制装置及其方法
CN210038191U (zh) 人体感应装置
CN213152617U (zh) 印刷电路板及终端设备
CN211507531U (zh) 一种带燃气监测功能的微型断路器
US20210404857A1 (en) Sensor Assembly
CN214040105U (zh) 用于光学接近传感器的壳体
CN220187805U (zh) 一种三电压信号水箱水位传感器
CN220322492U (zh) 一种具有频率显示及磁铁调试功能的音叉液位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